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560B1 -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560B1
KR101158560B1 KR1020120051894A KR20120051894A KR101158560B1 KR 101158560 B1 KR101158560 B1 KR 101158560B1 KR 1020120051894 A KR1020120051894 A KR 1020120051894A KR 20120051894 A KR20120051894 A KR 20120051894A KR 101158560 B1 KR101158560 B1 KR 10115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ension
support
distribution cab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희
Original Assignee
(주)일광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광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일광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05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2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절적으로 변화하는 송전용 가공전선의 장력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는 송·배전 케이블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와이어가 통과하며, 연결와이어의 연장각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제1,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있는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제1 관통홀측에 형성된 위치감지센서와, 위치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력측정유닛과, 상기 장력측정유닛의 측정결과에 따라 연결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2 본체와, 제2 본체에 내장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고 연결와이어를 지지하는 제1, 제2 지지체와, 상기 제1, 제2 지지체를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송·배전 케이블에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신속한 장력 조절을 할 수 있는 보조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Apparatus of tension relief using power electric transmision}
본 발명은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절적으로 변화하는 송전용 가공전선의 장력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線路)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철탑의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鋼材)이다.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고, 따라서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頂點)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碍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地表)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 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 선로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單一基礎)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 선로용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송전 선로를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 선로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송전 선로에 처짐 현상이 초래되어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 선로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빚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여름에는 고온의 기온으로 인하여 전력선이 늘어나 처지게 되고, 겨울에는 전력선의 수축으로 인하여 너무 팽팽하게 당겨지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로 인하여 계절마다 장력을 조절하여야 하나, 장력을 조절하는 보수작업이 쉽지 않고, 단전을 수반하여야 하므로 불편함 점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송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수 작업을 취해 송전선의 처짐 현상으로 인해 상기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에 대처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은 단전을 수반하여야지만 작업이 가능한 관계로 전력 사용 세대들의 크나큰 불편과 원성을 초래하였고, 이러한 불편을 수반하는 문제로 인해 수시로 보수 작업을 실시하지 못하는데 따른 안정성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881354호에 송전용 가공전선의 철탑용 장력완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송전선의 각도를 감지하여 송전선의 각도에 따라 송전선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송전선의 각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강한 바람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송전선이 갑자기 인장력을 받는 등 송전선에 강한 외력이 순간적으로 작용할 경우 지지대를 승하강시키는 것으로는 순간적인 외력을 보상하기 어려워 송전선 또는 이를 지지하는 애자나 클램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 기온에 따라 송·배전 케이블이 늘어지거나 수축되더라도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해 송·배전 케이블이나 이를 지지하는 애자 또는 클램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신속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보조 장력조절유닛을 더 구비하는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는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철탑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의 단부에 애자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를 지지하는 것으로, 전방 및 후방에 상기 연결와이어가 관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제1, 제2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하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제2 관통홀은 상기 제1 관통홀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제1 관통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결와이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력측정유닛과, 상기 제1 본체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한 연결와이어가 진입할 수 있게 상기 제2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 내측면에 상기 연결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가 형성된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내부 바닥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연결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게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 중앙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사각 또는 육각의 각형홈이 형성된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는 제1, 제2 지지체와, 상기 제1, 제2 지지체를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바람 또는 외력에 의해 송·배전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질 때 이를 보완하여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조장력조절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제2 지지체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제2 지지체가 장착되는 장착위치에는 상기 각형홈에 대응하는 각기둥 형태의 고정기둥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지지체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제1, 제2 지지체의 스크류부재가 각각 중공에 나사결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본체의 바닥면에 상하로 연장된 회전욱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종동기어와, 상기 제1, 제2 종동기어의 사이에 상하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제2 종동기어와 각각 치합되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와 치합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구동기어와, 상기 제2 구동기어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치함되는 웜과, 상기 제2 본체에 설치되며 구동축이 상기 웜과 연결되어 웜을 회전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장력조절부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본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 상기 제3 관통홀과 제1 지지체 사이와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제2 가압로드와, 상기 제2 본체의 양측면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 제2 승강홀을 통해 제2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제2 가압로드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제2 본체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게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전자석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로드에는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이 형성될 때 상기 전자석과 자력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자성을 갖는 자성체형성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형성부는 상기 가압로드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는 송·배전 케이블이 기후에 따라 신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이를 보상할 수 있어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강한 바람이나 이물질의 충돌과 같이 예기치 않은 강한 외력이 순식간에 송·배전 케이블에 작용하더라도 신속하게 이를 보완할 수 있어 송·배전 케이블과 이를 지지하는 클램프 또는 애자의 파손을 막아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의 평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보조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7은 보조장력조절부에 의해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이하 '장력완화장치'라 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완화장치(10)는 철탑에 설치되며 송·배전 케이블(1)이 철탑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될 때 애자(2)와 연결와이어(3)를 통해 장력완화장치(10)에 지지되어 장력 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장력완화장치(10)는 장력측정유닛(100)과, 장력조절유닛(200)을 구비한다.
