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46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468A
KR20180054468A KR1020170149383A KR20170149383A KR20180054468A KR 20180054468 A KR20180054468 A KR 20180054468A KR 1020170149383 A KR1020170149383 A KR 1020170149383A KR 20170149383 A KR20170149383 A KR 20170149383A KR 20180054468 A KR20180054468 A KR 20180054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bstrate
connector
terminal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6Connection of the shield to an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 e.g. drain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 상에 실장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절연성의 하우징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 끼워 맞춘다. 도전성의 복수의 컨택트는, 하우징에 배열되며, 기판 상의 단자(접지용 단자, 신호용 단자)에 접속되는 동시에, 끼워 맞춘 플러그 커넥터의 도전성의 컨택트와 접속한다. 복수의 컨택트 중 기판 상의 신호용 단자와 접속되는 제 1 컨택트와, 기판 상의 접지용 단자와 접속되는 제 2 컨택트 중 적어도 한쪽이 기판 상의 단자(신호용 단자, 접지용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회로 기판에 실장된 제 1 커넥터에, 신호선이 접속된 제 2 커넥터를 끼워 맞춰서 신호선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에서는, 끼워 맞춤시, 제 1 커넥터에 마련된 제 1 쉘과, 제 2 커넥터에 마련된 제 2 쉘이 서로 면접촉하여, 그 쉴드성을 높이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0-157367 호 공보
최근, 케이블을 전송하는 신호가 고속화됨에 따라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주파수 대역이 높아지면, 그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 성분은 컨택트 사이의 크로스토크에 기인하는 것이 지배적이다. 여기서, 전송 선로가 공진하여, 그 공진 주파수와 예컨대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직사각형파를 형성하는 주파수)가 가까운 경우, 크로스토크에 기인하는 노이즈 성분이 커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크로스토크를 충분히 저감하기 위해서는,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로부터 크게 어긋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기 커넥터와 같이, 쉘끼리의 접촉 상태를 변경해도,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의 변동은 근소하여, 크로스토크를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로부터 크게 어긋나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기판 상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과 끼워 맞추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열되며, 상기 기판 상의 단자에 접속되는 동시에, 끼워 맞춘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의 상대 컨택트와 접속하는 도전성의 복수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 중 상기 기판 상의 신호용 단자와 접속되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컨택트 중 상기 기판 상의 접지용 단자와 접속되는 제 2 컨택트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기판 상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 중 적어도 한쪽이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기판 상의 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 중 적어도 한쪽이,
끼워 맞춘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기 상대 컨택트와 접속하는 컨택트 접촉부와,
외측으로 연장된 자유단이며, 상기 기판 상의 단자에 접촉하는 제 1 기판 접촉부와,
상기 컨택트 접촉부와 상기 제 1 기판 접촉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기판 상의 단자에 추가로 접촉하는 제 2 기판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제 2 기판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접촉부와 상기 제 1 기판 접촉부 사이를 연장하는 띠 형상 부분이 절곡된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부분에서 상기 기판의 단자와 접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제 2 기판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접촉부와 상기 제 1 기판 접촉부 사이를 연장하는 띠 형상 부분의 일부가 커트되어 절곡된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부분에서 상기 기판의 단자와 접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의 형상이 동일 형상인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 및 기판의 신호용 단자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선로와, 컨택트 및 기판의 접지용 단자를 포함하는 접지 전송 선로에 있어서, 컨택트와 기판의 접지용 단자 및 신호용 단자와의 접촉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송 선로가 공진하는 파장을 변경할 수 있어서,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로부터 크게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그라운드 바의 상면도,
도 2b는 그라운드 바의 다른 부재와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삼면도(상면, 측면, 저면),
도 4a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삼면도(상면, 측면, 저면),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
도 7은 컨택트의 삼면도(상면, 측면, 측면),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a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 맞춰졌을 때의 도 3의 A-A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9b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 맞춰졌을 때의 도 3의 B-B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0은 전송 선로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의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컨택트의 삼면도(상면, 측면, 측면),
도 12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
도 13a는 실시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 맞춰졌을 때의 도 3의 A-A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3b는 실시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 맞춰졌을 때의 도 3의 B-B 단면도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4는 컨택트의 다른 예의 삼면도(상면, 측면, 측면).
