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292A -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292A
KR20180050292A KR1020187003885A KR20187003885A KR20180050292A KR 20180050292 A KR20180050292 A KR 20180050292A KR 1020187003885 A KR1020187003885 A KR 1020187003885A KR 20187003885 A KR20187003885 A KR 20187003885A KR 20180050292 A KR20180050292 A KR 2018005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ing layer
absorbent
fiber
co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169B1 (ko
Inventor
사토루 단게
히로키 고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5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specific fibre orientation or we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06Basi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from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18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characteriz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 A61F2013/53029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il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3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being natur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being a tissue-wrapp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Abstract

본 개시는, 액체를 반복해서 흡수했을 때의, 액체의 평면 방향으로의 확산성과, 액체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성이 뛰어난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흡수체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고분자 흡수제(19)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11)와, 코어 랩(13, 14)을 갖는, 흡수성 물품(1)용 흡수체(7)로서, 코어 랩(13, 14)이, (i) 흡수 코어(11)에 인접하고, 평균 섬유 길이가 25mm∼75mm의 제 1 친수성 섬유(23, 24)를 포함하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26)과, (ii)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26)에 인접하고, 펄프 섬유(27, 28)를 포함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29, 30)과, (iii) 펄프 섬유 함유층(29, 30)에 인접하고, 평균 섬유 길이가 25mm∼75mm의 제 2 친수성 섬유(31, 32)를 포함하는,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 34)을 포함하며, 펄프 섬유(27, 28)의 일부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26)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11)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7)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
본 개시는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체액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가, 상기 액체의 액체 공급점(배설구(排泄口) 맞닿음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광범위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흡수체가 그 광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의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흡수한 액체를 액체 공급점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를, 액체 투과성 시트와, 흡수 코어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단락 [0024]에는, 체액 확산성을 갖는 확산층(6)을, 예를 들면 표면층(2)(또는 이면층(3))과 고분자 흡수제를 갖는 부분과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단락 [0024]에는, 확산층으로서, 레이온 섬유의 웨브에 펄프 섬유를 적층하고, 이들을 워터 제트에 의해 얽어 짠 섬유 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4-298384호
그러나, 확산 시트는, 흡수한 액체를 흡수성 물품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능력이 뛰어난 한편, 흡수한 액체를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이행시키는 능력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은, 흡수한 액체가 확산 시트에 머물러, 흡수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액체를 반복해서 흡수했을 때의 액체의 평면 방향으로의 확산성과, 액체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성이 뛰어난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코어 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로서, 상기 코어 랩이, (i) 상기 흡수 코어에 인접하고, 평균 섬유 길이가 25mm∼75mm의 제 1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과, (ii)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인접하고,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과, (iii)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에 인접하고, 평균 섬유 길이가 25mm∼75mm의 제 2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의 일부가, 상기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 코어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를 발견했다.
본 개시의 흡수체는, 액체를 반복해서 흡수했을 때의 액체의 평면 방향으로의 확산성과, 액체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성이 뛰어나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체(7)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1)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흡수체(7)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코어 랩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의]
·「평균 섬유 길이」
본 개시에서는, 펄프 섬유 이외의 섬유, 예를 들면, 제 1 친수성 섬유 및 제 2 친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JIS L 1015:2010의 부속서 A의 「A7.1 섬유 길이의 측정」의 「A7.1.1 A법(표준법) 눈금이 새겨진 유리판 위에서 각각의 섬유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1981년에 발행된 ISO 6989에 상당하는 시험 방법이다.
·「평균 섬유 길이」
본 개시에서는, 펄프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무게 가중평균 섬유 길이를 의미하고, 메초 오토메이션(metso automation)사 제조의 카야니파이버랩 파이버 프로퍼티스(오프라인)[kajaaniFiberLab fiber properties(off-line)]에 의해 측정되는 L(w)치를 의미한다.
·「셀룰로오스계 섬유」
본 명세서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및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코어 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로서,
상기 코어 랩이, (i) 상기 흡수 코어에 인접하고, 평균 섬유 길이가 25mm∼75mm의 제 1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과, (ii)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인접하고,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과, (iii)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에 인접하고, 평균 섬유 길이가 25mm∼75mm의 제 2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 코어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체.
양태 1의 흡수체에서는, 체액 등의 액체가 코어 랩에 공급되면(첫 번째 액체 공급), 액체 공급점을 중심으로 하여 액체가 액체 투과성 시트의 표면으로 퍼지는 동시에, 액체 공급점을 중심으로 하여 액체가 흡수체의 두께 방향으로 침투한다. 액체가 흡수체의 두께 방향으로 침투하여, 액체가 코어 랩에 도달하면, 코어 랩의 「확산 기능」에 의해 액체가 코어 랩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한다. 상기 「확산 기능」은, 코어 랩이, 펄프 섬유 함유층을,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으로 샌드위치한 샌드위치 구조를 가짐으로써 주로 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포함되는 제 1 친수성 섬유에 기인하는 모관력(毛管力)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포함되는 제 2 친수성 섬유에 기인하는 모관력에 의해, 액체가 그들 층 내에서 흡수체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한다.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각각의 내부에서 확산한 액체는, 인접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의 친수성의 높이에 따라, 펄프 섬유 함유층으로 수수(授受)되고,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 내에 있어서의 액체의 확산과, 펄프 섬유 함유층으로의 액체의 수수의 확산-수수 사이클을 반복하여, 액체가 코어 랩 내에서 그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는 동시에, 액체가 펄프 섬유 함유층 내에 일시 저류된다. 이어서, 펄프 섬유 함유층 내에 일시 저류된 액체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에 통하고 있는 펄프 섬유를 통해 흡수 코어로 이행하여, 흡수 코어 내의 고분자 흡수제에 흡수된다. 그것에 의해, 코어 랩이 다음의 액체 공급에 대비할 수 있다.
액체가 코어 랩에 재차 공급되면(두 번째의 액체 공급), 액체 공급점을 중심으로 하여 액체가 액체 투과성 시트의 표면으로 퍼지는 동시에, 액체 공급점을 중심으로 하여 액체가 흡수체의 두께 방향으로 침투한다. 액체가 흡수체의 두께 방향으로 침투하여 코어 랩에 도달하면, 액체가, 코어 랩의, 첫 번째의 액체 공급 시에 확산한 범위인 액체 투과 영역까지 신속하게 확산한다.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제 1 친수성 섬유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제 2 친수성 섬유의 액체에의 친화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코어 랩에서는, 액체가, 첫 번째의 액체 공급 시에 확산한 범위를 넘어, 확산-수수 사이클을 반복하여, 첫 번째의 액체 공급보다도 액체 공급점으로부터 먼 위치까지 확산하는 동시에, 액체가 펄프 섬유 함유층 내에 일시 저류된다. 펄프 섬유 함유층 내에 일시 저류된 액체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에 통하고 있는 펄프 섬유를 통해 흡수 코어로 이행하여, 흡수 코어 내의, 첫 번째의 액체 공급 시보다도 광범위에 존재하는 고분자 흡수제에 흡수된다. 그것에 의해, 코어 랩이 다음의 액체 공급에 대비할 수 있다.
액체가 코어 랩에 재차 공급되면(세 번째의 액체 공급), 마찬가지로, 액체가, 두 번째의 액체 공급보다도 액체 공급점으로부터 먼 위치까지 확산하는 동시에, 흡수 코어 내의, 두 번째의 액체 공급 시보다도 광범위에 존재하는 고분자 흡수제에 흡수된다.
