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754B1 -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 Google Patents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754B1
KR101191754B1 KR1020120052611A KR20120052611A KR101191754B1 KR 101191754 B1 KR101191754 B1 KR 101191754B1 KR 1020120052611 A KR1020120052611 A KR 1020120052611A KR 20120052611 A KR20120052611 A KR 20120052611A KR 101191754 B1 KR101191754 B1 KR 10119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ixing
pole
sub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주
Original Assignee
김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주 filed Critical 김점주
Priority to KR102012005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신주(100)의 사방을 수평으로 둘러싸는 사각형 프레임 형태이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4개의 모서리에서 상기 전신주(10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메인완철(300)과 상기 메인완철(300)의 연장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디귿자 프레임 형태의 서브완철(301)로 이루어지는 완철구조물(30) 및 상기 전신주(100)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완철(300)에 연결된 고정선(20)을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완철구조물(3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위치조절기(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Bar structure for fixing electric line of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선과 도르래를 이용하여 전신주에 설치된 프레임의 위치를 조작하고 서브완철을 배치하여 애자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는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과 통전하는 전선을 지지하면서 가정이나 회사 등 전기가 필요한 곳으로 상기 전선을 유도한다.
그런데, 전신주의 전선은 비교적 고압의 전류가 흐르므로, 절연체인 전신주를 통해 누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신주와 상기 전선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절연성이 우수한 연결체를 매개로 전선을 고정한다. 이러한 절연체를 애자라고 한다.
결국, 상기 애자를 통해 연결된 전선은 전신주와는 직접 맞닿아 고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신주의 일 지점에 정확히 고정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배전선과 애자를 고정하기 위한 완철이 구비되는데, 종래의 완철구조는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 완철과 결합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연결된 연결로드로 이루어져, 배전선이 연결된 애자를 연결로드의 선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배전선을 가설할 수 있다.
완철은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주의 상부 전후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브라켓은 상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판이 연장되어, 연장판이 완철의 상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며, 브라켓의 전방에는 연결로드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로드는 기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걸림부가 브라켓의 내측에 걸리도록 관통공에 끼워지는 것으로, 선단에는 애자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는 기단의 걸림부가 브라켓의 내측면에 걸려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바람 등에 의해 배전선이 요동칠 때, 연결로드와 애자가 걸림부를 중심으로 배전선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완철구조는, 배전선의 요동에 추종하여 연결로드가 상하로 회동될 때, 배전선에 의해 전후방으로 밀리거나 당기면서, 연결로드의 걸림부가 브라켓에 반복적으로 충돌하므로, 연결로드와 애자에 충격이 가해져, 애자와 각 연결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바람 등에 의해 배전선이 요동치더라도 애자와 각 연결부가 손상되지 않는 완철구조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전선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라인을 합성수지로 감아 절연한 것이다.
따라서, 주변환경의 온도에 따라 상기 금속라인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웃하는 전신주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은 계절에 따라 아래로 늘어지거나 팽팽하게 당겨져서 그 모습을 달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애자를 장력을 갖는 스프링 또는 일정한 하중을 갖는 중량체와 연결하여서, 여름철 전선이 늘어지면 스프링의 탄발력 또는 중량체의 하중으로 상기 전선을 당기고 겨울철 전선이 팽팽해지면 전선의 장력으로 늘어짐이 해소되면서, 계절변화에 관계없이 전선의 배치가 항시 일정함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스프링과 중량체와 같은 부재를 이용해 전선의 팽창과 수축에 대응할 경우 전선은 지속적인 하중을 받아 금속라인이 조금씩 늘어나게 되고, 결국에는 금속라인의 구경이 줄면서 그 길이는 늘어나게 되어 상기 금속라인의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전선의 저항 상승은 송전의 손실률을 높이므로 전선을 일정한 주기로 교체해줘야 하는 불편을 낳았다.
