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506A - 가습기 및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기 및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506A
KR20180052506A KR1020170066410A KR20170066410A KR20180052506A KR 20180052506 A KR20180052506 A KR 20180052506A KR 1020170066410 A KR1020170066410 A KR 1020170066410A KR 20170066410 A KR20170066410 A KR 20170066410A KR 20180052506 A KR20180052506 A KR 20180052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guide plate
air passage
ai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189B1 (ko
Inventor
이사무 사사키
가즈시게 다카히라
Original Assignee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858Environment aspects, e.g. pressure of beam-path gas,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과제]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5)는, 상부를 향해서 개방된, 물을 저류하는 저류조(51)와, 저류조(51)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52)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방향(D1)에서, 저류조(51)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중 적어도 일방에서 저류조(51)의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판(53)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판(53)은, 그 상부가 그 하부 보다도 제1 방향(D1)에서의 저류조(51)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가습기(5)는, 공기 조화 장치의 공기 통유로에서의 수평 유로부에 마련된다. 수평 유로부에는 하류측 개구가 마련되고, 하류측 개구에는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장착된다. 그리고 가습기(5)는, 수평면 상에서 제1 방향(D1)에 직교하는 제2 방향(D2)이, 수평 유로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53)의 일부가 공기 통과 구멍과 겹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가습기 및 공기 조화 장치{HUMIDIFIER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가습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시의 패턴 형성 공정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포토리소그래피에서는, 먼저, 기판에 감광성(感光性)의 레지스트(resist)가 도포된 후, 소망의 패턴에 따른 광이 레지스트에 노광되고, 다음으로, 예를 들면 레지스트가 광경화형의 감광 재료인 경우에는, 레지스트에서의 광이 노광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용제(溶劑) 등에 의해 제거된다. 이것에 의해, 레지스트에 소망의 패턴을 형성(현상(現像))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레지스트는, 온도 및 습도에 따라서, 도포시 및 노광시의 막 두께가 변화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레지스트의 주변 환경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가 소망의 온도 및 습도와 크게 다른 상황하에서는, 형성되는 패턴의 치수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포토리소그래피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주변 환경은, 통상,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서, 그 온도 및 습도를 정밀하게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밀한 온조(溫調, 온도 조절) 및 습조(濕調, 습도 조절)를 실시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의 분야에서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가습기의 팬(pan)에 저류(貯留)된 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팬 내에 메쉬 모양의 부재를 수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팬에 저류된 물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습도 제어의 정밀도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7-335544호 공보
그런데, 정밀한 온조 및 습조를 실시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일례로서, 공기를 통류시키는 공기 통유로와, 당해 공기 통유로 내에 수용된 냉각기, 가열기 및 가습기를 구비하며, 공기 통유로 내에서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의 플레이트를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장착하여, 공기 통유로 내의 공기를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을 통과시켜 하류측으로 통류시키는 구성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 채용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습도 스파이크(spike)가 생기기 쉬워지는 것을 본 건 발명자는 지견(知見)했다. 또, 습도 스파이크란, 공기의 습도가 순간적으로 목표치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현상인 것이다. 그리고 본 건 발명자는, 예의(銳意) 연구의 결과, 이러한 습도 스파이크의 발생의 주된 원인이, 가습기로부터의 증기가 상술의 플레이트의 통과 구멍 주위의 벽면에서 결로하여, 벽면에 생긴 물이 공기에 혼입하여 하류측으로 흐르는 것에 있다는 지견(知見)을 얻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가습기 및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를 향해서 개방된, 물을 저류하는 저류조(貯留措)와, 상기 저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중 적어도 일방에서 상기 저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부가 그 하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에 의하면, 수평면 상에서 제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저류조의 상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저류조로부터의 증기를 혼입시킬 수 있고, 이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가이드판에 의해서 저류조의 중앙측으로 가이드하면서 저류조의 외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평면 상에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저류조의 외측의 소망의 영역에,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모을 수 있다. 한편으로,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광범위하게 확산하여 원하지 않는 영역에서 결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는,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장착되고, 또한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통유로가, 상기 하류측 개구가 마련되고 또한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 유로부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의 상기 수평 유로부에 마련되는 가습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는,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이, 상기 수평 유로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과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의 그 단부가 타방측의 그 단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하는 경사변부(傾斜邊部)를 가지며, 상기 경사변부는,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경사변부의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경사변부를 따라서 저류조의 중앙측으로 가이드하면서 저류조의 외측의 소망의 영역을 향해서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류조에서의 제2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걸쳐 존재하는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저류조의 외측의 소망의 영역에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광범위하게 확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원하지 않은 증기의 결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을 향하는 타방측 변부(邊部)를 가지며, 상기 타방측 변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타방측 변부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류조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에서,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변부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벽부와 겹쳐지거나 또는 상기 벽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저류조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에서, 상기 타방측 변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타방측 변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돌기부에 의해서, 저류조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판의 하면에서 증기가 결로하여 생긴 물을 돌기부의 하단으로부터 저류조로 되돌릴 수 있다. 