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073A -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073A
KR20180052073A KR1020170098836A KR20170098836A KR20180052073A KR 20180052073 A KR20180052073 A KR 20180052073A KR 1020170098836 A KR1020170098836 A KR 1020170098836A KR 20170098836 A KR20170098836 A KR 20170098836A KR 20180052073 A KR20180052073 A KR 2018005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otective
seal
optical film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케 무라야마
šœ스케 무라야마
미에 나카타
도시키 오미네
도루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1)은, 광학 이방성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2)과, 상기 광학 필름(2)의 표면에, 점착제층(4)을 통하여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용 박리 필름(3)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4)의 전단 응력이 22N/㎠ 이하이고, 상기 보호용 박리 필름(3)의 표면에, 시일(5)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적층 광학 필름(1)은, 상기 시일(5)을 박리한 경우에도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Description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LAMINATED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적층 광학 필름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표시 장치나 프로젝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 편광 선글라스,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의 편광 필터 등의 구성 부재로서, 각종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되는 광학 필름은, 일반적으로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및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은, 편광판이라고도 불린다.
그런데, 액정 표시 장치는, 광학 필름, 액정 셀, 백라이트, 베젤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전원 코드 등의 다양한 구성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얻어진다. 통상 이들 구성 부재 모두를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자가 제조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각 구성 부재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는 분업되어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자(완성품의 제조자)는, 광학 필름의 제조자나 백라이트 등의 제조자(부품의 제조자)로부터 각 구성 부재를 구입하고, 그것을 조립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상기 완성품이나 부품의 보관·운반 시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책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로서 조립된 광학 필름 혹은 조립 전의 부품으로서의 광학 필름에는,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박리 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보호용 박리 필름은, 완성품의 제조자나 부품의 제조자에 의해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보호용 박리 필름은, 제품 보호 필름이라고도 불리며, 인력으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광학 필름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에, 각종 정보가 구비된 시일이 더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시일에 구비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바코드나 2차원 코드 등의 광학 기계적 판독 기호, 보관 번호 등의 각종 기호나 숫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시일에 구비된 정보는,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고, 상기 시일은, 최종적으로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제거된다.
그러나,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을 박리한 후, 다시 보호용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면, 화면에 상기 시일의 흔적과 같은 표시 불균일(뿌연 백색 흐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 가능한 시일을 부착한 경우에도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운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을 박리한 후, 보호용 박리 필름을 박리하면, 화면에 표시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알게 되었다.
이 문제점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알고 있다.
먼저, 시일만 박리하지 않고, 시일이 부착된 상태의 보호용 박리 필름을 화면으로부터 박리하면, 상기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시일만 먼저 박리하는 것이, 표시 불균일의 발생 원인이라고 추정했다. 이어서, 시일을 박리한 후, 즉시 보호용 박리 필름을 화면으로부터 박리한 경우도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일을 박리한 후, 소정 시간 방치하다가, 그 후에 보호용 박리 필름을 박리하면, 표시 불균일이 발생했다. 이들 연구로부터, 보호용 박리 필름을 화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점착제층이 표시 불균일의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은, 광학 이방성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용 박리 필름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이 22N/㎠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층 광학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이 3N/㎠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층 광학 필름은, 상기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에 박리 가능한 시일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층 광학 필름은, 상기 광학 필름이, 상기 광학 이방성 필름과, 상기 광학 이방성 필름의 표면에 적층된 보호 필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층 광학 필름은, 상기 광학 이방성 필름이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적층 광학 필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은,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에 시일을 부착하고, 그 시일을 박리하고, 재차 보호용 박리 필름을 박리해도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러한 적층 광학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 단, 광학 필름 등의 층 구성은 도시하지 않는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광학 필름의 단면도(도 1의 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광학 필름의 단면도.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광학 필름의 단면도.
도 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광학 필름의 단면도.
도 6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광학 필름의 단면도.
도 7은 제6 실시 형태의 적층 광학 필름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 단, 광학 필름 등의 층 구성은 도시하지 않는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X-X선으로 절단한 화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 단, 광학 필름 등의 층 구성은 도시하지 않는다.
도 11은 도 10의 XI부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측면도.
도 13은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의 측정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참고 측면도.
도 14는 비교예 1의 적층 광학 필름의 표면의 사진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앞에, 「제1」이나 「제2」 등의 서수사를 붙이는 경우가 있지만, 이 서수사는, 용어를 구별하기 위하여 부가한 것으로, 용어의 우열이나 순서 등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지」로 연결된 수치는, 「내지」 앞뒤의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복수의 하한값과 복수의 상한값이 별개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 임의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선택하고, 「내지」로 연결할 수 있다. 각 도면에 표현된 두께나 길이 등의 치수 및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비율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함에 유의하기 바란다.
