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269U -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269U
KR20090006269U KR2020070020418U KR20070020418U KR20090006269U KR 20090006269 U KR20090006269 U KR 20090006269U KR 2020070020418 U KR2020070020418 U KR 2020070020418U KR 20070020418 U KR20070020418 U KR 20070020418U KR 20090006269 U KR20090006269 U KR 200900062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urine
cover
absorbent sheet
pan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옥
Original Assignee
김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옥 filed Critical 김시옥
Priority to KR2020070020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269U/ko
Publication of KR20090006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2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specially adapted for gender distinct urine discharge pattern
    • A61F13/491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specially adapted for gender distinct urine discharge pattern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adjustable by adding or removing material, e.g. umbilical cord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with rear faecal part separate from front urinar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61F2013/5055Possibility of doubling or putting in new 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변 또는 대변을 받아내는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가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분리되는 구조를 가져 기저귀의 사용 회수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피와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사타구니를 감쌀 수 있는 전단 커버와,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소변용 흡수시트와, 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전단 커버의 내피 외측을 따라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내피와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후단 커버와,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대변용 흡수시트와, 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내피 외측을 따라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대변용 기저귀부로 구분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를 구성한다.
그리고, 후단 커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접착부의 일면과 전단 커버 일단에는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소변용 기저귀부의 전단 커버가 내측에 포함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팬티부를 포함하여 기저귀 팬티를 구성하는데, 팬티부는 영유아가 착용할 수 있도록 허리개구부와 다리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소변용 기저귀부의 전단 커버가 사타구니부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영유아의 배꼽부위까지 감싸줄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허리 연장부가 형성되고, 허리 연장부 전면 외측에는 상하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의 탄력실사로 가로 직조된 탄력부가 형성되고, 허리 연장부의 후면 외측에는 순면 띠를 가로로 덧대어 재봉한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저귀 팬티, 기저귀, 분리, 착탈, 소변용, 대변용, 남아, 여아, 영유아.

Description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Speparate-type diaper and diaper Penty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소변 또는 대변을 받아내는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가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분리되는 구조를 가져 기저귀의 사용 회수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는 젖먹이 유아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기 위해 사타구니와 둔부를 감싸면서 샅에 채우는 천을 말하며, 그 재질로는 부드럽고 흡수성이 좋으며 질기고 건조가 잘되는 흰색의 면소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기저귀는 통상 기저귀 커버 내에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시트가 구비되고, 기저귀 커버의 일측에 샘방지부와 착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크기의 밴드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수시트는 통상적으로 솜털펄프(Fluff Pulp),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 및 티슈(Tissue) 등으로 이루어지며, 액체가 통 과할 수 있는 커버측을 통과하는 배설물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고 흡수된 배설물이 다시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된 배설물을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소변부와 대변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개체로 분뇨에 의한 착용부위의 통풍, 건조 등을 고려하고, 보호자의 입장에서 착용이 보다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현재는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휴대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 후 버릴 수 있도록 펄프지로 만들어진 일회용 기저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요즘 신세대 주부들이나 초산인 산모가 찾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일회용 쓰레기의 범실로 인한 환경적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아울러, 아기를 키우면서도 특히 경제적으로 윤택하지 못한 사람들은 분유 및 유아용 용품이 가정의 소비지출을 이루는 비용 중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 개씩 소비되는 일회용 기저귀에 드는 비용이 점차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원이 부족하여 거의 모든 원료를 수입하는 우리나라 현실에 부합되지 않게 유아의 배설물로 인하여 재생되지 않는 일회용 기저귀의 재질이 펄프지로 거의 100% 수입에 의존하게됨으로써, 환경적 또는 산업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대소변에 상관없이 소변만 받았을 때도 기저귀는 통째로 교환해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변시까지 기다리기엔 축축한 상태의 고통이 너무 커 통상 기저귀의 50% 만 사용하고 버려야 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영유아의 경우 어릴 때는 수분의 섭취가 대부분이여서 소변이 자주 나오는데 아무리 소변 흡수율이 빠른 기저귀라도 축축해지기 마련이고, 대변시까지 기다리다 보면 소변의 해로운 성분과 염분등으로 영유아의 피부에 상처가 나게 된다. 