또, 돌기부에 의해서 가이드판의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생길 수 있는 가이드판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방향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가이드판과, 이것이 위치하는 측의 저류조의 벽부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플로트(float) 스위치 등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간극을 유효하게 이용하면서도, 공기를 공급하는 상술의 저류조의 중앙 외측의 소망의 영역으로부터 떨어져서 간극이 위치하기 때문에, 저류조의 증기가 원하지 않은 영역에서 결로했다고 해도, 물이 소망의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습기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양쪽 모두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직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가이드판이 하나인 경우 보다도,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공기를 통류시키는 공기 통유로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장착되고, 또한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공기 통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통유로는, 상기 하류측 개구가 마련되고 또한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 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 유로부에, 상기 가습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습기는, 상부를 향해서 상기 수평 유로부의 내부로 개방된, 물을 저류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중 적어도 일방에서 상기 저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부가 그 하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판을 가지며,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이, 상기 수평 유로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가습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이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면, 공기 통유로의 수평 유로부 내에서 수평면 상에서 제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저류조의 상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저류조로부터의 증기를 혼입시킬 수 있고, 이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가이드판에 의해서 저류조의 중앙측으로 가이드하면서 저류조의 외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평면 상에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의 연장선 상에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이 위치하도록 가습기를 셋팅하는 상태에서,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에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모을 수 있다. 한편으로,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광범위하게 확산하여 원하지 않은 영역,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 주위의 영역에서 결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의 그 단부가 타방측의 그 단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하는 경사변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변부는,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가습기에 대해서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경사변부를 따라서 저류조의 중앙측으로 가이드하면서 저류조의 외측의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을 향해서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류조에서의 제2 방향의 일방측의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걸쳐 존재하는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에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광범위하게 확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원하지 않은 증기의 결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을 향하는 타방측 변부를 가지며, 상기 타방측 변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타방측 변부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류조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변부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벽부와 겹쳐지거나 또는 상기 벽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저류조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타방측 변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타방측 변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돌기부에 의해서, 저류조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판의 하면에서 증기가 결로하여 생긴 물을 돌기부의 하단으로부터 저류조로 되돌릴 수 있다. 또, 돌기부에 의해서 가이드판의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서 생길 수 있는 가이드판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경사진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저류조로부터의 증기의 일부를, 물의 상태로 하여 흡습 부재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어,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의 주위에서 증기가 결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저류조에서의 플레이트측의 영역으로부터의 증기는, 공기에 혼입하여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의 주위에 부착하여 결로하기 쉬워질 수 있지만, 흡습 부재가 저류조의 플레이트측에 위치함으로써, 결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저류조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된 경우라도, 흡습 부재에 의해서 물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으로써, 타방측 변부로부터 외측으로 누설 증기가 결로하고, 결로한 물이 공기에 혼입하여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의 습도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방향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가이드판과, 이것이 위치하는 측의 저류조의 벽부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플로트(float) 스위치 등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간극을 유효하게 이용하면서도, 공기를 공급하는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으로부터 떨어져서 간극이 위치하도록 가습기를 배치함으로써, 저류조의 증기가 원하지 않은 영역에서 결로했다고 해도, 물이 공기 통과 구멍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과 겹쳐져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가이드판에 의해서 가이드된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의 주위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의 연장선이,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가이드판에 의해서 가이드된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공급할 수 있음으로써, 당해 공기가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의 주위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은, 원형이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과 겹쳐져 있고,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단부점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중심측으로 상기 제1 방향에서 돌출하는 거리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직경에 대해서 5/36~10/36이라도 괜찮다.
