KR20180054517A -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압축 리미터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열전 모듈 - Google Patents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압축 리미터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열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517A
KR20180054517A KR1020177036852A KR20177036852A KR20180054517A KR 20180054517 A KR20180054517 A KR 20180054517A KR 1020177036852 A KR1020177036852 A KR 1020177036852A KR 20177036852 A KR20177036852 A KR 20177036852A KR 20180054517 A KR20180054517 A KR 20180054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module
module assembly
thermoelectric
compressible materi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뤼디거 스피르너
드미트루-크리스찬 레우
Original Assignee
젠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젠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5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21/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reversi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01M10/6572Peltier elements or thermoelectr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1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 H10N10/813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the junction being separable, e.g. using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각각 저온측 및 고온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재2 부재를 포함한다. 단열판은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열전 소자는 단열판 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부재와 유효하게 접촉한다. 파스닝 엘리먼트는 단열판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부재를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고정시킨다. 파스닝 엘리먼트는 압축 리미터를 제공하는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압축 리미터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열전 모듈
본 발명은 전지와 같은 자동차 컴포넌트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열전 모듈(thermoelectric module)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압축 리미터 구성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자동차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승용차 및 다른 타입의 자동차에 사용된다. 이러한 전지는 상당한 양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전지는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냉각되어야 한다.
전지 아래 및 냉각판 어셈블리 부근에 배치된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한 타입의 자동차 전지 냉각 배열이 제안되었다. 열전 모듈은 전지 주변을 냉각시키기 위해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한다. 열전 소자를 통해 전달된 열은 냉각판 어셈블리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냉각판 어셈블리는 그것을 통해 순환되어 열교환기로 보내지는 냉각 유체를 가질 수 있다.
열전 모듈 내의 몇몇 구성요소를 통해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함과 동시에 열전 모듈 내의 다른 구성요소를 단열시키는 열전 모듈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각각 저온측 및 고온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단열판이 배치된다. 열전 소자는 단열판 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부재와 유효하게(operatively) 접촉한다. 파스닝 엘리먼트는 단열판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부재를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고정시킨다. 파스닝 엘리먼트는 압축 리미터를 제공하는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조립된 상태에서 액체 상태 및 조립된 상태에서 경화된 상태를 포함한다. 경화된 상태의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제1 및 제2 부재간의 움직임을 액체 상태의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보다 크게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에폭시이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RTV이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파스닝 엘리먼트는 조립된 상태에서 클램핑 하중을 제공하도록 압전 소자를 그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부재를 클램핑하는 나사형 파스너를 포함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나사형 파스너 없이 조립된 상태에서 클램핑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열전 소자를 그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부재를 클램핑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부재는 금속이고, 단열판은 플라스틱이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제2 부재는 열전 소자를 지지하는 도드라진(raised) 패드를 포함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열 포일이 패드와 열전 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패드 및 열전 소자와 접촉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열전 소자는 펠티에 소자이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제2 부재는 단열판과 협력하여 단열판 및 제2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위치를 맞추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돌출부 상에 제공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파스닝 엘리먼트는 돌출부의 나사산 가공된 내경에 고정되는 나사형 파스너를 포함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단열판은 열전 소자를 둘러싸는 적어도 4개의 개별 돌출부를 가진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부재는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이다.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 및 단열판은 서로 고정되어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제1 부재는 히트 스프레더를 제공하고, 제2 부재는 냉각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냉각판 어셈블리는 냉각 통로를 통해 순환되는 냉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냉각 통로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재는 열전 소자 상에 클램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열전 소자를 사이에 두고 클램핑된다.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클램프 하중을 유지하는 동안 고체화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클램프 하중 하에서 액체 상태 및 경화된 상태를 포함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클램핑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부재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형 파스너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고체화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전지 하중 하에서 열전 소자의 압축을 제한시킨다.
어느 상기 내용의 추가 실시예에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클램핑하는 단계 이후에 클램프 하중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아래의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자동차 시스템 온도가 냉각 시스템에 의해 조절되는 자동차의 매우 간략한 도면이다.
도 1b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 및 냉각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의 확대된 투시도이다.