따라서, 보호자는 남은 50% 부분이 아무리 깨끗한 상태일지라도 영유아를 생각해 전체 기저귀를 교환하게 되고, 기저귀는 100% 사용된 다음 교체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저귀는 필요에 따라 영유아가 착용하는 팬티 내측에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때 일반적인 팬티는 기저귀의 크기보다 작아 착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며, 영유아의 체형과 자세 변형에 따라 기저귀와 팬티 외부로 대변 또는 소변이 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기저귀를 팬티형상으로 제작한 팬티형 기저귀는 입고 벗기가 불편하여 영유아의 배변 훈련용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저귀를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로 구분시키고, 상기 대·소변용 기저귀는 접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가능한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와 폭을 가지는 팬티부의 사타구니부에 소변용 기저귀부를 부착하여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을 받는 소변용 기저귀부만을 교체하여 기저귀의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가능한 기저귀와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벨크로 부재를 이용하여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의 착탈이 용이하고 기저귀를 100% 사용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가능한 기저귀와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영유아가 입고 벗기가 편하고 대변 또는 소변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허리 연장부가 형성되고, 탄력부와 받침부 및 별도의 샘방지막을 가지는 팬티부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분리가능한 기저귀를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분리된 소변용 기저귀부의 전단 커버가 내측에 포함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팬티부를 포함한 기저귀 팬티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분리가능한 기저귀는,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사타구니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전단 커버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소변용 흡수시트와, 상기 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상기 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 외측에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후단 커버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대변용 흡수시트와, 상기 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상기 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변용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 외측에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대변용 기저귀부로 구분되고;
상기 후단 커버는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일면과 상기 전단 커버 일단 외피측에는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는 내측으로 소변용 흡수시트와 대변용 흡수시트가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결합되고, 상기 샘방지막은 전단 커버와 후단 커버에 구비되는 상기 소변용/대변용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 외측에형성되며, 상기 결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의 일단에는 각각 이중의 샘방지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의 소변용 흡수시트는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의 대변용 흡수시트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수단은, 일 실시예로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수단은, 다른 실시예로, 대변용 기저귀부의 접착부 상면에 벨크로 갈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에 대응되는 소변용 기저귀부에는 벨크로 고리를 형성한 벨크로 결합이다.
한편, 상기 기저귀 팬티는,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사타구니를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전단 커버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소변용 흡수시트와, 상기 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상기 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 외측에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상기 영유아가 착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허리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부 양단에 제1, 2 다리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의 전단 커버가 사타구니부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영유아의 배꼽부위까지 감싸줄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허리 연장부가 형성된 팬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팬티부의 허리 연장부 전면 외측에는 상하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의 탄력실사로 가로 직조된 탄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허리 연장부의 후면 외측에는 순면 띠를 가로로 덧대어 재봉한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리가능한 기저귀부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는,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후단 커버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대변용 흡수시트와, 상기 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상기 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변용 흡수시트가 구비된 내피 외측을 따라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대변용 기저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단 커버는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일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전단 커버의 일단 외피측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벨크로와 같은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는 일측 날개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팬티부의 사타구니부 내측과 접면하는 부위에 접착수단으로 점착테이프 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팬티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샘방지막은 상기 전단 커버의 하단에 이중의 샘방지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는 필요에 따라 남성 영유아용과 여성 영유아용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남성 영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는, 윗부분이 넓고 아래부분이 좁게 형성된 뒤집힌 물방울 형상으로 세로길이는 18∼23㎝의 길이를 가지며, 가장 넓은 윗부분의 가로길이는 16∼21㎝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성 영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세로길이는 19∼24㎝를 가지며, 가로길이는 12∼17㎝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팬티부의 허리 연장부 전면에 형성된 탄력부는 탄력실사가 상하로 10∼15㎜ 간격을 가지며 3∼5줄이 가로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팬티부의 허리 연장부 후면에 형성된 받침부는 상기 후면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20∼30㎜의 폭을 가지는 순면 띠를 재봉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팬티부의 내측에는 영유아의 사타구니와 둔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순면 천을 세로 직조로 덧대어 더 형성하고, 상기 순면 천의 테두리를 따라 샘방지막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팬티부의 제1, 2 다리개구부의 내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별도의 샘방지막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2 다리개구부의 개구된 부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 다리개구부의 테두리 단부 일측에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필요에 따라 벨크로 결합 또는 단추 결합 방식을 이용한다.