장력측정유닛(100)은 제1 본체(110)와, 제1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120)로 이루어지는데, 제1 본체(110)는 송·배전 케이블(1)과 연결되는 애자(2)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와이어(3)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1, 제2 관통홀(111,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홀(111)은 상하로 연장된 장공형태이며, 제2 관통홀(112)은 연결와이어(3)가 통과할 수 있는 소정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통홀(112)의 위치는 제1 관통홀(111)의 상부측에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20)는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된 제1 본체(110)의 전방측 내면에 설치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제1 관통홀(111)을 통과하는 연결와이어(3)의 통과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감지센서(120)는 초음파센서나 수발광센서가 적용되며 복수개의 센서부들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관통홀(111)을 통과하는 연결와이어(3)의 통과위치에 해당하는 센서가 연결와이어(3)의 위치를 감지한다.
아울러 제1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감지센서(120)의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1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제어부(130)가 후술하는 장력조절유닛(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장력조절유닛(200)은 상기 제1 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본체(210)와, 상기 제2 본체(210)에 설치되는 제1, 제2 지지체(222)와, 제1, 제2 지지체(222)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230)와, 송·배전 케이블(1)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외력에 대한 장력조절을 위한 보조장력조절부(240)를 포함한다.
제2 본체(210)는 상기 제2 관통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3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와이어(3)가 제3 관통홀(211)을 통해 제2 본체(2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으며, 제2 본체(210)의 내부 후측면에는 연결와이어(3)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지지체(222)는 연결와이어(3)가 연장되는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각각 상기 연결와이어(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223)와, 상기 지지부재(223)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재(224)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부(230)는 상기 제1, 제2 지지체(222)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제1 지지체(221)와 제2 지지체(222)의 스크류부재(224)가 각각 관통하면서 나사결합되는 중공이 형성된 제1, 제2 종동기어(231,232)와, 상기 제1, 제2 종동기어(231,232)에 치합되며 제2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기어(233)와, 메인기어(233)와 치합되는 제2 구동기어(235)와, 제2 구동기어(235)와 동일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구동기어(234)와, 상기 제1 구동기어(234)와 치합되는 웜(236)과, 웜(236)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3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종동기어(231,232)와 메인기어(233) 및 제1, 제2 구동기어(235)는 모두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2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237)는 제어부(130)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게 되며 구동모터(237)가 구동하면 웜(236)이 회전하면서 제1 구동기어(234)를 회전시킨다. 제1 구동기어(234)와 동일축에형성된 제2 구동기어(235)가 회전하면서 메인기어(233)도 회전하게되고, 메인기어(233)에 치합된 제1, 제2 종동기어(231,232)는 동일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1, 제2 지지체(222)가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본체(210)의 바닥으로부터 사각 또는 육각기둥 형태의 고정기둥(225)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지지체(222)의 스크류부재(224)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단으로부터 상기 고정기둥(225)에 대응하는 각형홈이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부재(224)의 각형홈으로 고정기둥(225)이 삽입되어 제1, 제2 지지체(222)가 상하로 승강은 가능하지만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이 차단된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제1, 제2 지지체(222)의 스크류부재(224)는 제1 종동기어(231)와 제2 종동기어(232)의 중공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술한 고정기둥(225)과의 결합에 의해 회전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종동기어(231,232)가 회전하면 제1, 제2 지지체(222)는 상승하거나 하강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후술하는 보조장력조절부(240)의 제1, 제2 가압로드(241,242)가 연결와이어(3)를 하방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지지체(222)가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면 제2 본체(210) 내에서 연결와이어(3)의 연장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반대로 제1, 제2 지지체(222)가 하방으로 하강하면 제2 본체(210) 내에서 연결와이어(3)의 연장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이러한 길이조정을 통해 송·배전 케이블(1)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보조장력조절부(240)는 제2 본체(210)의 내부에 상기 연결와이어(3)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와이어(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1, 제2 가압로드(241,242)와, 상기 제1, 제2 가압로드(241,242)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승강로드(243)와, 제2 본체(210)에 설치되어 승강로드(243)를 승강시키는 전자석부(245)를 구비한다.
