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340B1 - 간접 활선 방법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340B1
KR102253340B1 KR1020200135603A KR20200135603A KR102253340B1 KR 102253340 B1 KR102253340 B1 KR 102253340B1 KR 1020200135603 A KR1020200135603 A KR 1020200135603A KR 20200135603 A KR20200135603 A KR 20200135603A KR 102253340 B1 KR102253340 B1 KR 10225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r
taping
wire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20013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선을 공중에 가로질러 설치하기 위한 가선설치 방법과 작업공간의 확장을 위한 간접 활선 방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접 활선 방법{Indirect live wire method}
본 발명은 전기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공간 등의 확장을 위한 간접 활선 방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선작업은 전선로에 송전을 계속하면서 실시하는 선로 작업을 말한다. 활선작업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송배전 설비와 같이 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수행되며, 활선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절연용 보호구나 방호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전선로의 활선작업은 애자 등의 전선로 구성 부품을 점검, 수리, 교체, 청소하는 작업 등이 있으며, 직접 활선 작업과 간접 활선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간접 활선작업은 핫스틱 등의 절연공구를 사용하여 간접 작업을 하는 방법이다. 간접 활선작업은 안전성이 있는 반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직접 활선작업은 절연된 버켓 안에서 작업자가 절연장갑을 착용한 후 활선 상태에서 직접 접촉 작업을 하는 방법이다. 직접 활선작업은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절양되는 반면, 감점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종종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15952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53479호
본 발명은 작업공간 등의 확장을 위한 간접 활선 방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대한 방법과 전기공사를 위한 구성을 제공한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을 공중에 가로질러 설치하기 위한 가선설치 방법과 작업공간의 확장을 위한 간접 활선 방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공사방법은, 전선을 공중에서 가로질러 설치하기 위한 가선설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선설치부는, 지면에서 일정 깊이로 박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주대; 접지클램프가 고정될 수 있도록 지주대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주관; 인장클램프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주관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접지클램프; 가선을 지주관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접지클램프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선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인장클램프; 지주대와 절연을 위해 인장클램프 상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현수애자; 가선을 지지하도록 인장클램프 하측으로 형성되는 가선연결모듈을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선설치부는, 지주관과 가선에 원터치 방식으로 현수애자를 설치하기 위한 자동설치부를 더 포함하며, 중앙에 복수개의 현수애자가 형성되며, 내부로 인장스크류 일부가 매립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메인기둥; 중앙에 복수개의 현수애자가 형성되며, 내부로 인장스크류 일부가 매립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인장기둥; 메인기둥과 인장기둥 내부에 부재에 결합형성되는 인장스크류; 인장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인장기둥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인장모터; 일측이 메인기둥의 양측에서 각각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지주관에 결합되도록 지주관 외관과 대응되는 형태의 상부고정부재가 형성되는 상부고정대; 지주관 양측으로 결합되어 지주관 상에 메인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상부고정부재; 일측이 인장기둥의 양측에서 각각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가선에 결합되도록 가선과 대응되는 형태의 하부고정부재가 형성되는 하부고정대; 가선 양측으로 결합되어 가선 상에 인장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하부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선설치부는, 계절에 따라 가선의 쳐짐과 수축 발생시 가선의 끈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지주관 하부로 형성되는 자동인장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인장조절부는,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유동기둥이 회전될 수 있도록 접지클램프와 기둥힌지를 통해 결합 되는 유동기둥; 유동기둥을 회전시키기 위해 접지클램프와 유동기둥 간의 결합 형성되는 기둥힌지; 제1롤러와 제2롤러가 고정되고, 일측이 유동기둥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롤러부재; 가선의 상부와 밀착되도록 롤러부재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제1롤러; 가선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롤러부재 타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제2롤러; 제1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롤러부재에 결합되고, 모터축이 롤러부재를 관통하여 제1롤러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롤러모터; 쳐짐과 수축 발생시 이를 감지하기 위해 제1롤러와 제2롤러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텐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가선설치부는, 가선 간의 폭이 자동 조절되도록 지주관 하부로 형성되는 모듈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제1접지부재와 제2접지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주관 하부로 형성되는 이동레일; 이동레일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접지부재; 이동레일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접지부재; 제1접지부재 하부로 연결 형성되며, 중앙으로 복수개의 현수애자가 형성되는 제1인장부재; 제2접지부재 하부로 연결 형성되며, 중앙으로 복수개의 현수애자가 형성되는 제2인장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선을 지지하도록 결합되어 일측이 제1인장부재 하부와 연결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 타측으로 형성되는 가선을 지지하도록 결합되어 일측이 제2인장부재 하부와 연결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 제1접지부재와 제2접지부재 사이에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상부회전스크류; 상부회전스크류를 회전시켜 제1접지부재와 제2접지부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부회전스크류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상부스크류모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사이에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하부회전스크류; 하부회전스크류를 회전시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하부회전스크류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하부스크류모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공사방법은, 