[적층 광학 필름]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용 박리 필름을 갖는다.
상기 광학 필름은, 광학 이방성 필름과, 상기 광학 이방성 필름의 표면측에 적층된 보호 필름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호용 박리 필름을 광학 필름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으로서, 전단 응력 22N/㎠ 이하의 점착제층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적층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적층 광학 필름(1)은, 광학 필름(2)과, 보호용 박리 필름(3)을 갖는다.
광학 필름(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측부터 순서대로 보호 필름(21)과, 편광 필름(22)과, 위상차 필름(23)을 갖는다. 이들 필름(상기 보호 필름(21)과 편광 필름(22) 및 편광 필름(22)과 위상차 필름(23))은, 적절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접착제 또는 점착제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각각 박리 불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필름이 서로 자기 접착 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는, 상기 보호 필름(21)과 편광 필름(22) 및 상기 편광 필름(22)과 위상차 필름(23)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박리 불능하게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용 박리 필름(3)의 이면에는 점착제층(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착제층(4)을 통하여, 상기 보호용 박리 필름(3)이, 광학 필름(2)의 보호 필름(21)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호용 박리 필름(3)의 표면은, 적층 광학 필름(1)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박리 불능으로 접착되어 있다는 것은, 접착된 2개의 필름을 인력으로 뗄 수 없을 정도의 접착 강도이거나 또는 2개의 필름을 떼면 필름의 재료 파괴가 발생할 만큼의 접착 강도로 접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는 것은, 인력으로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 강도로 2개의 필름이 부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적층 광학 필름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들 실시 형태의 적층 광학 필름에 있어서도,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는 도 1과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는, 보호 필름(21)의 표면에 표면 처리층(24)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2)은, 표면측부터 순서대로 표면 처리층(24)과, 보호 필름(21)과, 편광 필름(22)과, 위상차 필름(23)을 갖는다. 또한, 표면 처리층(24)도 보호 필름(21)에 박리 불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처리층(24)의 표면이, 광학 필름(2)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보호용 박리 필름(3)은, 표면 처리층(24)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표면 처리층(24)으로서는, 안티글레어층, 하드 코팅층 등을 들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광학 이방성 필름이 편광 필름과 복수(예를 들어 2매)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점에서, 광학 이방성 필름이 편광 필름과 1매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2)은, 표면측부터 순서대로 보호 필름(21)과, 편광 필름(22)과, 제1 위상차 필름(231)과, 제2 위상차 필름(232)을 갖는다. 이들 필름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은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착되어 있다. 이들 위상차 필름(231, 232)은, 통상 복굴절성이 상이한 필름이 사용된다.
제4 실시 형태는, 이면측에도 보호 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2)은, 표면측부터 순서대로 제1 보호 필름(211)과, 편광 필름(22)과, 위상차 필름(23)과, 제2 보호 필름(212)을 갖는다. 이들 필름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은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박리 불능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들 보호 필름(211, 212)은, 재질 및 두께가 동일한 필름이어도 되고, 혹은 재질 또는 두께가 상이한 필름이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는, 광학 필름의 이면측에도 보호용 박리 필름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적층 광학 필름(1)은, 표면측부터 순서대로 제1 보호용 박리 필름(31)과, 제1 점착제층(41)과, 광학 필름(2)(예를 들어, 보호 필름(21), 편광 필름(22) 및 위상차 필름(23))과, 제2 점착제층(42)과, 제2 보호용 박리 필름(32)을 갖는다.
제1 보호용 박리 필름(31)은, 제1 점착제층(41)을 통하여, 광학 필름(2)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 보호용 박리 필름(32)은, 제2 점착제층(42)을 통해, 광학 필름(2)의 이면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보호용 박리 필름이 2매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들 보호용 박리 필름(31, 32)은, 재질 및 두께가 동일한 필름이어도 되고, 혹은 재질 또는 두께가 상이한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점착제층(41) 및 제2 점착제층(42) 중 적어도 한쪽이 전단 응력 22N/㎠ 이하의 점착제층이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점착제층(41) 및 제2 점착제층(42)의 양쪽이 전단 응력 22N/㎠ 이하이다.