그것에 의해, 양태 1에 기재한 흡수체는, 액체를 반복하여 흡수했을 때의, 액체의 평면 방향으로의 확산성과, 액체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성이 뛰어나다.
[양태 2]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고분자 흡수제를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에 갖고,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의 상기 고분자 흡수제와 접촉하고 있는 양태 1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2에 기재한 흡수체에서는,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고분자 흡수제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펄프 섬유 함유층에 일시 저류된 액체가, 고분자 흡수제의 요구에 따라,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를 통하여 고분자 흡수제에 흡수되기 때문에,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양태 3]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의 상기 고분자 흡수제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는 양태 2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3에 기재한 흡수체에서는, 흡수 코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고분자 흡수제가 접착층을 개재하여 코어 랩의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가 착용 중에 변형된 경우라도, 고분자 흡수제와 펄프 섬유 함유층의 사이의, 펄프 섬유를 개재한 연결이 유지되기 쉽다. 그 결과, 착용자가 격렬하게 움직인 경우라도, 펄프 섬유 함유층에 일시 저류된 액체가, 고분자 흡수제의 요구에 따라,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를 통하여 고분자 흡수제에 직접 흡수되기 때문에,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양태 4]
상기 흡수체가, 상기 코어 랩을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에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에 배치된 상기 코어 랩에 있어서,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과 반대측의 면에 도달하고 있는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4에 기재한 흡수체는 코어 랩을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에 구비하고, 흡수체의 피부측 면에 배치된 코어 랩에 있어서,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 함유층과 반대측의 면에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인접하는 층(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시트)에 존재하는 액체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으로 신속하게 끌어들이면서,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시켜, 더욱 펄프 섬유 함유층으로 신속하게 수수할 수 있으므로, 흡수체가, 그 평면 방향으로의 액체의 확산과, 그 두께 방향으로의 액체의 이행이 뛰어나고, 그리고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 속도가 뛰어나다.
[양태 5]
제 1 친수성 섬유 및 제 2 친수성 섬유의 각각이 셀룰로오스계 섬유인 양태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5에 기재한 흡수체에서는, 제 1 친수성 섬유 및 제 2 친수성 섬유가 셀룰로오스계 섬유이다. 따라서,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각각이, 그 평면 방향의 액체의 확산성이 뛰어나고, 그리고 액체를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로 수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수체는, 상술의 액체의 확산-수수 사이클이 뛰어나고, 그 결과, 상기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양태 6]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가 1∼10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양태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6에 기재한 흡수체에서는, 펄프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1∼10mm이므로, 펄프 섬유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기 쉬워져, 펄프 섬유 함유층에 일시 저류된 액체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통하여 흡수 코어로 이행시키기 쉬워진다. 그 결과, 상기 흡수체는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양태 7]
상기 코어 랩이 30g∼100g/㎡의 평량을 갖는 양태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7에 기재한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이 소정의 평량을 가지므로,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있어서의 액체의 평면 방향의 확산과, 펄프 섬유 함유층에 있어서의 액체의 일시 저류성이 뛰어나며, 본 개시의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양태 8]
상기 코어 랩이 0.05∼0.20g/㎤의 밀도를 갖는 양태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8에 기재한 흡수체는, 코어 랩이 소정의 밀도를 가지므로, 적당한 모관력을 가지며, 코어 랩으로의 액체의 끌어들임과, 코어 랩으로부터 흡수 코어로의 액체의 수수가 뛰어나다. 그 결과, 상기 흡수체, 그리고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리웨트(rewet)성이 뛰어나다.
[양태 9]
상기 코어 랩이, 확산-이행 시험에 있어서, 130mm 이상의 확산 길이와, 31.0g 이상의 이행량을 갖는 양태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9에 기재한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이 소정의 확산 길이 및 이행량을 가지므로, 흡수체가, 그 평면 방향으로의 액체의 확산과, 그 두께 방향으로의 액체의 이행이 뛰어나고, 그리고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 속도가 뛰어나다.
[양태 10]
상기 코어 랩이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의 양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양태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10에 기재한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이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의 양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에, 한 번에 대량의 액체가 공급된 경우라도,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의 양쪽에서, 코어 랩에 있어서의 액체의 확산 및 수수 사이클을 반복할 수 있고, 그 결과,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양태 11]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고분자 흡수제를,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의 양면에 갖고, 상기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에 배치된 상기 코어 랩의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가, 각각,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에 갖는 상기 고분자 흡수제에 접촉하고 있는 양태 10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11에 기재한 흡수체에서는,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에 배치된 코어 랩의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가, 각각,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에 갖는 고분자 흡수제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흡수체에 한 번에 대량의 액체가 공급된 경우라도,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의 양쪽에서, 코어 랩에 있어서의 액체의 확산 및 수수 사이클을 반복할 수 있고, 그 결과,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양태 12]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피부측 면에 존재하는 상기 고분자 흡수제와, 비피부측 면에 존재하는 상기 고분자 흡수제의 사이에 친수성 포백(布帛)을 포함하는 양태 11에 기재한 흡수체.
양태 12에 기재한 흡수체는, 피부측 면에 존재하는 고분자 흡수제와, 비피부측 면에 존재하는 고분자 흡수제의 사이에 친수성 섬유인 포백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분자 흡수제가 액체를 흡수할 때에 고분자 흡수제의 블로킹이 생기기 어렵고, 그 결과,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대해,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체(7)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체(7)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1)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흡수체(7)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고, 액체 투과성 시트(3)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5)와, 액체 투과성 시트(3)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5) 사이의 흡수체(7)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은 또, 탄성 부재(10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방루(防漏)벽(101), 방루벽(101)을 액체 투과성 시트(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5), 탄성 부재(107), 테이프 패스너(109) 등을 갖지만, 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체(7)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상의 형상을 갖고,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흡수체(7)는, 흡수 코어(11)와, 코어 랩(13, 14)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7)는, 흡수 코어(11)와, 흡수 코어(11)의 피부측 면(15)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코어 랩(13)과, 흡수 코어(11)의 비피부측 면(17)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코어 랩(14)을 구비한다.
흡수 코어(11)는, 고분자 흡수제(19)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11)는, 흡수 코어(11)의 피부측 면(15)에 배치된 고분자 흡수제(19a)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흡수제의 층(20a)과, 흡수 코어(11)의 비피부측 면(17)에 배치된 고분자 흡수제(19b)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흡수제의 층(20b)과, 고분자 흡수제의 층(20a) 및 고분자 흡수제의 층(20b)의 사이에 배치된, 친수성 포백(21)의 층(친수성 포백의 층(22))을 구비한다.
코어 랩(13)은, (i) 흡수 코어(11)에 인접하고, 제 1 친수성 섬유(23)로 이루어지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과, (ii)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에 인접하고, 펄프 섬유(27)로 이루어지는 펄프 섬유 함유층(29)과, (iii) 펄프 섬유 함유층(29)에 인접하고, 제 2 친수성 섬유(31)로 이루어지는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코어 랩(14)은 (i) 흡수 코어(11)에 인접하고, 제 1 친수성 섬유(24)로 이루어지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6)과, (ii)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6)에 인접하고, 펄프 섬유(28)로 이루어지는 펄프 섬유 함유층(30)과, (iii) 펄프 섬유 함유층(30)에 인접하고, 제 2 친수성 섬유(32)로 이루어지는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4)을 포함한다.
제 1 친수성 섬유(23) 및 제 1 친수성 섬유(24), 그리고 제 2 친수성 섬유(31) 및 제 2 친수성 섬유(32)의 각각은, 25mm∼75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다.