따라서 전선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선 배치의 일정함을 유지하기 위한 완철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른 한편, 종래의 완철구조는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전신주에 설치되므로, 전력을 공급하는 지역에 전력이 급상승하는 경우에는 전선을 추가로 가설하기 위한 애자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전신주에서 기존의 완철구조를 제거하고 새로운 완철구조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이를 위한 임시방편으로, 간이 전신주나 이동형 전신주 차량을 추가로 배치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 또한 비용과 인력이 낭비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전신주의 완철구조에서 애자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손쉽게 확장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온도에 반응하여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전선을 항시 일정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통해 간편하게 배전선로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선을 항상 일정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완철구조물의 이동시 오작동이 일어나는 경우에, 즉각적으로 오작동에 대한 알림을 수행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전신주의 완철구조에 추가 완철구조물을 부가하여 애자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는, 전신주의 사방을 수평으로 둘러싸는 사각형 프레임 형태이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4개의 모서리에서 상기 전신주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메인완철과 상기 메인완철의 연장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디귿자 프레임 형태의 서브완철로 이루어지는 완철구조물 및 상기 전신주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완철에 연결된 고정선을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완철구조물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위치조절기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완철은, 상기 서브완철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직사각 기둥형태의 메인고정바, 상기 메인완철의 연장부의 단부와 모서리의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고정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인, 직사각 기둥형태의 공간을 구비하는 제1메인통로, 상기 서브완철의 회전 중심축을 이루는 원통 형태의 제1고정봉, 상기 메인완철의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고정봉을 삽입하여 상기 메인완철과 상기 서브완철을 연결하는 원통 형태의 공간을 구비하는 제1고정봉통로, 상기 서브완철을 다른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직사각 기둥형태의 제1고정바 및 상기 제1메인통로와 상기 제1고정봉통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고정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인, 직사각 기둥형태의 제1고정바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위치조절기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완철구조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조절기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위치조절제어장치로 전달하는 통신안테나, 상기 위치조절기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위치조절제어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통해 전기모터로 구동하는 롤러에 상기 고정선을 감거나 풀어 상기 고정선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고정선승강기 및 상기 고정선승강기에서 연장되는 고정선을 상기 고정선 체결부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압력 도르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조절제어장치는, 상기 통신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선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작동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작동제어부, 상기 고정선승강기의 롤러가 회전하는 수를 감지하여 상기 완철구조물의 상하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 감지부, 상기 작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고정선승강기의 모터의 온오프동작과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상기 고정선승강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소정의 동작패턴과 비교하여 동작의 오차를 계산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이상작동감지부 및 상기 이상작동감지부에서 상기 고정선승강기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이상동작이 발생한다는 신고신호를 발생하는 이상작동 신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신주는, 상기 완철구조물이 이동하는 상기 전신주 외곽면 영역을 감싸고, 이동거리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전신주 보호판 및 상기 위치조절기에 상승, 하강, 이동거리 및 모터동작의 온오프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완철구조물조작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도르래는, 원기둥 형태이고, 상기 원기둥의 둘레의 중심부를 따라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의 윗면과 아랫면의 중심부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도르래 양면 방향의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체 수용부에 소정의 깊이로 체결되는 디귿자 형태의 도르래 고정대 및 상기 도르래 고정대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 수용부에 수용되며,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도르래의 홈을 따라 방향이 전환되는 고정선과 상기 도르래가 밀착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전선이 받는 장력을 조절하여 전선이 받는 부담을 줄이고, 이를 통해 전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신호를 통해 간편하게 배전선로의 위치를 조절하고, 오작동에 대한 알림을 수행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배전선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철구조물의 이동시 오작동이 일어나는 경우에, 즉각적으로 오작동에 대한 알림을 수행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신주의 완철구조에 추가 완철구조물을 부가하여 애자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완철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완철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위치조절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압력도르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위치조절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 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는 전신주(100), 위치조절기(200) 및 완철구조물(30)을 포함한다.
