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255A -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255A
KR20100086255A KR1020090005527A KR20090005527A KR20100086255A KR 20100086255 A KR20100086255 A KR 20100086255A KR 1020090005527 A KR1020090005527 A KR 1020090005527A KR 20090005527 A KR20090005527 A KR 20090005527A KR 20100086255 A KR20100086255 A KR 20100086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member
fastening means
diap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만
이일휴
권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9000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255A/ko
Publication of KR2010008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4Straps, belts, ties or endless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가지는 제품 본체; 및 상기 제품 본체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을 체결하는 패스닝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 본체는 배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허리영역의 배면에 설치된 제1결합수단과, 후방허리영역의 배면에 설치된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제품 본체의 제1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한 제1체결수단과, 제품 본체의 제2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한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제품의 착용과 벗겨냄(제품의 개폐)이 가능한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흡수제품, 기저귀, 패스닝 부재, 체결, 탈착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ABSORBENT PRODUCT WITH EASY OPEN/CLOSE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 본체(예, 기저귀 등)와 자유롭게 탈착이 가능한 패스닝 부재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제품의 착용과 벗겨냄(제품의 개폐)이 가능한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혈액, 뇨, 생리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제품은 사용 중 위생적이고 편리함을 제공한다. 흡수제품은 착용자의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분비물(예를 들면, 뇨, 혈액, 생리혈 등)을 흡수하는 제품, 즉 오줌, 대변, 월경분비물 및 질 분비물을 흡수하는 일회용 제품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아 또는 실금자가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성인 요실금 환자용 제품, 용변훈련용 팬츠,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팬티라이너(panty liner)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일회용 흡수제품은, 일반적으로 액체 투과성의 상부시트, 상기 상부시트를 통과한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코어, 및 상기 흡수코어로부터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회용 흡수제품은 착용자에 의해 배설되는 분비물(예를 들면, 뇨, 혈액, 생리혈 등)을 빨리 흡수하고 사용 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흡수코어의 흡수 용량을 높이며 두께를 보다 얇게 만드는 초박형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일회용 흡수제품을 비교적 오랫동안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실금자가 사용하는 기저귀 등과 같은 흡수제품의 경우에는 패스닝 부재를 갖는 오픈형 일회용 기저귀(이하 오픈형 기저귀라 칭함)와, 미리 체결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이하 팬티형 기저귀로 칭함)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제품의 사시 구성도로서, 오픈형 기저귀(D)의 일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저귀(D)는 착용자의 배쪽 허리부분(앞부분)에 위치되는 전방허리영역(A)과, 가랑이 부분에 위치되어 분비물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가랑이영역(B), 그리고 착용자의 등쪽 허리부분(뒷부분)에 위치하는 후방허리영역(C)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때 오픈형 기저귀(D)는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을 체결하는 패스닝 부재(1)를 갖는다.
상기 패스닝 부재(1)는 일반적으로 후방허리영역(C)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패스닝 부재(1)는 후방허리영역(C)에 고정된 고정부(1a)와, 상기 고정 부(1a)와 연결되어 있되, 전방허리영역(C)에 부착되는 부착부(1b)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a)는 접착제, 열융착 또는 봉재(sewing) 등으로 방법으로 후방허리영역(C)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1b)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방허리영역(C)의 타겟부(2)에 점착에 의해 부착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저귀(D)는 착용자(아기)가 똑바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배쪽 부분(앞부분)에서만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반면, 착용자(아기)가 엎어져 있거나 기어 다니는 경우, 그리고 붙잡고 서는 성장 단계, 그리고 아장아장 걸어 다니는 성장 단계 등 활발한 활동을 하는 아기의 경우에는 착용과 벗겨냄이 어렵다. 