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321A -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 Google Patents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321A
KR20180048321A KR1020170137073A KR20170137073A KR20180048321A KR 20180048321 A KR20180048321 A KR 20180048321A KR 1020170137073 A KR1020170137073 A KR 1020170137073A KR 20170137073 A KR20170137073 A KR 20170137073A KR 20180048321 A KR20180048321 A KR 20180048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wing
thigh
curv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633B1 (ko
Inventor
이효정
이희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밤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밤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밤부
Publication of KR2018004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8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with channels or deep spot depressions on th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with internal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이 가능하며, 면 등의 천연 직물소재로 이루어진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및 통풍이 용이하고, 회음부의 피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입체적으로 마련되며, 회음부와 샅아래에 겹치는 영역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배설물 등이 기저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측면에 서혜부를 감싸며 밀착되는 날개가 구비된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Functional sanitary a cloth diaper}
본 발명은 세탁이 가능하며, 면 등의 천연 직물소재로 이루어진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및 통풍이 용이하고, 회음부의 피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입체적으로 마련되며, 회음부와 샅아래에 겹치는 영역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배설물 등이 기저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측면에 서혜부를 감싸며 밀착되는 날개가 구비된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휴대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 후 버릴 수 있도록 펄프지로 만들어진 1회용 기저귀를 선호하게 되면서 세탁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재래식 천기저귀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속에서 가정 주부들이나 산모들은 위생적이고 편리함을 찾아서 많은 1회용품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1회용 기저귀는 요즘 신세대 주부들이나 초산인 산모가 찾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1회용 쓰레기의 범실로 인한 환경적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아울러, 아기를 키우면서도 특히 경제적으로 윤택하지 못한 사람들은 분유 및 유아용 용품이 가정의 소비지출을 이루는 비용 중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 개씩 소비되는 1회용 기저귀에 드는 비용이 점차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원이 부족하여 거의 모든 원료을 수입하는 우리나라 현실에 부합되지 않게 유아의 배설물로 인하여 재생되지 않는 1회용 기저귀의 재질이 펄프지로 거의 100% 수입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환경적 또는 산업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천 기저귀는 면 소재의 장방형의 천을 접어 사용하였고, 기저귀를 고무줄로 고정하고 다시 아기의 몸에 잘 고정하기 위해 기저귀 커버를 별도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고무줄이 아기의 몸을 지나치게 압박하여 피부를 짓무르게 하거나 긴 장방형의 기저귀를 세탁하거나 일일이 접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기저귀와 기저귀 커버가 서로 잘 맞지 않거나 아기가 움직일 경우 뇨 등이 누설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매립되어도 거의 분해가 되지 않아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는 1회용 기저귀 대신에 다시 천 기저귀를 찾는 엄마들이 들어 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위생적이며, 배설물 등이 누설되지 않고 사용이 간편한 천 기저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4824호 '착탈가능한 흡수 시이트를 구비한 팬티형 기저귀' (출원일자 2001.03.05)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9576호 '유아용 기저귀' (출원일자 2001.10.10)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0325호 '면 기저귀' (출원일자 2007.07.23)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번 세탁하여 사용이 가능한 유아용 기저귀를 제공하며, 아기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 피부 트러블 발생이 적은 위생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기의 배설물이 잘 흡수될 수 있으며, 아기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해 배설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는 입체적인 3차원 패턴을 갖는 내피를 포함하고, 아기의 성장발육 상태 또는 성별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위생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는 다수의 겹으로 이루어져 배설물을 수용하되, 상기 배설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패드(100); 상기 패드(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패드(100)가 안착되며, 상기 패드(1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허리에 착용되는 외부커버(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드(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전면패드(110); 상기 전면패드(11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후면패드(120);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전면패드(110)와 후면패드(120)에 체결되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소정의 깊이(t)를 갖는 상기 수용공간(S)이 형성하는 연결패드(130); 상기 연결패드(1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날개패드(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패드(130)는 제1 연결패드(131)와 제2 연결패드(1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패드(131)는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제1 곡률부(1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패드(132)는 상기 제1 곡률부(131-1)와 대칭을 이루는 제2 곡률부(13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곡률부(131-1)와 제2 곡률부(132-1)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곡률부(131-1,132-1)가 이루는 만곡(彎曲)되는 곡선의 길이(D1)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의 