완철구조물은 메인완철(300)과 서브완철(301, 302, 303, 3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완철(300)은 전신주(100)의 사방을 수평으로 둘러싸는 사각형 프레임 형태이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이 결합되는 4개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전신주(10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메인완철(300)의 위치는 배선선로가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전신주(100)의 상단 부근이 될 수 있다.
서브완철(301)은 메인완철(300)과 상기 메인완철(300)의 연장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디귿자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에서는 전신주(100)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서브완철(301)이 각각 4개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를 변형하여 그 숫자를 적게 구비하거나 많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애자(400)는 완철구조물(30)의 상부 어디든 설치될 수 있으나, 전선(10)의 전달 방향성을 위하여 메인완철의 고정선이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고정선(20)이 연결되는 영역의 바깥영역에 서로 이웃하여 짝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조절기(200)는 통신안테나(210), 압력도르래(220) 및 위치조절기(200) 수용부를 포함한다.
위치조절기(200)는 서브프레임과 연결된 고정선(20)을 상하로 조절하여 배선선로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위치조절기(200)의 세부 구성은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전신주(100)는 전신주보호판(110) 및 완철구조물조작장치(500)를 포함한다.
전신주보호판(110)은 완철구조물(30)이 이동하는 전신주(100) 외곽면 영역을 감싸고, 이동거리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완철구조물조작장치(500)는 위치조절기(200)에 상승, 하강, 이동거리 및 모터동작의 온오프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완철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철구조물은 메인완철(300)과 다수의 서브완철(301, 302, 303, 3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완철(300)은 메인고정바(3011), 제1메인통로(3012), 제1고정봉(3031), 제1고정봉통로(3032), 제1고정바(3021) 및 제1고정바통로(30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고정바(3011)는 직사각 기둥형태이며, 제1서브완철(301)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한다.
제1메인통로(3012)는 메인완철(300)의 연장부의 단부와 모서리의 중간에 위치하고, 메인고정바(301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인 직사각 기둥형태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고정봉(3031)은 원통 형태이며, 제 1 고정봉통로(3032)에 삽입되어 제1서브완철(301)의 회전 중심축을 이룬다.
제1고정봉통로(3032)는 메인완철(300)과 제1서브완철(301)의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하게 각각 형성된다.
제1고정봉통로(3032)는 메인완철(300)의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제1고정봉(3031)을 삽입하여 메인완철(300)의 연장부와 제1서브완철(301)을 연결하는 원통 형태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고정바(3021)는 직사각 기둥형태이며, 제1서브완철(301)을 다른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므로 펼쳐지도록 한다.
제1고정바통로(3022)는 직사각 기둥형태의 공간이고, 제1메인통로(3012)와 제1고정봉통로(3032) 사이에 위치하며 제1고정바(302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서브완철(301)은 펼쳐지므로 다른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1고정바통로(3022)를 형성한다.
서브완철은 제1서브완철(301), 제2서브완철(302), 제3서브완철(303), 제4서브완철(3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서브완철(301)은, 제2메인통로(3013), 제2고정바(3041), 제2고정바통로(3042), 제2고정봉(3051), 제2고정봉통로(30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메인통로(3013)는 서브완철(301)을 접은 상태에서 제1메인통로(3012)에 이웃하도록 위치하고, 메인고정바(3011)가 제1메인통로(3012)를 지나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인, 직사각 기둥형태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2고정바(3041)는 직사각 기둥형태이며, 제2서브완철(302)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펼쳐지도록 한다.
제2고정바통로(3042)는 직사각 기둥형태의 공간이고, 제1서브완철(301)의 단부와 제2메인통로(3013) 사이에 위치하고, 제2고정바(304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제2고정봉(3051)은 원통 형태이며 제2고정봉통로(3052)에 삽입되어 제2서브완철(302)의 회전 중심축을 이룬다.
제2고정봉통로(3052)는 제1서브완철(301)의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제2고정봉(3051)을 삽입하여 제1서브완철(301)과 제2서브완철(302)을 회전축으로 연결하는 원통 형태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서브완철(302)은 펼쳐지므로 다른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바통로(3042)를 형성한다.