본 건 발명자의 예의(銳意) 연구에 의하면, 제1 방향에서의 공기 통과 구멍의 단부점으로부터 가이드판이 제1 방향에서 돌출하는 거리가, 공기 통과 구멍의 직경에 대해서 5/36~10/36인 경우에,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플레이트의 공기 통과 구멍의 주위로 퍼지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찾아내어졌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양쪽 모두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직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가이드판이 하나인 경우 보다도,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 장치의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조화 장치의 공기 통유로에 마련된 가습기의 주변을, 수평 방향과 평행한 도 1의 화살표 III의 방향을 따라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가습기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가습기를 도 3의 화살표 V의 방향을 따라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의 가습기의 상부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의 가습기의 상부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의 가습기의 상부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는,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2)와, 공기 통유로(2)에 마련된 냉각기(3), 가열기(4) 및 가습기(5)와, 공기 통유로(2)에서 공기를 통류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송풍기(6)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통유로(2)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세로 유로부(21)와, 세로 유로부(21)의 상부에 연통하고 당해 상부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 유로부(22)를 가지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서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고 하고, 수평 방향을 따라서 제1 방향(D1)과 직교하고 또한 수평 유로부(22)가 연장되는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고 한다.
세로 유로부(21)는, 그 하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서 개구되는 상류측 개구(21A)가 마련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개구(21A)가, 세로 유로부(21)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의 일방측(도 1의 우측 방향)으로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상류측 개구(21A)는, 세로 유로부(21)의 내부에 공기를 넣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개구(21A)의 외측에 마련된 필터 장치(23)가, 상류측 개구(21A)를 덮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필터 장치(23)를 통과하여 파티클(particle)이 제거된 공기가, 상류측 개구(21A)로부터 세로 유로부(21)의 내부에 넣어지게 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 방향(D2)의 일방측이라고 하는 경우의 방향은, 도 1에서의 우측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D2)의 타방측이라고 하는 경우의 방향은, 도 1에서의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수평 유로부(22)는, 세로 유로부(21)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즉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단부에, 하류측 개구(22A)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공기 통유로(2)에서의 수평 유로부(22)의 하류측 개구(22A)의 주변의 제2 방향(D2)을 따르는 면에서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류측 개구(22A)에, 공기 통과 구멍(24A)이 형성된 플레이트(24)가 장착되어 있다. 플레이트(24)는, 공기 통과 구멍(24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하류측 개구(22A)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고, 공기 통과 구멍(24A)은, 하류측 개구(22A) 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개구(21A)로부터 공기 통유로(2)의 내부에 넣어진 공기가,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으로부터 공기 통유로(2)의 외부로 보내어지게 된다.
플레이트(24)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판재(板材)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24)가 수평 유로부(22)에 대해서 나사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지만, 플레이트(24)는, 용접 등에 의해 수평 유로부(22)에 일체화되어도 괜찮고, 플레이트(24)와 수평 유로부(22)가 하나의 재료로 형성된 일체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공기 통과 구멍(24A)은, 원형의 구멍이지만(도 3 참조), 공기 통과 구멍(24A)의 형상은, 직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기(6)는, 제2 방향(D2)에서, 플레이트(2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덕트(25)를 매개로 하여 공기 통과 구멍(24A)에 연통되어 있다. 송풍기(6)가, 도시를 생략한 팬(fan)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그 내부에 넣고, 상부를 향해서 개구되는 토출구(25A)로부터 토출시킨다. 송풍기(6)가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넣음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상류측 개구(21A)로부터 공기 통유로(2)의 내부에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공기 통유로(2)에서 공기가 통류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기(3)가 세로 유로부(21)의 하부 내에 마련되고, 가열기(4)가, 세로 유로부(21)의 상부 내에 마련되어 있다. 냉각기(3)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가 열(熱) 매체를 순환시키도록 당해 순서로 배관에 의해 접속된 냉각 회로에서의 증발기라도 좋다. 또, 가열기(4)는, 전기 히터 등이라도 좋고, 상술의 냉각 회로에서 고온이 된 열 매체의 일부를 이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냉각기(3)는, 가변의 냉동 능력으로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냉각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가열기(4)는, 가변의 가열 능력으로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습기(5)는, 수평 유로부(22)에 마련되고, 공기 통유로(2) 내에 증기를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습기)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가습기(5)에 대해 상술한다. 도 3은, 공기 통유로(2)에 마련된 가습기(5)의 주변을, 수평 방향과 평행한 도 1의 화살표 III의 방향을 따라서 본 도면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통유로(2)의 내부로부터 제2 방향(D2)의 타방측을 향하여 가습기(5)의 주변을 본 도면이다. 