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541B1 -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541B1
KR102352541B1 KR1020210028227A KR20210028227A KR102352541B1 KR 102352541 B1 KR102352541 B1 KR 102352541B1 KR 1020210028227 A KR1020210028227 A KR 1020210028227A KR 20210028227 A KR20210028227 A KR 20210028227A KR 102352541 B1 KR102352541 B1 KR 10235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body
rod
fixing
ground wir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혜
Original Assignee
장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혜 filed Critical 장덕혜
Priority to KR102021002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으로서, 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초기 설치과정, 유지관리를 위한 과정을 촬영하며 감시하는 모니터유닛을 포함하되,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는, 완철(10')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하측단에는 접지선(30')이 삽입 결합되는 접지선삽입공(41')이 형성된 절곡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유닛은, 하부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하부봉형상체(10)와, 상기 하부봉형상체(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봉형상체(20)와,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전면으로 구비되는 받침체를 포함하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power distribution line fix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의 장주작업시 피뢰기 등의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을 간소화시켜 설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선로의 접지선 고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초기 구축에 따른 주변 환경 통제 관리 및 사후적인 운영과정 등에서 지속적 유지 관리를 위한 주변 통제 등이 용이하며 운영상에 작업 안정성과 작업 신뢰성, 주변 인명사고 방지와 시설물 파손 등의 방지가 용이하고, 물리적 내구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효과적이고 높은 신뢰도로 감시되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로의 장주작업시 피뢰기 등의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을 간소화시켜 설치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개발에도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존재한다. 예컨데 선로의 접지선 고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초기 구축에 따른 주변 환경 통제 관리 및 사후적인 운영과정 등에서 지속적 유지 관리를 위한 주변 통제 등이 용이한 시스템의 제공이 용이하지 못하다. 즉, 시스템 구축 운영상에 작업 안정성과 작업 신뢰성, 주변 인명사고 방지와 시설물 파손 등의 방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097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로의 장주작업시 피뢰기 등의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을 간소화시켜 설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선로의 접지선 고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초기 구축에 따른 주변 환경 통제 관리 및 사후적인 운영과정 등에서 지속적 유지 관리를 위한 주변 통제 등이 용이한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 구축 운영상에 작업 안정성과 작업 신뢰성, 주변 인명사고 방지와 시설물 파손 등의 방지가 용이한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으로서, 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초기 설치과정, 유지관리를 위한 과정 및 주변부(예: 장비, 사람, 동물, 기후적 상태 등)을 촬영하며 감시하는 모니터유닛을 포함하되,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는, 완철(10')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하측단에는 접지선(30')이 삽입 결합되는 접지선삽입공(41')이 형성된 절곡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유닛은, 하부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하부봉형상체(10)와, 상기 하부봉형상체(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봉형상체(20)와,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전면으로 구비되는 받침체를 포함하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설치장소를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상기 설치장소에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은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설치과정, 사후적 동작과정을 촬영하며 감시하는 모니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는, 완철(10)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하측단에는 접지선(30)이 삽입 결합되는 접지선삽입공(41)이 형성된 절곡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유닛은, 하부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하부봉형상체(10)와, 상기 하부봉형상체(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봉형상체(20)와,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전면으로 구비되는 받침체와, 상기 받침체 상에 설치되는 감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봉형상체(10)는, 최하단의 가동구조물(11)과, 상기 가동구조물(11)에서 상부로 출몰되는 이동구조물(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는 상기 이동구조물(12)과 연동 고정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유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 되며,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하부봉형상체(10)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높이의 제1 가동유닛(31)과, 상기 제1 가동유닛(31)의 내측에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가압체(32)가 구비되는 제1 보조모둘과, 상기 하부봉형상체(10)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높이의 제2 가동유닛(42)과, 상기 제2 가동유닛(42)의 내측에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가압체(42)가 구비되는 제2 보조모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유닛(31) 외측에는 제1 