더불어, 상기 팬티부의 전면 외측에는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를 착용한 남성 영유아의 성기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다리개구부와 제2 다리개구부를 탄력실사로 직조 연결한 가로 연결부와, 상기 가로 연결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허리 연장부의 하측까지 탄력실사로 직조한 세로 연결부를 더 형성하여, 상기 탄력실사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에 의하면,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가 착탈가능하게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소변 또는 대변을 받은 부분을 교체할 수 있어 기저귀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 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변보다 소변이 잦은 소변용 기저귀부의 교체사용으로 쓰레기를 줄이고 유아 양육비용을 줄일 수 있어 가계에 금전적으로 절약이 되며 영유아의 위생과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소변용 기저귀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와 폭을 가지는 팬티부의 사타구니부에 소변용 기저귀부를 부착하여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을 받는 소변용 기저귀부만을 교체하여 기저귀의 사용효율을 증대시키고, 점착 테이프 또는 벨크로 부재를 이용하여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의 착탈이 용이하고 기저귀를 100% 사용하고 교체할 수 있어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영유아가 입고 벗기가 편하고 대변 또는 소변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허리 연장부가 형성되고, 탄력부와 받침부 및 별도의 샘방지막을 가지는 팬티부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순면으로 고안된 팬티부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에 의해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통풍이 잘되어 영유아의 발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배변훈련시 입고 벗기가 용이하며 대변 또는 소변이 새지 않아 엄마들의 스트레스를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가능한 기저귀와 기저귀 팬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기저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기저귀의 착탈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기저귀(1)는 영유아 또는 환자와 같은 착용자(이하 '영유아')의 분뇨 배설물을 흡수하고 이러한 배설물이 새지 않도록 구성되는 기저귀에 있어서, 영유아의 신체에 둘러져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소변을 받는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을 받는 대변용 기저귀부(1b)로 분리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는 영유아의 사타구니와 둔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는 소변을 보는 성기가 위치된 사타구니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는 대변을 보는 항문이 위치된 둔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또한, 일측에 형성된 접착수단(50)에 의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기존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는 내부에 흡수시트(20)가 구비된 전단 커버(10)와, 배설물이 새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해 신축성을 가지는 샘방지막(40)을 포함하여 영유아의 신체에 둘러질 수 있도록 연장된 날개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단 커버(10)의 일측에는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와 착탈되게 접착결합될 수 있도록 접착수단(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단 커버(10)는, 소변용 기저귀부(1a)의 크기와 길이를 결정하 는 것으로, 착용시 영유아의 피부와 맞닿게 되고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의 내피(11)와, 착용시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재질의 외피(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영유아의 사타구니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내피(11)와 외피(12)는 다층의 흡수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피(12)를 형성하는 층에는 방수층, 즉 폴리 우레탄과 같은 방수층 재질을 사용하여 내부 배설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20)는 상기 전단 커버(10)의 내피(11)와 외피(12) 사이에 구비되는데, 모든 순면이 가능하며 착용감과 활동성의 증대를 위하여 흡수성이 좋고 신축성이 좋은 재질이 사용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20)에 적용되는 재질은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즉 자체무게의 5백 - 1천배의 순수한 물(0.9% 생리식염수는 50-70배)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합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된다.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한 소변용 흡수시트(20)는 다른 종류의 흡수체와는 달리 물만을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속도가 빠르고 흡수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물을 흡수하면 빠르게 겔 상태로 변화되고, 겔상태로 변화된 이후에는 압력을 받아도 물을 잘 배출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20)는 소변, 즉 액체를 많이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의 대변용 흡수시트(20')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의 날개부(30)는 전단 커버(10)의 측부가 연장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기저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12)가 연장된 것이다. 이때, 상기 날개부(30)는 기저귀를 착용한 영유아의 피부에 밀착되면서 영유아의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이 사용되며 허벅지 부분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배설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최종적으로 막아주며 외관이미지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30)는 필요에 따라 전단 커버(10)의 측부에 주름 밴드(32)를 형성하며 단부에 연장 형성된 날개부(30)는 대응되는 대변용 기저귀부(1b)의 날개부(30')와 별도의 접착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본 고안에 따른 기저귀가 영유아의 신체에 착용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필요에 따라 상기 날개부(30)는 외부와의 통풍을 위해 다수개의 통기공(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단 커버(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20)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11) 외측에 배설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일명 응가밴드(Barrier Cuff)라고 불리는 샘방지막(4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샘방지막(40)은 하방향으로 이동할 지도 모를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변용 기저귀부(1a)의 하단, 즉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와 결합되는 부분의 단부까지 형성되며 신축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가 결합되는 일단에는 이중구조의 샘방지막(4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의 전단 커버(10) 일단 외피(12)측에는 대변용 기저귀부(1b)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접착수단(50)이 구비된다.
