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298A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1298A KR20180051298A KR1020160148418A KR20160148418A KR20180051298A KR 20180051298 A KR20180051298 A KR 20180051298A KR 1020160148418 A KR1020160148418 A KR 1020160148418A KR 20160148418 A KR20160148418 A KR 20160148418A KR 20180051298 A KR20180051298 A KR 201800512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m
- work
- winch
- work boom
- power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pairing insulation or armouring of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적인 작업공간의 확장을 통해 직·간접 활선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노동력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붐 선단에 버킷과 윈치부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에 마련된 장착홈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편출 부재와, 상기 편출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 측과 상기 버킷 간 수평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연장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의 선단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승강홈부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승강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작업 붐대와, 상기 작업 붐대 선단에 장착되며 횡 방향으로 장착홈부가 형성된 가완목 장착 부재와, 상기 가완목 장착 부재의 장착홈부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의 완금에 대응되는 가완목 및, 상기 가완목과 상기 작업 붐대 간에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완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상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주 측과 버킷 간에 수평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입체적인 작업공간의 확보로 직·간접 활선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노동력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작업장치의 구성요소가 상호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전주 교체, 완금 교체, 애자 교체, 활입주 작업 등 공사 현장에 맞게 구성요소를 더하거나 제외하여 운용할 수 있고, 작업 완료 후 손쉽게 해체 및 운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붐 선단에 버킷과 윈치부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에 마련된 장착홈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편출 부재와, 상기 편출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 측과 상기 버킷 간 수평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연장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의 선단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승강홈부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승강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작업 붐대와, 상기 작업 붐대 선단에 장착되며 횡 방향으로 장착홈부가 형성된 가완목 장착 부재와, 상기 가완목 장착 부재의 장착홈부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의 완금에 대응되는 가완목 및, 상기 가완목과 상기 작업 붐대 간에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완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상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주 측과 버킷 간에 수평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입체적인 작업공간의 확보로 직·간접 활선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노동력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작업장치의 구성요소가 상호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전주 교체, 완금 교체, 애자 교체, 활입주 작업 등 공사 현장에 맞게 구성요소를 더하거나 제외하여 운용할 수 있고, 작업 완료 후 손쉽게 해체 및 운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적인 작업공간의 확장을 통해 직·간접 활선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노동력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활선 작업차를 이용하여 배전선로를 개보수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1106236호(2012. 01. 19. 공고)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활선 작업차에 구비된 활선작업 붐; 활선작업 붐의 단부에 구비된 활선 버킷; 활선 버킷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권취된 로프와, 로프의 단부에 구비되는 로프 고리와, 로프 고리에 연결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윈치; 윈치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윈치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절연붐; 절연붐과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결합홀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상의 돌출부와, 돌출부를 절연붐에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홀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양측 단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됨에 의해 길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연장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절연붐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완목; 및 가완목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롤러를 포함하며, 절연 롤러는 가완목에 장착되어 절연 롤러를 가완목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상호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절연판과, 절연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연결부와, 연결부에 연결되어 전력선을 취부하는 전력선 거치부와, 전력선 거치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전력선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제1 롤러와, 제1 롤러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롤러와, 전력선 거치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락킹홈과, 전력선 거치부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력선 거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며 락킹홈에 삽입되는 락킹로드와, 락킹로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전핀 롤러 및 락킹로드의 타측에 구비되는 회동 손잡이를 포함하는 안전핀을 포함하며, 작업하고자 하는 전력선 부분에 장착되어 전력선이 절연 롤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롤러와 전력선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 커버를 포함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는 활선 작업차의 붐 신장과 절연붐의 상하 슬라이드에 의해 전력선의 지지 및 승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력선을 상부 이격시켜 활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한 버켓과 절연붐의 설치 거리가 수십 센치미터에 불과하여 배전선로와 작업자 간에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의 협소로 스틱을 활용한 간접활선작업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입체적인 작업공간의 확장을 통해 직·간접 활선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노동력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붐 선단에 버킷과 윈치부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에 마련된 장착홈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편출 부재와, 상기 편출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 측과 상기 버킷 간 수평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연장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의 선단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승강홈부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승강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작업 붐대와, 상기 작업 붐대 선단에 장착되며 횡 방향으로 장착홈부가 형성된 가완목 장착 부재와, 상기 가완목 장착 부재의 장착홈부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의 완금에 대응되는 가완목 및, 상기 가완목과 상기 작업 붐대 간에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완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의 가이드 부재는 상·하측에 상기 작업 붐대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작업 붐대의 외주면과 접하는 롤러가 설치된다.