연결다리(33)를 매개로 진퇴이동되는 제1 가벽패널(34)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가동유닛(42) 외측에는 제2 연결다리(43)를 매개로 진퇴이동되는 제2 가벽패널(4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벽패널(34)과 상기 제2 가벽패널(44)의 외측에는 벽체(B)가 각기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벽패널(34)과 상기 제2 가벽패널(44)은 상기 벽체(B)의 내벽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지지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조모듈은, 상기 제1 가동유닛(31)의 상부에 제1 상부구동체(35)와, 상기 제1 상부구동체(35)의 상부로 제1 수직패널부(36)와, 상기 제1 수직패널부(36)의 내측 전면으로 위치되는 제1 보조상부구동체(37)와, 상기 제1 보조상부구동체(37)에서 제1 브리지(3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외삽되는 도넛형상의 제1 구속체(39)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상부구동체(37)는 상기 제1 브리지(38)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구속체(39)를 내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며, 상기 제2 보조모듈은, 상기 제2 가동유닛(42)의 상부에 제2 상부구동체(45)와, 상기 제2 상부구동체(45)의 상부로 제2 수직패널부(46)와, 상기 제2 수직패널부(46)의 내측 전면으로 위치되는 제2 보조상부구동체(47)와,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에서 제2 브리지(4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외삽되는 도넛형상의 제2 구속체(4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는 상기 제2 브리지(48)를 이동시켜 상기 제2 구속체(49)를 내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선로의 장주작업시 피뢰기 등의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을 간소화시켜 설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로의 접지선 고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초기 구축에 따른 주변 환경 통제 관리 및 사후적인 운영과정 등에서 지속적 유지 관리를 위한 주변 통제 등이 용이한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구축 운영상에 작업 안정성과 작업 신뢰성, 주변 인명사고 방지와 시설물 파손 등의 방지가 용이한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내구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시스템 전반이 보다 효과적이고 높은 신뢰도로 감시될 수 있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니터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내지 도 7은 도 5를 기반으로 하는 모니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고압의 배전선로에 낙뢰방지를 위하여 완철에 설치하는 피뢰기의 방전을 위하여 시설하는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는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 몸체 하측단에 접지선이 삽입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U자형의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측 선단에는 완철에 체결되는 하향 절곡된 ㄱ자형의 고정부를 탄성체로 형성하여서, 배전선로 장주작업시 피뢰기 등의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을 간소화시켜 설치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으며, 바인드선을 사용하지 않아 공사비가 절감되며, 미관상으로도 매우 미려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배전선로 장주작업시 피뢰기 등의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기 위한작업에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첨부 도면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드선(비닐피복 동바인드선 2.0㎜')(1')을 접지선(2')과 완철(3')을 3회 정도 감아 묶어 놓는 방법으로써, 3상 특고압 전력선이 설치된 완철에 피뢰기를 설치하는 경우 1개 완철에 4개소의 바인드선 시공이 필요한데, 이를 시공하기 위해 타래로 있는 바인드선을 일정길이(약 1m')로 자르는 작업과 전주에 승주한 전기공이 4개소를 각 3회씩 감고 뺀치 등으로 단단하게 묶어 주는 작업을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전주에 승주하는 작업자의 별도의 바인드선을 가지고 완철과 접지선을 감아서 고정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럽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미 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바인드선 시공없이 접지선을 완철에 고정하게 하기 위하여 몸체 하측단에 형성된 U자형의 절곡부의 접지선삽입공에 접지선을 삽입 결합하고, 몸체의 상측 선단에 하향절곡된 ㄱ자형의 고정부를 완철에 끼워주기만 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시공하여, 인력시공 절차와 시간을 단축시켜 줄 뿐만 아니라, 하향 절곡된 ㄱ자형의 고정부를 탄성체로 형성하여 착탈이 용이하며, 동선과 비닐피복으로 만들어진 동바인드선을 사용을 하지 않아 재료비를 절감하며, 외관상으로도 매우 수려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압의 배전선로에 낙뢰방지를 위하여 완철에 설치되는 접지선을 고정하는 홀더에 있어서, 완철(10')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ㄱ자형의 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하측단에는 접지선(30')이 삽입 결합되는 접지선삽입공(41')이 형성된 U자형의 절곡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하향 절곡된 ㄱ자형의 고정부(50')를 탄성체로 형성하여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홀더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중, 도 2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홀 더의 사용상태도이다.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완철이나 ㄱ자형의 완철등의 완철(10') 외면과 일치되도록 ㄱ자형의 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하측단에는 접지선(30')이 삽입 결합되는 접지선삽입공(41')이 중앙부분에 형성된 U자형의 절곡부(4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하향 절곡된 ㄱ자형의 고정부(5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접지선삽입공(41')에는 배전선로 피뢰기 접지선에 사용하는 600V 비닐절연전선을 끼울 수 있도록 둥근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하향 절곡된 ㄱ자형의 고정부(50')를 탄성체로 형성하여 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지만 평상 상태에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배전선로용 경완철이나 ㄱ자형 완철에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용 경완철(10a')에 설치되어 있는 접지선(30')을 몸체(20') 하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U자형의 