기타,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실시 형태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 또는 제4 실시 형태의 층 구성의 적층 광학 필름에 제5 실시 형태의 제2 보호용 박리 필름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적층 광학 필름은, 광학 이방성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광학 이방성 필름이 편광 필름만, 또는 위상차 필름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는,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에, 시일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의 적층 광학 필름(1)은, 보호용 박리 필름(3)과, 점착제층(4)과, 광학 필름(2)(예를 들어, 보호 필름(21), 편광 필름(22) 및 위상차 필름(23))을 갖고, 보호용 박리 필름(3)의 표면에 시일(5)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시일(5)을 제외하고, 편의상, 도 2에 도시하는 층 구성(제1 실시 형태의 층 구성)과 동일한 적층 광학 필름(1)을 나타내고 있다. 단,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층 구성의 적층 광학 필름(1)의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에, 상기 시일(5)을 부착해도 된다.
시일(5)은, 기재(51)와, 상기 기재(51)의 이면에 형성된 점착제층(52)을 갖는다. 이하, 보호용 박리 필름(3)의 이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4)과 구별하기 위하여, 시일(5)의 기재(51)의 이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52)을 「시일 점착제층」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일 점착제층(52)을 통해, 보호용 박리 필름(3)의 표면에 시일(5)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편광 필름>
각 도면에 도시된 편광 필름(22)은, 흡수 2색성을 나타내는 광학 이방성 필름이다. 편광 필름은, 그의 면 내에 흡수축과 투과축을 갖는다. 편광 필름은, 투과축의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진동 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편광 필름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친수성 중합체 필름에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연신함으로써 얻어진 편광 필름(이하, 「흡착형 편광 필름」이라고 한다), 유기 색소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임의의 필름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진 편광 필름(이하, 「도포형 편광 필름」이라고 하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착형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중합체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필름, 이들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요오드에 의한 염색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2색성 물질로서는, 종래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요오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형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친수성 중합체 필름을 팽윤시킨 후, 그 필름을 2색성 물질로 염색하고, 염색 후의 필름을 가교하고,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도포형 편광 필름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391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169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1692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34061호 공보 등에 개시된 편광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100㎛이다.
<위상차 필름>
각 도면에 도시되는 위상차 필름(23, 231, 232)은, 복굴절성을 갖는 광학 이방성 필름이며, 투과하는 광에 소정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필름이다.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1/2 파장판, 1/4 파장판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킨 후, 가교, 중합시킨 배향 필름; 액정 중합체의 배향 필름; 액정 중합체의 배향층이 적층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내지 100㎛이다.
상기 열 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등의 범용 플라스틱;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액정성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 등의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
각 도면에 도시되는 보호 필름(21, 211, 212)은, 편광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이방성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보호 필름은, 투명한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필름으로서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이 사용된다.
보호 필름은, 형성 재료의 관점에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와 같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계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 내지 120㎛이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이다.
또한, 보호 필름의 표면에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표면 처리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처리로서는, 안티글래어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하드 코팅층의 형성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보호용 박리 필름 및 점착제층>
각 도면에 도시되는 보호용 박리 필름(3, 31, 32)은, 광학 필름(2)의 표면 또는 표면 및 이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보호용 박리 필름은, 최종적으로는,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여 제거된다.
보호용 박리 필름은, 광학 필름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 보호용 박리 필름으로서는, 수지 필름이 사용된다. 상기 수지 필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올레핀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등의 열 가소성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보호용 박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 내지 100㎛이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이다.
각 도면에 도시되는 점착제층(4, 41, 42)은, 보호용 박리 필름(3, 31, 32)을 광학 필름(2)에 부착하기 위하여, 보호용 박리 필름(3, 31, 32)의 이면에 적층되어 있다.
점착제층을 통해 부착된 보호용 박리 필름은, 광학 필름의 표면(보호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하다. 즉, 보호용 박리 필름을 떼면, 점착제층과 광학 필름의 표면 사이에서 이반하여, 점착제층을 따라 보호용 박리 필름이 박리된다.
점착제층(4, 41, 42)으로서는, 전단 응력이 22N/㎠ 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점착제층을 통해 보호용 박리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그 보호용 박리 필름에 부착한 시일을 뗀 후, 광학 이방성 필름의 축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은, 바람직하게는 20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N/㎠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N/㎠ 이하이다.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주 작으면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부드러워, 보호용 박리 필름을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한 후, 점착제층의 일부가 광학 필름의 표면에 잔존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은 3N/㎠ 이상이 바람직하고, 5N/㎠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6N/㎠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은, 정밀 만능 시험기((주) 시마즈 세이사쿠쇼제의 상품명 「AU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호용 박리 필름의 이면에 측정 대상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접착 면적이 세로×가로=1㎝×1㎝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의 표면에 부착하고, 보호용 박리 필름을, 23℃에서 인장 속도 0.06㎜/min으로 광학 필름의 표면과 평행하게 인장했을 때의 최대 하중(N/㎠)이 전단 응력이다.