도 4는, 가습기(5)의 상면도이며, 도 4에는, 설명의 편의상, 상술의 수평 유로부(22) 및 덕트(25)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5는, 가습기(5)를 도 3의 화살표 V의 방향을 따라서 본 도면이며, 도 5에는, 설명의 편의상, 상술의 수평 유로부(22) 및 덕트(25)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6은, 도 5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가습기(5)는, 상부를 향해서 수평 유로부(22)의 내부에 개방된, 물을 저류하는 저류조(51)와, 저류조(51)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52)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방향(D1)에서, 저류조(51)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의 각각에서 저류조(51)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부가 그 하부 보다도 제1 방향(D1)에서의 저류조(51)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53)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가습기(5)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판(53)이 제1 방향(D1)에서 마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가이드판(53)이 마주 향하는 방향과 수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이, 제2 방향(D2)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가이드판(53)이 마주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수평 유로부(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방향(D1)의 일방측이라고 하는 경우의 방향은, 도 3에서의 좌측 방향을 의미하고, 제1 방향(D1)의 타방측이라고 하는 경우의 방향은, 도 3의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2 방향(D2)의 일방측이라고 하는 경우의 방향은, 도 4에서의 아래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D2)의 타방측이라고 하는 경우의 방향은, 도 4에서의 윗 방향을 의미한다.
저류조(51)는, 저벽(51A)과, 저벽(51A)의 외주 가장자리의 전역(全域)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는 주벽(周壁)(51B)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저벽(51A) 및 주벽(51B)은 스테인리스 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에서 볼 때 저류조(51)의 형상은, 제1 방향(D1)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는 장방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주벽(51B)은, 장방형 모양의 한 쌍의 단변에 대응하는 제1 방향(D1)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벽부와, 장방형 모양의 한 쌍의 장변에 대응하는 제2 방향(D2)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지고 있다. 또 저류조(51)와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저류조(51)의 상부에 공기 통과 구멍(24A)이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류조(51)가, 수평 유로부(22)의 하벽을 관통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벽(51B)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1C)가 마련되고, 저류조(51)는, 플랜지(51C)를 수평 유로부(22)의 하벽(下壁)에 형성된 개구의 외주 가장자리에 걸려, 수평 유로부(22) 하벽에 유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류조(51)의 일부가 수평 유로부(22)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지만, 가습기(5) 전체가 수평 유로부(22)의 내부에 수용되어도 괜찮다. 또 히터(5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류조(5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저류조(5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가습기(5)에서는, 히터(52)의 가열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류조(51)에 저류된 물로부터 생기는 증기의 양을 조절하고, 이것에 의해 공기 통유로(2)를 통류하는 공기의 습도를 원하는 습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판(53)은 각각, 스테인리스 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를 생략하는 저류조(51)의 저벽(51A)으로부터 세워진 지지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판(53)이, 제1 방향(D1)에서의 저류조(51)의 중앙을 통과하고 또한 제2 방향(D2)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직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가이드판(53)의 상부는, 제1 방향(D1)에서 서로 떨어져 있고, 한 쌍의 가이드판(53)의 상부의 사이부터 저류조(51)가 상부를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판(53)이,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만곡(灣曲)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판(53)은 각각, 상면에서 보아, 제2 방향(D2)의 일방측의 그 단부가 타방측의 그 단부 보다도, 제1 방향(D1)에서의 저류조(51)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하는 경사변부(54)와, 제2 방향(D2)의 타방측을 향하는 타방측 변부(55)와, 상하 방향에서 저류조(51) 측에 위치하여 제2 방향(D2)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측변부(56)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경사변부(54)와 타방측 변부(55)와 하측변부(56)는, 상면에서 보아 삼각형 모양을 이루도록 서로 이어져 있다.
상술한 플레이트(24) 및 송풍기(6)는, 가습기(5)에 대해서 제2 방향(D2)의 타방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타방측 변부(55)는, 플레이트(24) 및 송풍기(6)측을 향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경사변부(54)는, 타방측 변부(55)의 제1 방향(D1)에서의 저류조(51)의 중앙측의 단부에 이어지고, 플레이트(24) 및 송풍기(6)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향(D1)을 따라서 본 경우에는, 경사변부(54)는, 플레이트(24) 및 송풍기(6)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타방측 변부(55)는, 제1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따라서, 타방측 변부(55)는,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저류조(51)의 벽부(51BB)와 평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측 변부(55)는, 상면에서 보아,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저류조(51)의 벽부(51BB)와 겹쳐져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방측 변부(55)가, 상면에서 보아,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저류조(51)의 벽부(51BB)와 겹치지만, 타방측 변부(55)는, 상면에서 보아, 벽부(51BB)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괜찮다.