절곡부(40') 중앙부분에 형성된 접지선삽입공(41')으로 접지선(30')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런 다음 접지선(30')이 삽입되어 있는 ㄱ자형의 몸체(20')를 경완철(10a')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몸체(20') 상단 선단에 하향 절곡된 ㄱ자형의 고정부(50')가 탄성 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측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경완철(10')이 몸체(20') 내부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용 ㄱ자형 완철(10')에 설치되는 접지선(30')을 몸체(20') 하측단에형성되어 있는 U자형의 절곡부(40') 중앙부분에 형성된 접지선삽입공(41')으로 접지선(30')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런 다음 접지선(30')이 삽입되어 있는 ㄱ자형의 몸체(20')를 ㄱ자형 완철(10')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몸체(20') 상단 선단에 하향 절곡된 ㄱ자형의 고정부(50')가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측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ㄱ자형 완철(10')이 몸체(20') 내부에 밀착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니터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내지 도 7은 도 5를 기반으로 하는 모니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으로서, 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초기 설치과정, 유지관리를 위한 과정 및 주변부(예: 장비, 사람, 동물, 기후적 상태 등)을 촬영하며감시하는 모니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는, 완철(10')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하측단에는 접지선(30')이 삽입 결합되는 접지선삽입공(41')이 형성된 절곡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고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유닛은, 하부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하부봉형상체(10)와, 상기 하부봉형상체(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봉형상체(20)와, 상기 부봉형상체(20)의 전면으로 구비되는 받침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순한 내용에 기반하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은,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설치장소를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상기 설치장소에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은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설치과정, 사후적 동작과정을 촬영하며 감시하는 모니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는, 완철(10)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하측단에는 접지선(30)이 삽입 결합되는 접지선삽입공(41)이 형성된 절곡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고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유닛은, 하부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하부봉형상체(10)와, 상기 하부봉형상체(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봉형상체(20)와,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전면으로 구비되는 받침체와, 상기 받침체 상에 설치되는 감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봉형상체(10)는, 최하단의 가동구조물(11)과, 상기 가동구조물(11)에서 상부로 출몰되는 이동구조물(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는 상기 이동구조물(12)과 연동 고정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유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 되며,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하부봉형상체(10)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높이의 제1 가동유닛(31)과, 상기 제1 가동유닛(31)의 내측에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가압체(32)가 구비되는 제1 보조모둘과, 상기 하부봉형상체(10)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높이의 제2 가동유닛(42)과, 상기 제2 가동유닛(42)의 내측에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가압체(42)가 구비되는 제2 보조모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동유닛(31) 외측에는 제1 연결다리(33)를 매개로 진퇴이동되는 제1 가벽패널(34)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가동유닛(42) 외측에는 제2 연결다리(43)를 매개로 진퇴이동되는 제2 가벽패널(4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벽패널(34)과 상기 제2 가벽패널(44)의 외측에는 벽체(B)가 각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벽패널(34)과 상기 제2 가벽패널(44)은 상기 벽체(B)의 내벽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지지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조모듈은, 상기 제1 가동유닛(31)의 상부에 제1 상부구동체(35)와, 상기 제1 상부구동체(35)의 상부로 제1 수직패널부(36)와, 상기 제1 수직패널부(36)의 내측 전면으로 위치되는 제1 보조상부구동체(37)와, 상기 제1 보조상부구동체(37)에서 제1 브리지(3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외삽되는 도넛형상의 제1 구속체(39)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보조상부구동체(37)는 상기 제1 브리지(38)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구속체(39)를 내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며, 상기 제2 보조모듈은, 상기 제2 가동유닛(42)의 상부에 제2 상부구동체(45)와, 상기 제2 상부구동체(45)의 상부로 제2 수직패널부(46)와, 상기 제2 수직패널부(46)의 내측 전면으로 위치되는 제2 보조상부구동체(47)와,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에서 제2 브리지(4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외삽되는 도넛형상의 제2 구속체(4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는 상기 제2 브리지(48)를 이동시켜 상기 제2 구속체(49)를 내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모듈은, 상기 제2 가동유닛(42)의 상부에 제2 상부구동체(45)와, 상기 제2 상부구동체(45)의 상부로 제2 수직패널부(46)와, 상기 제2 수직패널부(46)의 내측 전면으로 위치되는 제2 보조상부구동체(47)와,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에서 제2 브리지(4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외삽되는 