도 3a는 히트 스프레더에 장착되는 단열판의 투시도이다.
도 3b는 단열판 내에 열전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도 3a에 도시된 단열판 및 히트 스프레더의 투시도이다.
도 4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의 투시도이다.
도 5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열전 모듈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압축 리미터를 이용한 조립 과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조립 과정 이후의 열전 모듈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전 단락, 청구항, 또는 아래의 설명 및 도면의 실시예, 예시 및 대안은 어떤 그들의 다양한 형태 또는 각각의 개별적인 특징을 포함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얻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와 연관지어 서술된 특징은 그러한 특징이 호환 불가능하지 않다면 모든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자동차(10)는 도 1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10)는 난방 및 냉방될 필요가 있는 자동차 시스템(12)을 포함한다. 한 예에서, 자동차 시스템(12)은 상당한 양의 열을 발생시키는 자동차 추진을 위해 사용되는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전지(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지는 동작시 냉각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전지 효율 및/또는 무결성이 나빠질 수 있다.
냉각 시스템(18)은 전지(14)로부터 열을 제거하여 자동차 시스템(12)을 냉각시키기 위해 전지(14)와 DC/DC 컨버터(16) 사이에 적층 배열된다. DC/DC 컨버터(16)는 전지(14)와 자동차 전자기기 간에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냉각 시스템(18)은 냉각 루프(24)와 통해 있는 냉각판 어셈블리(22)에 장착된 열전 모듈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글리콜과 같은 냉각 유체는 냉각 루프(24) 내에서 펌프(31)에 의해 순환된다. 열은 냉각판 어셈블리(22)를 통해 열교환기(26)에 연결된 공급 및 리턴 냉매 라인(30, 32)을 통해 냉매로 배출된다. 예컨대, 팬 또는 송풍기(28)는 열교환기(26) 내의 냉매로부터 주변 환경으로 열을 내보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34)는 전지 냉각을 조정하기 위해 자동차(10), 자동차 시스템(12) 및 냉각 시스템(18)의 다양한 컴포넌트들과 통신한다. (도시되지 않은) 센서 및 출력들이 컨트롤러(34)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냉각 시스템(18)이 도 1b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열전 모듈 어셈블리(20)는 전지(14)의 표면(36)을 지지하는 저온측(38)을 포함한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단열판(50)은 (도 2에서 58로 도시된) 열전 소자를 운반하고, (전지(14)에 있는) 저온측(38)을 (냉각판 어셈블리(22)에 있는) 고온측(4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냉각판 어셈블리(22)는 고온측(40)으로부터 배출된 열을 수용하기 위해 냉각판 어셈블리(22)를 가로질러 냉매를 통하게 하는 유체 통로(43)의 네트워크를 둘러싸도록 서로 고정된 제1 및 제2 냉각판(42, 44)을 포함한다. 시일(41)이 열전 모듈 어셈블리(20)와 냉각판 어셈블리(2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가열된 냉매는 이러한 스택(stack)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열교환기(26)로 보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열전 모듈 어셈블리(20)가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저온측(38) 및 고온측(40)은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에 의해 제공된다.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 사이에 단열판(50)이 끼워 넣어지고, 단일 유닛으로 조립된 후 냉각판 어셈블리(22)에 고정될 수 있다
단열판(50)은 애퍼어처(52)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애퍼어처(52) 내에 열전 소자(54)가 배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열전 소자는 제1 히트 스프레더(46) 부근에 저온측, 제2 히트 스프레더(48) 부근에 고온측을 제공하기 위해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다.
단열판(50)은 열전 모듈 어셈블리(20)의 열전 소자(54)의 와이어(61)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와이어 채널(60)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3개의 펠티에 소자가 서로 직렬로 배선되어 있다.
단열판(50)의 열용량을 줄이고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를 서로 단열시키는 에어 갭을 제공하기 위해 단열판(50) 내에 공극(62)의 매트릭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공극(62)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 형상 또는 패턴일 수 있다. 공극은 (도시된) 단열판(50)의 두께에 비하여 깊은 오목부일 수도 있고, 단열판(50)을 통해 모든 방향으로 뻗을 수도 있다.