상기의 가완목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력선을 안착시켜 상기 작업 붐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가 취부된 이선 롤러밴드가 구비된다.
상기의 가완목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주의 완금으로부터 폴리머애자를 옮겨둘 수 있도록 상단 양측에 이선고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선 밴드가 구비된다.
상기의 가완목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주의 완금으로부터 폴리머애자를 옮겨둘 수 있도록 상측에 이격을 위한 소정 높이의 절연단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단 양측에 이선고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선 밴드기구가 구비된다.
상기의 승강수단은 상기 윈치부의 와이어가 상기 편출 부재에 형성되고 와이어 풀리가 내재된 인출공을 통해 상방향으로 인출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고 와이어 풀리가 내재된 인입공을 통해 하향 인입되어 상기 작업 붐대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의 구동으로 상기 작업 붐대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작업 붐대는 하단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단과 결속하기 위한 결속고리가 양측에 각 형성된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에 탈착 가능하게 인입 설치되고 단부에 상기 윈치부의 와이어와 결속을 위한 걸이공이 형성된 체결구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붐 선단에 버킷과 윈치부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에 마련된 장착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붐대와, 상기 장착홈의 상·하측에 상기 작업 붐대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작업 붐대의 외주면과 접하는 안내 롤러와, 상기 작업 붐대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가 취부된 이선 롤러 부재 및, 상기 윈치부의 와이어가 상기 작업 붐대의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의 구동으로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해당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상기 작업 붐대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붐 선단에 버킷과 윈치부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에 마련된 장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인입 설치되는 가이드 소켓과, 상기 가이드 소켓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붐대와, 상기 가이드 소켓의 상·하측에 상기 작업 붐대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작업 붐대의 외주면과 접하는 안내 롤러, 상기 작업 붐대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가 취부된 이선 롤러 부재 및, 상기 윈치부의 와이어가 상기 작업 붐대의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의 구동으로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해당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상기 작업 붐대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상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주 측과 버킷 간에 수평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입체적인 작업공간의 확보로 직·간접 활선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노동력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장치의 구성요소가 상호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전주 교체, 완금 교체, 애자 교체, 활입주 작업 등 공사 현장에 맞게 구성요소를 더하거나 제외하여 운용할 수 있고, 작업 완료 후 손쉽게 해체 및 운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 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치부와 편출 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출 부재와 연장 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와 작업 붐대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붐대와 가완목 장착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완목 장착부재와 가완목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밴드의 구조를 보인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 롤러밴드의 구조를 보인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밴드의 구조를 보인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선밴드기구의 구조를 보인 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 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 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치부와 편출 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출 부재와 연장 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와 작업 붐대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붐대와 가완목 장착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완목 장착부재와 가완목의 체결구조를 보인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밴드의 구조를 보인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 롤러밴드의 구조를 보인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밴드의 구조를 보인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선밴드기구의 구조를 보인 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 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 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도 1을 기본으로 참조하되 필요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는 붐(1) 선단에 버킷(2)과 윈치부(10)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미도시)에 양호하게 구현된다. 즉, 공지의 활선 작업차는 붐(1) 선단에 회전장치(3)를 통해 버킷(2)이 좌우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장착홈(미부호) 및 와이어(12)를 풀거나 감기 위한 윈치(13)가 마련된 윈치부(10)가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는 윈치부(10)에 마련된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며 일측으로 개구부(21)가 형성된 편출 부재(20)와, 편출 부재(20)의 개구부(21)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 완금(5)과 버킷(2) 간 원근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연장 부재(30)와, 연장 부재(30)의 선단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승강홈부(41)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40)와, 가이드 부재(40)의 승강홈부(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수단(미부호)에 의해 승강하는 작업 붐대(50)와, 작업 붐대(50) 선단에 장착되며 횡 방향으로 장착홈부(61)가 형성된 가완목 장착 부재(60)와, 장착 부재(60)의 장착홈부(61)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의 완금(5)에 대응되는 가완목(70) 및, 가완목(70)과 작업 붐대(50) 간에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완목(7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80)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도 2를 참조하면 편출 부재(20)는 윈치부(10)의 장착홈(1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를 위하여 편출 부재(20)는 장착홈(11)에 인입 설치되고 핀공(23)이 천공된 인입부(22)가 마련되고, 윈치부(10)는 인입부(22)가 장착홈(11)에 인입된 상태에서 핀공(23)을 통해 핀 결합되는 체결핀(14)이 마련된다.