코어 랩(13)에서는, 펄프 섬유 함유층(29)의 펄프 섬유(27)의 일부인 펄프 섬유(27a)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11),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11)의 피부측 면(15)에 배치된 고분자 흡수제의 층(20a)의 고분자 흡수제(19a)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또,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이, 고분자 흡수제의 층(20a)의 고분자 흡수제(19a)에,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코어 랩(14)에서는, 펄프 섬유 함유층(30)의 펄프 섬유(28)의 일부인 펄프 섬유(28a)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6)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11),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11)의 비피부측 면(17)에 배치된 고분자 흡수제의 층(20b)의 고분자 흡수제(19b)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또,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6)이, 고분자 흡수제의 층(20b)의 고분자 흡수제(19b)에,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코어 랩(13)에서는, 펄프 섬유 함유층(29)의 펄프 섬유(27)의 일부인 펄프 섬유(27b)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펄프 섬유 함유층(29)과 반대측의 면(35), 구체적으로는 액체 투과성 시트(3)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코어 랩(14)에서는, 펄프 섬유 함유층(30)의 펄프 섬유(28)의 일부인 펄프 섬유(28b)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4)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4)의 펄프 섬유 함유층(30)과 반대측의 면(36), 구체적으로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도시하지 않음)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도 3∼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체(7)가 액체를 반복하여 흡수했을 때의 액체의 평면 방향으로의 확산성과, 액체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성이 뛰어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도 7은, 도 1의 II-II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며, 설명을 위해, 제 1 친수성 섬유, 제 2 친수성 섬유 및 펄프 섬유는 생략되어 있고, 그리고 고분자 흡수제(19)는 원으로서 표현되어 있다.
<첫 번째의 액체 공급>
첫 번째의 액체 공급에서는, 도 3(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체액 등의 액체(41)가 흡수성 물품(1)의 액체 투과성 시트(3)에 공급되면, 액체(41)의 공급점(43)을 중심으로 하여 액체(41)가 액체 투과성 시트(3)의 표면을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및 폭 방향)으로 퍼지는 동시에, 공급점(43)을 중심으로 하여 액체(41)가 흡수체(7)의 두께 방향(T)으로 침투한다.
도 3(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액체(41)가 흡수체(7)의 두께 방향(T)으로 침투하여, 액체 투과성 시트(3)로부터 코어 랩(13) 및 코어 랩(14)으로 이동한 액체(41)는, 코어 랩(13) 및 코어 랩(14)의 각각의 확산 기능에 의해, 코어 랩(13) 및 코어 랩(14)의 각각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흡수체(7))의 평면 방향,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1)(흡수체(7))의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도시하지 않음)으로 확산한다. 액체 투과성 시트(3)에는, 액체(41)가 투과한 부분에, 액체 투과 영역(45)이 형성된다. 액체 투과 영역(45)은, 한번 액체(41)와 접하고 있으므로, 액체(41)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영역이다.
상기 확산 기능은, 코어 랩(13)이, 펄프 섬유 함유층(29)을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으로 샌드위치한 샌드위치 구조를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에 포함되는 제 1 친수성 섬유(도시하지 않음)에 기인하는 모관력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에 포함되는 제 2 친수성 섬유(도시하지 않음)에 기인하는 모관력에 의해, 액체(41)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내부에서 흡수체(7)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한다. 또한, 코어 랩(14)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각각에 있어서, 흡수체(7)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한 액체(41)는, 인접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29)의 펄프 섬유(도시하지 않음)의 친수성의 높이에 따라, 펄프 섬유 함유층(29)으로 이행한다. 액체(41)가 펄프 섬유 함유층(29)으로 이행함으로써,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각각에 있어서, 액체(41)를 홀딩하고 있던 영역에 액체 투과 영역(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이 새로운 액체(41)를 받아들일 여유가 생긴다.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각각에 있어서, 액체 투과 영역(도시하지 않음)은, 한번 액체(41)와 접하고 있어, 액체(41)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영역이므로, 액체 투과성 시트(3)에 잔존하고 있던 새로운 액체(41)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액체 투과 영역(도시하지 않음)에 도달하면, 새로운 액체(41)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에 있어서, 액체 투과 영역(도시하지 않음)을 넘어, 흡수체(7)의 평면 방향으로 더욱 확산한다.
액체(41)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내부에 있어서의 확산과, 펄프 섬유 함유층(29)으로의 수수라는 확산-수수 사이클을, 공급된 액체(41)가 없어질 때까지, 또는 펄프 섬유 함유층(29)이 액체(41)를 저류 가능한 상한까지 반복한다. 그 결과, 액체(41)는, 도 4(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코어 랩(13)의 내부에서, 흡수체(7)의 평면 방향으로, 영역: R1에 걸쳐서 확산하는 동시에, 펄프 섬유 함유층(29)에 일시 저류된다. 또한, 코어 랩(14)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영역: R1에 있어서, 펄프 섬유 함유층(29) 내에 일시 저류된 액체(41)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11)에 통하고 있는 펄프 섬유(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흡수 코어(11)로 이행하여, 흡수 코어(11)의 고분자 흡수제(19a)에 흡수된다.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펄프 섬유 함유층(29)의 펄프 섬유(27)의 일부인 펄프 섬유(27a)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11),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11)의 피부측 면(15)에 배치된 고분자 흡수제의 층(20a)의 고분자 흡수제(19a)와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고분자 흡수제(19a)가 액체(41)를 흡수하면, 펄프 섬유 함유층(29)에 일시 저류된 액체(41)가 펄프 섬유(27a)를 통하여, 고분자 흡수제(19a)에 신속하게 공급된다. 그 결과, 영역: R1에 있어서, 펄프 섬유 함유층(29)에 일시 저류된 액체(41)가 고분자 흡수제(19a)에 신속하게 흡수되어, 코어 랩(13)이 액체(41)의 다음의 공급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랩(14)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두 번째의 액체 공급>
두 번째의 액체 공급에서는, 도 5(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체액 등의 액체(41)가 흡수성 물품(1)의 액체 투과성 시트(3)에 공급되면, 액체(41)의 공급점(43)을 중심으로 하여 액체(41)가 액체 투과성 시트(3)의 표면을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으로 퍼지는 동시에, 공급점(43)을 중심으로 하여 액체(41)가 흡수체(7)의 두께 방향(T)으로 침투한다. 액체(41)가 흡수체(7)의 두께 방향(T)으로 침투하여, 코어 랩(13) 및 코어 랩(14)에 도달하면, 액체(41)가, 코어 랩(13) 및 코어 랩(14)의, 첫 번째의 액체 공급 시에 확산한 영역(액체 투과 영역)인 영역: R1까지 신속하게 확산된다.
도 5(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액체(41)가 흡수체(7)의 두께 방향(T)으로 침투하여, 액체 투과성 시트(3)로부터 코어 랩(13) 및 코어 랩(14)으로 이동한 액체(41)는, 코어 랩(13) 및 코어 랩(14)의 각각의 확산 기능에 의해, 코어 랩(13) 및 코어 랩(14)의 각각에 있어서, 흡수체(7)의 평면 방향으로, 첫 번째의 액체 공급 시에 확산한 영역: R1을 넘어 확산한다. 또한, 확산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액체 투과성 시트(3)에는, 액체(41)가 투과한 부분에, 첫 번째의 액체 공급 시보다도 광범위한 액체 투과 영역(45)이 형성된다. 또한, 코어 랩(14)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각각에 있어서, 흡수체(7)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한 액체(41)는, 인접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29)의 펄프 섬유(도시하지 않음)의 친수성의 높이에 따라, 펄프 섬유 함유층(29)으로 수수된다. 액체(41)가 펄프 섬유 함유층(29)으로 수수됨으로써,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각각에 있어서, 액체(41)를 홀딩하고 있던 영역에 액체 투과 영역(45)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이 새로운 액체(41)를 받아들일 여유가 생긴다. 또한, 코어 랩(14)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각각에 있어서, 액체 투과 영역(도시하지 않음)은, 한번 액체(41)와 접하고 있어, 액체(41)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영역이므로, 액체 투과성 시트(3)에 잔존하고 있던 새로운 액체(41)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액체 투과 영역(도시하지 않음)에 도달하면, 새로운 액체(41)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에 있어서, 액체 투과 영역(도시하지 않음)을 넘어, 흡수체(7)의 평면 방향으로 더욱 확산한다.