제2서브완철(302)은 제3메인통로(3014)를 구비할 수 있다.
제3메인통로(3014)는 제1서브완철(301)의 제2메인통로(3013)와 마찬가지로, 제2서브완철(302)을 접은 상태에서 제2메인통로(3013)에 이웃하도록 위치하고, 메인고정바(3011)가 제1메인통로(3012)와 제2메인통로(3013)를 지나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인, 직사각 기둥형태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완철(300)에 제1서브완철(301)을, 제1서브완철(301)에 제2서브완철(302)을, 제2서브완철(302)에 제3서브완철(303)을, 제3서브완철(303)에 제4서브완철(304)을 각각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일방에서의 메인완철 및 서브완철로 이루어지는 완철의 구조는 타방에서도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3을 참고하면, 메인완철(300)의 각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사이에 각각의 서브완철이 접혀서 메인고정바(301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모습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각 서브완철(301, 302, 303, 304)을 회전시켜 외측으로 펼치고, 각각의 고정바를 삽입하여 도1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위치조절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기(200)는 통신안테나(210), 압력도르래(220), 위치조절제어장치(240) 및 고정선승강기(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조절기(200)는 전신주(100)의 상단에 위치하고 서브완철(301)에 연결된 고정선(20)을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통신안테나(210)는 위치조절기(200) 일측면에 부착되고 완철구조물(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조절기(200)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위치조절제어장치(240)로 전달한다.
압력도르래(220)는 고정선승강기(250)에서 연장되는 고정선(20)을 완철구조물(30)쪽으로 방향을 전환한다.
압력도르래(220)의 상세구성은 도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위치조절제어장치(240)는 통신안테나(210) 및 고정선승강기(250)를 제어하여 배선선로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다.
위치조절제어장치(240)의 상세구성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선승강기(250)는 위치조절기(200)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위치조절제어장치(2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통해 전기모터로 구동하는 롤러에 고정선(20)을 감거나 풀어 고정선(2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압력도르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도르래(220)는 도르래고정대(2210), 도르래(2220), 탄성체 수용부(2230) 및 탄성체(2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르래고정대(2210)는 도르래(2220)의 윗면과 아랫면의 중심부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도르래(2220) 양면 방향의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체 수용부(2230)에 소정의 깊이로 체결되는 디귿자 형태가 될 수 있다.
도르래(2220)는 원기둥(또는 원반) 형태이고, 원기둥의 둘레의 중심부를 따라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체(2240)는 도르래고정대(2210)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하고, 탄성체 수용부(2230)에 수용되며,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르래(2220)의 홈을 따라 방향이 전환되는 고정선(20)과 도르래(2220)가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조절기(200)가 고정선(20)을 감거나 풀면, 도르래(2220)가 회전하면서 이와 동시에 아래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고 탄성체(224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이 위방향으로 생성됨에 따라 고정선(20)과 도르래(2220)가 압착되어 고정선(20)이 도르래(22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압력도르래(220)는 위치조절기(200)의 좌우 양단에 서로 이웃하여 2개씩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선승강기(250)의 개수에 따라 그 숫자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도르래는 4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압력도르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동작원리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위치조절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제어장치(240)는 작동제어부(2410), 제어신호 통신부(2420), 이동거리 감지부(2430), 모터제어부(2440), 이상작동감지부(2450), 이상작동신고부(2460) 및 전원부(2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제어부(2410)는 통신안테나(2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선승강기(2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작동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신호 통신부(2420)는 통신안테나(2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작동제어부(2410)로 전달한다. 제어신호 통신부(2420)는 통신안테나(210)를 통하여 외부와 근거리 통신, 이동통신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거리 감지부(2430)는 고정선승강기(250)의 롤러가 회전하는 수를 감지하여 지지대의 상하로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모터 제어부(2440)는 작동 제어부(2410)에서 전달되는 작동제어신호에 의하여 고정선승강기(250)의 모터의 온오프 동작과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작동 감지부(2450)는 고정선승강기(25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소정의 동작패턴과 비교하여 동작의 오차를 계산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이상작동신고부(2460)는 이상작동감지부(2450)에서 고정선승강기(250)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이상동작이 발생한다는 신고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상작동신고부(2460)는 신고신호를 발생하여 제어신호 통신부로 전달하고, 제어신호 통신부는 통신안테나(210)를 통하여 전신주(100)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센터서버로 신고신호를 전달하여 신속한 유지보수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선 20 : 고정선