제1, 제2 가압로드(241,242)는 양측단이 제2 본체(2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승강홀(213,214)을 통해 제2 본체(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제2 승강홀(213,214)이 상하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1, 제2 가압로드(241,242)는 상방으로 승강이 가능하다. 제1, 제2 가압로드(241,242)는 각각 제1 지지체(221)와 제3 관통홀(211)의 사이 및 제1 지지체(221)와 제2 지지체(2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와이어(3)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로드(243)는 제1, 제2 가압로드(241,242)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제2 본체(210)의 양측 측면에 형성된 전자석부(245)를 관통한다.
전자석부(245)는 승강로드(243)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 전자석(24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드(243)에는 자력이 형성될 때 자성체가 되는 자성체형성부(244)가 일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전자석(246)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이 형성되면 자성체형성부(244)가 전자석(246)과 자력결합되도록 상승하면서 승강로드(243)가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로드(243)와 함께 제1, 제2 가입로드도 함께 승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장력조절부(240)는 순간적으로 송·배전 케이블(1)에 외력이 가해질때 신속하게 장력조절을 하기 위한 것이다. 외력에 의해 송·배전 케이블(1)에 순식간에 큰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본체(110) 내에서 연결와이어(3)의 경사가 급변하게 된다. 순간적으로 큰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제2 지지체(222)를 하강시켜 장력을 완화시키는 것은 너무 시간이 오래걸려 송·배전 케이블(1)이나 애자(2) 또는 클램프에 파손우려가 있으므로 위치감지센서(120)에서 감지되는 연결와이어(3)의 경사변화가 순간적으로 크게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전자석부(245)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을 만든다. 이렇게 전자석(246)에 자력이 생기면 승강로드(243)가 승강하면서 가압로드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연결와이어(3)를 가압하던 가압로드의 압력이 해제되면서 제2 본체(210) 내에서 연결와이어(3)의 연장길이가 짧아지면서 송·배전 케이블(1)의 장력을 순간적으로 이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는 구성이 간단하고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0;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100; 장력측정유닛
110; 제1 본체
111; 제1 관통홀 112; 제2 관통홀
120; 위치감지센서
130; 제어부
200; 장력조절유닛
210; 제2 본체
211; 제3 관통홀 212; 고정고리
213; 제1 승강홀 214; 제2 승강홀
221; 제1 지지체 222; 제2 지지체
223; 지지부재 224; 스크류부재
225; 고정기둥
230; 승강구동부
231; 제1 종동기어 232; 제2 종동기어
233; 메인기어 234; 제1 구동기어
235; 제2 구동기어 236; 웜
237; 구동모터
240; 보조장력조절부
241; 제1 가압로드 242; 제2 가압로드
243; 승강로드 244; 자성체형성부
245; 전자석부 246; 전자석

Claims (2)

  1.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철탑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의 단부에 애자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를 지지하는 것으로,
    전방 및 후방에 상기 연결와이어가 관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제1, 제2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하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제2 관통홀은 상기 제1 관통홀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제1 관통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결와이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력측정유닛과;
    상기 제1 본체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한 연결와이어가 진입할 수 있게 상기 제2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 내측면에 상기 연결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가 형성된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내부 바닥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연결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게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 중앙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사각 또는 육각의 각형홈이 형성된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는 제1, 제2 지지체와,
    상기 제1, 제2 지지체를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바람 또는 외력에 의해 송·배전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질 때 이를 보완하여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조장력조절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제2 지지체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제2 지지체가 장착되는 장착위치에는 상기 각형홈에 대응하는 각기둥 형태의 고정기둥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지지체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제1, 제2 지지체의 스크류부재가 각각 중공에 나사결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본체의 바닥면에 상하로 연장된 회전욱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종동기어와,
    상기 제1, 제2 종동기어의 사이에 상하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제2 종동기어와 각각 치합되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와 치합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구동기어와, 상기 제2 구동기어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치함되는 웜과,
    상기 제2 본체에 설치되며 구동축이 상기 웜과 연결되어 웜을 회전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력조절부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본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 상기 제3 관통홀과 제1 지지체 사이와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제2 가압로드와,
    상기 제2 본체의 양측면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 제2 승강홀을 통해 제2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제2 가압로드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제2 본체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드가 관통할 수 있게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전자석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로드에는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이 형성될 때 상기 전자석과 자력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자성을 갖는 자성체형성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형성부는 상기 가압로드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20120051894A 2012-05-16 2012-05-16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158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894A KR101158560B1 (ko) 2012-05-16 2012-05-16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894A KR101158560B1 (ko) 2012-05-16 2012-05-16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560B1 true KR101158560B1 (ko) 2012-06-21