이에 따라, 아기를 붙잡아 강제로 하늘을 보고 눕힌 상태로 만든 다음, 기저귀(D)를 착용시키거나 벗겨내야 하기 때문에 착용하는 아기는 물론 착용시키는 부모 모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팬티형 기저귀는 스스로 보행이 가능한 아기를 대상으로 다리를 끼워 입히기 편한 반면, 누워있는 아기를 대상으로는 입히기 불편할 뿐 만 아니라 미리 체결된 체결형태 때문에 오픈형 기저귀(D)처럼 체결부위를 개폐하여 배변이나 배뇨 여부를 수시로 확인 할 수 없고, 배변으로 인해 기저귀를 엉덩이부터 다리로 잡아당겨 벗길 때 배설물이 다리피부나 옷에 달라붙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팬티형 기저귀에 오픈형 기저귀의 패스닝 부재(d)를 도입하여 착용할 때는 팬티형처럼 입히고, 배변이나 배뇨를 확인하거나 기저귀를 갈아 줄 때 패스닝 부재(1)를 열어 오픈형 기저귀처럼 사용하는 형태를 개발했지만, 이 역시 패스닝 부재(1)가 기저귀에 고정되어 있어 오픈형 기저귀(D)에서와 같이 아기가 하늘 을 향해 똑바로 얌전히 누워있는 상태가 아닌 엎드려 있거나, 네 발로 기어 다니는 중에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하고 쉽게 재체결하는 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0289호에는 기저귀의 사타구니 폭의 최소값을 나타내는 부위를 기저귀 길이 방향의 이등분되는 중앙선 양방향에 10%를 유지함으로써 착용자의 배쪽이나 등쪽 어느 쪽에서 채우더라도 흡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의 기저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문헌에 제시된 기저귀 역시 패스닝 부재(1)가 기저귀 본체에 항구적으로 고정된 것으로서, 이 역시 아기의 자세가 패스닝 부재(1)의 부착부(1b)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 1에 보인 종래의 오픈형 기저귀(D)와 같이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하거나, 기저귀(D)를 벗겨내야 할 경우에는 아기의 자세를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착용하는 아기는 물론 착용시키는 부모의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 본체(예, 기저귀 본체 등)와 자유롭게 탈착이 가능한 패스닝 부재를 포함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착용과 벗겨냄(제품의 개폐)이 가능한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가지는 제품 본체; 및
상기 제품 본체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을 체결하는 패스닝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 본체는 배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허리영역의 배면에 설치된 제1결합수단과, 후방허리영역의 배면에 설치된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제품 본체의 제1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한 제1체결수단과, 제품 본체의 제2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한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패스닝 부재의 제1체결수단과 제2체결수단은 후크, 루프, 단추 및 재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패스닝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패스닝 부재는 신축성의 밴드를 가지되, 상기 밴드의 일측에는 제1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타측에는 제2체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품 본체의 제1결합수단과 제2결합수단은 후크, 루프, 단추 및 재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품 본체의 제1결합수단과 제2결합수단은 배면시트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제품 본체와 패스닝 부재는 후크-루프 체결 구조에 의해 탈착(결합과 분리)된다. 또한, 상기 패스닝 부재는 제품 본체의 폐기 처리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스닝 부재가 제품 본체로부터 자유롭게 탈착(결합과 분리)되어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착용과 벗겨냄(개폐)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똑바로 누워 있거나, 엎드려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착용과 벗겨냄이 가능하고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제품 본체와, 상기 제품 본체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을 체결하는 패스닝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패스닝 부재는 제품 본체와 자유롭게 탈착(결합과 분리)이 가능한 체결시스템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패스닝 부재는 그 어느 쪽도 제품 본체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분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패스닝 부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전방허리영역(착용자의 배쪽)은 물론 후방허리영역(착용자의 등쪽), 그 어느 쪽에서도 흡수제품의 착용과 벗겨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일회용 흡수제품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유아 또는 실금자가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 등을 들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일회용 흡수제품 중에서 유아가 착용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회용 기저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도 2는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I-I선 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도 2에 보인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Ⅱ-Ⅱ선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는 모래시계 형태로서 상하, 좌우가 대칭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저귀는 상하, 좌우가 반드시 대칭구조로 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은 대칭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착"이란 고형접착제, 고온용융 접착제, 봉재(sewing), 열 또는 초음파 등의 결합수단으로 기저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상호 간이 긴밀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군데군데 간헐적으로 결합된 것을 포함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흡수 제품)는 본체(100)와 패스닝 부재(20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기저귀 본체(100)를 착용자(아기)의 앞부분(배쪽)에 위치되는 전방허리영역(A), 가랑이 부분에 위치되어 분비물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가랑이영역(B), 그리고 착용자의 뒷부분(등쪽)에 위치되는 후방허리영역(C)으로 구분한다. 기저귀 본체(100)는 착용자의 피부 쪽에 위치하는 상부시트(10); 착용 시 외부표면을 형성하여 의류와 접촉될 수 있는 배면시트(30); 상기 상부시트(10)와 배면시트(30)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코어(20); 및 소정의 폭을 가지며 종방향(도 2에서 세로방향)으로 길게 결합된 응가밴드(40)를 갖는다. 그리고 기저귀 본체(100)를 착용자의 허리에 밀착시킬 수 있는 허리밴드(50)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을 체결한다.
