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340B1 - 코 성형 수술기구 - Google Patents

코 성형 수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340B1
KR102452340B1 KR1020220063370A KR20220063370A KR102452340B1 KR 102452340 B1 KR102452340 B1 KR 102452340B1 KR 1020220063370 A KR1020220063370 A KR 1020220063370A KR 20220063370 A KR20220063370 A KR 20220063370A KR 102452340 B1 KR102452340 B1 KR 10245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ed
buffer
inner tub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치호
Original Assignee
신종인
이경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인, 이경묵 filed Critical 신종인
Priority to KR102022006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61B2090/3616Magnifying g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성형 수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중심선을 표시하는 중심선 표시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양측에 대칭되게 각기 배치되어 얼굴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며 단부에는 쿠션패드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본체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승강홈에 끼움결합되어 승강작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홀이 형성된 홀더로 구성된 장착부; 상기 홀더의 홀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일단에 칼날이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절개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절개된 골막 및 피부를 걸어 올려주는 후크부가 형성된 피부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 성형 수술기구{Nose plastic surgery instruments}
본 발명은 코 성형 수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의 형태를 바로잡고 외모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코 성형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코 성형 수술시 비골과 골막 사이에 보형물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비골 위에 증착되어 있는 골막을 절개하고, 비골과 골막을 박리해야 한다.
종래에는 비골 위에 증착되어 있는 골막을 절개할 경우 가위로 골막에 절개선을 낸 후 비골과 골막의 박리를 시행하였다.
종래의 가위에 의한 골막 절개 수술에 의하면, 골막의 절개 부위를 정확하게 찾기 어려워서 골막을 손상케 할 우려가 많았고, 이로 인해 수술 후에 후유증이 발생되었다.
또한 정확한 절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인공 보형물이 비골과 골막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지 못하고 골막 위에 위치하는 경우도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수술 후 보형물이 손상된 골막을 통하여 피부 아래층으로 이동하거나 고정이 되지 않아서 보형물의 심한 비틀림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8-001685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골과 골막의 분리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절개 블레이드를 이용하고, 절개과정에서 골막 및 피부를 점진적으로 들어주어 시술자가 절개부위를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견인수단이 구비되며, 얼굴 중앙선을 상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코 성형 수술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중심선을 표시하는 중심선 표시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양측에 대칭되게 각기 배치되어 얼굴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며 단부에는 쿠션패드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본체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승강홈에 끼움결합되어 승강작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홀이 형성된 홀더로 구성된 장착부; 상기 홀더의 홀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일단에 칼날이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절개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절개된 골막 및 피부를 걸어 올려주는 후크부가 형성된 피부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코 성형 수술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확대경몸체와, 상기 확대경몸체에 부착되어 대상물을 확대시켜 시야를 확보해줄 수 있는 확대경을 구비된 확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석션튜브를 거치하도록 석션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거치대는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되는 상,하 클램프와, 상기 상,하 클램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폐쇄 후 록킹시키는 잠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션튜브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흡입노즐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내관체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고, 튜브 홀더가 결합되는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내관체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고정된 절개 칼날을 이용하여 비골과 골막의 분리 시술이 정교해질 수 있고, 피부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절개과정 중 골막 및 피부를 점진적으로 들어주어 시술자가 절개부위를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시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얼굴 중앙선을 상시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의 시술 예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의 '석션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의 석션튜브의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의 석션튜브의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5에서 완충부의 '제2 하우징'과 '제3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상기 도 5에서 완충부의 제2 하우징과 제3 하우징의 단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의 시술 예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의 '석션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의 석션튜브의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의 석션튜브의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5에서 완충부의 '제2 하우징'과 '제3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상기 도 5에서 완충부의 제2 하우징과 제3 하우징의 단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 수술기구는, 본체(100), 중심선 표시부(200), 지지대(300), 장착부(400), 절개부재(500), 피부고정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경량이면서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홈이 형성된다.
중심선 표시부(200)는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중심선을 표시하도록 광원이 구비된다.