도넛형상의 제2 구속체(4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는 상기 제2 브리지(48)를 이동시켜 상기 제2 구속체(49)를 내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며, 상기 제1 구속체(39)와 상기 제2 구속체(49)는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1 보조상부구동체(37)와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는 각기 상기 제1 상부구동체(35)와 상기 제2 상부구동체(45)상에서 높이방향으로 일정 위치로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속체(39)와 상기 제2 구속체(49)를 잡아당겨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삽입가압체(32)는, 상기 제1 가동유닛(31)상에서 전후 유동되는 제1 전후유동체(321)와, 상기 제1 전후유동체(321)에서 회전되는 제1 회전유동체(322)와, 상기 제1 회전유동체(322)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접하는 다각의 제1 삽입패널(323)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삽입가압체(42)는, 상기 제2 가동유닛(42)상에서 전후 유동되는 제2 전후유동체(421)와, 상기 제2 전후유동체(421)에서 회전되는 제2 회전유동체(422)와, 상기 제2 회전유동체(422)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접하는 다각의 제2 삽입패널(423)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유동체(322)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회전유동체(322)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1 상부구동체(35)와 상기 제2 상부구동체(45) 사이에는 중공이 형성된 가이드패널(51)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패널(51)은 상기 상부봉형상체(20)가 삽입되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패널(51) 상의 일측에는 제1 유동암(6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일측을 홀딩시키며, 상기 가이드패널(51) 상의 타측에는 제2 유동암(7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타측을 홀딩시키며, 상기 제1 유동암(60)은, 상기 가이드패널(51)에 구비되는 제1 보조구동패널(61)과, 상기 제1 보조구동패널(61)에서 상기 상부봉형상체(20) 일측을 향하여 접하는 제1 접촉암(6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촉암(62)은 단부에 다수의 패턴형 제1 돌출물(63)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내로 인접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 유동암(70)은, 상기 가이드패널(51)에 구비되는 제2 보조구동패널과, 상기 제2 보조구동패널에서 상기 상부봉형상체(20) 타측을 향하여 접하는 제2 접촉암(7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접촉암(72)은 단부에 다수의 패턴형 제2 돌출물(73)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내로 인접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 돌출물(63)과 상기 제2 돌출물(73)은 각기 상기 제1 접촉암(62)과 상기 제2 접촉암(72)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는 유동힘을 가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1 구속체(39)와 상기 제2 구속체(49)사이에는, 상기 제1 구속체(39)와 상기 제2 구속체(49) 상호간을 상하로 고정시켜 상호간의 이격위치를 일정하게 가이드하여 고정하는 이격고정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이격고정모듈은,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외벽에 용접 또는 체결구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외통체(81)와, 상기 외통체(81)의 내부에서 하부로 가동되되, 상기 제1 구속체(39)의 외측에 용접 또는 체결구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 체결체(82)와, 상기 외통체(81)의 내부에서 상부로 가동되되, 상기 제2 구속체(49)의 외측에 용접 또는 체결구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2 체결체(83)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구속체(39)의 외측에는 제1 감지체(S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구속체(49)의 외측에서 상기 제1 감지체(S1)와 대각으로 엇갈려 위치되는 제2 감지체(S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감지체(S1)는 측면으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체결체(82)의 이격정도를 감지하며, 상부로는 상기 제2 구속체(49)의 이격 위치를 감지하며, 제1 감지정보를 외부송신하며, 상기 제2 감지체(S2)는 측면으로 이웃하는 상기 제2 체결체(83)의 이격정도를 감지하며, 하부로는 상기 제1 구속체(39)의 이격 위치를 감지하여, 제2 감지정보를 외부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완철
20': 몸체
30': 접지선
40': 절곡부

Claims (1)

  1. 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초기 설치과정, 유지관리를 위한 과정 및 주변부를 촬영하며 감시하는 모니터유닛을 포함하되,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는, 완철(10')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의 하측단에는 접지선(30')이 삽입 결합되는 접지선삽입공(41')이 형성된 절곡부(4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0')의 상측 선단에는 완철(10')에 체결되는 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유닛은, 하부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하부봉형상체(10)와, 상기 하부봉형상체(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봉형상체(20)와,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전면으로 구비되는 받침체를 포함하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설치장소를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상기 설치장소에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은 상기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 홀더의 설치과정, 사후적 동작과정 및 주변부를 촬영하며 감시하는 모니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유닛은,
    하부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하부봉형상체(10)와, 상기 하부봉형상체(10)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부봉형상체(20)와,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전면으로 구비되는 받침체와, 상기 받침체 상에 설치되는 감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봉형상체(10)는,