액체(41)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의 내부에 있어서의 확산과, 펄프 섬유 함유층(29)으로의 수수라는 확산-수수 사이클을, 공급된 액체(41)가 없어질 때까지, 또는 펄프 섬유 함유층(29)이 액체(41)를 저류 가능한 상한까지 반복한다. 그 결과, 액체(41)는, 도 6(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코어 랩(13)의 내부에서, 흡수체(7)의 평면 방향으로, 영역: R2까지 확산하는 동시에, 펄프 섬유 함유층(29)에 일시 저류된다. 또한, 코어 랩(14)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6(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영역: R2에 있어서, 펄프 섬유 함유층(29) 내에 일시 저류된 액체(41)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11)에 통하고 있는 펄프 섬유(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흡수 코어(11)로 이행하여, 흡수 코어(11)의 고분자 흡수제(19a)에 흡수된다. 흡수의 메커니즘은, 첫 번째의 액체 공급에 관해, 도 4(b)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첫 번째의 액체 공급 시에 확산한 영역: R1보다도 광범위한 영역: R2에서 액체(41)가 고분자 흡수제(19a)에 흡수되는 점이 다르다.
그 결과, 영역: R2에 있어서, 펄프 섬유 함유층(29)에 일시 저류된 액체(41)가 고분자 흡수제(19a)에 신속하게 흡수되어, 코어 랩(13)이 액체(41)의 다음 공급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랩(14)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세 번째의 액체 공급>
세 번째의 액체 공급에 있어서도, 흡수성 물품(1)은, 첫 번째의 액체 공급 및 두 번째의 액체 공급과 마찬가지의 흡수를 반복하고, 그 결과,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액체(41)가, 두 번째의 액체 공급 시에 확산한 영역: R2보다도 광범위한 영역: R3에 존재하는 고분자 흡수제(19a)에 흡수된다. 또한, 코어 랩(14)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으로부터, 흡수체(7)는, 액체(41)를 반복하여 흡수한 때의, 액체(41)의 평면 방향으로의 확산성과, 액체(41)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성이 뛰어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랩(13)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과, 그들 사이의 펄프 섬유 함유층(29)(펄프 섬유 함유층(30))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본 개시의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랩(13)의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이 제 1 친수성 섬유(23)로 이루어지지만,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을 구성하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은, 제 1 친수성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포함한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랩(13)의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33)이 제 2 친수성 섬유(31)로 이루어지지만,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을 구성하는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은, 제 2 친수성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포함한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제 1 친수성 섬유 및 제 2 친수성 섬유의 각각은, 펄프 섬유 함유층을 구성하는 펄프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긴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25∼7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5mm,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55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다. 본 개시의 효과, 특히,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있어서의 평면 방향의 확산성의 관점에서이다.
제 1 친수성 섬유 및 제 2 친수성 섬유의 각각은, 친수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리고 액체를 복수 회 흡수해도 그 친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그 소재 그 자체가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친수성 섬유 및 제 2 친수성 섬유의 각각으로는 예를 들면,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반합성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예를 들면, 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펜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예를 들면,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또는 그들의 변성물, 또는 그들의 조합 등으로 구성되는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로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레이온, 예를 들면, 비스코스로부터 얻어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및 모달, 셀룰로오스의 구리암모니아염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구리암모니아 레이온(「큐프라」라고도 칭해진다)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리오셀, 구체적으로는, 펄프를, N-메틸모르폴린 N-옥시드의 수용액에 용해시켜 방사 원액(도프)으로 하여, N-메틸모르폴린 N-옥시드의 희박 용액 속에 압출(押出)하여 섬유로 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정제 셀룰로오스는, 예를 들면, 텐셀(상표)로서 시판되고 있다.
상기 반합성 섬유로는, 반합성 셀룰로오스,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섬유, 예를 들면 트리아세테이트 및 디아세테이트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랩(13)의 펄프 섬유 함유층(29)이 펄프 섬유(27)로 이루어지지만,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의 펄프 섬유 함유층은, 펄프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포함한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상기 펄프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두께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의 펄프 섬유에 의해,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펄프 섬유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펄프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두께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의 펄프 섬유에 의해,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펄프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mm 이하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한 액체를, 흡수체의 평면 방향이 아니라, 흡수체의 두께 방향으로 주로 이행시키는 관점에서이다. 상기 펄프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다. 취급의 관점에서이다.
상기 펄프 섬유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펄프 섬유로서 공지의 것이 포함되고, 예를 들면, 목재 펄프 및 비목재 펄프를 들 수 있다. 상기 목재 펄프로는, 예를 들면, 침엽수 펄프 및 광엽수 펄프를 들 수 있다. 상기 비목재 펄프로는, 예를 들면, 짚 펄프, 바가스 펄프, 갈대 펄프, 케나프 펄프, 뽕나무 펄프, 대나무 펄프, 마 펄프, 면 펄프(예를 들면, 코튼 린터)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흡수체(7)의 코어 랩(13)에서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펄프 섬유 함유층(29)의 펄프 섬유(27)의 일부인 펄프 섬유(27a)의 단일(1가닥)의 섬유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25)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11), 구체적으로는 흡수 코어(11)의 피부측 면(15)에 배치된 고분자 흡수제의 층(20a)의 고분자 흡수제(19a)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즉, 펄프 섬유(27a)의 단일(1가닥) 섬유의 한쪽의 단부가 펄프 섬유 함유층(29) 내에 있고, 그리고 그 다른쪽의 단부가 고분자 흡수제의 층(20a)의 고분자 흡수제(19a)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본 개시의 흡수체의 코어 랩에서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는, 펄프 섬유의 작은 덩어리(小塊)로서, 즉, 복수의 펄프 섬유가 일체가 되어,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와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1가닥)의 펄프 섬유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와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펄프 섬유가, 그 작은 덩어리로서,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펄프 섬유의 작은 덩어리의 한쪽의 단부가 펄프 섬유 함유층에 존재하고, 그리고 펄프 섬유의 작은 덩어리의 다른쪽의 단부가 흡수 코어와 접촉하고 있다. 또, 단일(1가닥)의 펄프 섬유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일(1가닥)의 펄프 섬유의 한쪽의 단부가 펄프 섬유 함유층에 존재하고, 그리고 그 다른쪽의 단부가 흡수 코어와 접촉하고 있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평면 방향의 확산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관점에서는, 단일(1가닥)의 펄프 섬유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흡수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펄프 섬유가 그 작은 덩어리로서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은 흡수 코어의 임의의 면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코어 랩은 흡수 코어의 전면(全面)을 덮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은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의 전면을 덮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코어 랩이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에 배치됨으로써, 흡수한 액체가 흡수 코어에 도달하기 전에, 액체를 흡수체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은 흡수 코어의 비피부측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흡수 코어의 비피부측 면의 전면을 덮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체가 한 번에 대량의 액체를 흡수하면, 흡수한 액체가 흡수 코어의 비피부측 면에 도달하므로, 흡수 코어의 비피부측 면에 있어서도 흡수한 액체를 흡수체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이, 바람직하게는 30g∼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40g∼80g/㎡,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g∼60g/㎡의 평량을 갖는다. 코어 랩에 있어서의 평면 방향의 확산성과, 펄프 섬유 함유층에 있어서의 액체의 일시 저류성과, 흡수 코어로의 액체의 이행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평량은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100mm×100mm의 사이즈 시료를 10장 채취하여, 각 시료의 질량을 측정하고, 이어서, 각 시료의 질량(g)을 각 시료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각 시료의 평량을 산출한다. 총 10개의 시료의 평량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당해 평균치를 평량으로서 채용한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이, 바람직하게는 0.05∼0.20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0.15g/㎤,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0.12g/㎤의 밀도를 갖는다. 코어 랩의 모관력의 관점에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랩이 상기 밀도 범위에 기인하는 모관력을 가짐으로써 코어 랩으로의 액체의 끌어들임성과, 코어 랩으로부터 흡수 코어로의 액체의 수수성이 뛰어나고, 본 개시의 흡수체, 그리고 당해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리웨트성이 뛰어난 경향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시료의 밀도는, 시료의 평량을 그 두께로 나눔으로써 산출한다. 또한, 평량의 측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개시에 있어서, 시료의 두께의 측정 방법은, 흡수체와, 코어 랩에 있어서 다르다.