깊이(t)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날개패드(140)는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결합부(141)가 형성되되, 상기 전면패드(110)와 상기 후면패드(120)가 상호 마주볼 때 날개패드(140)의 일면이 서혜부(鼠蹊部)와 인접한 허벅지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결합부(141)는 상기 전면패드(11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면(141-1), 상기 연결패드(120)와 결합되는 제2 결합면(141-2), 상기 후면패드(130)와 결합되는 제3 결합면(141-3)으로 구획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날개패드(140)는 상기 결합부(141)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허벅지의 측면과 접촉되는 패턴부(142)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패드(140)의 일면이 상기 허벅지에 밀착되도록 상기 패턴부(142)는 상기 제1 결합면(141-1)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제1 돌출부(142-1), 상기 제3 결합면(141-3)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제2 돌출부(142-2), 상기 제1 돌출부(142-1)와 제2 돌출부(14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결합면(141-2)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합입부(1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민감한 아기의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세탁이 잘 이루어져 위생적인 것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을 흡수하는 패드가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고, 특히 회음부의 피부와 흡수시트 사이가 이격되어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패드에 마련됨으로써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드 측면에 구비된 날개형상의 날개패드가 아기의 허벅지 및 서혜부를 밀착하며 감싸주면서 아이의 활동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배설물이 유아의 허벅지를 타고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패드와 외부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패드와 외부커버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패드 각각의 구성을 이격시켜 놓은 것을 표현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패드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패드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기능성 위생 기저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기능성 위생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패드와 외부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패드와 외부커버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패드 각각의 구성을 이격시켜 놓은 것을 표현한 사시도,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패드의 측면과 정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기능성 위생 기저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위생 기저귀는 배설물을 수용 또는 흡수하는 패드(100)와 패드(100)를 감싸는 외부커버(200)로 구분된다. 먼저 패드(100)는 바람직하게는 영,유아가 사용할 수 있으나, 패드(100)의 크기에 따라 노인이나 성인 등이 사용할 수 있다.
패드(100)는 자연에서 얻은 소재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겹으로 이루어진 면섬유(Cotton)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패드(100)는 영, 유아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이 아랫배를 타측이 둔부를 덮는다. 이로 인해 패드(100)의 중앙에 배설물이 흡수 또는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패드(100)에는 배설되는 배설물이 패드(100)의 측면으로 흘러내리거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배설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수용공간(S)은 패드(100)의 하측, 즉, 피부와 접촉되는 패드(10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패드(100)의 일정영역이 함입되도록 이루어져 배설물이 수용공간(S)으로 모이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외부커버(200)는 패드(100)가 착용된 상태에서 패드(100)이 외측을 감싸며 패드(1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즉, 패드(100)는 외부커버(200)의 내측면에 안착된다. 외부커버(200)에는 일측에 허리를 감싸는 결합밴드(210)가 복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밴드(210)의 일면에는 벨크로가 부착된다. 결합밴드(210)가 허리를 감은 후 외부커버(200)의 타측과 접촉하여 패드(10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착용한다.
이때, 외부커버(200)의 측면에는 아랫배와 허벅지 사이의 서혜부와 외부커버(200) 및 패드(100)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고무밴드가 내설된 밀착밴드(220)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밴드(22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무밴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열로 이루어진 고무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패드(100)는 전면패드(110), 후면패드(120), 연결패드(130) 및 날개패드(140)를 포함한다.
전면패드(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의 면섬유가 다수장 적층된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된다. 후면패드(120)는 전면패드(110)와 동일한 두께와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면패드(1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결패드(130)는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전면패드(110)와 후면패드(120) 사이에 위치하여 전면패드(110)와 후면패드(12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연결패드(130)의 일측은 전면패드(110)와 타측은 후면패드(120)와 체결된다. 이때 연결패드(130)에는 하방향(피부와 접촉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패드(130)와 신체의 피부표면 사이에 소정의 깊이(t)를 갖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패드(140)는 연결패드(1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날개패드(140)는 전면패드(110)와 후면패드(120)가 상호 마주보며 영,유아에 다리사이에 착용될 때 패드(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허벅지를 감싸 배설물이 허벅지를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연결패드(130)는 제1 연결패드(131)와 제2 연결패드(132)로 이루어진다. 제1 연결패드(131)는 일측, 즉 일측의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곡률부(131-1)가 형성된다. 제1 곡률부(131-1)의 돌출되는 영역은 만곡(彎曲)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곡률부(131-1)가 이루는 곡선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불규칙한 자유곡선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패드(132)는 제1 연결패드(131)와 대칭을 이루며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제1 곡률부(131-1)와 대칭을 이루는 제2 곡률부(132-1)가 형성된다.