실시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커넥터(1)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A)와, 리셉터클 커넥터(1B)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1A)는 일방향(x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2)의 일단에 접속된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1B)는 기판(3)에 실장되며, 기판(3)의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A)에는, -z측으로 돌출된 볼록부(10a)가 마련되어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B)에는, -z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0b)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A)의 볼록부(10a)가 리셉터클 커넥터(1B)의 오목부(10b)에 인입되는 것에 의해, 양자가 어긋나지 않게 끼워 맞춰진다. 리셉터클 커넥터(1B)의 x축 방향의 양단에는, 끼워 맞춘 플러그 커넥터(1A)를 로크하는 손잡이(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A)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바(13)가 마련되어 있다. 그라운드 바(13)는 도전성의 부재이며,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에 접촉하고 있다. 그라운드 바(13)는 플러그 커넥터(1A)의 쉘(12A)에 접촉하는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1A)의 일부의 컨택트(11A)에 접촉하고 있다. 일부의 컨택트(11A)는 플러그 커넥터(1A)에 동축 케이블(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컨택트(11A)에 해당한다.
플러그 커넥터(1A) 및 리셉터클 커넥터(1B)가 끼워 맞춰지면, 플러그 커넥터(1A)의 복수의 컨택트(11A)(도 9b 참조)와 리셉터클 커넥터(1B)의 복수의 컨택트(11B)(도 9b 참조)가 일대일로 접속된다. 나아가, 이 끼워 맞춤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A)의 도전성의 쉘(12A)(도 9b 참조)과 리셉터클 커넥터(1B)의 도전성의 쉘(12B)(도 9b 참조)이 접속된다.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리셉터클 커넥터(1B)의 컨택트(11B)→기판(3)의 신호용 단자(3A)(도 9a 참조)라는 신호 전송 선로가 형성된다. 나아가,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그라운드 바(13)→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 및 쉘(12A)→리셉터클 커넥터(1B)의 컨택트(11B) 및 쉘(12B)→기판(3)의 접지용 단자(3B)(도 9b 참조)라는 접지 전송 선로가 형성된다.
컨택트(11B)는, 기판(3) 상의 신호용 단자(3A)와 접속되는 제 1 컨택트(11Ba)(도 9a 참조)와, 컨택트(11B) 중 기판(3) 상의 접지용 단자(3B)와 접속되는 제 2 컨택트(11Bb)(도 9b 참조)로 나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컨택트(11Ba)와 제 2 컨택트(11Bb)는 동일 형상을 갖고, 그 양쪽이 기판(3) 상의 단자(접지용 단자(3B), 신호용 단자(3A))와 접속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동축 케이블(2)이 1조가 되어, 차동 신호가 전송된다. 이 동축 케이블(2)의 조를 동축 케이블(2a, 2b)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a, 2b)은 교대로 배열되며, 1조가 되어 일방향(x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a, 2b끼리의 사이에는, 배열된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을 제외하고, 그라운드 바(13)의 판상부(16)가 간극(S)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하, 커넥터(1)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 커넥터(1A)는,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A)과, 복수의 컨택트(11A)와, 쉘(12A)과, 그라운드 바(13)를 구비한다.
하우징(10A)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외면이 쉘(12A)에 둘러싸여 있으며, 절연성의 부재(예컨대 수지제)로 구성된 하우징이다. 하우징(10A)은 x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일렬로 배열된 모든 동축 케이블(2)과 접속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하우징(10A)은, 도 3의 A-A 단면인 도 4a 및 도 3의 B-B 단면인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컨택트(11A) 및 그라운드 바(13)를 수용한다. 또한, 하우징(10A)에 볼록부(10a)가 마련되어 있다.
