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262A - 외과용 봉합 기구 - Google Patents

외과용 봉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262A
KR20180051262A KR1020160148342A KR20160148342A KR20180051262A KR 20180051262 A KR20180051262 A KR 20180051262A KR 1020160148342 A KR1020160148342 A KR 1020160148342A KR 20160148342 A KR20160148342 A KR 20160148342A KR 20180051262 A KR20180051262 A KR 20180051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holding members
cutting member
pai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057B1 (ko
Inventor
위진홍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0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1Devices for removing or collecting used needles or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1Holders for needles or sutures, e.g. rack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1Scis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봉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 기구는, 외과적인 시술 후 환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XY 평면상에서 힌지축에 의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 일단에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홀딩용 삽입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니들을 파지하기 위한 홀더부가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홀딩부재들; 및 상기 XY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봉합사를 절단하기 위한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홀딩용 삽입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절단용 삽입부를 구비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과용 봉합 기구{Surgical sutura apparatus}
본 발명은 외과용 봉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적인 시술 후 환부를 봉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 명의 시술자에 의해서도 환부 봉합을 편리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외과용 봉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더욱 우수한 의료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의료용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용 기구들은 대부분 환자의 편리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을 뿐, 시술자의 편리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은 극히 드물다.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심리적 및 육체적 안정을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시술자가 양질의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기구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예컨대, 외과적인 시술 후 환부의 봉합이 요구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니들 홀더에 니들을 고정하고, 환부를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한 이후, 상기 니들 홀더를 내려 놓은 다음, 절단용 가위를 파지한 후 봉합사를 자르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시술 과정의 단점, 즉 니들 홀더와 절단용 가위를 교번하여 사용함으로써 초래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은 형태의 외과용 기구가 제안된 바 있으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실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즉, 도 1에 도시된 외과용 기구는, 엄지와 약지를 이용하여 니들 홀더를 파지하고 환부 봉합을 수행하다가 필요에 따라 약지의 위치를 절단부재 측으로 이동시켜서 봉합사를 자르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약지를 위치 이동하거나 약지를 고정하고 검지나 중지를 이용하여 봉합사를 절단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1)약지 이동시에는 이동과정에서 기구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2)약지를 고정하고 검지나 중지를 활용하여 봉합사를 자르는 경우에는 기구 조작에 있어서 상당한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과적인 시술 후 환부를 봉합하는 경우에 한 명의 시술자가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더욱 쉽고 편리하게 환부를 봉합시킬 수 있게 하는 외과용 봉합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 기구는, 외과적인 시술 후 환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XY 평면상에서 힌지축에 의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 일단에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홀딩용 삽입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니들을 파지하기 위한 홀더부가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홀딩부재들; 및 상기 XY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봉합사를 절단하기 위한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홀딩용 삽입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절단용 삽입부를 구비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재의 절단용 삽입부는, 손가락의 삽입방향이 상기 홀딩용 삽입부에 대한 다른 손가락의 삽입방향과 직교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용 삽입부가 형성되는 상기 XY 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다른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는, 상기 절단부재의 날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절단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부재를 상기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에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 기구는, 엄지와 중지 또는 엄지와 약지 등 2개의 손가락으로 한 쌍의 홀딩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바늘과 봉합사로 환자의 환부를 봉합시킬 수 있게 하고, 봉합 이후 검지를 이용하여 절단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한 쌍의 홀딩부재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이동 없이 봉합사 절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명의 시술자가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더욱 쉽고 편리하게 환부를 봉합시킬 수 있게 함에 따라, 결국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 기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도 2와는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도 1과는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인 측면도들이다.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 기구는, 외과적인 시술 후 환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한 쌍의 홀딩부재(11)(12)들과 절단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11)(12)들은, XY 평면상에서 힌지축에 의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은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인 위치에 홀딩용 삽입부(11a)(12a)와 홀더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각 홀딩부재(11)(12)의 일단에는, 시술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 기구를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홀딩용 삽입부(11a)(12a)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각 홀딩부재(11)(12)의 타단에는, 봉합용 니들(미도시)을 파지하기 위한 홀더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봉합용 니들에는 환자의 환부 봉합을 위해 사용되는 봉합사(미도시)가 꿰어져 있다.
상기 절단부재(20)는, 환자의 환부를 꿰맨 봉합사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그 봉합사를 커팅시키는 날(24)과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절단용 삽입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절단부재(20)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11)(12)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나, 종래기술과는 달리, 상기 XY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용 삽입부(22)가 상기 한 쌍의 홀딩용 삽입부(11a)(12a)들 사이에 위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 기구는,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A)와 중지 또는 엄지(A)와 약지 등 2개의 손가락으로 한 쌍의 홀딩부재(11)(12)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바늘과 봉합사로 환자의 환부를 봉합시킬 수 있게 하고, 봉합 이후 검지(C)를 이용하여 절단부재(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한 쌍의 홀딩부재(11)(12)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이동 없이 봉합사 절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명의 시술자가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더욱 쉽고 편리하게 환부를 봉합시킬 수 있게 함에 따라, 결국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부재(20)의 절단용 삽입부(22)는, 상기 홀딩부재(11)(12)의 홀딩용 삽입부(11a)(12a)가 형성되는 상기 XY 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다른 평면상에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의 삽입방향이 상기 홀딩용 삽입부(11a)(12a)에 대한 다른 손가락의 삽입방향과 대략 직교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홀딩부재(11)(12)를 조작하기 위한 엄지(A)와 중지(C) 또는 엄지(A)와 약지가, 상기 홀딩용 삽입부(11a)(12a)에 대한 삽입방향이 XY 평면과 직교하는 Z축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절단부재(20)를 조작하기 위한 검지(C)가, XY 평면상에서 대략 X축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흡사 마우스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모션과 같이, 한 명의 시술자가 하나의 손으로 니들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부재(11)(12)들과 봉합사를 커팅하기 위한 절단부재(20)를 더욱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11)는, 상기 절단부재(20)의 날(24)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날(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시술자가 상기 절단부재(20)를 이용하여 봉합사를 더욱 원활하게 자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11)와 상기 절단부재(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부재(20)를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11)에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압축 코일스프링 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 등 상기 홀딩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성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나, 시술자가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11)(12)를 사용할 때 상기 절단부재(20) 흔들림으로 인한 동작정밀성이 떨어지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인장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술자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를 상기 절단용 삽입부(22)에 삽입시킨 이후 상측으로 들어 올려 상기 절단부재(20)의 날(24)을 홀딩부재의 날(11b)에 대해 열리게 하고,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하측으로 힘을 가하여 그 절단부재(20)의 날(24) 닫히게 함으로써, 봉합사를 절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11)(12)들을 조작하여 니들과 봉합사로 환부의 봉합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절단부재(20)의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게 함으로써, 봉합 시술의 정밀도가 상기 절단부재(20)의 흔들림에 의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1,12:홀딩부재 11a,12a:홀딩용 삽입부
11b:날 20:절단부재
22:절단용 삽입부 24:날
30:탄성부재 A:엄지
B:검지