상기 상부시트(10)는 분비물을 흡수코어(20) 쪽으로 신속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액체 투과성으로서, 이는 흡수코어(20) 및 배면시트(30)와 부착되는데, 중앙 영역은 흡수코어(20)와 부착되며, 자장자리 영역은 배면시트(30)와 부착된다.
상기 흡수코어(20)는 상부시트(10)를 통과한 분비물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부시트(10)와 배면시트(30)의 사이에 위치된다. 흡수코어(20)의 크기 및 형태(예를 들면, 장방형, 모래시계형, T자형, 비대칭형 등)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흡수코어(20)는 솜털 펄프(fluff pulp)와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로 이루어진 흡수체(25)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솜털 펄프는 섬유상의 웹 또는 목재펄프를 분쇄한 입자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비닐알콜-아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 폴리비닐알콜 가교물, 아크릴산염-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아크릴레이트-초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가교물,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가교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렌옥사이드 중합체 가교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단독이나 2종 이상을 혼합한 입자상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솜펄 펄프는 흡수체(25) 총중량의 10 ~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50중량%가 좋으며, 고흡수성 수지는 흡수체(25) 총중량의 20 ~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 80중량%가 좋다.
상기 흡수코어(20)는, 바람직하게는 상부시트(10)를 통과한 분비물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여 흡수체(25)의 모든 영역에 분비물을 분산시키고 흡수체(25)를 지지하여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 확산층(24)을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흡수 확산층(24)은 고흡수성의 부직포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코어(20)는 흡수체(25)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고 흡수체(25)가 덩어리지거나 둥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티슈(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흡수 확산층(24)은 상부시트(10)와 흡수체(25)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티슈(26)는 흡수체(25)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부착되거나, 흡수체(25)를 포장하는 형태로서 흡수체(25)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흡수코어(20)가 흡수 확산층(24), 흡수체(25) 및 티슈(26)로 이루어지되, 상기 티슈(26)는 흡수체(25)의 하부면에 단층으로 부착된 단면 모습을 예시하였다.
상기 배면시트(30)는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하여 착용자의 의복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으로서, 이는 적어도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32)은 액체 불투과성이면서, 바람직하게는 기체 투과성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배면시트(30)를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32)은 플라스틱 수지 원료에 탄산칼슘 등의 무기물을 첨가해 성형(압출 또는 사출)함으로써 필름에 미세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여 흡수코어(20)로부터 나온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기체 투과성인 것이 좋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32)의 성형에 적합한 물질은 10g/㎡ 내지 30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Film)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Polypropylene Film) 등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시트(30)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부드러움을 부여하기 위한 섬유시트(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필름(32)은 흡수코어(20) 쪽에 부착되고, 상기 섬유시트(34)는 플라스틱 필름(32)에 부착되어, 상기 섬유시트(34)가 기저귀 본체(100)의 최외각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섬유시트(34)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섬유시트(34)는 천연섬유(순면 등)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 좋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32)과 섬유시트(34)는 기저귀 본체(100)의 가로 세로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32)은 흡수코어(20)의 가로방향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축소하고, 상기 섬유시트(34)는 기저귀 본체(100)의 전체 가로방향 폭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여 부착한다.