전신주에서 작업공간의 확장을 위한 간접활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간접활선부는, 지면에 일정 깊이로 박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전신주; 고압의 전류가 흐르도록 전신주 일측으로 형성되는 활선; 작업자가 탑승하여 전신주 상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탑승대차; 탑승대차를 전신주의 작업 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작업이동바; 일측이 작업이동바와 연결되고, 타측이 바고정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대차고정바; 고정대지지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대차고정바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대차고정바와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대지지바에 결합 형성되는 바고정대; 전신주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대지지바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접활선부는, 전신주에 작업차를 고정시켜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차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차고정부는,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대차고정관; 대차고정관을 따라 고정관실린더의 작동으로 슬라이드 돌출되도록 대차고정관 내부에서 고정관실린더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고정관; 이동고정관을 대차고정관 내부에서 돌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일측이 대차고정관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이동고정관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고정관실린더; 전신주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동고정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 전신주에 밀착시 밀착 압력을 감지하기 고정관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밀착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착센서; 전신주 타측면을 감싸도록 밀착부재 일측으로 결합힌지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회전고정부재; 회전고정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밀착부재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실린더축이 회전고정부재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결합실린더; 밀착부재를 기준으로 회전고정부재가 회전되도록 밀착부재와 회전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힌지; 결합실린더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밀착부재 일측과 실린더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고정부재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접활선부는, 탑승대차의 이동시 활선을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류를 감지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전류감지회피부를 더 포함하며, 탑승대차가 승하강되도록 작업이동바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 승하강가이드를 따라 탑승대차가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 가이드결합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승하강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승하강홈; 일측이 탑승대차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하강홈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바; 활선을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류를 자동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승하강실린더와 감지알람과 감지등 측으로 제공하도록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류감지센서;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따라 전류 감지정보인 경우 소리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지알람;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따라 전류 감지정보인 경우 빛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감지알람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지등을 포함하며, 상기 간접활선부는, 활선에 자동으로 절연패드를 테이핑하기 위해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선테이핑부를 더 포함하며, 활선 측으로 테이핑집게를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테이핑고정대;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테이핑집게가 형성되며, 타측이 테이핑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테이핑바; 절연패드를 권취하여 활선에 안착시 활선을 감싸도록 작동하는 테이핑집게; 테이핑집게 상에서 절연패드가 떨어지지 않도록 절연패드를 흡입하도록 테이핑집게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흡착구; 흡착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테이핑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착펌프; 일측이 흡착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착펌프에 연결형성되는 흡착관; 절연패드의 일측을 가열하여 융착시키기 위해 테이핑집게의 일측과 타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을 보내거나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선을 공중에 가로질러 설치하기 위한 가선 방법과, 작업공간 등의 확장을 위한 간접 활선 방법으로 고압 전류로 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전기공사방법의 가선설치부에 대한 방법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법도에 따른 설치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 가선설치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설치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가선설치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인장조절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가선설치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모듈이동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전기공사방법의 간접활선부에 대한 방법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도에 따른 설치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간접활선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작업차고정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간접활선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전류감지회피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간접활선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전선테이핑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전기공사방법의 가선설치부(100)에 대한 방법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방법도에 따른 설치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기공사방법은 전선을 공중에서 가로질러 설치하기 위해 가선설치방법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선설치부(100)의 방법도는 지선애자설치단계(S10), 접지클램프설치단계(S20), 현수애자조립단계(S30), 인장클램프체결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선애자설치단계(S10)는 고압전선과 지면 상의 접지를 위해 연결 하는 단계이다.