흡수체의 두께는, 오자키 세이사쿠쇼 제조 PEACOCK 다이얼 두께 측정기 J-B(측정자의 직경: 50mm, 압력: 294Pa)에 의해 측정된다.
코어 랩의 두께는, 오자키 세이사쿠쇼 제조 PEACOCK 다이얼 측정기 No. 307(측정자의 직경: 44mm, 압력: 294Pa)에 의해 측정된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흡수 코어가 고분자 흡수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흡수제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고분자 흡수제가 포함되고, 예를 들면,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의 고분자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전분계 또는 셀룰로오스계의 고분자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 등을 들 수 있고, 합성 폴리머계의 고분자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염계, 폴리술폰산염계, 무수말레인산염계,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에틸렌옥시드계, 폴리아스파라긴산염계, 폴리글루타민산염계, 폴리알긴산염계,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등의 고흡수성 폴리머(SAP, Super absorbent Polymer)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에서는, 폴리아크릴산염계(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계)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흡수 코어는, 고분자 흡수제 외에 임의의 성분, 예를 들면 섬유, 예를 들면 펄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섬유를, 층으로서, 예를 들면 포백(예를 들면, 부직포, 직물, 편물 등)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백은 액체의 흡수성의 관점에서 친수성 포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상기 포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흡수 코어가, 피부측 면의 고분자 흡수제의 층과, 비피부측 면의 고분자 흡수제의 층과, 그들 사이의 포백의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흡수제의 블로킹이 억제되는 동시에, 코어 랩의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가, 고분자 흡수제에 직접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흡수 코어가 포함할 수 있는 펄프 섬유로는, 코어 랩의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고분자 흡수제와, 다른 임의의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흡수 코어가 고분자 흡수제와, 다른 임의의 성분, 예를 들면 펄프 섬유 등과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는,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임의의 성분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고분자 흡수제로 액체를 이행시킨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고분자 흡수제와, 다른 임의의 성분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흡수제가 흡수 코어의 표면에 존재하고, 그리고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고 있는 펄프 섬유가 고분자 흡수제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랩의 펄프 섬유 함유층에 일시 저류하고 있는 액체를, 고분자 흡수제의 요구에 따라 신속하게 고분자 흡수제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고분자 흡수제가 흡수 코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의 고분자 흡수제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체가 착용 중에 변형한 경우라도, 고분자 흡수제와, 펄프 섬유 함유층과의 사이의, 펄프 섬유를 개재한 연결이 유지된다. 그 결과, 착용자가 격렬하게 움직인 경우라도, 펄프 섬유 함유층에 일시 저류된 액체가, 고분자 흡수제의 요구에 따라,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를 통하여 고분자 흡수제에 직접 흡수되기 때문에, 흡수체가 액체의 흡수성이 뛰어나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코어 랩이 적어도 흡수 코어의 피부면 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흡수 코어의 피부면 측에 배치된 코어 랩에 있어서,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 함유층과 반대측의 면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가 액체 투과성 시트에 도달한 액체를 코어 랩의 펄프 섬유 함유층으로 신속하게 끌어들여, 액체를 일시 저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는, 펄프 섬유의 작은 덩어리로서, 즉, 복수의 펄프 섬유가 일체로 되어,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 함유층과 반대측의 면에 도달하고 있어도 되고,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1가닥)의 펄프 섬유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 함유층과 반대측의 면에 도달하고 있어도 된다.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평면 방향의 확산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관점에서는, 단일(1가닥)의 펄프 섬유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흡수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펄프 섬유가 그 작은 덩어리로서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코어 랩이, 클렘법에 의한 흡수도 시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2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mm 이상,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0mm 이상의 흡수 높이를 갖는다. 코어 랩에 있어서의 평면 방향의 확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이다. 또한, 클렘법에 의한 흡수도 시험에서는, 흡수 높이의 측정의 상한치가 200mm이며,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클렘법에 의한 흡수도 시험에 있어서, 코어 랩의 흡수 높이의 상한치는 200mm이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코어 랩이, 클렘법에 의한 흡수도 시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2.8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1배 이상,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2배 이상의 흡수 배율을 갖는다. 코어 랩에 있어서의 액체의 일시 저류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이다. 또,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코어 랩이, 클렘법에 의한 흡수도 시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6.0배 이하의 흡수 배율을 갖는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흡수 속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클렘법에 있어서의 흡수도 시험은, JIS P 8141:2004의 클렘법에 의한 흡수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고, 그 구체적인 순서는 이하와 같다.
(1) 시료를 230mm×25mm(길이×폭)의 사이즈로 커트하고, 그 초기 질량: W0(g)를 측정한다.
(2) 170mm×90mm×40mm(세로×가로×깊이)의 직방체의 침지 용기에, 인공뇨(尿)를 높이 35mm까지 충전한다. 또한, 인공뇨는, 이온 교환수 10L에, 요소 200g, 염화나트륨 80g, 황산마그네슘 8g, 염화칼슘 3g 및 색소: 청색 1호 약 1g을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한다.
(3) 시료를 현수(懸垂) 도구에 고정하고, 길이 방향의 하단: 30mm를 인공뇨에 침지하여 5분간 방치한다.
(4) 5분 후, 인공뇨가 상승한 높이를 흡수 높이로서 측정한다.
(5) 이어서, 시료를 현수 도구로부터 떼어내고, 인공뇨에 침지되어 있었던 길이 30mm의 부분을 절제하여, 시료의 질량: W1(g)을 측정한다.
(6) 이하의 식에 따라, 흡수 배율: X를 산출한다.
X=[(W1×230/200)-W0]/W0
(7) 상기 실험을 5회 반복하여 그 평균치를 채용한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이, 확산-이행 시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3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mm 이상,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mm 이상의 확산 길이를 갖는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의, 액체의 평면 방향으로의 확산성의 관점에서이다.
또한, 상기 확산-이행 시험에 있어서의 확산 길이는 200mm가 측정의 상한치이고,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확산-이행 시험에 있어서의 확산 길이의 상한치는 200mm이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서는, 코어 랩이, 확산-이행 시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31.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g 이상,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4.0g 이상의,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이행량을 갖는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의, 액체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성의 관점에서이다.