광원은 레이저 광을 발산하도록 하며,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온-오프 되도록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고, 스위치는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광센서이거나 또는 물리적 버튼일 수 있다.
지지대(300)는 본체(100)의 외주면의 양측에 대칭되게 각기 배치되어 얼굴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며 단부에는 쿠션패드(320)가 형성된다.
지지대(300)는 대략 'ㄱ'자 형 또는 'ㄷ'자 형으로 절곡되며, 중간에 수축작용하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상시 오므려지도록 작용함으로써 얼굴의 양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장착부(400)는 본체(100)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승강홈(120)에 끼움결합되어 승강작동되는 슬라이더(440)와, 상기 슬라이더(440)에 결합되며 홀이 형성된 홀더(460)로 구성된다. 홀더(460)는 링 또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본체(100)에 힌지축(462)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홈(120)의 저면에 다수의 치차(122)가 형성되고, 이에 치차 결합되도록 슬라이더(440)에도 치차(441)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440)를 상하로 이동시 정해진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460)에 절개부재(500)를 끼운 후 상하좌우로 회전하면서 절개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홀더(460) 내에는 절개부재(500)를 탄성 지지하는 탄지볼(462)이 다수 형성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탈을 방지될 수 있도록 협지력을 갖도록 한다.
탄지볼(462)은 스프링에 지지되는 볼이다.
절개부재(500)는 홀더(460)의 홀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일단에 칼날(520)이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540)가 형성된다. 칼날(520)은 메스 또는 가위일 수 있고, 절개부재(500)를 이용한 절개 시술과정에서 본체(100)에 지지됨으로써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정적인 시술을 보장하게 된다.
피부고정부재(600)는 본체(100)의 상부에 축핀(601)으로 힌지결합되는 고정구(650)에 장착된다.
고정구(650)는 피부고정부재(600)가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의 내주면에 탄지볼(652)이 구비된다.
피부고정부재(600)는 연결바(620)와, 상기 연결바(62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절개된 골막 및 피부(R)를 걸어 올려주는 후크부(640)가 형성된다.
후크부(640)는 갈고리 형상으로 호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피부고정부재(600)는 축핀(601)을 힌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시이소오 운동을 하면서 회전됨으로써 후크부(640)가 피부를 걸어 들어올려줄 수 있다.
또한 축핀(650)은 본체(10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적절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어 피부고정부재(600)를 회전시킨 후 회전된 각도로 일시적인 고정이 가능해지도록 하여 피부를 걸어 올려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확대경몸체(142)와, 상기 확대경몸체(142)에 부착되어 대상물을 확대시켜 시야를 확보해줄 수 있는 확대경(144)을 구비된 확대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확대경몸체(142)에 조명등(146)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등(146)을 온(on) 작동하고 확대경(144)을 통해 시술 부위를 보다 명확하게 보면서 시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되며 석션튜브(170)를 거치하도록 석션거치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석션튜브(170)는 시술 중 발생되는 혈액이나 체액을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자가 사용하거나 또는 시술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시술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석션튜브(170)는 석션거치대(700)에 장착하여 시술과정에서 신속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석션거치대(700)는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를 갖는 바디(720)와, 바디(720)에 힌지축(162)으로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석션튜브(170)를 협지하는 상,하 클램프(721,722)와, 상,하 클램프(721,722)의 단부에 연결되어 폐쇄 후 록킹시키는 잠금구(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잠금구(730)는 하 클램프(722)의 끝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 클램프(721)의 단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축(732)과, 볼트축(732)의 하부에 형성된 머리부(734)로 구성되어 머리부(734)를 손으로 잡아 돌림으로써 록킹시키거나 이와 반대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석션튜브(17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하우징(2);이 형성된다.
하우징(2)은 흡입노즐(173)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21), 제1 하우징(21)의 후단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내관체(1)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22) 및 제2 하우징(22)의 후단부에 체결되고, 튜브 홀더(4)가 결합되는 제3 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호스(3)는 하우징(2)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흡입노즐(173)에 연결된다.
하우징(2)의 후단부에 튜브 홀더(4)가 결합되고, 완충부(6)가 중간에 형성된다.