상기 접지클램프설치단계(S20)는 지주관(120)에 접지클램프(130)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현수애자조립단계(S30)는 현수애자(150)를 인장클램프(140) 상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인장클램프체결단계(S40)는 현수애자(150)가 설치된 인장클램프(140)를 접지클램프(130)에 결합하며, 인장클램프(140)를 가선을 고정하고 있는 연결모듈과의 연결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각 단계를 이행하기 위한 가선설치부(100)는 전선을 공중에서 가로질러 설치하기 위해 상기 각 단계의 설치단계를 통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선설치부(100)는 지주대(110), 지주관(120), 접지클램프(130), 인장클램프(140), 현수애자(150), 가선연결모듈(160)을 포함한다.
상기 지주대(110)는 지면에 일부가 일정 깊이로 박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주대(110)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관(120)은 지주대(110)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관(120)은 접지클램프(130)가 고정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클램프(130)는 인장클램프(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클램프(130)는 지주관(120) 하부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클램프(140)는 가선을 지주관(120)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장클램프(140)는 일측이 접지클램프(130)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선과 연결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클램프(140)는 가선의 흔들림 발생시 가선의 끈어짐을 방지하도록 접지클램프(130) 상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가선의 흔들림에도 일정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수애자(150)는 지주대(110)와 절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애자(150)는 인장클램프(140) 상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인장클램프(140)는 상부와 하부 두개로 형성되며, 상부 인장클램프(140) 하부로 현수애자(150)가 복수개 형성되며, 최종 현수애자(150) 하측으로 하부 인장클램프(140)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현수애자(150)로 인해 가선과 지주관(120) 사이의 절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가선연결모듈(160)은 가선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선연결모듈(160)은 가선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인장클램프(140)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 가선설치부(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설치부(2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설치부(200)는 가선설치부(100)에 적용하여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자동설치부(200)는 가선설치부(100)의 구성과 복합적으로 사용되거나 자동설치부(200)의 구성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설치부(200)는 지주관(120)과 가선에 원터치 방식으로 현수애자(15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설치부(200)는 메인기둥(210), 인장기둥(211), 인장스크류(212), 인장모터(213), 상부고정대(220), 상부고정부재(222), 하부고정대(230), 하부고정부재(23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기둥(210)은 자동설치부(200)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기둥(210)은 인장기둥(211)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기둥(210)은 내부로 인장스크류(212)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인장스크류(2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기둥(210)은 절연을 위해 중앙에 현수애자(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기둥(211)은 자동설치부(200)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장기둥(211)은 메인기둥(210)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기둥(211)은 내부로 인장스크류(212)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인장스크류(2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기둥(211)은 절연을 위해 중앙에 현수애자(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스크류(212)는 메인기둥(210)과 인장기둥(211) 내부로 형성되는 각 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장스크류(212)는 회전시 메인기둥(210)과 인장기둥(211)이 접촉되도록 이동되거나, 메인기둥(210)과 인장기둥(21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스크류(212)에 의해 메인기둥(210)과 인장기둥(211)을 늘리거나 축소하는 것은 지주관(120)과 가선 사이의 거리조절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모터(213)는 인장스크류(212)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장모터(213)는 인장기둥(211) 내부 일측으로 고정되며, 모터축이 인장스크류(212)와 연결되어 인장모터(213)의 회전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대(220)는 일측이 메인기둥(210)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대(220)는 설치시 메인기둥(210)에서 탈거하여 지주관(120)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대(220)는 메인기둥(210) 양측에서 각각 힌지를 통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부재(222)는 상부고정대(2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부재(222)는 메인기둥(2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상부고정대(220)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부재(222)는 메인기둥(210)을 감싸도록 각각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각의 지주관(120)을 양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형성되는 상부고정부재(222)는 "⊂"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형성되는 상부고정부재(222)는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대(230)는 일측이 인장기둥(211)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고정대(230)는 설치시 인장기둥(211)에서 탈거하여 가선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대(230)는 인장기둥(211) 양측에서 각각 힌지를 통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부재(232)는 하부고정대(2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고정부재(232)는 인장기둥(211)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하부고정대(230)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부재(232)는 인장기둥(211)을 감싸도록 각각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형의 가선을 