100 : 전신주 110 : 전신주 보호판
200 : 위치조절기 210 : 통신안테나
220 : 압력 도르래 2210 : 도르래 고정대
2220 : 도르래 2230 : 탄성체 수용부
2240 : 탄성체 230 : 위치조절기 수용부
240 : 위치조절제어장치 2410 : 작동제어부
2420 : 제어신호통신부 2430 : 이동거리감지부
2440 : 모터제어부 2450 : 이상작동감지부
2460 : 이상작동신고부 2470 : 전원부
250 : 고정선승강기 30 : 완철구조물
300 : 메인완철 301 : 제1서브완철
302 : 제2서브완철 303 : 제3서브완철
304 : 제4서브완철 3011 : 메인고정바
3012 : 제1메인통로 3013 : 제2메인통로
3014 : 제3메인통로 3021 : 제1고정바
3022 : 제1고정바통로 3031 : 제1고정봉
3032 : 제1고정봉통로 3041 : 제2고정바
3042 : 제2고정바통로 3051 : 제2고정봉
3052 : 제2고정봉통로 400 : 애자
500 : 완철구조물조작장치

Claims (1)

  1. 전신주(100)의 사방을 수평으로 둘러싸는 사각형 프레임 형태이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4개의 모서리에서 상기 전신주(10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메인완철(300)과 상기 메인완철(300)의 연장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디귿자 프레임 형태의 서브완철(301)로 이루어지는 완철구조물(30); 및 상기 전신주(100)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완철(300)에 연결된 고정선(20)을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완철구조물(3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위치조절기(200);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완철(300)은 상기 서브완철(301)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직사각 기둥형태의 메인고정바(3011); 상기 메인완철(300)의 연장부의 단부와 모서리의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고정바(301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인, 직사각 기둥형태의 공간을 구비하는 제1메인통로(3012); 상기 서브완철(301)의 회전 중심축을 이루는 원통 형태의 제1고정봉(3031); 상기 메인완철(300)의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고정봉(3031)을 삽입하여 상기 메인완철(300)과 상기 서브완철(301)을 연결하는 원통 형태의 공간을 구비하는 제1고정봉통로(3032); 상기 서브완철(301)을 다른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직사각 기둥형태의 제1고정바(3021); 및 상기 제1메인통로(3012)와 상기 제1고정봉통로(303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고정바(302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인, 직사각 기둥형태의 제1고정바통로(3022); 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완철(301)은 상기 서브완철(301)을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1메인통로(3012)에 이웃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메인고정바(3011)가 상기 제1메인통로(3012)를 지나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인, 직사각 기둥형태의 공간을 구비하는 제2메인통로(3013); 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기(200)는 상기 위치조절기(200)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완철구조물(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조절기수용부(230)에 수용되는 위치조절제어장치(240)로 전달하는 통신안테나(210); 상기 위치조절기수용부(230)에 수용되고 상기 위치조절제어장치(2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통해 전기모터로 구동하는 롤러에 상기 고정선(20)을 감거나 풀어 상기 고정선(2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고정선승강기(250); 및 상기 고정선승강기(250)에서 연장되는 고정선(20)을 상기 고정선(20) 체결부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압력도르래(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조절제어장치(240)는 상기 통신안테나(2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선승강기(2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작동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작동제어부(2410); 상기 고정선승강기(250)의 롤러가 회전하는 수를 감지하여 상기 완철구조물(30)의 상하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감지부(2430); 상기 작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고정선승강기(250)의 모터의 온오프동작과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2440); 상기 고정선승강기(25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소정의 동작패턴과 비교하여 동작의 오차를 계산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이상작동감지부(2450); 및 상기 이상작동감지부(2450)에서 상기 고정선승강기(250)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이상동작이 발생한다는 신고신호를 발생하는 