완충부(6)는 석션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완충부(6)는 제1 완충부(61) 및 제2 완충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61)는 내관체(1)의 외면을 감싸고, 내관체(1)의 회전 시 내관체(1)에 마찰되면서 내관체(1)의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완충부(61)는 케이지(611) 및 하중분산 볼(61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611)는 제2 완충부(62)의 내면에 지지되고, 내관체(1)의 외면을 감싸는 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중분산 볼(612)은 케이지(611)의 내부에 수용되어 내관체(1)의 외면에 접하고, 내관체(1)의 회전 시 케이지(611)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내관체(1)의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완충부(62)는 제1 완충부(61)와 제2 하우징(22)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2)의 반경방향을 따라 유동되면서 제1 완충부(6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완충부(62)는 케이지(611)의 외면을 지지하는 탄성체 재질의 제1 탄성튜브(621), 제2 하우징(22)의 내면에 지지되는 탄성체 재질의 제2 탄성튜브(622), 제1 탄성튜브(621)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링(623), 제2 탄성튜브(622)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 지지링(624) 및 제1 지지링(623)과 제2 지지링(624) 사이에 압입되고, 하우징(2)의 반경방향으로 제1 지지링(623)과 제2 지지링(62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원호 형상의 완충 탄성부재(6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23)은 제2 하우징(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우징(2)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위치를 가변하여 튜브 홀더(4)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2)은 육각형상의 각도조절홈(221)과, 각도조절홈(221)의 단부에 수용되는 제1 결합자석(2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하우징(23)은 각도조절홈(221)에 대응되는 육각형상의 결합튜브(231)와, 결합튜브(231)의 단부에 수용되고, 제1 결합자석(2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자석(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본체부 120 : 승강홈
200 : 중심선 표시부 300 ; 지지대
400 : 장착부 440 : 슬라이더
460 : 홀더 500 ; 절개부재
520 ; 칼날 540 : 손잡이
600 : 피부고정부재 620 : 연결바
640 : 후크부 700 ; 석션거치대
720 ; 바디 721 : 상 클램프
722 : 하 클램프 730 ; 잠금구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중심선을 표시하는 중심선 표시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양측에 대칭되게 각기 배치되어 얼굴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며 단부에는 쿠션패드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본체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승강홈에 끼움결합되어 승강작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홀이 형성된 홀더로 구성된 장착부;
    상기 홀더의 홀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일단에 칼날이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절개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절개된 골막 및 피부를 걸어 올려주는 후크부가 형성된 피부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 수술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승강홈의 저면에 다수의 치차가 형성되고, 슬라이더에도 치차가 다수 형성되어 치차 결합되어 슬라이드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절개부재의 홀더 내에는 절개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지볼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확대경몸체와, 상기 확대경몸체에 부착되어 대상물을 확대시켜 시야를 확보해줄 수 있는 확대경을 구비된 확대부재;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석션거치대; 및
    상기 석션거치대에 거치되는 석션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거치대는,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힌지축으로 힌지결합되어 개폐작동되는 상,하 클램프와, 상기 상,하 클램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폐쇄 후 록킹시키는 잠금구;를 포함하는, 코 성형 수술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튜브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은,
    흡입노즐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내관체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고, 튜브 홀더가 결합되는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내관체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내관체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내관체의 회전시 상기 내관체에 마찰되면서 상기 내관체의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완충부;
    상기 제1 완충부와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을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제1 완충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제2 완충부의 내면에 지지되는 관형의 케이지; 및
    상기 케이지에 수용되어 내관체의 외면에 접하고, 내관체의 회전 시 케이지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내관체의 진동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 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케이지의 외면을 지지하는 탄성체 재질의 제1 탄성튜브;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면에 지지되는 탄성체 재질의 제2 탄성튜브;
    상기 제1 탄성튜브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링;
    상기 제2 탄성튜브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 지지링; 및
    상기 제1 지지링과 상기 제2 지지링 사이에 압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링과 상기 제2 지지링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원호 형상의 완충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코 성형 수술기구.