양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형성되는 하부고정부재(232)는 "("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형성되는 하부고정부재(232)는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설치부(200)는 접지클램프(130)와 인장클램프(140)와 가선연결모듈(160)의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따로 접지클랩프를 지주관(120)에 고정설치할 필요없이 지주관(120)과 가선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부고정부재(222)와 하부고정부재(232)를 결합고정시켜 현수애자(150)가 지주관(120)과 가선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가선설치부(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인장조절부(3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인장조절부(300)는 가선설치부(100)에 적용하여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자동인장조절부(300)는 가선설치부(100)의 구성과 복합적으로 사용되거나 자동인장조절부(300)의 구성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인장조절부(300)는 계절에 따라 가선의 쳐짐과 수축 발생시 가선의 끈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지주관(120) 하부로 설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인장조절부(300)는 유동기둥(310), 기둥힌지(311), 롤러부재(320), 제1롤러(330), 제2롤러(331), 롤러모터(340), 텐션감지센서(35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기둥(310)은 롤러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기둥(310)은 접지클램프(130) 하부로 기둥힌지(311)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기둥(310) 중앙 위치에는 복수개의 현수애자(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현수애자(150)를 중심으로 상부로 유동기둥(310)이 형성되고, 현수애자(150) 하부로 유동기둥(310)이 형성되어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힌지(311)는 유동기둥(310)과 접지클램프(130)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힌지(311)는 일측이 접지클램프(130)에 결합되고 힌지 핀에 의해 유동기둥(310)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기둥힌지(311)는 부재와 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부재는 접지클램프(130)에 형성되고, 결합시 핀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재(320)는 제1롤러(330)와 제2롤러(331)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부재(320)는 일측이 유동기둥(310)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롤러(330)는 롤러부재(3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선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롤러(331)는 롤러부재(32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선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롤러(330)와 제2롤러(331)는 가선과 밀착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모터(340)는 제1롤러(330)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모터(340)는 일측이 롤러부재(320)에 결합되고, 모터축은 롤러부재(320)를 관통하여 제1롤러(330)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감지센서(350)는 가선의 쳐짐과 수축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감지센서(350)는 제1롤러(330)와 제2롤러(331)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선의 쳐짐발생시 제2롤러(331) 측의 텐션감지센서(350)를 통해 쳐짐이 이루어짐을 감지하며, 가선의 수축발생시 제1롤러(330) 측의 텐션감지센서(350)를 통해 수축이 이루어짐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가선설치부(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모듈이동부(4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듈이동부(400)는 가선설치부(100)에 적용하여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모듈이동부(400)는 가선설치부(100)의 구성과 복합적으로 사용되거나 모듈이동부(400)의 구성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이동부(400)는 가선 간의 폭을 자동 조절하기 위해 지주관(12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이동부(400)는 이동레일(410), 제1접지부재(420), 제2접지부재(421), 제1인장부재(423), 제2인장부재(424), 제1연결부재(425), 제2연결부재(426), 상부회전스크류(430), 상부스크류모터(431), 하부회전스크류(440), 하부스크류모터(441)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레일(410)은 제1접지부재(420)와 제2접지부재(421)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레일(410)은 지주관(120) 하부에서 일측방향인 가선간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지부재(420)는 이동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접지부재(420)는 이동레일(410)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4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접지부재(421)는 이동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접지부재(421)는 이동레일(410)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410)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인장부재(423)는 제1접지부재(420) 하부로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인장부재(423)는 중앙으로 절연을 위한 복수개의 현수애자(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인장부재(423)는 상부가 제1접지부재(420)가 연결되고, 하부는 제1연결부재(425)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인장부재(424)는 제2접지부재(421) 하부로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인장부재(424)는 중앙으로 절연을 위한 복수개의 현수애자(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인장부재(424)는 상부가 제2접지부재(421)가 연결되고, 하부는 제2연결부재(426)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425)는 가선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425)는 일측이 제1인장부재(423)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425)는 가선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선과 완전 밀착되지 않고 일정 틈이 유지되도록 하여 제1연결부재(425)가 가선을 따라 이동되거나, 끈어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426)는 가선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426)는 일측이 제2인장부재(424)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426)는 가선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선과 완전 밀착되지 않고 일정 틈이 유지되도록 하여 제2연결부재(426)가 가선을 따라 이동되거나, 