즉, 제1 연결패드(131)와 제2 연결패드(132)는 제1 곡률부(131-1)와 제2 곡률부(132-1)가 서로 맞닿으면서 결합됨으로 인해 상호 고정된다. 이로써,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1 연결패드(131)와 제2 연결패드(132)의 제1 곡률부(131-1) 및 제2 곡률부(132-1)가 상호 결합됨으로 인해 일정한 깊이를 갖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제1 곡률부(131-1)와 제2 곡률브(132-1)상호 재봉되어 하나의 연결패드(130)를 구성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곡률부(131-1,132-1)가 이루는 만곡(彎曲)되는 곡선의 길이(D1)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의 깊이(t)가 조절된다. 즉, 제1 및 제2 곡률부(131-1,132-1)가 이루는 상기 길이(D1)에 따라 수용공간(S)의 깊이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및 제2 곡률부(131-1,132-1)가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면 제1 및 제2 곡률부(131-1,132-1)가 이루는 길이는 증가하게 되므로 증가되는 길이와 대응하여 수용공간(S)의 깊이(t)는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착용하는 영, 유아의 나이, 성별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되어 배설물의 수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면 날개패드(140)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결합부(141)가 형성된다. 이때 날개패드(140)는 결합부(141)와 마주보는 패턴부(142)로 이루어지며, 결합부(141)와 패턴부(142)는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만나 두개의 꼭지점(P1,P2)를 갖는 불규칙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141)의 길이보다 패턴부(142)의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결합부(141)는 전면패드(110)와 후면패드(120)가 상호 마주볼 때 날개패드(140)의 일면이 서혜부(鼠蹊部)와 인접한 허벅지의 측면을 감싸는 깔때기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결합부(141)는 제1 결합면(141-1), 제2 결합면(141-2), 제3 결합면(141-3)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결합면이 패드(100)와 결합된다. 즉, 제1 결합면(141-1)은 전면패드(110) 일측 측면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2 결합면(141-2)은 연결패드(120)의 측면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3 결합면(141-3)은 후면패드(120)의 일측 측면과 결합된다. 이로써, 전면패드(110)와 후면패드(120)가 상호 마주볼 때 패턴부(142)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날개패드(140)가 절곡되어 허벅지의 측면을 밀착하며 감싸게 되는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패턴부(142)는 허벅지의 피부와 접촉되는 날개패드(140)의 일면이 허벅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입체적인 형상0을 갖는다. 즉, 패턴부(142)는 제1 결합면(141-1)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제1 돌출부(142-1), 제3 결합면(141-3)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제2 돌출부(142-2), 제1 돌출부(142-1)와 제2 돌출부(142-2) 사이에 위치하며 제2 결합면(L2)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합입부(142-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패드(110)와 후면패드(120)가 상호 마주볼 때 패턴부(142)는 허벅지의 측면을 따라 허벅지를 감싸게 되며 동시에 날개패드(140)의 일면이 허벅지에 밀착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드(100)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패드(100)는 흡수패드(150), 날개패드(160) 및 고정커버(170)를 포함한다.
흡수패드(150)는 외부커버(200)의 내측면에 안착되고, 아기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흡수패드(150)의 양측 가장자리, 바람직하게는 흡수패드(150)의 중앙 측 가장자리에는 날개패드(160)가 형성/부착된다.
날개패드(160)는 상호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흡수패드(150)를 중심으로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고정커버(170)는 패드(100)의 하면, 고정패드(170)의 일면과 흡수패드(150)의 하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흡수패드(150)의 하면에 고정된다. 즉, 고정커버(170)의 양측 가장자리와 흡수패드(150)의 측면 가장자리가 상호 결합 되면서 고정커버(170)와 흡수패드(15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의 공간에 후술하는 보조패드(30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보조패드(300)는 고정커버(170)와 흡수패드(150) 상호간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선택, 즉, 아기의 대,소변의 양에 따라 보조패드(300)를 장착시켜 패드(100)의 흡수율을 높여줄 수 있다.
이때, 보조패드(300)의 일측에는 견인고리(310)가 형성될 수 있다. 견인고리(310)는 고정커버(190)에 끼워진 보조패드(300)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조패드(300)의 탈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7 을 참조하면 날개패드(160)는 결합부(161) 및 패턴부(162)를 포함한다. 결합부(161)의 일측, 즉 흡수패드(150)와 부착되는 가장자리는 외측방향으로 만곡(彎曲)된 곡선형상을 유지하면서 돌출된다. 이로 인해 흡수패드(150)가 원활하게 접힐 수 있고, 유아에게 장착되는 경우 날개패드(160)가 굴곡진 허벅지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게 된다.