이어서, 재차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는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동일 구조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동일 크기와 길이를 가지며, 영유아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는 후단 커버(10')와, 대변용 흡수시트(20'), 샘방지막(40') 및 날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단 커버(10')는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11')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12')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내·외피(11', 12') 사이에는 대변용 흡수시트(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30')는 상기 후단 커버(10')의 측부가 연장된 것으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의 날개부(30)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연장된 일측은 별도의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의 연장된 날개부(30)와 접착되어 영유아의 신체에 착용된다.
더불어, 상기 샘방지막(40')은 상기 후단 커버(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변용 흡수시트(20')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11') 외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의 샘방지막(40)과 동일 형상과 구조로 소변용 기저귀부(1a)의 하단, 즉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결합되는 부분의 단부까지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가 결합되는 상기 하단에는 이중구조의 샘방지막(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의 후단 커버(10') 일단 외피(12')측에는 소변용 기저귀부(1a)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접착수단(5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접착수단(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후단 커버(10')는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부(13)를 가지며, 상기 접착부(13)의 상면에 소변용 기저귀부(1a)의 일단 외피측이 안착되면서 구비된 접착수단(50)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때, 상기 접착부(13)는 후단 커버(10') 전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영유아에 기저귀 착용시 상기 접착부(13)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수단(50)에 의해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가 서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결합력을 가지도록 후단 커버(10')의 단부측 일부만 지그재그식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를 결합시키는 접착수단(50)을 살펴보면, 일예로 상기 접착수단(50)은 접착이 용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로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수단(50)이 형성되는 대변용 기저귀부(1b)의 접착부(13)와 소변용 기저귀부(1a)의 일단 외피측은 반복되는 접착 결합에도 견딜 수 있는 질긴 재질이 사용된다.
또한, 다른예로 상기 접착수단(50)은 벨크로 결합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의 접착부(13) 상면에 벨크로 갈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13)에 대응되는 소변용 기저귀부(1a)의 일단 외피측에는 벨크로 고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벨크로 고리와 벨크로 갈고리부로 이루어진 벨크로 구조에 의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는 내측으로 소변용 흡수시트(20)와 대변용 흡수시트(20')가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는 소변을 자주 보며 대변을 가끔 보게 되는데,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가 2개로 분리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저귀의 활용은 극대화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기저귀는 필요에 따라 영유아가 착용하는 팬티의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능한 기저귀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a)(b)는 도 3에 적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a)(b)는 도 3에 적용되는 팬티부의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 적용되는 팬티부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는 별개로 분리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자란 유아의 경우 기저귀를 벗어나 팬티 를 입게 되는데, 대변은 조절해도 소변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리가능한 기저귀(1)를 구성하는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의 전단 커버(10)가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길이(b)와 폭(a)을 가지는 팬티부(1c)로 구성되는 기저귀 팬티(1')를 이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는 일측 날개부(30)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단 커버의 일면 또는 상기 연장된 날개부 일면에 점착테이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팬티부(1c)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팬티부(1c)의 사타구니부(60)는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팬티부(1c)의 사타구니부(60)는 일반적인 종래의 팬티보다 그 폭(a)이 넓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에 형성되는 샘방지막(40)은 전단 커버(10)의 내피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전단 커버(10)의 하단에는 소변이 새지 않도록 이중의 샘방지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는 상기에 기술된 대변용 기저귀부(1b)와 대체가능하여 기저귀의 활용도를 늘린다.