컨택트(11A)는, 예컨대 금속제의 도전성의 부재이다. 컨택트(11A)는, 동축 케이블(2)의 배열에 맞춰서, 하우징(10A) 내에서 x축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컨택트(11A) 중 일부의 컨택트(11A)는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에 접속된다. 또한, 나머지의 일부, 즉,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에 접속된 컨택트(11A)를 제외한 컨택트(11A)는 그라운드 바(13)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이 플러그 커넥터(1A)에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컨택트(11A)는,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에 접속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2)이 플러그 커넥터(1A)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위치(N)에 대응하여 마련된 컨택트(11A)는, 그라운드 바(13)에 접촉한다(상세하게는, 판상부(16)에 접촉함). 이들 컨택트(11A)는, 플러그 커넥터(1A)와 리셉터클 커넥터(1B)가 끼워 맞춰지면, 리셉터클 커넥터(1B)의 도전성의 컨택트(11B)와 일대일로 접촉한다.
쉘(12A)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컨택트(11A)와 절연된 상태에서, 하우징(10A)을 덮도록 배설되어 있다. 쉘(12A)은 끼워 맞춘 리셉터클 커넥터(1B)의 쉘(12B)과 접속하는 도전성의 부재이다.
그라운드 바(13)는 도전성의 부재이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바(13)는, 복수의 컨택트(11A) 중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에 접속된 컨택트(11A)를 제외한 컨택트(11A)를,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와 쉘(12A)에 접촉시킨다.
도 4b,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바(13)는 도체측 접속부(15)와 복수의 판상부(16)를 구비한다.
도체측 접속부(15)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며, 배열된 모든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의 주위를 둘러싸고 이것을 파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체측 접속부(15)는, 도 2b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와 접속되는 동시에 쉘(12A)과 접속된다.
복수의 판상부(16)의 일단(+y단)은 도체측 접속부(15)와 접속되어 있다. 각 판상부(16)의 타단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를 피하여 그 내부 도체(21)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실제로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상부(16)는 -z측으로 절곡되고 -y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상부(16)끼리의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으며, 판상부(16)에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판상부(16)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측으로 내려간 부분에서, 예컨대 납땜에 의해 컨택트(11A)와 접속된다. 또한, 도체측 접속부(15)는 쉘(12A)과는 납땜에 의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B)는, 도 5의 삼면도 및 도 5의 C-C 단면도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B)과 복수의 컨택트(11B)와 쉘(12B)을 구비한다.
하우징(10B)은, 절연성의 부재(예컨대 수지제)로 구성된 가늘고 긴 직사각 형 판 형상의 하우징이다. 하우징(10B)은 x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플러그 커넥터(1A)의 하우징(10A)과 끼워 맞춤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하우징(10B)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컨택트(11B)가 수용된다. 이 하우징(10B)에 오목부(10b)가 형성되며, 오목부(10b) 내에 컨택트(11B)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컨택트(11B)(제 1 컨택트(11Ba), 제 2 컨택트(11Bb))는, 예컨대, 금속제의 도전성의 부재이다. 컨택트(11B)는, 컨택트(11A)의 배열에 맞춰서, 하우징(10B) 내에서 x축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택트(11B)는 컨택트 접촉부(31A)와 계지부(31B)와 제 1 기판 접촉부(31C)와 제 2 기판 접촉부(31D)를 구비한다.
컨택트 접촉부(31A)는 끼워 맞춘 상대 커넥터(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계지부(31B)는 하우징(10B)에 계지된다. 이에 의해, 컨택트(11B)가 하우징(10B)에 고정된다.