여기서, 체결핀(14)은 핀부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볼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홀더(15)에 손잡이부가 인입되어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편출 부재(20)는 연장 부재(30)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전방(전주 측)으로 편출된 개구부(21)가 마련되는데,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이루고 개구부(21)와 연장 부재(30)에 핀공(24)이 각 천공되어 연장 부재(30)가 개구부(21)에 인입된 상태에서 핀(25) 결합에 의해 장착이 완료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장 부재(30)는 전주(4) 측과 버킷(2) 간 원근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구성으로, 작업자가 버킷(2)에 탑승한 상태에서 버킷(2)을 좌우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즉, 윈치부(10)에 마련된 장착홈(11)에 작업 붐대(50)를 곧바로 설치할 경우에는 그 길이로 인하여 윈치부(10)로부터 작업 붐대(50)가 하향 돌출되는데, 윈치부(10)나 버킷(2)이 좌우방향으로 스윙(회전)할 때 붐(1) 선단과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현장 상황에 따라 작업 붐대(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와 작업자 간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없어 근접작업으로 인한 감전 위험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장 부재(30)의 구비로 그 길이만큼 붐(1) 선단으로부터 작업 붐대(50)가 이격되어 붐(1) 선단과의 간섭을 없애 현장 상황에 맞게 작업 붐대(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배전선로 측과 작업자 간에 충분한 이격거리의 확보로 스마트 스틱을 활용한 간접작업을 수행하는 등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40)는 연장 부재(30)의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 붐대(50)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장 부재(30)의 선단이 인입되는 인입관(42)과 작업 붐대(5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내재되는 승강홈부(41)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가이드 부재(40)의 인입관(42)과 연장 부재(30)의 선단 측에는 핀공(43,32)이 각 천공되어 연장 부재(30)의 선단이 가이드 부재(40)의 인입관(42)에 인입된 상태에서 핀(44) 결합에 의해 장착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40)의 승강홈부(41)는 삽입 내재된 작업 붐대(50)가 슬라이드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소정 길이로 제작되고, 승강완료된 상태에서 작업 붐대(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는 가이드 부재(40)의 승강홈부(41)와 작업 붐대(50)에 각 천공된 핀 공에 핀을 삽입시켜 위치를 고정하는 방식이나 작업 붐대(50)가 소정 속도 이상으로 하강할 경우 브레이킹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완목 장착 부재(60)는 작업 붐대(50)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주의 완금(5)에 대응되는 가완목(70)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작업 붐대(50)의 선단이 인입되는 인입단(62)과 가완목(70)이 횡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는 장착홈부(61)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가완목 장착 부재(60)의 인입단(62)과 작업 붐대(50)의 선단 측에는 핀공(63, 51)이 각 천공되어 가완목 장착 부재(60)의 인입단(62)에 작업 붐대(50)의 선단이 인입된 상태에서 핀(64) 결합에 의해 장착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가완목 장착 부재(60)의 장착홈부(61)는 횡 방향으로 삽입된 가완목(70)이 흔들리지 않도록 소정 길이로 제작되고, 가완목(7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65)가 구비된다.
고정구(65)는 장착홈부(61)에 핸들이 나사결합되어 핸들을 조임에 따라 가완목(70)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대(80)는 가완목(70)과 작업 붐대(50) 간에 설치되어 가완목(7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측단이 가완목(70)에 장착되는 체결밴드(90)에 결속되고 타측단이 작업 붐대(50) 하단에 형성된 체결고리부(100)에 결속된다.
즉, 지지대(80)는 양단에 체결홀(81)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홀(81)과 핀 결합에 의해 결속할 수 있도록 가완목(70)에 체결밴드(90)가 장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밴드(90)는 밴드 부분이 사각형상의 틀로 이루어지되 가완목(70)에 취부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하단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단부에 관통된 시건 홈(92)이 형성된 도어편(91)과, 상단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시건 홈(92)에 인입되어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덮개편(93) 및, 덮개편(93)에 나사결합되어 가완목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95)을 진퇴시키기 위한 가압 핸들(94)이 구비된다.
