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358A -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358A
KR20180049358A KR1020160143771A KR20160143771A KR20180049358A KR 20180049358 A KR20180049358 A KR 20180049358A KR 1020160143771 A KR1020160143771 A KR 1020160143771A KR 20160143771 A KR20160143771 A KR 20160143771A KR 20180049358 A KR20180049358 A KR 20180049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ident
impact
vehic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 큐알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큐알온텍 filed Critical (주) 큐알온텍
Priority to KR102016014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9358A/ko
Publication of KR2018004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차량의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본 기술에 따른 구현 예에 의하면, 주행 중 수신되는 차량의 사고영상 기록장치의 단말에 의거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 각각을 별개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도 영역에 각각 기록함에 따라 사고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해 손실되지 아니한 사고 발생 원인 분석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OF IMAGE RECORDING SYSTEM US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로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각각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기록함에 따라, 사고로 인해 손실되지 아니한 사고 발생 원인 분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 교통 사고의 발생시 사고 원인 규명은 주로 목격자의 진술에 의하거나 경찰관의 경험적 판단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교통사고 원인 규명 방식은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므로 과실 여부의 판단이 명확하지 않아 종종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통사고 혹은 도난 사고가 발생된 경우 사고 당시의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사고 원인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장치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장치에 대한 장착 의무화 제도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소정 위치에 충격 센서 등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들이 마련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사고영상기록장치의 단말은 이러한 충격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충격 정보를 토대로 장애물과의 충돌 및 추돌 등의 차량의 사고 이벤트가 발생 감지 시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사고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충돌 정보 및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정보는 상용되는 메모리의 별도 영역 또는 동시에 각각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사고영상기록장치의 단말은 충돌 정보를 이용한 사고 이벤트 발생 감지 전,후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사고 영상이 기록되는 바, 소정 크기 이상의 충돌이 발생하지 아니한 경우 주행 및 주차 중인 영상을 저장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사고 발생 후 수집되는 영상만으로 사고 원인을 추정하게 되므로 사고 발생 원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어려운 한계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본 출원인은 주행 중 수신되는 차량의 사고영상 기록장치의 단말에 의거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 각각을 별개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도 영역에 각각 기록함에 따라 사고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해 손실되지 아니한 사고 발생 원인 분석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 중 수신되는 차량의 사고영상 기록장치의 단말에 의거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 각각을 별개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도 영역에 각각 기록함에 따라 사고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해 손실되지 아니한 사고 발생 원인 분석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충격 센서; 및
상기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카메라의 영상 정보, 및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여 기록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은,
카메라의 영상 정보 및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를 가공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의 오디오 정보 및 영상 정보, 카메라의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소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소에 각각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저장하거나, 하나의 저장소 내에 별도의 영역에 각각의 사고 이벤트를 기록할 수 있고, 상기 사고 이벤트는, 지 정해진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 차선 이탈, 앞차 추돌, 일시 정차 시 앞차 출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a) 제어부에서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b) 수집된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각각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개의 소정 영역에 각각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고 이벤트는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 차선 이탈, 앞차 추돌 및 일시 정차 시 앞차 출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 수신되는 차량의 사고영상 기록장치의 단말에 의거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 각각을 별개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도 영역에 각각 기록함에 따라 사고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해 손실되지 아니한 사고 발생 원인 분석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고 발생 원인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단말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 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구성을 보인 도이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장치는 주행 중 수신되는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로부터 충돌로 인한 오디오, 차선 이탈, 앞차 추돌, 및 일시 정차 시 앞차 출발 중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별개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도 영역에 각각 기록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장치는, 충격 센서 (100) 및 단말(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 센서(100)는 차량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 충격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고 영상 기록 장치(S)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센서(100) 이외에 관성센서 및 컴파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단말(200)은 카메라(210), 마이크(220) 및 충격 정보 수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210)를 통해 주행 중인 도로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마이크(220)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며, 충격 정보 수신부(230)를 통해 충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은 수신된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가공 처리하는 처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수신된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저장소에 기록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고,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응되도록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다양한 형식의 영상 데이터로 가공 가능하고, 저장소의 감소를 위해 기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단말(200)은, 카메라(210), 충격 정보 수신부(230), 및 처리부(240)를 통해 수신된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발생 가능한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도출된 사고 이벤트를 저장소에 기록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수신된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할 수 있고,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각각의 저장소(260) 또는 저장소(260) 내의 별개의 소정 영역에 각각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이벤트라 함은,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 차선 이탈, 앞차 추돌, 및 정차 후 앞차 출발 등을 말한다.
이러한 사고 이벤트에 따라 선명한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 제어부(250)는 카메라(210)의 설치위치, 각도, 상태 등을 자동 교정할 수 있으며, 카메라(210)의 설치위치, 각도, 상태 등을 자동 교정하는 일련의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사고 이벤트를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 차선 이탈, 앞차 추돌, 및 정차 후 앞차 출발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관성센서부 및 지피에스 수신부의 차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컴파스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정보, 차체 기울기 정보 및 이동 방향 정보를 토대로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도출된 차속, 차체의 기울기 및 차체의 이동 방향에 의거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각각의 별도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개의 소정 영역에 각각 기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성 센서 및 컴파스를 이용하여 차체의 기울기 및 차체의 이동 방향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채널에 대해 전방에 대한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다중 채널의 경우 후방에 대한 사고 이벤트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로 인한 단말(200)의 손상 시 손상되지 아니한 저장소(260)에 기록된 영상정보,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원인 분석이 가능하다.
한편, 단말(200)은, 처리부(240)에 의거 처리된 제어부(250)의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270)는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주행 중 수신되는 차량의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단말에 의거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 각각을 별개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도 영역에 각각 기록함에 따라 사고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해 손실되지 아니한 사고 발생 원인 분석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주행 중 수신되는 차량의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단말에 의거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 각각을 별개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도 영역에 각각 기록하는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a) 제어부에서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b) 수집된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각각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개의 소정 영역에 각각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고 이벤트는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 차선 이탈, 앞차 추돌, 및 일시 정차 시 앞차 출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상기의 단말(200)의 각 구성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나타내며 자세한 원용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주행 중 수신되는 차량의 사고영상 기록장치의 단말에 의거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 각각을 별개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도 영역에 각각 기록함에 따라 사고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해 손실되지 아니한 사고 발생 원인 분석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차량용 블랙박스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충격 센서
200 : 단말
210 : 카메라
220 : 마이크
230 : 충격정보 수신부
240 : 처리부
250 : 제어부
260 : 저장소
270 : 표시부