제 1 기판 접촉부(31C)는 외측으로 연장된 자유단이며, 기판(3) 상의 단자(접지용 단자(3B) 또는 신호용 단자(3A))에 접촉한다. 제 2 기판 접촉부(31D)는 컨택트 접촉부(31A)(계지부(31B))와 제 1 기판 접촉부(31C) 사이에 마련되며, 기판(3) 상의 단자(접지용 단자(3B) 또는 신호용 단자(3A))에 추가로 접촉한다. 제 2 기판 접촉부(31D)는, 컨택트 접촉부(31A)와 제 1 기판 접촉부(31C) 사이를 연장하는 띠 형상 부분이 절곡된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부분에서 기판의 단자와 접속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택트(11B)에 있어서, 제 1 컨택트(11Ba)와 제 2 컨택트(11Bb)는 모두 동일한 형상이며, 양쪽 모두 기판(3) 상의 신호용 단자(3A), 접지용 단자(3B)와 접속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컨택트(11Ba)와 제 2 컨택트(11Bb) 중 적어도 한쪽이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기판(3) 상의 신호용 단자(3A), 접지용 단자(3B)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들 컨택트(11B)는, 플러그 커넥터(1A)와 리셉터클 커넥터(1B)가 끼워 맞춰지면, 플러그 커넥터(1A)의 도전성의 컨택트(11A)와 일대일로 접속한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에 접속된 컨택트(11A)는, 그 컨택트(11A)에 대응하여 마련된 컨택트(11B)를 거쳐서,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3)의 신호용 단자(3A)에 접속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컨택트(11A)는, 그 컨택트(11A)에 대응하여 마련된 컨택트(11B)를 거쳐서,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3)의 접지용 단자(3B)에 접속된다.
쉘(12B)은, 복수의 컨택트(11B)와 절연한 상태에서 하우징(10B)에 배치되며, 끼워 맞춘 플러그 커넥터(1A)의 쉘(12A)과 접속하는 도전성의 부재이다. 쉘(12B)은 기판(3)의 접지용 단자(3B)와 접속되어, 접지되어 있다.
다음에, 커넥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1)에서는, 전송 선로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의 조정이 실행된다. 여기에서는,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 예컨대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와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가 어긋나도록 조정이 실행된다. 이 조정에서는, 예컨대, 제 2 컨택트(11Bb)와 접지용 단자(3B)를 납땜하는 것에 의해,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어긋나게 한다.
예컨대,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가 F1[㎓]을 기본 주파수로 하는 경우에 대해 생각한다. 제 1 기판 접속부(31C)만으로 접지용 단자(3B)와 접속되어 있을 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가 F1[㎓] 근방(크로스토크의 강도: G1[dB])인 경우에는,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전송 선로가 공진하여 크로스토크가 증대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컨택트(11Bb)에 있어서, 제 2 기판 접촉부(31D)를 접지용 단자(3B)에 추가로 납땜한다(제 1 기판 접촉부(31C)에 부가하여, 제 2 기판 접촉부(31D)를 접지용 단자(3B)에 납땜함).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송 선로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를 F1[㎓]으로부터 예컨대 F2[㎓]로 어긋나게 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토크에 의한 전송 선로의 기본 주파수 F1[㎓]에 있어서의 공진이 저감되어, 기본 주파수 F1[㎓]에의 영향을 강도 G1[dB]보다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가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에 대해 어긋난 리셉터클 커넥터(1B)는 기판(3)에 실장되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A)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2)과 접속된다.
플러그 커넥터(1A)와 리셉터클 커넥터(1B)가 끼워 맞춰지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와 리셉터클 커넥터(1B)의 컨택트(11B)가 일대일로 접속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A)의 도전성의 쉘(12A)과 리셉터클 커넥터(1B)의 도전성의 쉘(12B)이 접속된다.