Family

ID=4668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894A KR101158560B1 (ko) 2012-05-16 2012-05-16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56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520B1 (ko) 2012-09-06 2012-11-09 (주)한신콘설탄트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 장치
KR101451867B1 (ko) * 2014-04-11 2014-10-16 (주)부영이엔지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504120B1 (ko) 2014-12-10 2015-03-19 이호성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KR101556932B1 (ko) * 2014-12-29 2015-10-05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함
KR101804113B1 (ko) 2017-06-30 2017-12-04 함문상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818236B1 (ko) * 2017-11-30 2018-02-21 (주)비에스 지중 송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CN107816922A (zh) * 2017-12-01 2018-03-20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铁塔来料检测装置
KR102101795B1 (ko) * 2019-07-30 2020-04-20 대화전설(주) 지하 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보호함체
CN114629054A (zh) * 2021-07-28 2022-06-14 皖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加工用对接辅助装置
CN107816922B (zh) * 2017-12-01 2024-04-26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铁塔来料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002B1 (ko) 2006-11-15 2007-05-09 미래컨설턴트(주) 전신주의 가변장력 조절을 위한 배치구조
KR100881354B1 (ko) 2008-11-01 2009-02-0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 장치
KR100930526B1 (ko) 2009-08-07 2009-12-09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유지장치
JP2010220453A (ja) 2009-03-19 2010-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吊線(メッセンジャー)架設用の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と、この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を用いた吊線(メッセンジャー)の架設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002B1 (ko) 2006-11-15 2007-05-09 미래컨설턴트(주) 전신주의 가변장력 조절을 위한 배치구조
KR100881354B1 (ko) 2008-11-01 2009-02-0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 장치
JP2010220453A (ja) 2009-03-19 2010-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吊線(メッセンジャー)架設用の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と、この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を用いた吊線(メッセンジャー)の架設工法
KR100930526B1 (ko) 2009-08-07 2009-12-09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유지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520B1 (ko) 2012-09-06 2012-11-09 (주)한신콘설탄트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 장치
KR101451867B1 (ko) * 2014-04-11 2014-10-16 (주)부영이엔지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504120B1 (ko) 2014-12-10 2015-03-19 이호성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KR101556932B1 (ko) * 2014-12-29 2015-10-05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함
KR101804113B1 (ko) 2017-06-30 2017-12-04 함문상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818236B1 (ko) * 2017-11-30 2018-02-21 (주)비에스 지중 송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CN107816922A (zh) * 2017-12-01 2018-03-20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铁塔来料检测装置
CN107816922B (zh) * 2017-12-01 2024-04-26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铁塔来料检测装置
KR102101795B1 (ko) * 2019-07-30 2020-04-20 대화전설(주) 지하 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보호함체
CN114629054A (zh) * 2021-07-28 2022-06-14 皖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加工用对接辅助装置
CN114629054B (zh) * 2021-07-28 2024-04-02 皖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加工用对接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60B1 (ko) 송·배전 케이블의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0881354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 장치
KR101782937B1 (ko)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KR100913253B1 (ko) 직선철탑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형 고정장치 및 폴리머 절연암의 현수형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KR100978139B1 (ko) 송배전 철탑용 선로 장력유지장치
CN207847228U (zh) 一种防倾倒水泥电线杆
CN105758753A (zh) 一种测试建筑薄膜结构模拟暴雨冲击下性能的方法
KR101241318B1 (ko) 송배전 특고압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CN105391391B (zh) 一种带有防护功能的太阳能发电装置
KR102076853B1 (ko) 안정기능이 향상된 가공 배전선로 연결애자
CN107580171A (zh) 摄像头移动支架
KR10087132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연결 고정장치
KR101280403B1 (ko)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완철
KR102033581B1 (ko)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 구조
KR100649664B1 (ko) 송전철탑의 송전선의 자동 장력조절장치
CN205816464U (zh) 矫直机辊盒检修标高调整装置
KR101329343B1 (ko) 원거리 전주의 특고압 전선 지지 장치
KR100963794B1 (ko) 지지점 가변형 송전선로
KR101504130B1 (ko) 지하 전력구 천정 배전선로 지지대
CN102134959A (zh) 支撑面积可调式梯脚稳固器
KR20120097849A (ko) 높낮이 조절되는 방음 막재를 이용한 방음벽
CN218919929U (zh) 电缆线路的架空装置
CN201933834U (zh) 输电线铁塔倾斜修正装置
KR101574977B1 (ko) 각속도 측정 센서 및 로드셀을 이용한 기상측정 타워 지선의 자동 조정 장치
KR102296666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애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