Claims (4)

  1. 외과적인 시술 후 환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XY 평면상에서 힌지축에 의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 일단에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홀딩용 삽입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니들을 파지하기 위한 홀더부가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홀딩부재들; 및
    상기 XY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봉합사를 절단하기 위한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홀딩용 삽입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절단용 삽입부를 구비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의 절단용 삽입부는, 손가락의 삽입방향이 상기 홀딩용 삽입부에 대한 다른 손가락의 삽입방향과 직교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용 삽입부가 형성되는 상기 XY 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다른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는, 상기 절단부재의 날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홀딩부재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절단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부재를 상기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에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 기구.
KR1020160148342A 2016-11-08 2016-11-08 외과용 봉합 기구 KR10187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42A KR101879057B1 (ko) 2016-11-08 2016-11-08 외과용 봉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42A KR101879057B1 (ko) 2016-11-08 2016-11-08 외과용 봉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262A true KR20180051262A (ko) 2018-05-16
KR101879057B1 KR101879057B1 (ko) 2018-07-16

Family

ID=6245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342A KR101879057B1 (ko) 2016-11-08 2016-11-08 외과용 봉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698A (ko) * 2018-11-21 2020-05-29 (주)와우메디칼 가슴라인 쉐이핑용 견인 실 취급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982A (ko) * 2009-08-10 2011-02-17 주식회사 이턴 외과 수술용 장치의 인스트루먼트
CN204971472U (zh) * 2015-08-12 2016-01-20 张昱 一种普外科和妇产科均可使用的手术剪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3866B (zh) * 2008-07-17 2010-04-14 成都峻峰科技开发有限公司 夹拉式手术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982A (ko) * 2009-08-10 2011-02-17 주식회사 이턴 외과 수술용 장치의 인스트루먼트
CN204971472U (zh) * 2015-08-12 2016-01-20 张昱 一种普外科和妇产科均可使用的手术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698A (ko) * 2018-11-21 2020-05-29 (주)와우메디칼 가슴라인 쉐이핑용 견인 실 취급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057B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0401B2 (ja) 多数のポータルのためのガイド
JP2014500066A (ja) 針を安定させる装置及び方法
US20160354105A1 (en) Surgical Blade with Viewing Aperture
US20150157350A1 (en) Nerve decompression scissors
EP2572659A1 (en) Gleniod anchor guide
JP5629290B2 (ja) 注射針穿刺ガイド
KR101879057B1 (ko) 외과용 봉합 기구
WO2019157806A1 (zh) 基于图像反馈的六维力传感器、夹持探头及夹持器械
JP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US8147512B1 (en) Dual closing guide for a surgical instrument
WO2019240110A1 (ja) 穿刺補助具
JP2007151783A (ja) 吸引機能付きスパーテル
JP2019013485A (ja) 骨整復鉗子
US20170304052A1 (en) Leaflet sizer
US11484334B2 (en) Circumcision apparatus, surgical scissors and circumcision method
JP6923892B2 (ja) 自動運針器
JP7182291B2 (ja) 甲状軟骨の形状測定治具
KR102205181B1 (ko) 트로카
CN208243639U (zh) 一种髂骨穿钉取骨定位器
CN219700001U (zh) 一种腹腔镜手术肝脏悬吊装置
KR102452340B1 (ko) 코 성형 수술기구
JP2019170862A (ja) 医療器具
CN103536332A (zh) 吻合器及其保险装置
CN219207170U (zh) 可组合置钉套筒单边齿状骨折复位钳
JP2019205825A (ja) 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