이에 의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리셉터클 커넥터(1B)의 컨택트(11B)→기판(3)의 신호용 단자(3A)라는 신호 전송 선로가 형성된다. 나아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그라운드 바(13)→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 및 쉘(12A)→리셉터클 커넥터(1B)의 컨택트(11B) 및 쉘(12B)→기판(3)의 접지용 단자(3B)라는 접지 전송 선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동축 케이블 쌍(2a, 2b)에 대하여,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에 접속되는 컨택트(11B)(제 1 컨택트(11Ba))에서는, 제 1 기판 접촉부(31C)와 접지용 단자(3A)가 납땜되는 한편, 제 2 기판 접촉부(31D)와 접지용 단자(3A)는 접촉하지 않으며, 납땜되지 않는다. 또한,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에 접속되는 컨택트(11B)(제 2 컨택트(11Bb))에서는, 제 1 기판 접촉부(31C)와 접지용 단자(3B)가 납땜되는 동시에, 제 2 기판 접촉부(31D)와 접지용 단자(3B)가 납땜된다. 이 때문에, 모든 동축 케이블 쌍(2a, 2b)에 대해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커넥터(1)에서는, 제 2 컨택트(11Bb)와 접지용 단자(3B)의 접촉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고 있다.
무엇보다,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에 접속되는 컨택트(11B)(제 2 컨택트(11Bb))에 있어서, 제 1 기판 접촉부(31C)와 접지용 단자(3B)가 납땜되는 동시에 제 2 기판 접촉부(31D)와 접지용 단자(3B)의 납땜도 실행하면, 오히려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와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가 일치하여, 크로스토크의 강도가 커지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에 접속되는 컨택트(11B)(제 1 컨택트(11Ba))에 있어서, 제 1 기판 접촉부(31C)와 신호용 단자(3A)와의 납땜에 부가하여, 제 2 기판 접촉부(31D)와 신호용 단자(3A)를 납땜하도록 하여, 크로스토크의 강도를 작게 하면 좋다.
동축 케이블(2)(2a, 2b)로부터 커넥터(1)를 거쳐서 전송되는 신호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상태에서, 기판(3)으로 이송된다. 기판(3)에서는, 동축 케이블(2a)의 신호 레벨과 동축 케이블(2b)의 신호 레벨의 차분이 실행되어, 최종적인 신호 레벨이 검출된다. 전송되는 신호에서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노이즈에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정확한 신호 전달이 가능해진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컨택트(11B)(제 1 컨택트(11Ba)) 및 기판(3)의 신호용 단자(3A)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선로와, 컨택트(11B)(제 2 컨택트(11Bb)) 및 기판(3)의 접지용 단자(3B)를 포함하는 접지 전송 선로에 있어서, 컨택트(11B)와 신호용 단자(3A) 및 접지용 단자(3B)와의 접촉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로부터 크게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즉, 컨택트(11B)가 신호용 단자(3A) 또는 접지용 단자(3B)와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하면, 접지 전송 선로가 공진하는 파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는 앞으로 점점 높아질 것이 예상된다.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크로스토크의 영향은 커져서,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시프트시키는 것의 중요성이 커진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도 13 참조)는 리셉터클 커넥터(1B) 대신에 리셉터클 커넥터(1B')를 구비하는 점이 상기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리셉터클 커넥터(1B')는 컨택트(11B) 대신에 컨택트(11B')를 구비한다.
컨택트(11B')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 접촉부(31D) 대신에 제 2 기판 접촉부(31D')를 구비한다. 제 2 기판 접촉부(31D')는, 컨택트 접촉부(31A)와 제 1 기판 접촉부(31C) 사이를 연장하는 띠 형상 부분의 일부로 구성되는 제 2 기판 접촉부(31D)와 동일하지만, 컨택트(11B')에서는, 띠 형상 부분의 일부가 커트되고 절곡된 부분을 구성하며, 그 부분에서 기판(3)의 단자(신호용 단자(3A), 접지용 단자(3B))와 접속한다.
플러그 커넥터(1A)와 리셉터클 커넥터(1B')가 끼워 맞춰지면,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와 리셉터클 커넥터(1B')의 컨택트(11B')가 일대일로 접속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A)의 도전성의 쉘(12A)과 리셉터클 커넥터(1B')의 도전성의 쉘(12B)이 접속된다.