또한, 상기 이행량은, 코어 랩의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의 양을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기준이 된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 함유층과 반대측의 면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코어 랩이, 확산-이행 시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31.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g 이상,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4.0g 이상의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이행량을 갖는다.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인접하는 층(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시트)에 존재하는 액체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으로 신속하게 끌어들이면서,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시켜, 더욱 펄프 섬유 함유층으로 신속하게 수수하는 관점에서이다.
또한, 상기 이행량은, 코어 랩의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의 양을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기준이 된다.
상기 확산-이행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된다.
(1) 200mm×50mm의 사이즈의 여과지 20장을, 그들의 단(端) 가장자리가 일치하도록 겹쳐 쌓아 여과지 세트를 형성한다. 여과지 세트의 시험 전 질량: F0(g)를 측정한다. 또한, 여과지는, 50mm×50mm의 사이즈의 여과지 4장을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200mm×50mm의 사이즈의 여과지로서 취급해도 된다.
(2) 시료를 250mm×50mm의 사이즈로 커트한다.
(3) 아크릴판의 위에, 여과지 세트를 배치하고, 상기 시료를, 상기 시료의 200mm×50mm의 측정 영역의 단 가장자리가 여과지 세트의 단 가장자리와 일치하도록 여과지 세트의 위에 겹쳐 쌓는다. 상기 시료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여과지 세트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여과지 세트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의 2 패턴으로 평가된다.
또한, 시료의 잔여의 50mm×50mm의 부분은 침지 영역으로서, 인공뇨에 침지된다.
(4) 250mm×80mm의 투명 아크릴판(질량: 12.8g)을 시료의 측정 영역의 위에 배치하고, 상기 투명 아크릴판의 위에 300mm×50mm의 투명 유리판(질량: 174.0g)을 배치한다.
(5) 상기 시료의 침지 영역 중, 여과지로부터 먼 30mm×50mm의 부분을, 인공뇨에 침지한다. 또한, 인공뇨의 조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6) 침지로부터 10분 후, 투명 유리판 및 투명 아크릴판 너머로, 시료의 측정 영역에 있어서의, 인공뇨의 확산 길이를 계측한다. 또한, 상기 확산 길이는, 상기 시료를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여과지 세트와 접하도록 배치하여 측정한 것(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확산 길이)과, 상기 시료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여과지 세트와 접하도록 배치하여 측정한 것(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확산 길이)의 평균치를 채용한다.
(7) 이어서, 투명 유리판, 아크릴판 및 시료를 제거하고, 여과지 세트의 시험 후 질량: F1(g)을 측정한다.
(8) 이행량을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이행량(g)=F1(g)-F0(g)
또한, 상기 이행량은, 상기 시료를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여과지 세트와 접하도록 배치하여 측정한 것(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이행량)과, 상기 시료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여과지 세트와 접하도록 배치하여 측정한 것(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이행량)을 구별한다.
(9) 측정을 총 5회 반복하여, 확산 길이, 그리고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이행량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이행량의 각각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확산-이행 시험은 20±5℃×65±5%RH의 항온항습실에서 실시된다.
본 개시의 흡수체에 있어서, 코어 랩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코어 랩의 제조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제조장치(201)의 개략 도이다.
도 8에 나타내어지는 제조장치(201)에서는,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준비한,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예를 들면, 제 1 친수성 섬유를 피더로부터 카드기(203)에 투입하여, 웨브(205)를 형성한다. 이어서,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준비한, 펄프 섬유 함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예를 들면 펄프 섬유를, 피더(207)로부터 웨브(205)의 위에 퇴적시켜 적층 웨브(209)를 형성한다.
적층 웨브(209)의 형성과 병행하여,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준비한,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예를 들면, 제 2 친수성 섬유를 피더로부터 카드기(211)에 투입하여, 웨브(213)를 형성한다. 이어서, 웨브(213)를 적층 웨브(209)의 위에 겹쳐 쌓아 적층 웨브(215)를 형성한다.
이어서, 적층 웨브(215)를 워터 제트 처리하여 코어 랩 시트(227)를 형성한다. 워터 제트 처리는, 유체를 적층 웨브(215)에, 그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으로부터 분사하는 것(제 1 워터 제트 처리), 이어서, 유체를 적층 웨브(215)에, 그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으로부터 분사하는 것(제 2 워터 제트 처리)에 의해 실시된다.
제 1 워터 제트 처리는, 축 선 주위로 회전하면서 반송 중인 적층 웨브(215)를 그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으로부터 흡인하고, 적층 웨브(215)를 그 외주면에 홀딩하는 제 1 석션 드럼(217)과, 제 1 석션 드럼(217)의 외주면에 홀딩된 적층 웨브(215)에, 그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으로부터 유체를 분사하는 제 1 유체 분사장치(219), 제 2 유체 분사장치(220) 및 제 3 유체 분사장치(221)에 의해 실시된다.
제 2 워터 제트 처리는, 축 선 주위로 회전하면서 반송 중인 적층 웨브(215)를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으로부터 흡인하고, 적층 웨브(215)를 그 외주면에 홀딩하는 제 2 석션 드럼(223)과, 제 2 석션 드럼(223)의 외주면에 홀딩된 적층 웨브(215)에, 그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으로부터 유체를 분사하는 제 4 유체 분사장치(225)에 의해 실시된다.
제 1 워터 제트 처리에 있어서, 제 1 유체 분사장치(219), 제 2 유체 분사장치(220) 및 제 3 유체 분사장치(221)의 유체 분사압과, 제 1 석션 드럼(217)의 흡인압을 조정함으로써(예를 들면, 제 3 유체 분사장치(221)의 유체 분사압을, 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 실시되고 있는 압력보다도 높게 조정함으로써),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의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대한 관통도를 주로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워터 제트 처리에 있어서, 제 4 유체 분사장치(225)의 유체 분사압과, 제 2 석션 드럼(223)의 흡인압을 조정함으로써(예를 들면, 제 4 유체 분사장치(225)의 유체 분사압을, 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 실시되고 있는 압력보다도 높게 조정함으로써),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의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대한 관통도를 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코어 랩 시트(227)를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탈수기(229)로 이동하여 코어 랩 시트(227)의 수분을 탈수한다. 이어서, 코어 랩 시트(227)를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건조기(231)로 이동하여 롤(233)로 권취(卷取)한다. 롤(233)로 권취된 코어 랩 시트(227)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시에,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커트되어 흡수체가 제조된다.