패턴부(162)는 결합부(161)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패턴부(162)는 날개패드(160)가 서혜부(鼠蹊部)와 인접한 허벅지의 측면을 감싸고, 날개패드(160)의 일면을 허벅지에 밀착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패턴부(162)의 가장자리는 만곡(彎曲)된 곡선형상으로 함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날개패드(160)의 가장자리가 허벅지의 둘레면을 감싸주면서 날개패드(160)와 허벅지의 밀착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기능성 위생 기저귀는 아기의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세탁이 잘 이루어져 위생적인 것은 물론 삶거나 잦은 세탁에도 견고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날개패드가 아기의 서혜부 및 허벅지를 밀착시킴으로써 아이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설물이 유아의 허벅지를 타고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패드 110 : 전면패드
120 : 후면패드 130 : 연결패드
131 : 제1 연결패드 131-1 : 제1 곡률부
132 : 제2 연결패드 132-1 : 제2 곡률부
140 : 날개패드 141 : 결합부
142 : 패턴부 150 : 흡수패드
160 : 날개패드 170 : 고정커버
200 : 외부커버 300 : 보조패드
310 : 견인고리 S : 수용공간
t : 깊이

Claims (8)

  1. 다수의 겹으로 이루어져 배설물을 수용하는 패드(100);
    상기 패드(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패드(100)가 안착되며, 상기 패드(1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허리에 착용되는 외부커버(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100)는 상기 배설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전면패드(110);
    상기 전면패드(11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후면패드(120);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전면패드(110)와 후면패드(120)에 체결되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소정의 깊이(t)를 갖는 상기 수용공간(S)이 형성하는 연결패드(130);
    상기 연결패드(1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날개패드(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드(130)는 제1 연결패드(131)와 제2 연결패드(1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패드(131)는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제1 곡률부(1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패드(132)는 상기 제1 곡률부(131-1)와 대칭을 이루는 제2 곡률부(13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곡률부(131-1)와 제2 곡률부(132-1)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곡률부(131-1,132-1)가 이루는 만곡(彎曲)되는 곡선의 길이(D1)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의 깊이(t)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패드(140)는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결합부(141)가 형성되되,
    상기 전면패드(110)와 상기 후면패드(120)가 상호 마주볼 때 날개패드(140)의 일면이 서혜부(鼠蹊部)와 인접한 허벅지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결합부(141)는 상기 전면패드(11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면(141-1), 상기 연결패드(120)와 결합되는 제2 결합면(141-2), 상기 후면패드(130)와 결합되는 제3 결합면(141-3)으로 구획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패드(140)는 상기 결합부(141)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허벅지의 측면과 접촉되는 패턴부(142)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패드(140)의 일면이 상기 허벅지에 밀착되도록 상기 패턴부(142)는 상기 제1 결합면(141-1)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제1 돌출부(142-1), 상기 제3 결합면(141-3)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제2 돌출부(142-2), 상기 제1 돌출부(142-1)와 제2 돌출부(14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결합면(141-2)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합입부(1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100)는 상기 외부커버(200)의 내측면에 안착되며, 양측 가장자리의 일부가 일정곡률반경을 그리며 내측방향으로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흡수패드(150);
    상기 흡수패드(150)의 함입된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날개패드(160);
    상기 흡수패드(150)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커버(170);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100)의 하면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패드(100)의 하면과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커버(190)에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커버(170)에서 탈착되는 보조패드(30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패드(160)는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彎曲)된 곡선을 갖는 결합부(161)와