이상작동신고부(24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신주(100)는 상기 완철구조물(30)이 이동하는 상기 전신주(100) 외곽면 영역을 감싸고, 이동거리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전신주보호판(110); 및 상기 위치조절기(200)에 상승, 하강, 이동거리 및 모터동작의 온오프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완철구조물조작장치(500); 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도르래(220)는 원기둥 형태이고, 상기 원기둥의 둘레의 중심부를 따라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도르래(2220); 상기 도르래(2220) 의 윗면과 아랫면의 중심부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도르래(2220) 양면 방향의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체수용부(2230)에 소정의 깊이로 체결되는 디귿자 형태의 도르래고정대(2210); 및 상기 도르래고정대(2210)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수용부(2230)에 수용되며,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도르래(2220) 의 홈을 따라 방향이 전환되는 고정선(20)과 상기 도르래(2220) 가 밀착하도록 하는 탄성체(2240); 를 포함하는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20120052611A 2012-05-17 2012-05-17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119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11A KR101191754B1 (ko) 2012-05-17 2012-05-17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11A KR101191754B1 (ko) 2012-05-17 2012-05-17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754B1 true KR101191754B1 (ko) 2012-10-16

Family

ID=4728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611A KR101191754B1 (ko) 2012-05-17 2012-05-17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428B1 (ko) * 2017-12-06 2018-02-22 두양전기건설(주) 송전전용 특고압 가공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CN111980474A (zh) * 2020-08-27 2020-11-24 东台市新杰科机械有限公司 一种稳固性好的塔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78B1 (ko) 2001-10-04 2004-06-30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홀더
KR101006469B1 (ko) 2010-09-09 2011-01-06 윤은수 특고압전기의 감전사고 배전선로의 지지완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78B1 (ko) 2001-10-04 2004-06-30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완철 접지선 고정용홀더
KR101006469B1 (ko) 2010-09-09 2011-01-06 윤은수 특고압전기의 감전사고 배전선로의 지지완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428B1 (ko) * 2017-12-06 2018-02-22 두양전기건설(주) 송전전용 특고압 가공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CN111980474A (zh) * 2020-08-27 2020-11-24 东台市新杰科机械有限公司 一种稳固性好的塔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986B1 (ko)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KR100913253B1 (ko) 직선철탑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형 고정장치 및 폴리머 절연암의 현수형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KR100911237B1 (ko)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US80136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ontinuity test on a lightning conduction system of a wind turbine
KR102147981B1 (ko)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검출 개폐설비
KR102308527B1 (ko) 전신주 높낮이 위치조절 장치
KR102167952B1 (ko) 송전용 철탑에 설치된 가공송전선로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KR101158560B1 (ko)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191754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0979520B1 (ko) 지상부전차선 장력조정상태 검사장치
CN102623923A (zh) 一种升降式围栏绝缘操作平台
KR101241318B1 (ko) 송배전 특고압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KR101311453B1 (ko)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KR100811033B1 (ko)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CN105186370B (zh) 直线杆塔架空线路用收线装置
KR101280403B1 (ko)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완철
KR101921506B1 (ko) Cable 풀링 전선로 보호용 케이블 스타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Cable 보호방법
CN205070294U (zh) 直线杆塔架空线路用收线装置
KR101191755B1 (ko) 배전선로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0821982B1 (ko) 배전가공전선의 인장력을 유지하는 애자설치 구조
KR101804159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 완화장치
KR101329343B1 (ko) 원거리 전주의 특고압 전선 지지 장치
CN215579104U (zh) 一种柔性石墨防雷接地体接地装置
KR102651021B1 (ko) 배전선로 방향 가변이 가능한 배전용 전주
CN209690405U (zh) 快速收回接地阻抗测试线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