또 타방측 변부(55)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로 돌출되고, 또한 타방측 변부(55)를 따라서 연장되는 돌기부(57)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57)와 가이드판(53)이 하나의 재료로 형성된 일체물로 되어 있지만, 돌기부(57)는, 가이드판(53)에 대해서 나사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어도 괜찮고, 가이드판(53)에 대해서 용접 등에 의해 장착되어도 괜찮다.
한편으로, 하측변부(56)는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향(D1)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측의 저류조(51)의 벽부와 떨어져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판(53)이, 상면에서 보아, 제1 방향(D1)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측의 저류조(51)의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S)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향(D1)의 타방측에 배치된 가이드판(53)과 저류조(51)의 벽부와의 사이의 간극(S)에, 도시를 생략하는 플로트 스위치가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 이러한 간극(S)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53)의 일부가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과 겹쳐져 있다. 또,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53)의 상부로부터 경사진 상부로의 연장선이, 공기 통과 구멍(24A)의 중심(C1)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53)의 상기 연장선은, 공기 통과 구멍(24A)의 중심(C1)을 통과하고 또한 제1 방향(D1)을 따르는 직선에 대해서 20°~3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건 발명자의 예의(銳意) 연구에서는, 이러한 각도 범위로 가이드판(53)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습도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지견(知見)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53)이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과 겹쳐지지만, 가이드판(53)은, 공기 통과 구멍(24A)과 겹치지 않아도 좋고, 가이드판(53)의 상부가 공기 통과 구멍(24A) 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괜찮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향(D1)에서의 공기 통과 구멍(24A)의 단부점으로부터, 가이드판(53)이 공기 통과 구멍(24A)의 중심측으로 제1 방향(D1)에서 돌출하는 거리 L은, 공기 통과 구멍(24A)의 직경에 대해서 5/36~10/36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거리가 6/36(1/6)으로 되어 있다. 본 건 발명자의 예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수 범위로 가이드판(53)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습도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지견되어 있다.
한편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가습기(5)는, 제2 방향(D2)의 타방측(플레이트(24)측)의 저류조(51)의 벽부(51BB)의 상부 또는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경사진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습 부재(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습 부재(60)는, 제1 방향(D1)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는 장방형 모양이며, 제1 방향(D1)에서 한 쌍의 가이드판(53)을 넘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습 부재(60)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습 부재(60)는, 제2 방향(D2), 즉 수평 유로부(22)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공기 통과 구멍(24A)의 일부를 덮고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공기 통과 구멍(24A)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서 공기 통과 구멍(24A)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의 1/3까지의 범위를 덮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습 부재(60)가 공기 통과 구멍(24A)의 일부와 플레이트(24)의 벽면에 걸치도록 하여, 이들 공기 통과 구멍(24A)의 일부와 플레이트(24)의 벽면을 덮지만, 흡습 부재(60)는, 공기 통과 구멍(24A)을 덮지 않아도 괜찮으며, 예를 들면, 공기 통과 구멍(24A)의 하단 보다도 하부의 플레이트(24)의 벽면만을 덮고 있어도 괜찮다. 또 흡습 부재(60)는, 공기 통과 구멍(24A)의 경사진 하부나 측부의 플레이트(24)의 벽면을 덮고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습 부재(60)가 스펀지이며, 도 6에 나타내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 모양의 지지 부재(61)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지지 부재(61)는, 흡습 부재(60)의 플레이트(24)측의 면(面)을 따라서 연장되어, 당해 면을 지지하고 있다. 지지 부재(61)는, 저류조(51)의 벽부(51BB)로부터 플레이트(24)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1C)에 장착되어,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흡습 부재(60)를 구성하는 스펀지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특히 폴리우레탄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흡습 부재(60)를 구성하는 스펀지는, 폴리우레탄 폼 중 연질 폴리우레탄 폼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의 폴리에테르계 연질 폴리우레탄 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흡습 부재(60)가 폴리 에테르계 연질 폴리우레탄 폼인 경우, 흡습 부재(60)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특히 반도체 제조의 용도에 유용하다. 또, 흡습 부재(60)는, 흡습성을 가지는 한, 스펀지와는 다른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천 등의 섬유나, 다공질 재료로 구성되어도 괜찮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송풍기(6)가, 팬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그 내부에 넣고, 상부를 향해서 개구되는 토출구(25A)로부터 토출시킨다. 송풍기(6)가 공기 통유로(2)의 내부의 공기를 넣음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공기 통유로(2)의 상류측 개구(21A)로부터 공기 통유로(2)의 내부에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공기 통유로(2)에서 공기가 통류한다. 공기 통유로(2) 내에 넣어진 공기는, 먼저, 냉각기(3)에 의해서 냉각되고, 다음으로, 가열기(4)에 의해서 가열되어, 소망의 온도로 조절된다. 그 후, 공기는, 가습기(5)의 상부를 통과하여, 그 습도가 조절된다.