끈어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회전스크류(430)는 제1접지부재(420)와 제2접지부재(421) 사이에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회전스크류(430)는 일측이 제1접지부재(420)와 결합되고, 상부회전스크류(430)의 타측은 제2접지부재(421)와 결합됨으로 상부회전스크류(430)의 회전시 제1접지부재(420)와 제2접지부재(421)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하거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스크류모터(431)는 상부회전스크류(430)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회전스크류(430)는 상부스크류모터(431) 일측에 모터축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스크류모터(431)는 모터축에 형성되는 기어가 상부회전스크류(430)와 맞물려 형성되거나, 모터축에 형성되는 기어를 중심으로 제1접지부재(420) 측으로 형성되는 상부회전스크류(430)와 제2접지부재(421) 측으로 형성되는 상부회전스크류(430)가 서로 엇갈리도록 기어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회전스크류(440)는 제1연결부재(425)와 제2연결부재(426) 사이에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회전스크류(440)는 일측이 제1연결부재(425)와 결합되고, 하부회전스크류(440)의 타측은 제2연결부재(426)와 결합됨으로 하부회전스크류(440)의 회전시 제1연결부재(425)와 제2연결부재(426)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하거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스크류모터(441)는 하부회전스크류(440)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회전스크류(440)는 하부스크류모터(441) 일측에 모터축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스크류모터(441)는 모터축이 형성되는 기어가 하부회전스크류(440)와 맞물려 형성되거나, 모터축이 형성되는 기어를 중심으로 제1연결부재(425) 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회전스크류(440)와 제2연결부재(426) 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회전스크류(440)가 서로 엇갈리도록 기어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전기공사방법의 간접활선부(500)에 대한 방법도이며, 도 7은 도 6의 고정도에 따른 설치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기공사방법은 간접활선방법을 통해 작업공간의 확장을 위한 간접 활선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간접활선부(500)의 방법도는 전선피박제거단계(S100), 클램프체결단계(S200), 커버취부단계(S300), 테이핑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피박제거단계(S100)는 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한 위치인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체결단계(S200)는 전선을 피박한 위치에 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커버취부단계(S300)는 클램프를 체결한 전선 상의 절연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테이핑단계(S400)는 커버 취부 후 커버 상에 절연 테이프를 테이핑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각 단계를 이행하기 위한 간접활선부(500)는 전신주(510)에서 작업공간의 확장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작업차를 타고 이동하며 작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접활선부(500)는 전신주(510), 활선, 탑승대차(530), 작업이동바(531), 대차고정바(532), 바고정대(533), 고정대지지바(534)를 포함한다.
상기 전신주(510)는 일부가 지면에서 일정 깊이로 박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신주(510)는 지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선(520)은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으로 상기 전신주(5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탑승대차(53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전신주(510)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탑승대차(530)는 작업자가 원하는 전신주(510) 작업 위치로 이동시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이동바(531)는 탑승대차(530)를 전신주(510)의 작업 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이동바(531)는 탑승대차(530) 일측으로 형성되어 탑승대차(530)를 승하강시키거나 전신주(510)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차고정바(532)는 일측이 작업이동바(531)와 연결되고, 타측이 바고정대(533)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대차고정바(532)는 탑승대차(530)와 바고정대(53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탑승대차(530)가 전신주(5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고정대(533)는 일측이 고정대지지바(534)에 결합되고, 타측은 대차고정바(532)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고정대(533) 측으로 대차고정바(532)가 삽입되어 탑승대차(530)와 전신주(510)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거나 넓혀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지지바(534)는 전신주(5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지지바(534)는 바고정대(533)가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간접활선부(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작업차고정부(6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차고정부(600)는 간접활선부(500)에 적용하여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차고정부(600)는 간접활선부(500)의 구성과 복합적으로 사용되거나 작업차고정부(600)의 구성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차고정부(600)는 전신주(510)에 작업차인 탑승대차(530)를 고정시켜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흔들림에도 탑승대차(53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흔들림에 의한 낙상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차고정부(600)는 대차고정관(610), 이동고정관(620), 고정관실린더(621), 밀착부재(622), 밀착센서(623), 회전고정부재(624), 결합실린더(625), 결합힌지(626), 힌지고정부재(627)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고정관(610)은 탑승대차(5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동고정관(620)이 대차고정관(610)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될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고정관(620)은 대차고정관(6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고고정관의 일측은 대차고정관(610) 내부로 형성되는 고정관실린더(621)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고정관(620)은 고정관실린더(621)의 작동으로 이동고정관(620)이 대차고정관(610) 내부로 유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관실린더(621)는 이동고정관(620)을 돌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관실린더(621)는 