Claims (6)

  1. 차량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충격 센서; 및
    상기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카메라의 영상 정보, 및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여 기록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카메라의 영상 정보, 및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를 가공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의 오디오 정보 및 영상 정보, 카메라의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소에 각각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저장하거나, 하나의 저장소 내에 별도의 영역에 각각의 사고 이벤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이벤트는,
    기 정해진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 차선 이탈, 앞차 추돌, 일시 정차 시 앞차 출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장치.
  5. (a) 제어부에서 카메라의 영상 정보, 마이크의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센서의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b) 수집된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도출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하나의 사고 이벤트를 각각의 저장소 또는 저장소의 별개의 소정 영역에 각각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이벤트는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 차선 이탈, 앞차 추돌 및 일시 정차 시 앞차 출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영상 기록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0143771A 2016-10-31 2016-10-31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49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71A KR20180049358A (ko) 2016-10-31 2016-10-31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71A KR20180049358A (ko) 2016-10-31 2016-10-31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358A true KR20180049358A (ko) 2018-05-11

Family

ID=6218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771A KR20180049358A (ko) 2016-10-31 2016-10-31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93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02B1 (ko) * 2018-11-19 2020-02-07 (주)큐알온텍 차량용 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02B1 (ko) * 2018-11-19 2020-02-07 (주)큐알온텍 차량용 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4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veillance of a vehicle using camera images
US9704395B2 (en) Traffic sign determination device
CN107031624B (zh) 钻车缝摩托车的检测
US20190222797A1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KR102211496B1 (ko) 주차시 차량용 블랙박스의 이벤트 감지시스템 및 그 이벤트 감지방법
JP2008221906A (ja) 車両損傷箇所報知システム
US20160366364A1 (en) Method for Saving Image Data of a Camera in an Accident Data Recorder of a Vehicle
JP2015102898A (ja) 道路標識判断装置
CN111157014A (zh) 路况展示方法、装置及车载终端、存储介质
KR20140099615A (ko) 블랙박스와 차선이탈경고기능 겸용 차량운행기록장치
US20160280135A1 (en) Animal Detection System for a Vehicle
US11393223B2 (en) Periphery monitoring device
US9365195B2 (en) Monitoring method of vehicle and automatic braking apparatus
KR102111596B1 (ko) 실시간 상대 차량 속도와 거리를 분석 및 저장하는 이벤트 검지 시스템
JPWO2018150888A1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
KR101894052B1 (ko)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장치의 차량 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49358A (ko)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6431261B2 (ja) 運行情報管理システム
JP7057074B2 (ja) 車載器および運転支援装置
JP6288204B1 (ja) 車両用制限速度検出装置
KR102155771B1 (ko)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JP2015191437A (ja) 運転支援装置
KR101980331B1 (ko) 차량용 사고영상 기록 시스템 및 방법
CN112991718A (zh) 驾驶员辅助装置、存储有驾驶员辅助程序的非暂时性存储介质和驾驶员辅助系统
WO2019139084A1 (ja) 通知装置及び車載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