도 7 내지 도 9는, 가습기(5)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가습기(5)는, 공기 통유로(2)의 수평 유로부(22) 내에서 수평면 상에서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저류조(51)의 상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저류조(51)로부터의 증기를 혼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도면의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가이드판(53)에 의해서 저류조(51)의 중앙측으로 가이드하면서 저류조(51)의 외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평면 상에서 제1 방향(D1)에 직교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53)의 연장선 상에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이 위치하도록 가습기(5)를 셋팅하는 상태에서,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에,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모을 수 있다. 한편으로,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광범위하게 확산하여 원하지 않은 영역,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의 주위의 영역에서 결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저류조(51)로부터의 증기의 일부를, 물의 상태로 하여 흡습 부재(60)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고,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의 주위에서 증기가 결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저류조(51)의 플레이트(24)측의 영역으로부터의 증기는, 공기와 혼합하여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의 주위에 부착하여 결로하기 쉬워질 수 있지만, 흡습 부재(60)가 저류조(51)의 플레이트(24)측에 위치함으로써, 결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의 습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판(53)이, 상면에서 보아, 제2 방향(D2)의 일방측의 그 단부가 타방측의 그 단부 보다도, 제1 방향(D1)에서의 저류조(51)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하는 경사변부(54)를 가지고 있으며, 플레이트(24)는, 가습기(5)에 대해서 제2 방향(D2)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경사변부(54)를 따라서 저류조(51)의 중앙측으로 가이드하면서 저류조(51)의 외측의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을 향해서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류조(51)에서의 제2 방향(D1)의 일방측의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걸쳐 존재하는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에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광범위하게 확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원하지 않은 증기의 결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이드판(53)은, 제2 방향(D2)의 타방측을 향하는 타방측 변부(55)를 가지며, 타방측 변부(55)는, 제1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타방측 변부(55)가 제1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류조(51)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55)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방측 변부(55)가, 상면에서 보아,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저류조(51)의 벽부(51BB)와 겹쳐지거나 또는 벽부(51BB)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저류조(51)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55)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타방측 변부(55)에는, 하부로 돌출되고, 또한 타방측 변부(55)를 따라서 연장되는 돌기부(57)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저류조(51)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55)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판(53)의 하면에서 증기가 결로하여 생긴 물을 돌기부(57)의 하단으로부터 저류조(51)로 되돌릴 수 있다. 또, 돌기부(57)에 의해서 가이드판(53)의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생길 수 있는 가이드판(53)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습기(5)는,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저류조(51)의 벽부(51BB)의 상부 또는 제2 방향(D2)의 타방측의 경사진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습 부재(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저류조(51)로부터의 증기가, 타방측 변부(55)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된 경우라도, 흡습 부재(60)에 의해서 물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으로써, 타방측 변부(55)로부터 외측으로 누설된 증기가 결로하고, 결로한 물이 공기에 혼입하여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의 습도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가이드판(53)은, 상면에서 보아, 제1 방향(D1)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측의 저류조(51)의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S)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가이드판(53)과, 이것이 위치하는 측의 저류조(51)의 벽부와의 사이의 간극(S)을 통하여, 플로트 스위치 등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간극을 유효하게 이용하면서도, 공기를 공급하는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으로부터 떨어져 간극이 위치하도록 가습기(5)를 배치함으로써, 저류조(51)의 증기가 원하지 않은 영역에서 결로했다고 해도, 물이 공기 통과 구멍(24A)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53)의 일부가 공기 통과 구멍(24A)과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가이드판(53)에 의해서 가이드된 증기가 혼입된 공기가,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의 주위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본 경우에, 가이드판(53)의 연장선이, 공기 통과 구멍(24A)의 중심(C1)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가이드판(53)에 의해서 가이드된 증기가 혼입된 공기를,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의 중심을 향하여 공급할 수 있음으로써, 당해 공기가 플레이트(24)의 공기 통과 구멍(24A)의 주위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기가 결로하여 생기는 물이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판(53)이, 제1 방향(D1)에서, 저류조(51)의 중앙에 대해 양측에 배치되었지만, 가이드판(53)은, 저류조(51)의 중앙에 대해 어느 일방에만 마련되어도 괜찮다.