일측이 대차고정관(610)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인 실린더 축은 이동고정관(620)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관실린더(621)는 전신주(510) 측으로 이동고정관(620)을 돌출시켜 밀착부재(622)가 전신주(510)와 밀착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622)는 전신주(510)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622)는 이동고정관(6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긱 밀착부재(622)는 전신주(510) 외둘레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밀착시 밀착력을 높여주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착센서(623)는 밀착부재(622)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밀착부재(622)가 전신주(510)와 접촉시 밀착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설정되는 압력 범위내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정보를 고정관실린더(621) 측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고정부재(624)는 전신주(510) 타측면을 감싸도록 밀착부재(62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고정부재(624)는 밀착부재(622)와 결합힌지(626)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고정부재(624)는 결합실린더(625)의 작동으로 전신주(510) 타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622)와 회전고정부재(624)를 통해 전신주(510)에 완전 밀착됨으로 탑승대차(530) 측으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실린더(625)는 회전고정부재(624)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실린더(625)는 일측이 밀착부재(622)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재(627)에 결합되고, 결합실린더(625)의 실린더 축은 회전고정부재(624)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재(627)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결합실린더(625)의 작동시 결합실린더(625)가 일부 회전되어 회전고정부재(624)를 밀어 전신주(510) 타측면에 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힌지(626)는 밀착부재(622)를 기준으로 회전고정부재(624)가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힌지(626)는 밀착부재(622) 일측과 회전고정부재(62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고정부재(627)는 결합실린더(625)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고정부재(627)는 결합실린더(625)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밀착부재(622) 일측에 형성되며, 실린더 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고정부재(624)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고정부재(627)는 결합실린더(625)와 고정시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고, 밀착부재(622)와 결합시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고정부재(627)에서 결합실린더(625)가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 간접활선부(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전류감지회피부(7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류감지회피부(700)는 간접활선부(500)에 적용하여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전류감지회피부(700)는 간접활선부(500)의 구성과 복합적으로 사용되거나 전류감지회피부(700)의 구성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감지회피부(700)는 탑승대차(530)의 이동시 활선을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류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감전사고에 있어서,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감지회피부(700)는 승하강가이드(710), 승하강실린더(711), 승하강홈(712), 가이드결합바(720), 전류감지센서(730), 감지알람(740), 감지등(750)을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가이드(710)는 탑승대차(530)가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가이드(710)는 작업이동바(531)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711)는 승하강가이드(710)를 따라 탑승대차(530)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실린더(711)는 승하강가이드(7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711)는 전류감지센서(730)로부터 제공받는 감지정보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 전류감지시 탑승대차(530)가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홈(712)은 승하강가이드(71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홈(712)은 탑승대차(5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결합바(7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하강홈(712)을 따라 가이드결합바(720)가 승하강되는 것으로, 가이드결합바(720)에 연결된 탑승대차(530)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결합바(720)는 승하강홈(7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결합바(720)는 탑승대차(5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결합바(720)는 승하강실린더(711)의 실린더 축이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승하강실린더(711)의 작동시 가이드결합바(720)를 밀거나 당겨 탑승대차(530)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감지센서(730)는 활선을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류를 자동감지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승하강실린더(711)와 감지알람(740)과 감지등(750)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류감지센서(730)는 탑승대차(5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알람(740)은 전류감지센서(730)로부터 제공받는 감지정보에 따라 전류 감지정보인 경우 소리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알람(740)은 탑승대차(5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등(750)은 전류감지센서(730)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따라 전류 감지정보인 경우 빛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등(750)은 감지알람(74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 간접활선부(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전선테이핑부(8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선테이핑부(800)는 간접활선부(500)에 적용하여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전선테이핑부(800)는 간접활선부(500)의 구성과 복합적으로 사용되거나 전선테이핑부(800)의 구성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테이핑부(800)는 