보다 상세하게, 분리가능한 기저귀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1')는,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이를 포함하는 팬티부(1c)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는 재자 도 1을 참조하면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사타구니를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전단 커버(10)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소변용 흡수시트(20)와, 상기 전 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30)와, 상기 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가 구비된 내피(11) 외측을 따라 형성된 샘방지막(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팬티부(1c)는, 상기 영유아가 착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허리개구부(72)를 형성하고 하부 양단에 제1, 2 다리개구부(71)가 형성되면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의 전단 커버(10)가 사타구니부(60)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영유아의 배꼽부위까지 감싸줄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허리 연장부(7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팬티부(1c)의 허리 연장부(73) 전면 외측에는 상하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의 탄력실사(74a)로 가로 직조된 탄력부(74)가 형성되고, 상기 허리 연장부(73)의 후면 외측에는 순면 띠를 가로로 덧대어 재봉한 받침부(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는 일측 날개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팬티부(1c)의 사타구니부(60) 내측과 접면하는 부위에 접착수단으로 점착테이프 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팬티부(1c)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신축성을 가지는 샘방지막(40)은 상기 전단 커버(10)의 하단에 이중의 샘방지막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저귀 팬티(1')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 기술한 대변용 기저귀부(1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1b)는, 재차 도 1을 참조하면,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 으로 영유아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후단 커버(10')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대변용 흡수시트(20')와, 상기 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30')와, 상기 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변용 흡수시트(20')가 구비된 내피(11') 외측을 따라 형성된 샘방지막(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 커버(10')는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부(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13)의 일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전단 커버(10)의 일단 외피측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벨크로와 같은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는 팬티부(1c) 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4(a)(b)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남성 영유아의 경우 소변을 보면 일반적인 팬티의 위가 젖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여성 영유아의 경우는 이와 반대로 팬티의 아래쪽이 젖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는 남성 영유아용과 여성 영유아용으로 구분되는데, 도 4(a)와 같이, 상기 남성 영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1a-1)는, 윗부분이 넓고 아래부분이 좁게 형성된 뒤집힌 물방울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기저귀부(1a-1)는 세로길이(e)가 18∼23㎝의 길이를 가지며, 가장 넓은 윗부분의 가로길이(d)가 16∼21㎝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로길이(e)는 20㎝를 가지며, 넓은 윗부분의 가로길이(d)는 18㎝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저귀부(1a-1)의 세로길이(e)가 18㎝ 미만이고 넓은 윗부분의 가로길 이(e)가 16㎝ 미만이면 기저귀부(1a-1)의 착용시 소변을 막을 수 없어 샐 경우가 발생하며, 세로길이(e)가 23㎝ 초과이고 넓은 윗부분의 가로길이(e)가 21㎝ 초과이면 팬티부(1c)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착용상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세로길이(e)와 가로길이(e)는 날개부(30)를 제외한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샘방지막(40)까지의 크기를 고려한 길이이다.
한편, 도 4(b)와 같이, 상기 여성 영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1a-2)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세로길이(g)는 19∼24㎝를 가지며, 가로길이(f)는 12∼17㎝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로길이(g)는 21㎝를 가지며, 가로길이(f)는 14㎝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저귀부(1a-2)의 세로길이(g)가 19㎝ 미만이고 가로길이(f)가 12㎝ 미만이면, 기저귀부(1a-2)의 착용시 소변을 막을 수 없어 샐 경우가 발생하며, 세로길이(g)가 24㎝ 초과이고 가로길이(f)가 17㎝ 초과이면 팬티부(1c)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착용상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세로길이(g)와 가로길이(f)는 날개부(30)를 제외한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샘방지막(40)까지의 크기를 고려한 길이이다.
도 5(a)(b)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저귀 팬티(1')에 적용되는 팬티부(1c)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팬티부(1c)는, 필요에 따라 허리 연장부(73)가 형성되는데, 상기 허리 연장부(73)의 전면에는 탄력부(74)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받침부(75)가 형성된다.