또한, 점착제층은, 박리 가능한 접착 강도로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접착하는 것이 사용된다.
점착제층의 광학 필름에 대한 접착 강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2N/25㎜ 내지 20N/25㎜ 정도가 예시되고, 바람직하게는 2N/25㎜ 내지 15N/25㎜ 정도가 예시된다.
단, 상기 접착 강도는, JIS Z 0237에 준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보호용 박리 필름을 길이×폭=100㎜×25㎜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그 시험편을 점착제층을 통해 광학 필름의 표면에 부착한 후, 시험편을 박리 각도 90도, 박리 속도 300㎜/분, 온도 23℃로 한 조건 하의 박리 시험에 있어서 측정된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전단 응력이 22N/㎠ 이하인 점착제층을 구성할 수 있음을 조건으로 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옥시알킬렌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량체 유닛을 주골격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1 내지 18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과산화물 가교형 실리콘계 점착제(과산화물 경화형 실리콘계 점착제), 부가 반응형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30㎛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이다.
또한,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은, 그 점착제층이 접착하는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 상태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그로 인해,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점착제를 선정함으로써, 상기 전단 응력을 갖는 점착제층을 구성할 수 있다.
<시일>
각 도면에 도시되는 시일(5)은, 필요에 따라 보호용 박리 필름(3)의 표면에 부착된다. 시일에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자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자가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하는, 각종 정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정보로서는, 제품 로트 번호 등의 관리 번호, 제품 사양, 출하처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숫자나 기호 등의 표시로 바뀌거나, 혹은 바코드나 이차원 코드와 같은 광학 기계적 판독 기호 또는 IC 칩 등에 저장되어, 시일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시일은, 라벨 등이라고도 불린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각종 정보가 바코드와 숫자에 의해 저장되고, 그 바코드 등이 시일(5)에 인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5)은, 기재(51)와, 시일 점착제층(52)을 갖는다. 시일(5)은, 시일 점착제층(52)을 통해, 보호용 박리 필름(3)의 표면의 임의의 개소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시일의 크기는, 보호용 박리 필름의 크기와 동일해도 되지만, 통상 시일의 크기는 보호용 박리 필름보다도 작다. 즉, 시일의 표면적은,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적보다도 작다. 구체적인 치수에서는, 시일은, 예를 들어 세로×가로=1㎝ 내지 10㎝×1㎝ 내지 10㎝이다.
시일의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 종이, 합성지, 발포 수지 필름 및 이들의 적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0㎛ 내지 100㎛이다.
또한, 시일 점착제층은, 시일을 보호용 박리 필름에 부착하기 위하여, 기재의 이면에 적층되어 있다.
시일 점착제층을 통해 부착된 시일은,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박리 가능하다. 즉, 시일을 떼면, 시일 점착제층과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의 사이에서 이반하여, 시일 점착제층을 따라 시일이 박리된다.
상기 시일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시일의 보호용 박리 필름에 대한 접착 강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시일 점착제층의 접착 강도가 아주 작으면 시일이 탈락될 우려가 있고, 아주 크면 시일을 용이하게 박리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일의 보호용 박리 필름에 대한 접착 강도는, 예를 들어 1N/25㎜ 내지 20N/25㎜이며, 바람직하게는 3N/25㎜ 내지 15N/25㎜이다.
단, 상기 접착 강도는, JIS Z 0237에 준하여, 시일 점착제층이 형성된 시일을 길이×폭=100㎜×25㎜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그 시험편을 시일 점착제층을 통해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에 부착한 후, 시험편을 박리 각도 90도, 박리 속도 300㎜/분, 온도 23℃로 한 조건 하의 박리 시험에 있어서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접착 강도가 작은 시일을 사용한 경우뿐만 아니라, 비교적 접착 강도가 큰 시일을 사용한 경우에도 적층 광학 필름의 표시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1)은,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된다.
도 9는 화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그 단면도이며, 도 11은 그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10)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7)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액정 패널(7)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셀(71)과, 상기 액정 셀(71)의 시인측에 배치된 시인측 편광판(72)과, 상기 액정 셀(71)의 시인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반시인측 편광판(73)을 갖는다.