활선에 자동으로 절연패드를 테이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선테이핑부(800)는 탑승대차(530) 일측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동승하지 않아도 원격으로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테이핑부(800)는 테이핑고정대(810), 접근실린더(811), 접근감지센서(812), 테이핑바(820), 테이핑집게(830), 흡착구(831), 흡착펌프(832), 흡착관(833), 가열수단(840)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핑고정대(810)는 활선 측으로 테이핑집게(830)를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대차(5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근실린더(811)는 일측이 테이핑고정대(8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테이핑바(820)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근실린더(811)는 테이핑바(820)를 활선 측으로 접근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근감지센서(812)는 테이핑바(820)가 활선 측으로 접근시 접근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근감지센서(812)는 테이핑바(8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핑바(820)는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테이핑집게(830)가 형성되며, 타측은 접근실린더(811)의 실린더 축에 결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핑바(820)는 활선 측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접근감지센서(812)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정보에 따라 작동되는 접근실린더(811)에 의해 활선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핑집게(830)는 절연패드를 권취하여 활선에 안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테이핑집게(830)는 절연패드를 활선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활선을 감싸도록 집어줌으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열수단(840)을 이용하여 절연패드의 일측이 상호 융착되어 접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수단(840)은 테이핑집게(830)의 개구부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활선을 감쌈에 따라 일측의 테이핑집게(830)에 형성된 가열수단(840)과 타측의 테이핑집게(830)에 형성된 가열수단(840)과 접촉됨으로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절연패드가 융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구(831)는 흡착펌프(832)를 통해 공기가 흡착관(833)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착구(831)는 테이핑집게(830)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흡착구(83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절연패드를 당겨 테이핑집게(830) 상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펌프(832)는 흡착구(83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테이핑고정대(8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관(833)은 흡착펌프(832)와 흡착구(831)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착관(833)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선설치부 110 : 지주대
120 : 지주관 130 : 접지클램프
140 : 인장클램프 150 : 현수애자
160 : 가선연결모듈
200 : 자동설치부 210 : 메인기둥
211 : 인장기둥 212 : 인장스크류
213 : 인장모터 220 : 상부고정대
222 : 상부고정부재 230 : 하부고정대
232 : 하부고정부재
300 : 자동인장조절부 310 : 유동기둥
311 : 기둥힌지 320 : 롤러부재
330 : 제1롤러 331 : 제2롤러
340 : 롤러모터 350 : 텐션감지센서
400 : 모듈이동부 410 : 이동레일
420 : 제1접지부재 421 : 제2접지부재
423 : 제1인장부재 424 : 제2인장부재
425 : 제1연결부재 426 : 제2연결부재
430 : 상부회전스크류 431 : 상부스크류모터
440 : 하부회전스크류 441 : 하부스크류모터
500 : 간접활선부 510 : 전신주
520 : 활선 530 : 탑승대차
531 : 작업이동바 532 : 대차고정바
533 : 바고정대 534 : 고정대지지바
600 : 작업차고정부 610 : 대차고정관
620 : 이동고정관 621 : 고정관실린더
622 : 밀착부재 623 : 밀착센서
624 : 회전고정부재 625 : 결합실린더
626 : 결합힌지 627 : 힌지고정부재
700 : 전류감지회피부 710 : 승하강가이드
711 : 승하강실린더 712 : 승하강홈
720 : 가이드결합바 730 : 전류감지센서
740 : 감지알람 750 : 감지등
800 : 전선테이핑부 810 : 테이핑고정대
811 : 접근실린더 812 : 접근감지센서
820 : 테이핑바 830 : 테이핑집게
831 : 흡착구 832 : 흡착펌프
833 : 흡착관 840 : 가열수단

Claims (2)

  1. 작업공간의 확장을 위한 간접 활선 방법을 위한 전기공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사방법은,
    전신주에서 작업공간의 확장을 위한 간접활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간접활선부는,
    지면에 일정 깊이로 박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전신주;
    고압의 전류가 흐르도록 전신주 일측으로 형성되는 활선;
    작업자가 탑승하여 전신주 상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탑승대차;
    탑승대차를 전신주의 작업 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작업이동바;
    일측이 작업이동바와 연결되고, 타측이 바고정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대차고정바;
    고정대지지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대차고정바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대차고정바와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대지지바에 결합 형성되는 바고정대;
    전신주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대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간접활선부는,
    전신주에 작업차를 고정시켜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차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차고정부는,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대차고정관;
    대차고정관을 따라 고정관실린더의 작동으로 슬라이드 돌출되도록 대차고정관 내부에서 고정관실린더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고정관;
    이동고정관을 대차고정관 내부에서 돌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일측이 대차고정관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이동고정관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고정관실린더;
    전신주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동고정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
    전신주에 밀착시 밀착 압력을 감지하기 고정관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밀착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착센서;
    전신주 타측면을 감싸도록 밀착부재 일측으로 결합힌지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회전고정부재;