상기 허리 연장부(73)는 영유아의 배꼽부위까지 감싸주게 형성되는 바, 이에 의해 상기 영유아는 누워서 대변을 보거나 소변을 보아도 영유아의 신체에 눌려 팬티부(1c) 외부로 대변이나 소변이 새지 않게 막아준다.
또한, 상기 팬티부(1c)의 허리 연장부(73) 전면에 형성된 상기 탄력부(74)는 도 5(a)와 같이, 바람직하게 탄력실사(74a)가 상하로 형성하는 간격(c)이 상하로 10∼15㎜ 간격(c)을 가지며 3∼5줄이 가로 직조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탄력실사(74a)는 신축성을 가지는 실로서, 이와 같이 탄력실사(74a)를 이용하여 탄력부(7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허리 연장부(73)는 가로로 조여주는 탄력성을 가지게 되며, 영유아가 입고 벗기가 편하며 착용감이 월등히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탄력실사(74a)의 상하 간격이 10㎜ 미만으로 설정되거나 5줄을 초과하여 형성되면 그 탄력성이 강해 영유아에게 답답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상하 간격이 15㎜ 초과하거나 3줄미만으로 형성되면 탄력실사가 주는 탄력이 약해 대변이나 소변이 위로 샐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탄력실사(74a)는 상하 간격이 13㎜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팬티부(1c)의 허리 연장부(73) 후면에 형성된 받침부(75)는, 도 5(b)와 같이, 상기 후면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20∼30㎜의 폭을 가지는 순면 띠를 재봉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부(75)는, 기저귀 팬티(1')를 착용한 영유아의 허리부분이 상기 영유아의 자세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팬티부(1c)의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75)를 형성하는 순면 띠는 25㎜ 의 폭을 가지는데, 20㎜ 미만의 폭을 가지면 허리부분이 노출되거나 팬티부(1c)가 영유아의 자세에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30㎜ 초과 되면 순면 띠가 넓어 영유아의 착용감이 불편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팬티부(1c)는 내측, 다시 말하면 영유아의 피부가 닿는 쪽에 상기 영유아의 사타구니와 둔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순면 천(76)을 세로 직조(76a)로 덧대어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순면 천(76)의 테두리를 따라 샘방지막(40)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른 기저귀 팬티(1')를 구성하는 팬티부(1c)는 100% 순면의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종래의 기저귀 발진 등 공기가 통하지 않는 기저귀 커버 대신 순면으로 만들어 통풍이 잘되어 발진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면의 팬티부(1c) 내측에 상기 순면 천(76)을 세로 직조(76a)로 덧대어 더 형성함으로써 내측에 구비되는 소변용 기저귀부(1a)가 상기 팬티부(1c)에 밀착되게 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순면 천(76)의 테두리를 따라 더 형성된 샘방지막(40)에 의해 소변이 아닌 대변 배출시에도 대변이 밖으로 새는 것을 미리 방지하게 된다.
도 7은 도 3에 적용되는 팬티부의 다리개구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3에 적용되는 팬티부의 또다른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팬티부(1c)는, 상기 팬티부(1c)의 제1, 2 다리개구부(71a, 71b)의 내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별도의 샘방지막(40)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2 다리개구부(71a, 71b)의 개구된 부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 다리개구부(71a, 71b)의 테두리 단부 일측에는 간격조절수단(7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1, 2 다리개구부(71)를 통해 샐 수도 있는 대변 또는 소변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샘방지막(40)에 의해 대변이나 소변은 완전히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수단(77)은 영유아의 다리에 상기 제1 다리개구부(71a)와 제2 다리개구부(71b)가 밀착되면서도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다리개구부(71)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수단(77)은, 벨크로 결합(77a) 또는 단추 결합(77b) 방식을 이용한다.