이에 의해,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의 내부 도체(21)→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리셉터클 커넥터(1B')의 컨택트(11B')(제 1 컨택트(11Ba))→기판(3)의 신호용 단자(3A)라는 신호 전송 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그라운드 바(13)→플러그 커넥터(1A)의 컨택트(11A) 및 쉘(12A)→리셉터클 커넥터(1B')의 컨택트(11B')(제 2 컨택트(11Bb)) 및 쉘(12B)→기판(3)의 접지용 단자(3B)라는 접지 전송 선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2)에 접속되는 컨택트(11B')(제 2 컨택트(11Bb))에 있어서, 제 1 기판 접촉부(31C)와 제 2 기판 접촉부(31D')의 양쪽에 접지용 단자(3B)가 납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송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B, 1B')에서는, 컨택트(11B') 대신에, 도 14에 도시하는 컨택트(11B")를 이용해도 좋다. 컨택트(11B")에 있어서 제 2 기판 접촉부(31D")는, 띠 형상 부분의 중앙이 커트된 것이 아니라 측단부가 커트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컨택트(11B, 11B')의 전체가 기판 상의 단자(신호용 단자(3A), 접지용 단자(3B))와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컨택트(11B, 11B') 중 제 1 컨택트(11Ba)와 제 2 컨택트(11Bb)의 적어도 한쪽이 기판(3) 상의 단자(신호용 단자(3A), 접지용 단자(3B))와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즉, 제 1 컨택트(11Ba)와 제 2 컨택트(11Bb)의 적어도 한쪽이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기판(3) 상의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복수의 제 1 컨택트(11Ba) 중 몇 개가 제 2 기판 접속부(31D, 31D', 31D")를 구비하고, 복수의 제 1 컨택트(11Ba) 중 나머지가 제 2 기판 접속부(31D, 31D', 31D")를 구비하지 않는(컨택트 접촉부(31A), 계지부(31B) 및 제 1 기판 접촉부(31C)를 구비함) 것으로 해도 좋다. 복수의 제 2 컨택트(11Bb)에 대해서도, 그들 중 몇 개가 제 2 기판 접속부(31D, 31D', 31D")를 구비하고, 나머지가 제 2 기판 접속부(31D, 31D', 31D")를 구비하지 않는(컨택트 접촉부(31A), 계지부(31B) 및 제 1 기판 접촉부(31C)를 구비함)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컨택트(11B)와 기판(3)의 단자(신호용 단자(3A), 접지용 단자(3B))와의 접촉 위치의 수를 2개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 위치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동축 케이블(2)(2a, 2b)로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커넥터(1, 1')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1개의 동축 케이블(2)로 전송되는 차동이 아닌 신호를 전송하는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동축 케이블(2)로부터 기판(3)의 단자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판(3)의 단자로부터 동축 케이블(2)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과 기판 상의 회로를 접속하여 고주파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1, 1': 커넥터, 1A: 플러그 커넥터, 1B, 1B': 리셉터클 커넥터, 2, 2a, 2b: 동축 케이블, 3: 기판, 3A: 신호용 단자, 3B: 접지용 단자, 4: 손잡이, 10A, 10B: 하우징, 10a: 볼록부, 10b: 오목부, 11A, 11B, 11B', 11B": 컨택트, 11Ba: 제 1 컨택트, 11Bb: 제 2 컨택트, 12A, 12B: 쉘, 13: 그라운드 바, 15: 도체측 접속부, 16: 판상부, 21: 내부 도체, 22: 외부 도체, 31A: 컨택트 접촉부, 31B: 계지부, 31C: 제 1 기판 접촉부, 31D, 31D', 31D": 제 2 기판 접촉부

Claims (6)

  1. 기판 상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과 끼워 맞추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열되며, 상기 기판 상의 단자에 접속되는 동시에, 끼워 맞춘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의 상대 컨택트와 접속하는 도전성의 복수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 중 상기 기판 상의 신호용 단자와 접속되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컨택트 중 상기 기판 상의 접지용 단자와 접속되는 제 2 컨택트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기판 상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 중 적어도 한쪽이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기판 상의 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 중 적어도 한쪽이,
    끼워 맞춘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기 상대 컨택트와 접속하는 컨택트 접촉부와,
    외측으로 연장된 자유단이며, 상기 기판 상의 단자에 접촉하는 제 1 기판 접촉부와,
    상기 컨택트 접촉부와 상기 제 1 기판 접촉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기판 상의 단자에 추가로 접촉하는 제 2 기판 접촉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접촉부와 상기 제 1 기판 접촉부 사이를 연장하는 띠 형상 부분이 절곡된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부분에서 상기 기판의 단자와 접촉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접촉부와 상기 제 1 기판 접촉부 사이를 연장하는 띠 형상 부분의 일부가 커트되고 절곡된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부분에서 상기 기판의 단자와 접촉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의 형상이 동일 형상인
    커넥터.