    회전고정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밀착부재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실린더축이 회전고정부재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결합실린더;
    밀착부재를 기준으로 회전고정부재가 회전되도록 밀착부재와 회전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힌지;
    결합실린더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밀착부재 일측과 실린더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고정부재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간접활선부는,
    탑승대차의 이동시 활선을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류를 감지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전류감지회피부를 더 포함하며,
    탑승대차가 승하강되도록 작업이동바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
    승하강가이드를 따라 탑승대차가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
    가이드결합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승하강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승하강홈;
    일측이 탑승대차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하강홈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바;
    활선을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류를 자동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승하강실린더와 감지알람과 감지등 측으로 제공하도록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류감지센서;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따라 전류 감지정보인 경우 소리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지알람;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따라 전류 감지정보인 경우 빛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감지알람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지등을 포함하며,
    상기 간접활선부는,
    활선에 자동으로 절연패드를 테이핑하기 위해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선테이핑부를 더 포함하며,
    활선 측으로 테이핑집게를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대차 일측으로 형성되는 테이핑고정대;
    일측이 테이핑고정대에 연결되고, 타측은 테이핑바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테이핑바를 활선 측으로 접근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접근실린더;
    테이핑바가 활선 측으로 접근시 접근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테이핑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접근감지센서;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테이핑집게가 형성되며, 타측이 접근실린더의 실린더 축과 결합 형성되는 테이핑바;
    절연패드를 권취하여 활선에 안착시 활선을 감싸도록 작동하는 테이핑집게;
    테이핑집게 상에서 절연패드가 떨어지지 않도록 절연패드를 흡입하도록 테이핑집게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흡착구;
    흡착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테이핑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착펌프;
    일측이 흡착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착펌프에 연결형성되는 흡착관;
    절연패드의 일측을 가열하여 융착시키기 위해 테이핑집게의 일측과 타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전기공사방법.
  2. 삭제
KR1020200135603A 2020-10-20 2020-10-20 간접 활선 방법 KR10225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03A KR102253340B1 (ko) 2020-10-20 2020-10-20 간접 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03A KR102253340B1 (ko) 2020-10-20 2020-10-20 간접 활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340B1 true KR102253340B1 (ko) 2021-05-17

Family

ID=7615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603A KR102253340B1 (ko) 2020-10-20 2020-10-20 간접 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3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952A (ko) 2011-08-05 2013-02-14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KR20180051298A (ko) * 2016-11-08 2018-05-16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102153479B1 (ko) 2017-10-17 2020-09-08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952A (ko) 2011-08-05 2013-02-14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KR20180051298A (ko) * 2016-11-08 2018-05-16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102153479B1 (ko) 2017-10-17 2020-09-08 제룡산업 주식회사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83209T3 (es) Brazo robótico montable en aguilón
JP3987489B2 (ja)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
KR100589641B1 (ko) 애자 청소용 로봇과 그 청소방법
AU2002304197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187754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1995327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 장치
KR102242052B1 (ko) 가선설치방법
KR102348451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1948724B1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102253340B1 (ko) 간접 활선 방법
KR101319935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2352541B1 (ko)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KR200205099Y1 (ko) 조가선의 드로퍼 클램프 연결부 절연 보호커버
JP3971942B2 (ja) トンネル内ケーブル保護装置
CN209945392U (zh) 一种石油化工用安全检查装置
CN107783018B (zh) 电动升降绝缘杆耐压试验装置
WO2015190814A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200457895Y1 (ko) 관로 설치용 케이블 보호구
KR950034954A (ko) 케이블 행거장치
KR20170032292A (ko)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JPH08241642A (ja) 相間スペーサー
CA2163491A1 (en) Support mast with tilting mechanism
WO2015190813A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JP2005020935A (ja) 径間内架空ケーブル装置及び工法、鉄塔構築工法及び鉄塔移設工法
GB2334941A (en) Raisable work platform with two floor por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