또한 체결밴드(90)에 가완목(70)이 삽입 내재된 상태에서, 가압 핸들(94)을 조여 가압판(95)이 가완목(70)을 가압함에 따라 시건 홈(92)에 인입된 덮개편(93)이 밀려 시건 홈(92)과 맞물릴 때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건 홈(92)의 단면에 대응하여 덮개편(93)에 안착홈(96)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밴드(90)의 하단 양측에는 그 사이로 위치하는 지지대(80)의 체결홀(81)과 핀 결합에 의해 지지대(80)를 가완목(90)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고리(97)가 마련된다.
다음, 상기의 가이드 부재(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홈부(40)의 상·하측에 작업 붐대(50)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작업 붐대(50)의 외주면과 접하는 가이드 롤러(45)가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 붐대(50)가 승강홈부(40)에 삽입 내재된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45)에 의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다음, 가완목(7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력선을 안착시켜 작업 붐대(50)의 승강에 따라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111)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112)가 취부된 이선 롤러밴드(110)가 구비된다(도 10 참조).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이선 롤러밴드(110)는 가완목(70)에 취부할 수 있도록 전술한 체결밴드(90)와 같은 체결구조를 가지며, 밴드 상단에 이선 롤러가 마련된다.
이선 롤러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111)가 마련되는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핀 고리(114)에 의해 잠김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된다.
즉, 작업자가 스틱을 이용하여 핀 고리(114)를 당기면 잠김상태가 해제되어 전력선을 안착시켜 둘 수 있도록 이선 롤러가 개방되고, 개방상태의 덮개부(111)를 스틱으로 젖히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이선 롤러밴드를 가완목에 취부한 상태에서, 이선 롤러밴드(110)의 덮개부(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력선이 이선 롤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윈치(13)를 구동하여 작업 붐대(50)를 상승시키고, 덮개부(111)를 닫은 상태에서 LP애자(7)에 결속된 전력선의 바인더선을 풀어 낸 다음 재차 윈치(13)를 구동하면 작업 붐대(50)가 상승하여 LP애자(7)로부터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게 되고, 이때 LP애자, 완금, 전주 등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가완목(7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주의 완금(5)으로부터 폴리머애자(6)를 옮겨둘 수 있도록 상단 양측에 이선고리(12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선 밴드(120)가 구비된다(도 11 참조).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이선밴드(120)는 가완목(70)에 취부할 수 있도록 전술한 체결밴드(90)와 같은 체결구조를 가지며, 밴드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이선고리(121)가 마련된다.
따라서 폴리머애자의 볼쇄클을 완금(5)으로부터 풀어 이선밴드(120)의 이선고리(121)에 옮겨 이선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가완목(7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주의 완금(5)으로부터 폴리머애자(6)를 옮겨둘 수 있도록 상측에 이격을 위한 소정 높이의 절연단(131)이 형성되고 절연단 양측에 이선용 고리(13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선 밴드기구(130)가 구비된다(도 12참조).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이선용 고리(132)는 절연단(131) 높이 만큼 가완목(70)으로부터 더 이격됨으로써 이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3상 선로의 경우 이선밴드(120)를 가완목(70) 양 사이드에 취부하고, 이선 밴드기구(130)를 가완목(70)의 가운데 부분에 취부함으로써 3상 선로의 폴리머애자를 옮겨 이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완목(70)의 양 사이드에 이선밴드(120)를 취부하고 가운데 부분에 이선 밴드기구(130)를 취부한 상태에서, 윈치(13)의 구동으로 작업 붐대(50)를 상승시켜 가완목(70)이 전주의 완금(4)과 수평되게 근접시킨 다음 전선바이스(장선기)에 의해 당겨진 전력선 측 폴리머 현수애자를 완금으로부터 풀어 이선밴드 및 이선밴드기구로 이선시켜 둠으로써 완금이나 폴리머 현수애자의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승강수단은 윈치부(10)의 와이어(12)가 편출 부재(20)에 형성되고 와이어 풀리(26)가 내재된 인출공(27)을 통해 상방향으로 인출되며 가이드 부재(40)에 형성되고 와이어 풀리(46)가 내재된 인입공(47)을 통해 하향 인입되어 작업 붐대(50)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13)로 이루어져 윈치(13)의 구동으로 작업 붐대(50)를 승강할 수 있게 된다(도 4 및 5 참조).