제2 히트 스프레더(48)는 열전 소자(54)를 지지하기 위해 단열판(50)을 향해 위쪽으로 뻗은 도드라진 패드(64)를 포함한다. 열 효율성을 위해 컴포넌트들 사이에 적절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열전 소자(54)와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 사이에 열 포일(66)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a-3b를 참조하면, 단열판(50)은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에 대하여 단열판(50)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스페이서(68)를 포함한다. 돌출부(70)는 조립하는 동안 제2 히트 스프레더(48)에 대한 단열판(50)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예컨대, 제2 히트 스프레더(48)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열전 소자(54)와 스택 내의 컴포넌트들 부근 사이에 충분한 접촉 및 열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열전 소자(54)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클램프 하중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히, 전지(14)의 무게 하에서도 열전 소자(54)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전 소자(54) 상의 하중은 제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도 5 및 6)가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 사이에 제공된다.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는 액체 상태에서는 비교적 압축 가능하지만, 경화된(cured)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그에 비해 강성(rigid)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하는 동안 컴포넌트 간의 누적공차(tolerance stack-up)가 액체/비경화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에 의해 수용될 수 있고, 경화된 후에는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가 단단하게 되어 전지(14)의 하중 하에서 열전 소자(54)가 과도한 하중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열전 소자(54)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20)에서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데, 이 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재 모두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에 의해 제공된다. 돌출부(70)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20)의 컴포넌트들 간의 누적공차를 수용하기 위해 제1 히트 스프레더(46)까지 전체 거리만큼 뻗지 않는다. 이 예에서, 단열판(50)은 제1 두께를 가지고, 돌출부(70)는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진다. 예컨대, RTV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는 돌출부(70)의 단부에 적용되고, 제1 히트 스프레더(46)의 밑면과 접촉한다. 경화되는 동안 돌출부(70) 상에 충분한 재료를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한 점도가 선택된다. 경화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제1 및 제2 두께 간의 차이를 채운다. 접착제, 플라스틱, 납땜용 주석 또는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파스너(74)와 같은 파스닝 엘리먼트는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 및 단열판(50)의 스택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1 히트 스프레더(46) 내의 홀을 관통하여 뻗고, 돌출부(70)의 나사산 가공된 내경(72) 내에 수용된다.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는 이 예에서 그것의 각각의 파스너(74)를 둘러싼다. 이처럼,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를 경화시키기 전에 제2 히트 스프레더(48)에 파스너(74)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파스너(74)는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가 여전히 경화되지 않은 동안 희망의 클램프 하중까지 미리 정해진 토크로 조여진다. 그 다음,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는 전지(14)가 열전 모듈(20)에 장착되기 전에 경화 또는 고체화가 허용되어 단단해짐으로써,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가 액체 상태일 때보다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46, 48) 간의 움직임이 더 크게 억제된다.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가 컴포넌트 공차의 변동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열 포일(66)이 제거될 수도 있고 또는 더 얇은 포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히트 스프레더(48)는 제거될 수 있고, 제1 히트 스프레더(46)는 냉각판 어셈블리(22)에 고정될 수 있다.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는 도 4 및 5와 관련지어 앞서 서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예에서, 파스너(74)는 제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146, 148)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194)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조립 하중(도 7a의 마주보는 화살표)이 열전 모듈 어셈블리(120) 상에 유지되고,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194)가 경화할 때까지 희망의 클램프 하중이 열전 소자(54)에 가해진다. 그 다음, 조립 하중이 제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146, 148)를 서로 부착시킨, 경화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194)에 의해 클램프 하중이 유지된다.