도 7의 (a)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수단(77)은 벨크로 결합(77a)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제1 다리개구부(71a)를 형성하는 팬티부(1c)의 테두리 단부에 벨크로 갈고리부(77a-1)와 벨크로 고리부(77a-2)를 형성하고 이의 접착 결합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의 (b)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수단(77)은 단추 결합(77b)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제2 다리개구부(71b)를 형성하는 팬티부(1c)의 테두리 단부에 작 은 단추(77b-1)와 이에 대응되는 단추구멍(77b-2)를 형성하고 이의 끼움 결합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77)은 영유아의 체형에 맞춰 제1, 2 다리개구부(7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몸에 꼭맞게 처리하여 대변 또는 소변 배출을 완벽히 막아준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남성 영유아의 경우 팬티부(1c)의 착용에 따라 성기 부분의 공간이 적어 답답함을 느끼거나 착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팬티부(1c)의 전면 외측에는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1a)를 착용한 남성 영유아의 성기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다리개구부(71a)와 제2 다리개구부(71b)를 탄력실사로 직조 연결한 가로 연결부(78)와, 상기 가로 연결부(78)의 중앙부에서 상기 허리 연장부(73)의 하측까지 탄력실사로 직조한 세로 연결부(79)를 더 형성하여, 상기 탄력실사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로 연결부(78)와 세로 연결부(79)에 의해 팬티부(1c)의 내부에 부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1a)가 안정적으로 위치되면서, 영유아의 착용감에도 불편함이 없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소변용 기저귀부(1a)와 대변용 기저귀부(1b)로 구분된 분리가능한 기저귀(1)와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1c)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하나로, 이러한 흡수제품은 여러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 즉, 오줌이나 대변, 월경분비물 및 질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제품으로서 좀더 구 체적으로는 유아가 사용하는 기저귀(Baby Diaper), 실금자가 사용하는 기저귀(Adult Diaper),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및 팬티라이너(Panty Liner)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하진 않았지만 이러한 흡수제품에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능한 기저귀의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능한 기저귀의 착탈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능한 기저귀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4(a)(b)는 도 3에 적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5(a)(b)는 도 3에 적용되는 팬티부의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도 3에 적용되는 팬티부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7은 도 3에 적용되는 팬티부의 다리개구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8은 도 3에 적용되는 팬티부의 또다른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분리형 기저귀 1' : 기저귀 팬티
1a : 소변용 기저귀부 1b : 대변용 기저귀부
10 : 전단커버 10' : 후단커버
11, 11' : 내피 12, 12' : 외피
20, 20' : 흡수시트 30, 30' : 날개부
40, 40' : 샘방지막 41, 41' : 이중 샘방지막
50 : 접착수단 1c : 팬티부
73 : 허리 연장부 74 : 탄력부
75 : 받침부 76 : 순면 천

Claims (13)

  1.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사타구니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전단 커버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소변용 흡수시트와, 상기 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상기 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 외측에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후단 커버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대변용 흡수시트와, 상기 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상기 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변용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 외측에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대변용 기저귀부로 구분되고;
    상기 후단 커버는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일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전단 커버의 일단 외피측에는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는 내측으로 소변용 흡수시트와 대변용 흡수시트가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결합되는데,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는 상기 대변용 흡수시트 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샘방지막은 전단 커버와 후단 커버에 구비되는 상기 소변용·대변용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에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가 대응되는 일단에는 각각 이중의 샘방지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 점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대변용 기저귀부의 후단 커버 접착부 상면에 벨크로 갈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에 대응되는 소변용 기저귀부의 전단 커버 외피측에는 벨크로 고리를 형성한 벨크로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5.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사타구니를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전단 커버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소변용 흡수시트와, 상기 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상기 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소변용 흡수시트의 테두리를 따라 내피 외측에 형 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소변용 기저귀부와;