즉, 윈치(13)가 정회전하여 와이어(12)를 감게되면 작업 붐대(50)는 상승하게 되고, 역으로 회전하여 와이어(12)를 풀게되면 작업 붐대(50)는 하강하게 된다.
물론, 승강수단은 실린더 등 유압방식이나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작업 붐대(50)는 하단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지지대(80)의 일측단 체결홀(81)과 결속하기 위한 결속고리(102)가 양측에 각 형성된 링 부재(101) 및, 링 부재(101)와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공에 탈착 가능하게 인입 설치되고 단부에 윈치부(10)의 와이어(12)와 결속을 위한 걸이공(103)이 형성된 체결고리부(10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작업 붐대(50)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체결고리부(103)에는 외주면을 따라 원형홈(104)이 형성되고, 작업 붐대(50)에 핀 결합되는 체결핀(105)이 원형 홈(104)에 위치함에 따라 체결고리부(100)는 작업 붐대(50) 하단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는 구성요소를 상호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전주 교체, 완금 교체, 애자 교체, 활입주 작업 등 공사 현장에 맞게 구성요소를 더하거나 제외하여 운용할 수 있고, 작업 완료 후 손쉽게 해체 및 운반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 붐대(50)의 승강으로 배전선로와 작업자 간 상하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 부재(30)의 구비로 전주의 완금(5)과 버킷(2) 간 수평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가 버킷(2)에 탑승한 상태에서 버킷(2)을 좌우로 회전해 가면서 작업할 수 있고,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작업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붐(1) 선단에 버킷(2)과 윈치부(10)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윈치부(10)에 마련된 장착홈(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붐대(50)와, 장착홈(11)의 상·하측에 작업 붐대(50)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작업 붐대(50)의 외주면과 접하는 안내 롤러(16)와, 작업 붐대(50)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141)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가 취부된 이선 롤러 부재(140) 및, 윈치부(10)의 와이어(12)가 작업 붐대(50)의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13)의 구동으로 배전선로로부터 해당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작업 붐대(50)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작업 붐대(50)는 선단에 장착홀(52)이 형성되고, 이선 롤러 부재(140)는 하단에 장착봉(142)이 형성되어 이선 롤러 부재(140)의 장착봉(142)이 장착홀(52)에 인입된 상태에서 핀 결합에 의해 작업 붐대(50) 선단에 이선 롤러 부재(140)가 장착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이선 롤러 부재(140)의 덮개부(14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력선이 이선 롤러 부재(14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윈치(13)를 구동하여 작업 붐대(50)를 상승시키고, 덮개부(141)를 닫은 상태에서 LP애자(7)에 결속된 전력선의 바인더선을 풀어 낸 다음 재차 윈치(13)를 구동하면 작업 붐대(50)가 상승하여 LP애자(7)로부터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게 되고, 이때 LP애자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윈치부(10)의 장착홈(11) 상·하측에 안내 롤러(16)가 마련됨에 따라 작업 붐대(50)를 부드럽게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붐(1) 선단에 버킷(2)과 윈치부(10)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윈치부(10)에 마련된 장착홈(11)에 탈착 가능하게 인입 설치되는 가이드 소켓(150)과, 가이드 소켓(1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붐대(50)와, 가이드 소켓(150)의 상·하측에 작업 붐대(50)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작업 붐대(50)의 외주면과 접하는 안내 롤러(16), 작업 붐대(50)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141)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가 취부된 이선 롤러 부재(140) 및, 윈치부(10)의 와이어(12)가 작업 붐대(50)의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13)의 구동으로 배전선로로부터 해당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작업 붐대(50)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윈치부(10)의 장착홈(11)에 가이드 소켓(150)이 탈착 가능하게 인입 설치됨으로써, 장착홈(11)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그에 따른 가이드 소켓(150)의 제작만으로 여러 회사에서 제작되는 활선작업차에도 본 발명을 양호하게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 소켓(150)은 윈치부(10)의 장착홈(11)에 인입되는 인입부재(151)와 장착홈(11) 상단에 걸쳐지는 두부(152)로 구성되고, 두부(152) 상단에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안내 롤러(16)가 취부되고, 인입부재(151) 하단에도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안내 롤러(16)가 취부된다.