상기 액정 셀(71)은, 1쌍의 유리판(711, 712) 사이에, 액정(713)이 충전되어 있다. 시인측 편광판(72)으로서,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1)이 사용되고 있다. 즉, 시인측 편광판(72)(적층 광학 필름(1))은, 액정 셀(71)에 가까운 측부터 순서대로 위상차 필름(23)과, 편광 필름(22)과, 보호 필름(21)과, 점착제층(4)과, 보호용 박리 필름(3)을 갖는다.
또한, 반시인측 편광판(73)은, 액정 셀(71)에 가까운 측부터 순서대로 위상차 필름(733)과, 편광 필름(732)과, 보호 필름(731)을 갖는다. 시인측 편광판(72) 및 반시인측 편광판(73)은, 적절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액정 셀(71)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반시인측 편광판(73)의 편광 필름(732)과 시인측 편광판(72)의 편광 필름(22)은, 서로의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소위 크로스니콜).
또한, 시인측 편광판(72)(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1))의 보호용 박리 필름(3)의 표면에는, 시일 점착제층(52)을 통하여 시일(5)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단, 반시인측 편광판(73)에는, 보호용 박리 필름은 부착되어 있지 않다.
반시인측 편광판(73)의 배후에는, 광원(81)(백라이트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정 패널(7) 및 광원(81)은, 베젤(82a)을 갖는 하우징(8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 패널(7)에는, 편광판이나 액정 셀 이외에도, 컬러 필터, 배향막, 전극, 스페이서, 전자 회로 등이 구비되어 있지만, 이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하우징 내에는 광원이나 액정 패널 이외에도, 제어 장치, 도광판, 배선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도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7)의 반시인면측에 광원(81)이 배치된 투과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형 또는 반투과형이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반사형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의 시인면측에 광원이, 또는 액정 패널의 측면측에 광원이 배치되어 있고, 광을 반사판으로 반사시켜 화상 표시를 행하는 타입이다.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투과형과 반사형의 양쪽을 겸비하는 타입이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10))의 보호용 박리 필름(3)의 표면에 부착된 시일(5)은,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자에 의해, 제품을 출하하기 전에 떼어진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10))의 보호용 박리 필름(3)은, 예를 들어 제품의 구입자 등에 의해 떼어진다. 보호용 박리 필름(3)을 박리함으로써, 시인측 편광판(72)(적층 광학 필름(1))의 보호 필름(21)이 나타난다. 이 보호 필름(21)의 표면이, 화면이 되어 화상을 시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는, 화면에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작용에 기초한다고 추정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을 뗄 때에는, 보호용 박리 필름(광학 필름)의 표면이 시일 점착제층에 인장되어 끌어 당겨진다. 이때, 보호용 박리 필름의 두께는 변화하지 않지만, 점착제층은 약간 변화하므로, 시일을 박리한 후, 점착제층에 내부 응력이 잔존한다. 이 응력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편광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에 작용하여, 이들 필름의 축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편광 필름 및/또는 위상차 필름의 축 어긋남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으로부터 예정 밖의 광 누설이 발생하고, 그것이 표시 불균일의 원인이 된다. 특히, 위상차 필름은 약간의 축 어긋남에 의해 광 누설을 발생시키므로, 시일의 박리에 수반하는 악영향은 위상차 필름을 갖는 적층 광학 필름에 대하여 크다.
이 점, 본 발명과 같이, 전단 응력이 22N/㎠ 이하인 점착제층을 사용함으로써, 시일을 뗄 때에 점착제층이 변형되어도, 바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기 쉬워, 점착제층에 내부 응력이 잔존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시일을 박리한 후, 장시간 방치해도,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 필름 등의 광학 이방성 필름에 응력이 작용하지 않아, 광학 이방성 필름의 축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적층 광학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자의 관리를 위한 시일을 부착해도,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운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일이 부착된 상태의 보호용 박리 필름을 갖는 적층 광학 필름의, 표시 불균일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a) 시일을 박리한 직후에 보호용 박리 필름을 광학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 (b) 시일을 수반하여 보호용 박리 필름을 광학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 (c) 시일을 박리한 후, 24시간 미만 동안에 보호용 박리 필름을 광학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것은, 하기 참고예 1 내지 3으로부터 명확하다.