    서혜부(鼠蹊部)와 인접한 허벅지의 측면을 감싸며 일면이 상기 허벅지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부(161)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허벅지의 측면과 접촉되는 패턴부(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KR1020170137073A 2016-11-02 2017-10-23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KR101962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5219 2016-11-02
KR1020160145219 2016-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321A true KR20180048321A (ko) 2018-05-10
KR101962633B1 KR101962633B1 (ko) 2019-07-31

Family

ID=6218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073A KR101962633B1 (ko) 2016-11-02 2017-10-23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75A (ko) 2018-11-09 2020-05-19 장유정 기저귀패드가 탈부착 가능한 팬티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2452A (ja) * 1989-12-19 1992-04-03 Kimberly Clark Corp 密着式吸収性物品
KR950007946Y1 (ko) * 1992-09-29 1995-09-25 김권봉 유아용 기저귀
KR20000006887U (ko) * 1998-09-23 2000-04-25 조재만 남성용 기저귀
KR200234824Y1 (ko) 2001-03-05 2001-09-26 주식회사 카노 인터내셔날 착탈가능한 흡수 시이트를 구비한 팬티형 기저귀
KR200259576Y1 (ko) 2001-10-10 2002-01-05 정원호 유아용 기저귀
KR200307947Y1 (ko) * 2002-12-14 2003-03-20 김영규 팬티형 천 기저귀
JP2003144488A (ja) * 2001-11-15 2003-05-20 Tanaka Shoji:Kk パッド付おむつ及びそのおむつに用いるパッド
JP2003290280A (ja) * 2002-03-29 2003-10-14 Fk Life Service Kk パッドおよびおむつ装置
JP2005304899A (ja) * 2004-04-23 2005-11-04 Uni Charm Corp 着用物品
KR200411904Y1 (ko) * 2005-12-26 2006-03-21 김희성 기저귀
KR20060115544A (ko) * 2005-05-06 2006-11-09 최말련 패드 교환식 구성을 갖는 기저귀 세트
KR20070042906A (ko) * 2004-08-19 2007-04-24 가부시키가이샤 니혼규슈다이기쥬쓰겡뀨쇼 흡수체 물품
KR100821666B1 (ko) * 2007-08-14 2008-04-14 홍형석 보강흡수 기능을 갖는 기저귀 패드
KR100849474B1 (ko) * 2007-03-20 2008-07-30 임재경 기저귀
KR20090010325A (ko) 2007-07-23 2009-01-30 한용준 면 기저귀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2452A (ja) * 1989-12-19 1992-04-03 Kimberly Clark Corp 密着式吸収性物品
KR950007946Y1 (ko) * 1992-09-29 1995-09-25 김권봉 유아용 기저귀
KR20000006887U (ko) * 1998-09-23 2000-04-25 조재만 남성용 기저귀
KR200234824Y1 (ko) 2001-03-05 2001-09-26 주식회사 카노 인터내셔날 착탈가능한 흡수 시이트를 구비한 팬티형 기저귀
KR200259576Y1 (ko) 2001-10-10 2002-01-05 정원호 유아용 기저귀
JP2003144488A (ja) * 2001-11-15 2003-05-20 Tanaka Shoji:Kk パッド付おむつ及びそのおむつに用いるパッド
JP2003290280A (ja) * 2002-03-29 2003-10-14 Fk Life Service Kk パッドおよびおむつ装置
KR200307947Y1 (ko) * 2002-12-14 2003-03-20 김영규 팬티형 천 기저귀
JP2005304899A (ja) * 2004-04-23 2005-11-04 Uni Charm Corp 着用物品
KR20070042906A (ko) * 2004-08-19 2007-04-24 가부시키가이샤 니혼규슈다이기쥬쓰겡뀨쇼 흡수체 물품
KR20060115544A (ko) * 2005-05-06 2006-11-09 최말련 패드 교환식 구성을 갖는 기저귀 세트
KR200411904Y1 (ko) * 2005-12-26 2006-03-21 김희성 기저귀
KR100849474B1 (ko) * 2007-03-20 2008-07-30 임재경 기저귀
KR20090010325A (ko) 2007-07-23 2009-01-30 한용준 면 기저귀
KR100821666B1 (ko) * 2007-08-14 2008-04-14 홍형석 보강흡수 기능을 갖는 기저귀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75A (ko) 2018-11-09 2020-05-19 장유정 기저귀패드가 탈부착 가능한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633B1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1122A (en) Tailored and protective undergarments
TW380049B (en) Throwaway paper diaper
JP5611981B2 (ja) 再使用可能な吸収ダイパー構造
JP4824009B2 (ja) 吸収性パッド用のパウチ
KR101653190B1 (ko) 속지교체가 용이한 생리대
KR200458014Y1 (ko) 배설물의 흡수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기저귀
KR101962633B1 (ko)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KR102165510B1 (ko) 기능성 속옷
CN210991192U (zh) 一种纸尿裤
CN104706470A (zh) 儿童纸尿裤
CN211382209U (zh) 一种两便分离的成人护理裤
JP4179992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10010221U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KR200373083Y1 (ko) 반영구용 기저귀
TWI580414B (zh) Set the device
CN216091075U (zh) 一种方便使用的纸尿裤
KR20090006269U (ko)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KR200259576Y1 (ko) 유아용 기저귀
CN210384208U (zh) 一种防侧漏婴儿纸尿裤
CN211300697U (zh) 一种易拆式纸尿裤
CN211187817U (zh) 一次性护理内裤
JP2009195303A (ja) 吸収性物品
JP4057827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3200527U (ja) 吸収体
US20080200889A1 (en) Diaper Incontinent Pad Combo DIP-C and Dualie Di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