물론, 윈치부(10)에는 가이드 소켓(150)이 장착홈(11)에 인입 설치된 상태에서, 가이드 소켓(150)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핀 결합되는 결속 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개시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직·간접활선작업에 따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1 : 붐
2 : 버킷
3 : 회전장치
4 : 전주
5 : 완금
6 : 폴리머 (현수)애자
7 : LP애자
10: 윈치부
11: 장착홈
12: 와이어
13: 윈치
14: 체결핀
15: 홀더
16; 안내롤러
20: 편출부재
21: 개구부
22: 인입부
23: 핀공
24: 핀공
25: 핀
26: 와이어 풀리
27: 인출공
30: 연장부재
31: 핀공
32: 핀공
40: 가이드부재
41: 승강홈부
42: 인입관
43: 핀공
44: 핀
45: 가이드롤러
46: 와이어풀리
47: 인입공
50: 작업붐대
51: 핀공
52: 장착홀
60: 가완목 장착부재
61: 장착홈부
62: 인입단
63: 핀공
64: 핀
65: 고정구
70: 가완목
80: 지지대
81: 체결홀
90: 체결밴드
91: 도어편
92: 시건 홈
93: 덮개편
94: 가압핸들
95: 가압판
96: 안착홈
97: 결속고리
100: 체결고리부
101: 링부재
102: 결속고리
103: 걸이공
110: 이선롤러밴드
111: 덮개부
112: 이선롤러
113: 덮개부
114: 핀고리
120: 이선밴드
121: 이선고리
130: 이선밴드기구
131: 절연단
132: 이선용고리
140; 이선롤러부재
141: 덮개부
142: 장착봉
150: 가이드소켓
151: 인입부재
152: 두부
2 : 버킷
3 : 회전장치
4 : 전주
5 : 완금
6 : 폴리머 (현수)애자
7 : LP애자
10: 윈치부
11: 장착홈
12: 와이어
13: 윈치
14: 체결핀
15: 홀더
16; 안내롤러
20: 편출부재
21: 개구부
22: 인입부
23: 핀공
24: 핀공
25: 핀
26: 와이어 풀리
27: 인출공
30: 연장부재
31: 핀공
32: 핀공
40: 가이드부재
41: 승강홈부
42: 인입관
43: 핀공
44: 핀
45: 가이드롤러
46: 와이어풀리
47: 인입공
50: 작업붐대
51: 핀공
52: 장착홀
60: 가완목 장착부재
61: 장착홈부
62: 인입단
63: 핀공
64: 핀
65: 고정구
70: 가완목
80: 지지대
81: 체결홀
90: 체결밴드
91: 도어편
92: 시건 홈
93: 덮개편
94: 가압핸들
95: 가압판
96: 안착홈
97: 결속고리
100: 체결고리부
101: 링부재
102: 결속고리
103: 걸이공
110: 이선롤러밴드
111: 덮개부
112: 이선롤러
113: 덮개부
114: 핀고리
120: 이선밴드
121: 이선고리
130: 이선밴드기구
131: 절연단
132: 이선용고리
140; 이선롤러부재
141: 덮개부
142: 장착봉
150: 가이드소켓
151: 인입부재
152: 두부
Claims (9)
- 붐 선단에 버킷과 윈치부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에 마련된 장착홈에 장착되며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편출 부재와,
상기 편출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 측과 상기 버킷 간 수평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연장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의 선단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승강홈부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승강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작업 붐대와,
상기 작업 붐대 선단에 장착되며 횡 방향으로 장착홈부가 형성된 가완목 장착 부재와,
상기 가완목 장착 부재의 장착홈부를 통해 장착되며 전주의 완금에 대응되는 가완목 및,
상기 가완목과 상기 작업 붐대 간에 대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완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하측에 상기 작업 붐대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작업 붐대의 외주면과 접하는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력선을 안착시켜 상기 작업 붐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가 취부된 이선 롤러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주의 완금으로부터 폴리머애자를 옮겨둘 수 있도록 상단 양측에 이선고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선 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주의 완금으로부터 폴리머애자를 옮겨둘 수 있도록 상측에 이격을 위한 소정 높이의 절연단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단 양측에 이선고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선 밴드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윈치부의 와이어가 상기 편출 부재에 형성되고 와이어 풀리가 내재된 인출공을 통해 상방향으로 인출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고 와이어 풀리가 내재된 인입공을 통해 하향 인입되어 상기 작업 붐대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의 구동으로 상기 작업 붐대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붐대는 하단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단과 결속하기 위한 결속고리가 양측에 각 형성된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에 탈착 가능하게 인입 설치되고 단부에 상기 윈치부의 와이어와 결속을 위한 걸이공이 형성된 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붐 선단에 버킷과 윈치부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에 마련된 장착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붐대와,
상기 장착홈의 상·하측에 상기 작업 붐대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작업 붐대의 외주면과 접하는 안내 롤러와,