본 개시의 흡수체는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이다. 본 개시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는,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와,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변을 주로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 소변 패드, 동물용 배뇨 시트 등을 들 수 있고, 생리혈(經血) 등을 주로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 예를 들면, 생리용 패드, 팬티 라이너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체가 이용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는,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는 관점에서, 소변을 주로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코어 랩 No. 1의 제조-
도 8에 기재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코어 랩 No. 1을 제조했다. 코어 랩 No. 1에서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레이온 섬유(섬유 굵기: 1.7dtex, 평균 섬유 길이: 40mm) 100 질량%로 구성되고,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레이온 섬유(섬유 굵기: 1.7dtex, 평균 섬유 길이: 40mm) 100 질량%로 구성되며, 펄프 섬유 함유층이 침엽수 펄프 섬유(평균 섬유 길이: 3mm) 100 질량%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 코어 랩 No. 1에 있어서,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펄프 섬유 함유층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은 그들의 질량비가 1:3:1이 되도록 공급되었다. 코어 랩 No. 1의 평량, 두께 및 밀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2]
-코어 랩 No. 2의 제조-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코어 랩 No. 1과, 평량, 두께 및 밀도가 다른 코어 랩 No. 2를 제조했다. 코어 랩 No. 2의 평량, 두께 및 밀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3]
-코어 랩 No. 3의 제조-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각각을 구성하는 섬유를, 레이온 섬유(섬유 굵기: 1.7dtex, 평균 섬유 길이: 40mm) 70 질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섬유 굵기: 1.6dtex, 평균 섬유 길이: 44mm) 30 질량%의 혼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에 따라, 코어 랩 No. 3를 제조했다. 코어 랩 No. 3에 있어서,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펄프 섬유 함유층 및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은 그들의 질량비가 1:3:1이 되도록 공급되었다. 코어 랩 No. 3의 평량, 두께 및 밀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4]
-코어 랩 No. 4의 제조-
레이온 섬유(섬유 굵기: 1.4dtex, 평균 섬유 길이: 44mm) 100 질량%로 구성되는 스판 레이스 부직포를 제조했다. 코어 랩 No. 4의 평량, 두께 및 밀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5]
-일회용 기저귀 No. 1의 제조-
코어 랩 No. 1의 위에 흡수 코어 No. 1을 형성하고, 그 위에 코어 랩 No. 1을 겹쳐 쌓음으로써, 흡수체 No. 1을 형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랩 No. 1의 위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공하고, 폴리아크릴산염계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평량: 125g/㎡가 되도록 겹쳐 쌓아 SAP층을 형성했다. 상기 SAP층의 위에, 양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공된 친수성 부직포(폴리에틸렌 섬유: 40 질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60 질량%, 평량: 40g/㎡, 친수화제가 도공되어 있다)를 겹쳐 쌓았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의 위에, 폴리아크릴산염계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평량: 125g/㎡가 되도록 겹쳐 쌓아 SAP층을 형성했다. 당해 SAP층의 위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공한 코어 랩 No. 1을 겹쳐 쌓아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흡수체 No. 1을 형성했다. 흡수체 No. 1은, 평량: 430g/㎡와, 두께: 2.14mm를 갖고 있었다. 흡수체 No. 1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바,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 No. 1의 폴리아크릴산염계 고흡수성 폴리머에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흡수체 No. 1을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일회용 기저귀 No. 1을 제조했다.
[제조예 6]
-일회용 기저귀 No. 2의 제조-
코어 랩 No. 1을 코어 랩 No. 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에 따라, 흡수체 No. 2,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 No. 2를 제조했다. 흡수체 No. 2는, 평량: 430g/㎡와, 두께: 2.46mm를 갖고 있었다.
또한, 흡수체 No. 2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바,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 No. 1의 폴리아크릴산염계 고흡수성 폴리머에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7]
-일회용 기저귀 No. 3의 제조-
코어 랩 No. 1을 코어 랩 No. 3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에 따라, 흡수체 No. 3,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 No. 3를 제조했다. 흡수체 No. 3는 평량: 420g/㎡와, 두께: 1.77mm를 갖고 있었다.
또한, 흡수체 No. 3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바,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흡수 코어 No. 1의 폴리아크릴산염계 고흡수성 폴리머에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8]
-일회용 기저귀 No. 4의 제조-
코어 랩 No. 1의 위에 흡수 코어 No. 2를 형성하고, 그 위에 코어 랩 No. 1을 겹쳐 쌓음으로써, 흡수체 No. 4를 형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랩 No. 1의 위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공하고, 그 위에 폴리아크릴산염계 고흡수성 폴리머(SAP)층을 평량: 250g/㎡가 되도록 겹쳐 쌓고, 상기 SAP층의 위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공된 코어 랩 No. 2를 겹쳐 쌓아, 축적물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흡수체 No. 4를 제조했다. 흡수체 No. 4는 평량: 375g/㎡와, 두께: 1.26mm를 갖고 있었다.
또한, 흡수체 No. 4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바, 펄프 섬유 함유층의 펄프 섬유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폴리아크릴산염계 고흡수성 폴리머에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흡수체 No. 1을 흡수체 No.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 No. 4를 제조했다.
[제조예 9]
-일회용 기저귀 No. 5의 제조-
코어 랩 No. 1을 코어 랩 No.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에 따라, 흡수체 No. 5,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 No. 5를 제조했다. 흡수체 No. 5는, 평량: 420g/㎡와, 두께: 1.83mm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일회용 기저귀 No. 1∼No. 5에, 이하에 규정하는 흡수성 시험을 행하여, 흡수 시간, 리웨트량,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측의 확산 길이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흡수성 시험]
(1) 흡수성 물품을, 측면도로 보아(側面視) 대략 U자형인 U자 기구에 세트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은, U자 기구에,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와, U자 기구 중앙부(가장 높이가 낮은 위치)의 위치를 맞추도록 세트한다.
<제 1 사이클>
(2) 흡수체의 중앙 위치에, 뷰렛으로부터, 80mL의 인공뇨(첫 번째)를 80mL/10초의 속도로 주입한다.
(3) 첫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부터 U자 기구 내의 인공뇨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흡수 시간(80mL)으로서 기록한다.
(4) 첫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3분 후, 흡수성 물품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에 있어서, 인공뇨가 확산한 영역의 윤곽(80mL)을 기록한다.
(5) 첫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5분 후, 100mm×100mm의 여과지 약 60g을, 인공뇨 주입점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시트 상에 정치(靜置)한다. 추가로, 그 위에 3.5kg, 100mm×100mm×50mm(높이)의 추를 정치한다. 또한, 액체 투과성 시트 위에 정치하기 전에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한다.
(6) 첫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8분 후, 추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하고, 시험 전의 여과지의 질량을 빼서 그 차분을 리웨트량(80mL)으로 한다.
<제 2 사이클>
(7) 첫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10분 후, 흡수체의 중앙 위치에, 뷰렛으로부터, 80mL의 인공뇨(두 번째)를 80mL/10초의 속도로 주입한다.
(8) 두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U자 기구 내의 인공뇨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흡수 시간(160mL)으로서 기록한다.
(9) 두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3분 후, 흡수성 물품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에 있어서, 인공뇨가 확산한 영역의 윤곽(160mL)을 기록한다.
(10) 두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5분 후, 100mm×100mm의 여과지 약 60g을, 인공뇨 주입점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액체 투과성 시트 상에 정치한다. 추가로, 그 위에 3.5kg, 100mm×100mm×50mm(높이)의 추를 정치한다. 또한, 액체 투과성 시트 위에 정치하기 전에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한다.
(11) 두 번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8분 후, 추를 제거하고,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하고, 시험 전의 여과지의 질량을 빼서 그 차분을 리웨트량(160mL)으로 한다.
<제 3 사이클>
(12) (7)∼(11)의 조작을 반복하여 흡수 시간(240mL)을 측정하고, 윤곽(240mL)을 기록한다.
(13) 인공뇨가 확산한 영역의 윤곽(80, 160, 240mL)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인공뇨의 확산 길이(80, 160, 240mL)를 측정한다.