1 - 공기 조화 장치 2 - 공기 통유로
3 - 냉각기 4 - 가열기
5 - 가습기 6 - 송풍기
21 - 세로 유로부 21A - 상류측 개구
22 - 수평 유로부 22A - 하류측 개구
24 - 플레이트 24A - 공기 통과 구멍
51 - 저류조 51A - 저벽
51B - 주벽 51C - 플랜지
52 - 히터 53 - 가이드판
54 - 경사변부 55 - 타방측 변부
56 - 하측변부 57 - 돌기부
60 - 흡습 부재 61 - 지지 부재

Claims (17)

  1. 공기를 통류(通流)시키는 공기 통유로(通流路)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장착되고, 또한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통유로가, 상기 하류측 개구가 마련되고 또한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 유로부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의 상기 수평 유로부에 마련되는 가습기로서,
    상부를 향해서 개방된, 물을 저류(貯留)하는 저류조(貯留措)와,
    상기 저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중 적어도 일방에서 상기 저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부가 그 하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며,
    상기 가습기는,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이, 상기 수평 유로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의 그 단부가 타방측의 그 단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하는 경사변부(傾斜邊部)를 가지고, 상기 경사변부는,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경사변부의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을 향하는 타방측 변부(邊部)를 가지며,
    상기 타방측 변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변부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벽부와 겹쳐지거나 또는 상기 벽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방측 변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타방측 변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방향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양쪽 모두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직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8. 공기를 통류시키는 공기 통유로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장착되고, 또한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공기 통유로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통유로는, 상기 하류측 개구가 마련되고 또한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 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 유로부에, 상기 가습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습기는, 상부를 향해서 상기 수평 유로부의 내부에 개방된, 물을 저류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중 적어도 일방에서 상기 저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부가 그 하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판을 가지며,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이, 상기 수평 유로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가습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과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공기를 통류시키는 공기 통유로와,
    상기 공기 통유로의 하류측 개구에 장착되고, 또한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공기 통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 통유로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통유로는, 상기 하류측 개구가 마련되고 또한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 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 유로부에, 상기 가습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습기는, 상부를 향해서 상기 수평 유로부의 내부에 개방된, 물을 저류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중 적어도 일방에서 상기 저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부가 그 하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판을 가지며,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이, 상기 수평 유로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가습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의 연장선이,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은, 원형이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과 겹쳐져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단부점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중심측으로 상기 제1 방향에서 돌출되는 거리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직경에 대해서 5/36~10/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의 그 단부가 타방측의 그 단부 보다도,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하는 경사변부를 가지고, 상기 경사변부는,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가습기에 대해서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을 향하는 타방측 변부를 가지며,
    상기 타방측 변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변부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벽부와 겹쳐지거나 또는 상기 벽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타방측 변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타방측 변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타방측의 경사진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습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6.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방향에서 자신이 위치하는 측의 상기 저류조의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7.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저류조의 중앙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 양쪽 모두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저류조의 중앙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직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170066410A 2016-11-10 2017-05-29 가습기 및 공기 조화 장치 KR101894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9832 2016-11-10