상기 작업 붐대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가 취부된 이선 롤러 부재 및,
상기 윈치부의 와이어가 상기 작업 붐대의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의 구동으로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해당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상기 작업 붐대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붐 선단에 버킷과 윈치부가 구비된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에 마련된 장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인입 설치되는 가이드 소켓과,
상기 가이드 소켓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붐대와,
상기 가이드 소켓의 상·하측에 상기 작업 붐대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작업 붐대의 외주면과 접하는 안내 롤러,
상기 작업 붐대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마련되고 내측면에 롤러가 취부된 이선 롤러 부재 및,
상기 윈치부의 와이어가 상기 작업 붐대의 하단에 결속된 상태에서 윈치의 구동으로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해당 전력선을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상기 작업 붐대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8418A KR101873421B1 (ko) | 2016-11-08 | 2016-11-08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8418A KR101873421B1 (ko) | 2016-11-08 | 2016-11-08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1298A true KR20180051298A (ko) | 2018-05-16 |
KR101873421B1 KR101873421B1 (ko) | 2018-07-02 |
Family
ID=6245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8418A KR101873421B1 (ko) | 2016-11-08 | 2016-11-08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3421B1 (ko)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86205A (zh) * | 2018-11-21 | 2019-04-05 |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 输电线路接地线夹辅助安装装置 |
CN110499951A (zh) * | 2019-09-17 | 2019-11-26 |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辽阳供电公司 | 一种铁塔横担软梯悬挂点延长装置及应用 |
CN110526181A (zh) * | 2019-08-14 | 2019-12-03 | 许继时代技术有限公司 | 一种带电作业平台及绝缘斗臂车 |
KR20190143320A (ko) * | 2018-06-20 | 2019-12-30 | (주) 진흥이엔지 | 간접 활선용 절연스틱 무중력 거치암 |
CN110880711A (zh) * | 2019-11-20 | 2020-03-13 | 国网天津市电力公司 | 电力检修作业平台及电力检修车 |
CN112065148A (zh) * | 2020-08-04 | 2020-12-11 | 国家电网有限公司 | 一种电力线路横担装置及其新型电力线路横担 |
KR20210016895A (ko) * | 2019-08-06 | 2021-02-17 | 한국전력공사 |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
KR102232560B1 (ko) * | 2020-10-20 | 2021-03-29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
KR102253340B1 (ko) * | 2020-10-20 | 2021-05-17 | 김성수 | 간접 활선 방법 |
CN113734994A (zh) * | 2021-09-08 | 2021-12-03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野外变压器的无吊车更换工装 |
CN114014206A (zh) * | 2021-11-12 | 2022-02-08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柳州供电局 | 一种绝缘喷涂机器人升降装置 |
CN114362065A (zh) * | 2021-12-07 | 2022-04-15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便携式配电网带电接引流线机器人及其作业方法 |
CN114977004A (zh) * | 2022-06-29 | 2022-08-30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 一种电力配网运维检修架 |
KR20230092380A (ko) * | 2021-12-17 | 2023-06-26 | 한국전력공사 | 전주의 완철 지지용 각암타이 |
CN117977439A (zh) * | 2024-03-29 | 2024-05-03 |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 高空作业平台结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9472B1 (ko) | 2019-06-14 | 2020-02-20 | 가나상공(주) |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
KR102358796B1 (ko) | 2020-05-06 | 2022-02-08 | 가나상공(주) |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
KR102390667B1 (ko) | 2020-07-02 | 2022-04-27 | 가나상공 |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5480B1 (ko) * | 2007-07-21 | 2008-10-27 | 양희성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
KR101344289B1 (ko) * | 2012-04-27 | 2013-12-23 | 임용호 |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
-
2016