또한, 인공뇨의 조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본 개시의 흡수체 No. 1∼No. 4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No. 1∼No. 4는, 종래의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No. 5와 비교하여, 복수 회의 인공뇨를 흡수한 경우에, 흡수 시간이 짧고, 그리고 확산 길이가 긴 것을 알 수 있다. 또, 코어 랩의 밀도가 동등한, 일회용 기저귀 No. 2와, 일회용 기저귀 No. 5를 비교하면, 일회용 기저귀 No. 2는 일회용 기저귀 No. 5보다도 복수 회의 인공뇨를 흡수한 경우에 리웨트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2]
코어 랩 No. 2 및 코어 랩 No. 4의, 확산-이행 시험에 있어서의 확산 길이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이행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1: 흡수성 물품 3: 액체 투과성 시트
5: 액체 불투과성 시트 7: 흡수체
11: 흡수 코어 13, 14: 코어 랩
15: 피부측 면 17: 비피부측 면
19: 고분자 흡수제 20, 20a, 20b: 고분자 흡수제의 층
21: 친수성 포백 22: 층
23, 24: 제 1 친수성 섬유 25, 26: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
27, 28: 펄프 섬유 29, 30: 펄프 섬유 함유층
31, 32: 제 2 친수성 섬유 33, 34: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
35, 36: 면 41: 액체
43: 공급점 45: 액체 투과 영역
101: 방루벽 103: 탄성 부재
105: 고정부 107: 탄성 부재
109: 테이프 패스너

Claims (12)

  1.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코어 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로서,
    상기 코어 랩이, (i) 상기 흡수 코어에 인접하고, 평균 섬유 길이가 25mm∼75mm의 제 1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과, (ii)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에 인접하고,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펄프 섬유 함유층과, (iii)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에 인접하고, 평균 섬유 길이가 25mm∼75mm의 제 2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 코어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고분자 흡수제를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에 갖고,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의 상기 고분자 흡수제와 접촉하고 있는 흡수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이, 상기 흡수 코어의 표면의 상기 고분자 흡수제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는 흡수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상기 코어 랩을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에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에 배치된 상기 코어 랩에 있어서,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의 일부가,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을 관통하여, 제 2 친수성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과 반대측의 면에 도달하고 있는 흡수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친수성 섬유 및 제 2 친수성 섬유의 각각이 셀룰로오스계 섬유인 흡수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가 1∼10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흡수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랩이 30g∼100g/㎡의 평량을 갖는 흡수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랩이 0.05∼0.20g/㎤의 밀도를 갖는 흡수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랩이, 확산-이행 시험에 있어서, 130mm 이상의 확산 길이와, 31.0g 이상의 제 1 친수성 섬유 함유층측의 이행량을 갖는 흡수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랩이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 및 비(非)피부측 면의 양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고분자 흡수제를,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의 양면에 갖고, 상기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에 배치된 상기 코어 랩의 상기 펄프 섬유 함유층의 상기 펄프 섬유가, 각각,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피부측 면 및 비피부측 면에 갖는 상기 고분자 흡수제에 접촉하고 있는 흡수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피부측 면에 존재하는 상기 고분자 흡수제와, 비피부측 면에 존재하는 상기 고분자 흡수제의 사이에 친수성 포백(布帛)을 포함하는 흡수체.
KR1020187003885A 2015-09-30 2016-06-23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 KR101862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5123A JP6185033B2 (ja) 2015-09-30 2015-09-30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
JPJP-P-2015-195123 2015-09-30
PCT/JP2016/068718 WO2017056593A1 (ja) 2015-09-30 2016-06-23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292A true KR20180050292A (ko) 2018-05-14
KR101862169B1 KR101862169B1 (ko) 2018-05-29

Family

ID=5842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885A KR101862169B1 (ko) 2015-09-30 2016-06-23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271720A1 (ko)
EP (1) EP3357466B1 (ko)
JP (1) JP6185033B2 (ko)
KR (1) KR101862169B1 (ko)
CN (2) CN107920941B (ko)
BR (1) BR112018005914A2 (ko)
RU (1) RU2672016C1 (ko)
WO (1) WO2017056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2397A (ja) * 2017-09-06 2019-03-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278395B (zh) 2017-11-06 2022-04-29 宝洁公司 具有适形特征部的吸收制品
DE102018127771A1 (de) 2018-11-07 2020-05-07 L&R Vertriebs GmbH Einweg-Absorptionsartikel, insbesondere Einweg-Windel oder Einweg-Windelhöschen, mit leichtem, hochsaugfähigem Absorptionskern
JP7145810B2 (ja) * 2019-04-26 2022-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TW202133825A (zh) * 2019-11-26 2021-09-16 日商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2021098021A (ja) * 2019-12-23 2021-07-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並びに吸収性シートの製造方法
US20210290452A1 (en) * 2020-03-20 2021-09-23 Tethi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n article including a biodegradable superabsorbent material
US20220387230A1 (en) * 2021-05-28 2022-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ushiony Softness
CN113648135B (zh) * 2021-08-09 2022-07-22 山东茁彼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打孔型高分子吸水层的尿不湿芯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227B2 (ja) * 1993-04-01 2000-03-15 花王株式会社 吸収紙及びそれを具備する吸収性物品
MY116007A (en) * 1994-12-28 2003-10-31 Kao Corp Absorbent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20020169428A1 (en) * 2001-05-11 2002-11-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 blended core and a method of forming
WO2005070363A1 (ja) * 2004-01-27 2005-08-04 Ka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TWI358283B (en) * 2004-08-20 2012-02-21 Kao Corp Process of producing an absorbent article
US20080312628A1 (en) * 2007-06-18 2008-12-18 Harald Hermann Hundor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JP5868110B2 (ja) * 2010-10-18 2016-02-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55912B2 (ja) * 2011-11-14 2016-02-09 花王株式会社 薄葉紙
JP6080246B2 (ja) * 2012-03-05 2017-0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3187375A1 (ja) * 2012-06-11 2013-12-19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14094200A (ja) * 2012-11-12 2014-05-22 Kao Corp 吸収性物品
US20140276516A1 (en) * 2013-03-14 2014-09-18 Indevco Ltd.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permeability-dependent absorption under pressure
JP5848312B2 (ja) * 2013-11-21 2016-01-27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07885B (zh) 2021-07-20
EP3357466B1 (en) 2019-05-08
CN109907885A (zh) 2019-06-21
JP2017064186A (ja) 2017-04-06
CN107920941B (zh) 2018-12-25
US20180271720A1 (en) 2018-09-27
CN107920941A (zh) 2018-04-17
BR112018005914A2 (pt) 2018-10-09
EP3357466A4 (en) 2018-08-08
RU2672016C1 (ru) 2018-11-08
JP6185033B2 (ja) 2017-08-23
EP3357466A1 (en) 2018-08-08
WO2017056593A1 (ja) 2017-04-06
KR101862169B1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169B1 (ko) 흡수성 물품용 흡수체
AU2015260605B2 (en)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non-woven fabric sheet for absorbent,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sheet for use in said absorbent article
KR101727775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720372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807892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US11083817B2 (en) Hygiene product
JP4749185B2 (ja) 吸収性物品
WO2012132548A1 (ja)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WO2014073376A1 (ja) 吸収性物品
ZA200206308B (en) Co-apertured systems for hygienic products.
JP6656100B2 (ja)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及び当該吸収体を含む吸収性物品
JP3871698B2 (ja) 吸収性物品
WO2014140751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permeability-dependent absorption under pressure
KR20230051647A (ko) 면내 투과성이 개선된 복합물 및 유체 관리가 개선된 흡수성 물품
JP6429971B1 (ja) 吸収性物品の液透過性シート用の不織布及び不織布ロール
JP2014113273A (ja) 吸収性物品
JP5149137B2 (ja) 吸収性物品の吸収体
WO2024009782A1 (ja) 吸収性物品用の不織布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RU2800853C1 (ru) Многослойные впитывающие сердцевины и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JP3907682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