이들 3개의 방법에서도 표시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a) 및 (c)의 방법에 대해서는, 시일을 박리한 후, 소정 시간 내에 보호용 박리 필름을 박리해야 되어, 시간상의 제약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 제조자가 시일을 박리하고, 구입자가 보호용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경우에는, 전자와 후자 사이에 비교적 오랜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많아, 시일을 박리한 후, 소정 시간 내에 보호용 박리 필름을 박리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b)의 방법에 대해서는, 시일과 보호용 박리 필름을 동시에 박리해야 한다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다.
이 점, 전단 응력이 22N/㎠ 이하인 점착제층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시간상 및 사용상의 제약을 받지 않아, 표시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단 응력이 22N/㎠ 이하인 점착제층을 사용하면서, 상기 (a) 내지 (c) 중 어느 것의 방법으로 시일 등을 박리해도, 표시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하고 본 발명을 다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재료]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용 박리 필름 (1)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닛토덴코(주)제의 상품명 「RP296C」)을 사용했다. 이 필름의 이면에는, 두께 12㎛의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다. 점착제층은 아크릴계의 점착제였다.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용 박리 필름 (2)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닛토덴코(주)제의 상품명 「RP108C」)을 사용했다. 이 필름의 이면에는, 두께 12㎛의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다. 점착제층은 아크릴계의 점착제였다.
·보호 필름 (3)
두께 6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후지 필름(주)제의 상품명 「TD60UL」)을 사용했다.
·보호 필름 (4)
두께 6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후지 필름(주)제의 상품명 「TD60UL」)의 표면에, 두께 5㎛의 안티글레어층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을 사용했다.
·보호 필름 (5)
두께 6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후지 필름(주)제의 상품명 「TD60UL」)의 표면에, 두께 6㎛의 저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을 사용했다.
·보호 필름 (6)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51696호 공보의 [0126]에 기재된 두께 40㎛의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했다.
·보호 필름 (7)
두께 8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주)제의 상품명 「SRF-80」)을 사용했다.
·접착제 (8)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했다.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84151호 공보의 표 1의 실시예 1에 기재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고, 또한, KAYACURE-DETX-S(2,4-디에틸티오크산톤; 닛본 가야쿠(주)제) 및 이르가큐어 907(2-메틸-1-(4-메틸티오 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BASF사제)을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g에 대하여 각각 1.5g 및 3g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조제했다.
·접착제 (9)
수계 접착제를 사용했다.
이 수계 접착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제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평균 중합도 1200, 비누화도 98.5%, 아세트아세틸화도 5몰%)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올멜라민 50중량부를, 3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순수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3.7중량%의 수용액을 얻었다. 이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루미나 콜로이드 수용액(평균 입경 15㎚, 고형분 농도 10중량%, 양전하) 18중량부를 첨가함으로써 접착제 용액을 제조했다. 접착제 용액의 점도는 9.6mPa·s이며, pH는 4 내지 4.5의 범위이며, 알루미나 콜로이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74중량부이었다.
·위상차 필름 부착 편광 필름 (10)
두께 60㎛의 편광 필름((주) 구라레제의 상품명 「PE6000」)의 이면에, 두께 52㎛의 위상차 필름(닛본 제온(주)제의 상품명 「ZB12-50135」)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사용했다.
·시일 (11)
시판되고 있는 셀로판 점착 테이프(니치반(주)제의 상품명 「셀로판테이프(등록 상표)」)를, 세로×가로=20㎜×40㎜로 재단하여, 시일(11)로서 사용했다.
·시일 (12)
시판되고 있는 마스킹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주)제의 상품명 「마스킹 테이프 No.720」)를, 세로×가로=20㎜×40㎜로 재단하여, 시일(12)로서 사용했다.
[실시예 1]
위상차 필름 부착 편광 필름(10)의 표면(편광 필름의 표면)에, 후지 기카이사제의 MCD 코터(셀 형상: 하니컴, 그라비아 롤 속선: 1000개/inch, 회전 속도 140%/대선속)를 사용하여, 접착제(8)를 두께 1㎛로 도포하고, 그 위에 보호 필름(3)의 이면을 접합했다. 그 후, 접합한 적층체의 양면측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에 의해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접착제(8)를 경화시킨 후, 70℃에서 3분간 열풍 건조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가시광선(갈륨 봉입 메탈 할라이드 램프)을 조사하는 장치이며, Fusion UV Systems, Inc사제의 Light HAMMER10(밸브: V 밸브, 피크 조도: 1600mW/㎠, 적산 조사량: 1000/mJ/㎠(파장 380 내지 440㎚))을 사용했다.
이 광학 필름의 보호 필름(3)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통해, 보호용 박리 필름(1)을 부착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층 구성의 적층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이 적층 광학 필름의 크기는, 세로×가로=50㎜×50㎜의 정사각 형상으로 했다.