동작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94)는 전지(14)가 전지의 무게 하에서 열전 소자(54)가 과도한 하중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지 않은 전지 온도는 컨트롤러(34)에 의해 탐지된다. 열전 소자(54)는 전력을 공급받아, 전지(14) 부근의 제1 히트 스프레더(46)로 전달되는 열전 소자(54)의 저온측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컴포넌트들 간의 온도차를 증가시키고 그 사이의 열전달을 증가시킨다. 전지로부터의 열은 제1 히트 스프레더(46)로부터 열전 소자(54)를 통해 제2 히트 스프레더(48)로 전달된다. 그러나, 단열판(50)은 제1 히트 스프레더(46)로부터 제2 히트 스프레더(48)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히트 스프레더(48)는 냉각판 어셈블리(22) 내의 냉매로 열을 배출시킨다. 냉매는 냉각판 어셈블리(22)로부터, 열을 주변 환경으로 내보내는 열교환기(26)로 순환되고, 이러한 열 전달 속도는 송풍기(28)를 사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특정한 컴포넌트 배열이 도시된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으나, 다른 배열도 본 발명으로부터의 이익을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단계 시퀀스가 도시되고 서술되고 청구되어 있으나, 다르게 언급되지 않았다면 이러한 단계들이 임의의 순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 또한 본 발명으로부터의 이익을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예들이 도면에 도시된 특별한 컴포넌트를 가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러한 특정한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에서의 몇몇 컴포넌트 또는 특징들을 다른 예에서의 컴포넌트 또는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나, 당업자들은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는 어떤 수정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아래의 청구항은 그 진정한 범위 및 내용을 결정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로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각각 저온측 및 고온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된 단열판;
    상기 단열판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와 유효하게 접촉하는 열전 소자;
    상기 단열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파스닝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파스닝 엘리먼트는 압축 리미터를 제공하는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조립된 상태에서 액체 상태, 및 조립된 상태에서 경화된 상태를 포함하고, 경화된 상태의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 간의 이동을 액체 상태의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보다 더 크게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에폭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R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닝 엘리먼트는 조립된 상태에서 클램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열전 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클램핑하는 나사형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나사형 파스너 없이 조립된 상태에서 클램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열전 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2 부재를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재2 부재는 금속이고, 상기 단열판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열전 소자를 지지하는 도드라진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드 및 상기 열전 소자와 접촉하는 열 포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는 펠티에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단열판과 협력하여 상기 단열판과 상기 제2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위치를 맞추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상기 돌출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닝 엘리먼트는 상기 돌출부의 나사산 가공된 내경에 고정되는 나사형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은 상기 열전 소자를 둘러싸는 적어도 4개의 개별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이고, 상기 제1 및 제2 히트 스프레더 및 상기 단열판은 상기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히트 스프레더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부재는 냉각판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판 어셈블리는 냉각 통로를 통해 순환되는 냉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냉각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를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전 모듈 어셈블리.
  16.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열전 소자에 클램프 하중을 제공하도록 열전 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클램핑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램핑 하중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를 고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상기 클램프 하중 하에서 액체 상태 및 경화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형 파스너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고체화된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전지 하중 하에서 상기 열전 소자의 압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는 상기 클램핑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클램프 하중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모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77036852A 2015-06-10 2016-06-08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압축 리미터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열전 모듈 KR20180054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73485P 2015-06-10 2015-06-10
US62/173,485 2015-06-10
PCT/US2016/036437 WO2016200931A1 (en) 2015-06-10 2016-06-08 Thermoelectric module with temporarily compressible compression limiter for vehicle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517A true KR20180054517A (ko) 2018-05-24

Family

ID=5619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852A KR20180054517A (ko) 2015-06-10 2016-06-08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압축 리미터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열전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164002A1 (ko)
JP (1) JP2018522408A (ko)
KR (1) KR20180054517A (ko)
CN (1) CN107710497A (ko)
DE (1) DE112016002621T8 (ko)
WO (1) WO2016200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0759A1 (de) * 2015-10-23 2017-04-27 Mahle International Gmbh Wärmeübertrager, insbesondere thermoelektrische Wärmepumpe, zum Temperieren einer Batterie
CN111194394B (zh) 2017-10-06 2022-07-05 达纳加拿大公司 具有集成的支承结构的热交换器
KR20220055609A (ko) * 2020-10-27 2022-05-0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21130255A1 (de) 2021-11-19 2023-05-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hermoelektrische Umwandlungsvorrichtung und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372A (en) * 1973-01-08 1975-07-15 Baltek Corp Cryogenic insulating panel system
US4242874A (en) * 1978-12-11 1981-01-06 Simms Larry L Icebox conversion unit
US4823554A (en) * 1987-04-22 1989-04-25 Leonard Trachtenberg Vehicle thermoelectric cooling and heating food and drink appliance
JP3467297B2 (ja) * 1992-11-09 2003-11-17 株式会社エコ・トゥエンティーワン 電子冷却ユニツト
US5784890A (en) * 1996-06-03 1998-07-28 Polkinghorne; John D. Compact thermoelectric refrigeration drive assembly
RU2187052C1 (ru) * 2000-12-14 2002-08-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ИФ"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оздухоохладитель
ES2253535T3 (es) * 2001-04-24 2006-06-01 Top-Cool Holding B.V. Aparato electrico de refrigeracion.