KR1020220063370A 2022-05-24 2022-05-24 코 성형 수술기구 KR102452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370A KR102452340B1 (ko) 2022-05-24 2022-05-24 코 성형 수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370A KR102452340B1 (ko) 2022-05-24 2022-05-24 코 성형 수술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340B1 true KR102452340B1 (ko) 2022-10-07

Family

ID=8359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370A KR102452340B1 (ko) 2022-05-24 2022-05-24 코 성형 수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34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6A (ko) * 2003-08-06 2005-02-21 안태환 코 성형 수술 기구
KR20160070311A (ko) * 2014-12-09 2016-06-2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과수술용 다발성 나사 가이드장치
KR20180016858A (ko) 2016-08-08 201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방법
KR101862833B1 (ko) * 2017-08-21 2018-05-31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가이드
KR20180079346A (ko) * 2015-10-30 2018-07-10 세다르스-신나이 메디칼 센터 조직 리트랙터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0600A (ko) * 2017-12-01 2019-03-04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가이드
JP2020018382A (ja) * 2018-07-30 2020-02-06 大平 来田 レーザ投影器具及びガイド器具
KR102307046B1 (ko) * 2019-08-30 2021-09-30 (주)오스테오닉 수술용 핀 가이드
KR102415277B1 (ko) * 2022-03-22 2022-06-29 박진만 진동에 강인한 치과기공용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6A (ko) * 2003-08-06 2005-02-21 안태환 코 성형 수술 기구
KR20160070311A (ko) * 2014-12-09 2016-06-2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과수술용 다발성 나사 가이드장치
KR20180079346A (ko) * 2015-10-30 2018-07-10 세다르스-신나이 메디칼 센터 조직 리트랙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6858A (ko) 2016-08-08 201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방법
KR101862833B1 (ko) * 2017-08-21 2018-05-31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가이드
KR20190020600A (ko) * 2017-12-01 2019-03-04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가이드
JP2020018382A (ja) * 2018-07-30 2020-02-06 大平 来田 レーザ投影器具及びガイド器具
KR102307046B1 (ko) * 2019-08-30 2021-09-30 (주)오스테오닉 수술용 핀 가이드
KR102415277B1 (ko) * 2022-03-22 2022-06-29 박진만 진동에 강인한 치과기공용 핸드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9428B2 (ja) 内部照明された手術プローブ
AU2011205394B2 (en) Surgical retractor with curved rotating blades
US8025649B2 (en) Method for use of attachment device and system for corneal irrigating cannula
EP1164939B1 (en) Central platform for supporting retractor blades and the like during surgery
US9107618B2 (en) Imaging accessory frame for integration with an operating microscope
JP6353897B2 (ja) 伸縮式開創器ホルダ
US10285588B2 (en) Mechanical support of an indirect contact lens by a surgical microscope during vitreoretinal surgery
ES2665314T3 (es) Instrumento quirúrgico de calibre pequeño con soporte ajustable
JP2020022774A (ja) 手術用の調整可能なループファイバーオプティック照明装置
US20050243441A1 (en) Operating room magnifier
KR102452340B1 (ko) 코 성형 수술기구
US20050063058A1 (en) Glare-elimination device for surgical microscopes
US7021780B2 (en) Telescopic mirror attachment for medical, surgical, and dental instruments
JP2003175056A (ja) 医療用顕微鏡
CN110432938B (zh) 一种可自由组合和调节的外科手术拉钩
CN203763261U (zh) 一种医用多功能内窥镜固定架
US4656995A (en) Surgical apparatus for contouring implants
CN215960318U (zh) 神经外科手术器械托盘
JP2010184101A (ja) 無影灯装置及び診療灯装置
US11602477B2 (en) Instrument hose support device and dental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165305B1 (ja) 治療部位固定具
US10512394B2 (en) Endoscopic-enabled mouth gag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CN217885983U (zh) 胸腔镜支撑装置
CN213665129U (zh) 一种腹腔镜手术固定装置
CN210044142U (zh) 一种显微外科手术用臂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