[실시예 2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5]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용 박리 필름, 보호 필름 또는 접착제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표 1 중 필름 (1)은,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용 박리 필름 (1)을, 필름 (2)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용 박리 필름 (2)를, 필름 (3)은 상기 보호 필름 (3)을, 필름 (4)는 상기 보호 필름 (4)를, 필름 (5)는 상기 보호 필름 (5)를, 필름 (6)은 상기 보호 필름 (6)을, 필름 (7)은 상기 보호 필름 (7)을, 필름 (10)은 상기 위상차 필름 부착 편광 필름 (10)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0에 대해서는, 수계 접착제인 접착제 (9)를 사용했다. 즉, 실시예 10에 대해서는, 위상차 필름 부착 편광 필름의 편광 필름의 표면과 보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제 (9)를 적하하면서 상기 양 필름을 적층한 후, 70℃에서 4분간 열풍 건조했다.
[전단 응력의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보호용 박리 필름의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최대 하중을 측정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용 박리 필름 (1)을, 길이×폭=100㎜×10㎜로 재단하고, 점착제층의 접착 면적(접촉 면적)이, 1㎠(1변이 1㎝인 정사각형)이 되도록, 보호 필름 (3)에 접합한 후, 보호용 박리 필름 (1)을, 23℃에서 인장 속도 0.06㎜/min으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의 표면과 평행하게 인장하여, 그때의 최대 하중(N/㎠)을 정밀 만능 시험기((주) 시마즈 세이사쿠쇼제의 상품명 「AU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이 최대 하중이,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이다.
실시예 2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해서도, 각각에서 사용한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용 박리 필름 및 보호 필름을 사용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각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화상 표시 장치의 제작 및 표시 특성 시험]
실시예 1의 적층 광학 필름의 보호용 박리 필름 (1)의 표면의 일부분에, 시일 (11)을 부착했다.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로부터 시인측 편광판을 떼어내고, 상기 시일 (11)을 부착한 적층 광학 필름을, 상기 액정 패널의 시인측 편광판에 편입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험용의 액정 표시 장치를 얻었다.
이어서,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보호용 박리 필름 (1)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시일 (11)을 손가락으로 뗀 후, 23℃, 60%RH 하에서 24시간 방치했다. 그 후, 보호용 박리 필름 (1)을 손가락으로 떼어, 액정 패널의 화면(보호 필름 (3)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을 켜고, 화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 내지 10의 적층 광학 필름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편입시키고, 시일을 떼고, 24시간 방치하고, 보호용 박리 필름을 뗀 후의 화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어느 실시예에 대해서든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6에 대해서는, 시일 (11) 대신에, 시일 (12)를 사용했다.
비교예 1 내지 5의 적층 광학 필름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편입시키고, 시일을 떼고, 24시간 방치하고, 보호용 박리 필름을 뗀 후의 화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어느 비교예에 대해서든, 화면에 시일의 흔적과 같은 표시 불균일이 확인되었다. 이 표시 불균일은, 뿌연 백색 흐림처럼 보였다. 도 14는 비교예 1의 화면 중 시일이 부착되어 있던 개소 주변을 촬영한 사진도이다.