JP2003318455A (ja) * 2002-04-19 2003-11-07 Da Vinch Co Ltd ペルチェ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20040211189A1 (en) * 2002-07-17 2004-10-28 Arnold Anthony P.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AU2003286400A1 (en) * 2002-12-09 2004-06-30 M.T.R.E Advanced Technologies Ltd. Thermoelectric heat pumps
US7032389B2 (en) * 2003-12-12 2006-04-25 Thermoelectric Design, Llc Thermoelectric heat pump with direct cold sink support
CN101086269A (zh) * 2006-06-06 2007-12-12 刘文晋 一种组合膨胀螺母
JP2010021410A (ja) * 2008-07-11 2010-01-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サーモモジュール
CN201562577U (zh) * 2009-12-18 2010-08-25 平湖市声佳电子有限公司 一种环形变压器改进结构
JP2012204450A (ja) * 2011-03-24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接着構造と該接着構造を有する熱電モジュール
CN202414091U (zh) * 2011-12-30 2012-09-05 广东江龙船舶制造有限公司 铝合金-玻璃钢复合船连接结构
WO2014151493A1 (en) * 2013-03-15 2014-09-25 Gentherm Incorporated Thermally-conditioned beverage holders and bins
DK3063798T3 (en) * 2013-10-28 2017-08-28 Phononic Devices Inc THERMOELECTRIC HEAT PUMP WITH AN ENVIRONMENTAL AND SPACING (SAS) STRUCTURE
DE112014004953T5 (de) * 2013-10-29 2016-07-14 Gentherm Incorporated Batteriethermomanagement mit Thermoelektr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0931A1 (en) 2016-12-15
DE112016002621T8 (de) 2018-06-07
US20180164002A1 (en) 2018-06-14
DE112016002621T5 (de) 2018-03-29
CN107710497A (zh) 2018-02-16
JP2018522408A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517A (ko) 일시적으로 압축 가능한 압축 리미터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열전 모듈
DK2599154T3 (en) System for cooling a battery and a battery with such a system
US9356328B2 (en) Apparatus for voltage supply
US11437667B2 (en) Battery assembly method for providing a battery arrangement and battery arrangement
JP5523530B2 (ja) バッテリー冷却システム
US11283100B2 (en) Battery device with heat exchange housing configuration
US20140087231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20140113171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energy storage cell and heat-conducting element with elastic means
US20180166621A1 (en) Vehicle battery thermoelectric device with integrated cold plate assembly
US10601092B2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the temperature control of an electric power supply unit
US20190020081A1 (en) Vehicle battery thermoelectric module with simplified assembly
US20130291921A1 (en) Thermoelectric device
US20150357687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KR20180054516A (ko) 파스닝 엘리먼트 단열 특징부를 가진 자동차 전지용 열전 모듈
US20180166758A1 (en) Vehicle battery thermoelectric module with improved heat transfer and thermal isolation features
KR20180054515A (ko) 단열 특징부를 가진 자동차 전지용 열전 모듈
JP2011100791A (ja) 冷却器
US20210359355A1 (en) Battery module with temperature control
KR102017275B1 (ko) 일체형 냉각판 어셈블리를 가진 자동차 전지 열전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KR20190051300A (ko) 배터리의 냉각 플레이트 부착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배터리 팩
JP7310095B2 (ja) 電池温度調節装置
JP2013118334A (ja) 半導体冷却器
JP2017054766A (ja) 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US11244877B2 (en) Seal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728524B2 (en) Battery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ly drivable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