    상기 영유아가 착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허리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부 양단에 제1, 2 다리개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의 전단 커버가 사타구니부 내측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영유아의 배꼽부위까지 감싸줄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허리 연장부가 형성된 팬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팬티부의 허리 연장부 전면 외측에는 상하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의 탄력실사로 가로 직조된 탄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허리 연장부의 후면 외측에는 순면 띠를 가로로 덧대어 재봉한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 팬티는, 액체가 투과될 수 있는 내피와 액체가 투과될 수 없는 외피가 일체형으로 영유아의 둔부를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후단 커버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 구비되는 대변용 흡수시트와, 상기 후단 커버의 측부가 연장된 날개부와, 상기 후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변용 흡수시트가 구비된 내피 외측을 따라 형성된 샘방지막을 포함하는 대변용 기저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단 커버는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일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전단 커버의 일단 외피측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벨크로와 같은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와 대변용 기저귀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는 일측 날개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팬티부의 사타구니부 내측과 접면하는 부위에 접착수단으로 점착테이프 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팬티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샘방지막은 상기 전단 커버의 하단에 이중의 샘방지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는 남성 영유아용과 여성 영유아용으로 구분되되,
    상기 남성 영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는, 윗부분이 넓고 아래부분이 좁게 형성된 뒤집힌 물방울 형상으로 세로길이는 18∼23㎝의 길이를 가지며, 가장 넓은 윗부분의 가로길이는 16∼21㎝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성 영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소변용 기저귀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세로길이는 19∼24㎝를 가지며, 가로길이는 12∼17㎝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의 허리 연장부 전면에 형성된 탄력부는 탄력실사가 상하로 10∼15㎜ 간격을 가지며 3∼5줄이 가로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팬티부의 허리 연장부 후면에 형성된 받침부는 상기 후면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20∼30㎜의 폭을 가지는 순면 띠를 재봉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의 내측에는 영유아의 사타구니와 둔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순면 천을 세로 직조로 덧대어 더 형성하고, 상기 순면 천의 테두리를 따라 샘방지막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11.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의 제1, 2 다리개구부의 내측 단부 테두리를 따라 별도의 샘방지막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2 다리개구부의 개구된 부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2 다리개구부의 테두리 단부 일측에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벨크로 결합 또는 단추 결합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13.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부의 전면 외측에는 상기 소변용 기저귀부를 착용한 남성 영유아의 성기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다리개구부와 제2 다리개구부를 탄력실사로 직조 연결한 가로 연결부와, 상기 가로 연결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허리 연장부의 하측까지 탄력실사로 직조한 세로 연결부를 더 형성하여, 상기 탄력실사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KR2020070020418U 2007-12-20 2007-12-20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KR200900062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418U KR20090006269U (ko) 2007-12-20 2007-12-20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418U KR20090006269U (ko) 2007-12-20 2007-12-20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269U true KR20090006269U (ko) 2009-06-24

Family

ID=4132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418U KR20090006269U (ko) 2007-12-20 2007-12-20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26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5087A (zh) * 2024-02-05 2024-03-15 北京润裕格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纸尿裤
CN117695087B (zh) * 2024-02-05 2024-06-11 北京润裕格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纸尿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5087A (zh) * 2024-02-05 2024-03-15 北京润裕格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纸尿裤
CN117695087B (zh) * 2024-02-05 2024-06-11 北京润裕格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纸尿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4088A1 (en) Easily removable underwear
JP2007029609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3971229B2 (ja) 使い捨てパンツ
JP4292521B2 (ja) 吸収性物品ならびにこれを構成するパンツ本体
JP3146049U (ja) 男性用尿パッド及び男性用尿パッドの取付構造
KR200411904Y1 (ko) 기저귀
JP4004380B2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2004000414A (ja) 吸収性物品ならびにこれを構成するパンツ本体および吸収パッド
CN112914813B (zh) 储污裤
KR200467843Y1 (ko) 용변주머니 교체형 기저귀
KR100724114B1 (ko) 팬티형 천기저귀
CN211382209U (zh) 一种两便分离的成人护理裤
KR101962633B1 (ko) 3차원 기능성 위생 기저귀
JP5021518B2 (ja) 吸収性物品
KR20100086255A (ko)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KR20090006269U (ko) 분리가능한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팬티
KR100526101B1 (ko) 폐기커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JP3970158B2 (ja) パンツ型の補助吸収具
KR20090033132A (ko) 환자전용 기저귀
CN215459372U (zh) 一种防大小便倒漏的老年人纸尿裤
CN216091075U (zh) 一种方便使用的纸尿裤
CN214547305U (zh) 一种裤体开裆结构及裤体
CN214710447U (zh) 一种应急裤
JP4009089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着用に適した外装体およびこの外装体に用いられる補助部材
JP4116952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オム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