[참고예 1]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고, 실시예 1의 적층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시험용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보호용 박리 필름 (1)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시일 (11)을 손가락으로 뗀 후, 바로 보호용 박리 필름 (1)을 손가락으로 떼어, 액정 패널의 화면(보호 필름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을 켜고, 화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의 적층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일 (11)을 박리한 직후에 보호용 박리 필름 (2)를 떼면,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참고예 2]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고, 실시예 1의 적층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시험용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시일 (11)이 부착된 상태의 보호용 박리 필름 (1)을 손가락으로 뗐다. 즉, 시일 (11)을 따라 보호용 박리 필름 (1)을 손가락으로 떼어, 액정 패널의 화면(보호 필름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을 켜고, 화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의 적층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일 (11)을 따라 보호용 박리 필름 (2)를 떼면,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참고예 3]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고, 실시예 1의 적층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시험용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보호용 박리 필름 (1)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시일 (11)을 손가락으로 뗀 후, 23℃, 60%RH 하에서 23시간 방치했다. 그 직후에, 보호용 박리 필름 (1)을 손가락으로 떼어, 액정 패널의 화면(보호 필름 (3)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을 켜고, 화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의 적층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일 (11)을 박리하고, 23℃, 60%RH 하에서 23시간 방치한 직후에 보호용 박리 필름 (2)를 떼면, 표시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1: 적층 광학 필름
2: 광학 필름
21, 211, 212: 보호 필름
22: 편광 필름(광학 이방성 필름)
23, 231, 232: 위상차 필름(광학 이방성 필름)
3: 보호용 박리 필름
4: 보호용 박리 필름의 점착제층
5: 시일
52: 시일의 점착제층
10: 화상 표시 장치

Claims (6)

  1. 광학 이방성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통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용 박리 필름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이 22N/㎠ 이하인, 적층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전단 응력이 3N/㎠ 이상인, 적층 광학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박리 필름의 표면에, 박리 가능한 시일이 부착되어 있는, 적층 광학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상기 광학 이방성 필름과, 상기 광학 이방성 필름의 표면에 적층된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 광학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방성 필름이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광학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70098836A 2016-11-09 2017-08-04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80052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9181A JP2018077355A (ja) 2016-11-09 2016-11-09 積層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JP-P-2016-219181 2016-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073A true KR20180052073A (ko) 2018-05-17

Family

ID=6214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836A KR20180052073A (ko) 2016-11-09 2017-08-04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8077355A (ko)
KR (1) KR20180052073A (ko)
CN (1) CN108072923A (ko)
TW (1) TW2018180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4549B2 (ja) * 2018-06-28 2022-12-0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2020052170A (ja) * 2018-09-26 2020-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7257810B2 (ja) * 2019-02-20 2023-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切削加工された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230136743A (ko) * 2021-01-29 2023-09-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점착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122A (ja) * 1992-07-29 1994-02-25 Nitto Denko Corp 偏光板、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
JP2003014934A (ja) * 2001-07-04 2003-01-15 Nitto Denko Corp 保護フィルム付偏光板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偏光板のマーキングシステム
JP2004045930A (ja) * 2002-07-15 2004-02-12 Masatoshi Kita マーキング方法
JP2006150736A (ja) * 2004-11-29 2006-06-15 Shinano Kenshi Co Ltd ワーク拭取り装置及びマーキング装置
JP2008197159A (ja) * 2007-02-08 2008-08-28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体および光学フィルム体の製造方法
JP2008208173A (ja) * 2007-02-23 2008-09-1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JP2008032747A (ja) * 2007-10-17 2008-02-14 Hitachi Ltd フィルム状製品
KR101476849B1 (ko) * 2008-07-18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리 및 안착 통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JP4503690B1 (ja) * 2009-10-13 2010-07-1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を連続製造する装置に用いられる情報格納読出システム、及び、前記情報格納読出システム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1132371A (ja) * 2009-12-24 2011-07-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再剥離性粘着シート
CN104231981A (zh) * 2013-06-07 2014-12-24 东洋油墨Sc控股株式会社 粘合剂、粘合片及显示器
JP6092035B2 (ja) * 2013-07-30 2017-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6092034B2 (ja) * 2013-07-30 2017-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6092033B2 (ja) * 2013-07-30 2017-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2015169681A (ja) * 2014-03-04 2015-09-28 株式会社フジシール 熱収縮性筒状ラベル
JP6433143B2 (ja) * 2014-04-16 2018-12-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594637B2 (ja) * 2014-04-16 2019-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607663B2 (ja) * 2014-05-30 2019-11-2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704671B2 (ja) * 2014-12-25 2020-06-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部材
JP6599619B2 (ja) * 2015-02-17 2019-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599618B2 (ja) * 2015-02-17 2019-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72923A (zh) 2018-05-25
JP2018077355A (ja) 2018-05-17
TW201818098A (zh)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871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JP5332599B2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US9740044B2 (en) Set of polarizing plates having a young&#39;s modulus and front-plate-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JP5196651B2 (ja) ヨウ素系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39542A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KR102425120B1 (ko) 편광판, 점착제 부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727870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KR20180052073A (ko)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57062B1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90129947A (ko) 편광판 롤 및 그것을 이용한 감압식 접착제층이 있는 편광판 롤,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02889A (ko) 광학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525401B1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535072B1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0262155A (ja) 複合偏光板
JP2017219830A (ja) 積層フィルム、マーク付き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704057B (zh) 積層光學膜的製造方法
KR102447404B1 (ko)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2148436A (ja) 偏光板
KR20180081568A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20105327A1 (ja) 偏光板積層体
JP5351135B2 (ja) ヨウ素系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8036655A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60000459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6090970B2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2040259A (ja) 光学部材の剥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剥離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