- 2016-11-08 KR KR1020160148418A patent/KR10187342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3320A (ko) * | 2018-06-20 | 2019-12-30 | (주) 진흥이엔지 | 간접 활선용 절연스틱 무중력 거치암 |
CN109586205B (zh) * | 2018-11-21 | 2023-10-31 |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 输电线路接地线夹辅助安装装置 |
CN109586205A (zh) * | 2018-11-21 | 2019-04-05 |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 输电线路接地线夹辅助安装装置 |
KR20210016895A (ko) * | 2019-08-06 | 2021-02-17 | 한국전력공사 |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
CN110526181A (zh) * | 2019-08-14 | 2019-12-03 | 许继时代技术有限公司 | 一种带电作业平台及绝缘斗臂车 |
CN110499951B (zh) * | 2019-09-17 | 2024-04-19 |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辽阳供电公司 | 一种铁塔横担软梯悬挂点延长装置及应用 |
CN110499951A (zh) * | 2019-09-17 | 2019-11-26 |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辽阳供电公司 | 一种铁塔横担软梯悬挂点延长装置及应用 |
CN110880711A (zh) * | 2019-11-20 | 2020-03-13 | 国网天津市电力公司 | 电力检修作业平台及电力检修车 |
CN112065148A (zh) * | 2020-08-04 | 2020-12-11 | 国家电网有限公司 | 一种电力线路横担装置及其新型电力线路横担 |
KR102232560B1 (ko) * | 2020-10-20 | 2021-03-29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
KR102253340B1 (ko) * | 2020-10-20 | 2021-05-17 | 김성수 | 간접 활선 방법 |
WO2022085943A1 (ko) * | 2020-10-20 | 2022-04-28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
CN113734994B (zh) * | 2021-09-08 | 2023-10-13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野外变压器的无吊车更换工装 |
CN113734994A (zh) * | 2021-09-08 | 2021-12-03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野外变压器的无吊车更换工装 |
CN114014206A (zh) * | 2021-11-12 | 2022-02-08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柳州供电局 | 一种绝缘喷涂机器人升降装置 |
CN114014206B (zh) * | 2021-11-12 | 2023-09-01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柳州供电局 | 一种绝缘喷涂机器人升降装置 |
CN114362065B (zh) * | 2021-12-07 | 2024-02-02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便携式配电网带电接引流线机器人及其作业方法 |
CN114362065A (zh) * | 2021-12-07 | 2022-04-15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便携式配电网带电接引流线机器人及其作业方法 |
KR20230092380A (ko) * | 2021-12-17 | 2023-06-26 | 한국전력공사 | 전주의 완철 지지용 각암타이 |
CN114977004A (zh) * | 2022-06-29 | 2022-08-30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 一种电力配网运维检修架 |
CN117977439A (zh) * | 2024-03-29 | 2024-05-03 |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 高空作业平台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3421B1 (ko) | 2018-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3421B1 (ko)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 |
CN102140897B (zh) | 钻杆自动排放装置 | |
JP6209422B2 (ja) | 電柱支持装置 | |
KR101593000B1 (ko) |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 |
KR20090039398A (ko)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 |
KR20140081139A (ko) |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 |
CN107893569B (zh) | 废旧电线杆移除机 | |
KR100865480B1 (ko)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 |
CN112591590A (zh) | 一种用于立井多绳摩擦提升机的调绳装置 | |
CN109590702A (zh) | 一种户外通信机柜的安装工艺 | |
CN110707601B (zh) | 一种可进入多回路垂直排列导线等电位作业的方法 | |
CN105600667B (zh) | 一种车用大拖板吊具 | |
CN117166837A (zh) | 一种电力建设电杆埋设装置及其方法 | |
KR100925068B1 (ko)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 |
CN215160246U (zh) | 一种钢板吊装工具 | |
KR100645161B1 (ko) | 가이드 롤러장치 | |
EP4212699A1 (en) | Pipe transport device | |
CN211078234U (zh) | 一种电缆盖板安全提升装置 | |
CN108324305A (zh) | 一种ct机及其后罩的锁紧装置 | |
CN210795565U (zh) | 一种盘卷钢筋起吊装置 | |
CN109986327B (zh) | 一种拆夹爪及采用该拆夹爪的拆夹机 | |
CN207739960U (zh) | 一种旋挖钻机随行器 | |
CN111017719A (zh) | 一种电缆盖板安全提升装置 | |
CN206608116U (zh) | 抽油杆起下装置及抽油杆起下系统 | |
KR102424945B1 (ko) | 락킹 개폐조작레버에 의한 작동비트가 형성된 간접활선 작업용 안전후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