    최하단의 가동구조물(11)과, 상기 가동구조물(11)에서 상부로 출몰되는 이동구조물(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는 상기 이동구조물(12)과 연동 고정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의 유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 되며,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하부봉형상체(10)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높이의 제1 가동유닛(31)과, 상기 제1 가동유닛(31)의 내측에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가압체(32)가 구비되는 제1 보조모듈과,
    상기 하부봉형상체(10)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높이의 제2 가동유닛(42)과, 상기 제2 가동유닛(42)의 내측에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형상체(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가압체(42)가 구비되는 제2 보조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유닛(31) 외측에는 제1 연결다리(33)를 매개로 진퇴이동되는 제1 가벽패널(34)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동유닛(42) 외측에는 제2 연결다리(43)를 매개로 진퇴이동되는 제2 가벽패널(4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벽패널(34)과 상기 제2 가벽패널(44)의 외측에는 벽체(B)가 각기 구비되고,
    상기 제1 가벽패널(34)과 상기 제2 가벽패널(44)은 상기 벽체(B)의 내벽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지지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조모듈은,
    상기 제1 가동유닛(31)의 상부에 제1 상부구동체(35)와, 상기 제1 상부구동체(35)의 상부로 제1 수직패널부(36)와, 상기 제1 수직패널부(36)의 내측 전면으로 위치되는 제1 보조상부구동체(37)와, 상기 제1 보조상부구동체(37)에서 제1 브리지(3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외삽되는 도넛형상의 제1 구속체(39)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상부구동체(37)는 상기 제1 브리지(38)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구속체(39)를 내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며,
    상기 제2 보조모듈은,
    상기 제2 가동유닛(42)의 상부에 제2 상부구동체(45)와, 상기 제2 상부구동체(45)의 상부로 제2 수직패널부(46)와, 상기 제2 수직패널부(46)의 내측 전면으로 위치되는 제2 보조상부구동체(47)와,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에서 제2 브리지(4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봉형상체(20)에 외삽되는 도넛형상의 제2 구속체(4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상부구동체(47)는 상기 제2 브리지(48)를 이동시켜 상기 제2 구속체(49)를 내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KR1020210028227A 2021-03-03 2021-03-03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KR10235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227A KR102352541B1 (ko) 2021-03-03 2021-03-03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227A KR102352541B1 (ko) 2021-03-03 2021-03-03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541B1 true KR102352541B1 (ko) 2022-01-19

Family

ID=8005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227A KR102352541B1 (ko) 2021-03-03 2021-03-03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369B1 (ko) * 2022-01-26 2022-06-29 주식회사 전기안전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선 연결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915A (ko) * 2001-10-04 2003-04-11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홀더
KR100820287B1 (ko) * 2007-03-16 2008-04-08 한국전력공사 피엘씨 기술을 활용한 배전주 공가케이블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0978B1 (ko) 2008-04-04 2008-09-30 (유)전일기술단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915A (ko) * 2001-10-04 2003-04-11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홀더
KR100820287B1 (ko) * 2007-03-16 2008-04-08 한국전력공사 피엘씨 기술을 활용한 배전주 공가케이블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0978B1 (ko) 2008-04-04 2008-09-30 (유)전일기술단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369B1 (ko) * 2022-01-26 2022-06-29 주식회사 전기안전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선 연결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541B1 (ko) 매설형 지중 선로의 접지선 고정시스템 구축방법
ES2599307T3 (es) Métodos para tender y empalmar un conductor con corriente
WO2016008045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N205412109U (zh) 一种电杆自动攀爬机构
CA2312078C (en) Non-electric perimeter fence
US7374149B1 (en) Road crossing assistant for installing optical fiber telephone cable
US8267380B1 (en) Retractable fence apparatus
US9484721B2 (en) Truck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res
CN104265045B (zh) 基站通讯信号发射塔
KR101445847B1 (ko) 배전선 접지장치
AU2018289387A1 (en) Fence post for a flexible fence
AU768336B2 (en) Hand-held apparatus for installing flashover protection covers on energized electrical conductors and equipment
KR101807212B1 (ko) 배전선로의 고정기능을 갖는 전주용 완철구조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US2869690A (en) Light pole construction
CN110306857B (zh) 一种改进型电线杆
KR102242052B1 (ko) 가선설치방법
CN108999462A (zh) 野外电力施工组合式安全围栏
BR0301044B1 (pt) estrutura de enrolamento para fio terra composto de fibra ótica.
AU2005201414B2 (en) An electrical insulator to mount an electric wire to a support
KR101191754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US5176440A (en) Pole assembly and methods thereof
KR20210151589A (ko)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주상 포설 방법
KR100828565B1 (ko) 점퍼선 고정이 가능한 가공 배전의 경완금 고정구조
JP3175300U (ja) 電気柵用碍子付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