JP2016219832A JP6159865B1 (ja) 2016-11-10 2016-11-10 加湿器及び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506A true KR20180052506A (ko) 2018-05-18
KR101894189B1 KR101894189B1 (ko) 2018-08-31

Family

ID=5927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410A KR101894189B1 (ko) 2016-11-10 2017-05-29 가습기 및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8303B2 (ko)
JP (1) JP6159865B1 (ko)
KR (1) KR101894189B1 (ko)
CN (1) CN109964087B (ko)
TW (1) TWI658240B (ko)
WO (1) WO2018088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641A1 (ko) 2018-05-08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5816B2 (ja) * 2017-02-14 2020-09-16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2053125B1 (ko) * 2018-03-16 202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767196A4 (en) * 2018-03-16 2022-04-13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102269765B1 (ko) 2019-07-05 2021-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98U (ko) * 1995-07-31 1997-02-21 초음파 가습기
JPH10220796A (ja) * 1997-01-31 1998-08-21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吹き出し口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053965U (ja) * 1998-05-11 1998-11-17 共和冷温製造株式会社 低温加湿器
JP2001317770A (ja) * 2000-03-03 2001-11-16 Kubota Kucho Kk 間接蒸気式加湿器
KR20060015673A (ko) * 2006-01-19 200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
JP2006313051A (ja) * 2005-05-09 2006-11-16 Shinko Kogyo Co Ltd 低温空気における蒸気噴霧加湿機構
JP2007078219A (ja) * 2005-09-13 2007-03-2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7335544A (ja) 2006-06-14 2007-12-27 Tokyo Electron Ltd 基板処理装置
JP2013036633A (ja) * 2011-08-04 2013-02-21 Seiko Epson Corp 加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9234A (en) * 1929-02-25 1932-01-05 Charles J Lehn Humidifier
JPS5160158U (ko) * 1974-11-05 1976-05-12
JPS5613569Y2 (ko) * 1976-11-12 1981-03-30
JPS54166058U (ko) * 1978-05-11 1979-11-21
US5193354A (en) * 1992-01-31 1993-03-16 Itamar Kleinberger Humidification system with droplet discrimination
US5653919A (en) 1995-06-23 1997-08-05 Morgan & White, Ltd. Humidification system
JP2004216221A (ja) * 2003-01-10 2004-08-05 Omc:Kk 霧化装置
CN2821466Y (zh) * 2005-09-30 2006-09-27 黄海强 无滴水保湿空调装置
JP5384169B2 (ja) * 2009-03-31 2014-01-0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202494B2 (ja) * 2009-10-29 2013-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流体搬送装置
JP2013242072A (ja) * 2012-05-18 2013-12-05 Iris Ohyama Inc 加湿機構
JP6108928B2 (ja) * 2013-04-16 2017-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204678588U (zh) * 2015-04-23 2015-09-30 佛山市南海科日超声电子有限公司 具有新型结构的雾化加湿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98U (ko) * 1995-07-31 1997-02-21 초음파 가습기
JPH10220796A (ja) * 1997-01-31 1998-08-21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吹き出し口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053965U (ja) * 1998-05-11 1998-11-17 共和冷温製造株式会社 低温加湿器
JP2001317770A (ja) * 2000-03-03 2001-11-16 Kubota Kucho Kk 間接蒸気式加湿器
JP2006313051A (ja) * 2005-05-09 2006-11-16 Shinko Kogyo Co Ltd 低温空気における蒸気噴霧加湿機構
JP2007078219A (ja) * 2005-09-13 2007-03-2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060015673A (ko) * 2006-01-19 200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
JP2007335544A (ja) 2006-06-14 2007-12-27 Tokyo Electron Ltd 基板処理装置
JP2013036633A (ja) * 2011-08-04 2013-02-21 Seiko Epson Corp 加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641A1 (ko) 2018-05-08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189B1 (ko) 2018-08-31
JP2018077018A (ja) 2018-05-17
US20190242613A1 (en) 2019-08-08
WO2018088427A1 (ja) 2018-05-17
TW201818024A (zh) 2018-05-16
JP6159865B1 (ja) 2017-07-05
CN109964087B (zh) 2021-02-19
CN109964087A (zh) 2019-07-02
US11378303B2 (en) 2022-07-05
TWI658240B (zh)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189B1 (ko) 가습기 및 공기 조화 장치
KR101867230B1 (ko) 공기 조화 장치
JP6369518B2 (ja) 冷凍装置
US10837658B2 (en) Air conditioner
KR102163123B1 (ko) 공기 조화 장치
JPS6186597A (ja) 蒸発式熱交換装置
JP4506140B2 (ja) 加湿手段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WO2022163662A1 (ja) 車両用空調装置の空調ユニット
JP6963588B2 (ja) 加湿装置
JP2019120419A (ja) 加湿装置
JP2014134315A (ja) 熱交換装置用充填材
JP2019120420A (ja) 空気調和装置
JP2018194438A (ja) 環境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