KR1020170149383A 2016-11-14 2017-11-10 커넥터 KR20180054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1148 2016-11-14
JP2016221148A JP6465095B2 (ja) 2016-11-14 2016-11-14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468A true KR20180054468A (ko) 2018-05-24

Family

ID=6032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383A KR20180054468A (ko) 2016-11-14 2017-11-10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24651B2 (ko)
EP (1) EP3322039A1 (ko)
JP (1) JP6465095B2 (ko)
KR (1) KR20180054468A (ko)
CN (1) CN108075263B (ko)
TW (1) TW201818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534U (ko) * 2021-04-14 2022-10-2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8798B2 (ja) * 2018-06-05 2020-03-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181504B2 (ja) * 2018-12-28 2022-12-01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59998B2 (ja) * 2018-12-28 2021-04-1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09659772B (zh) * 2019-01-14 2020-10-02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通道信号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9024A (en) * 1992-03-24 1996-11-30 Molex Inc Impedance and inductance control in electrical connectors
US5496180A (en) * 1994-04-06 1996-03-05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card edge connector
JP3403112B2 (ja) * 1999-02-24 2003-05-06 ケル株式会社 サーフェスマウントコネクタ
JP3520277B2 (ja) * 2001-11-05 2004-04-19 北川工業株式会社 導電部材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JP4542579B2 (ja) * 2007-11-05 2010-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519463A (ja) 2008-02-26 2011-07-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インピーダンス制御電気コネクタ
JP2010157367A (ja) 2008-12-26 2010-07-15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CN101853995B (zh) * 2009-04-02 2012-05-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JP2014011048A (ja) * 2012-06-29 2014-01-20 Fujitsu Component Ltd コンタクト部材
JP5907207B2 (ja) * 2014-04-28 2016-04-2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2064260B1 (ko) * 2014-12-30 2020-01-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534U (ko) * 2021-04-14 2022-10-2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24651B2 (en) 2019-03-05
EP3322039A1 (en) 2018-05-16
CN108075263B (zh) 2020-04-14
US20180138606A1 (en) 2018-05-17
JP6465095B2 (ja) 2019-02-06
TW201818620A (zh) 2018-05-16
CN108075263A (zh) 2018-05-25
JP2018081743A (ja)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468A (ko) 커넥터
KR102522299B1 (ko) 전기 커넥터 세트
US876446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
JP6703900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113924700B (zh) 阴型多极连接器以及具备该阴型多极连接器的多极连接器组
US11289854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1199069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et including a terminal abutting a side wall member
US20100221933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JP5640912B2 (ja) コンタクト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プリント回路板用コネクタ
US20100184330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7494378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CN113169483A (zh) 多极连接器组
US11374362B2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9217521A1 (en) Coaxial connector system
JP7247814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JP2018078040A (ja) コネクタ
JP2019009038A (ja) ダミー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調整方法
JP2012142220A (ja) アンテナ用コネクタ
KR20210077534A (ko) 초고주파 신호 전송용 소형 커넥터
KR20220152835A (ko) Rf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연결 방법
JP2019175566A (ja) 電気コネクタ
TWM581776U (zh) 板連接器組合及其連接器
JP2019096502A (ja) 信号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