상기 응가밴드(40)는 흡수코어(20)에서 이탈되는 분비물이 가랑이영역(B)의 좌우측(도 3에서 보았을 때 좌우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는 흡수코어(20)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액체 불투과성이다. 이러한 응가밴드(40)는 응가밴드 탄성체(45)를 가지며, 적어도 가랑이영역(B)에서는 탄성체(45)에 의해 기립되어 분비물이 저장되는 포켓(pocket)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액상의 분비물은 응가밴트(40)에 의해 가두어져 기저귀 본체(100)의 좌우측으로 새지 않고 포켓(pocket)에 임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흡수체(20)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가밴드(40)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응가밴드(40A)와 외측 응가밴드(40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응가밴드(40)가 내측 응가밴드(40A)와 외측 응가밴드(40B)를 포함하는 경우 분비물의 샘 방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내측 응가밴드(40A)와 외측 응가밴드(40B)는 하나의 플랩(41)이 접어져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응가밴드(40)를 구성하는 플랩(41)은 소수성의 부직포 또는 방수성의 부직포 등의 액체 불투과성의 필름이 사용된다. 응가밴드(40)는, 이를 구성하는 플랩(41)으로서 소수성의 부직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소수성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2겹의 플랩(4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2겹의 플랩(41)은 고형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랩(41)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단 위 면적당 중량이 13g/㎡ ~ 28g/㎡인 것이 좋다.
또한, 응가밴드(40)는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2), 응가밴드 말단부(43),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4), 그리고 내측 플랩(46) 및 외측 플랩(47)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2)는 응가밴드 탄성체(4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응가밴드 플랩(41)이 상호 접착되는 지점이다. 이와 같이 마련된 공간, 즉 응가밴드 플랩(41)이 접어져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2)와 응가밴드 말단부(43) 사이에 마련된 공간 안에는 하나 이상의 응가밴드 탄성체(45)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응가밴드 탄성체(45)는 응가밴드 말단부(43)를 피부에 잘 밀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응가밴드(40A)(40B)의 적어도 가랑이영역(B)에는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응가밴드 탄성체(45)로는 탄성실이 유용하며, 상기 탄성실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응가밴드 탄성체(45)의 탄성율은 150 ~ 230%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80 ~ 200%의 탄성율을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예를 들어 '탄성율 200%'이란 초기 수축된 상태의 탄성체(45)의 길이를 100이라고 했을 경우 최대로 늘어날 수 있는 길이가 200임을 의미한다.
상기 응가밴드 말단부(43)는 응가밴드 탄성체(45)에 의해 기립되어 피부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4)는 응가밴드 플랩(41)의 종방향 말단 부분이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에 부착되는 지점(도 2참조)이다. 이러한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4)는 전방 허리부분(A)과 후방 허리부분(C)의 좌우 끝단에서부터 30 ~ 100mm정도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응가밴드 내측 플랩(46)은 내측 응가밴드(40A)와 외측 응가밴드(40B)를 연장하는 부분을 가리키는 응가밴드 플랩(41)이고, 응가밴드 외측 플랩(47)은 외측 응가밴드(40B)에서 횡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부분을 가리키는 응가밴드 플랩(41)이다. 이러한 내측 플랩(46)과 외측 플랩(47)은 응가밴드(40)가 기저귀 본체(100)에 고정되도록 상부시트(10) 또는 배면시트(30)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부시트(10)를 내외측 플랩(46)(47)이 있는 부분까지 연장시키는 경우에는 상부시트(10)에 부착, 고정되며, 상부시트(10)를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2)에 부근까지만 연장시키는 경우에는 배면시트(30)에 부착, 고정된다. 이러한, 응가밴드 내외측 플랩(46)(47)의 폭(횡방향 길이)은 15 ~ 50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5 ~ 35mm가 적절하다.
상기 허리밴드(50)는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허리영역(A) 및/또는 후방허리영역(C)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후방허리부분(C)에 위치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허리밴드(50)는 기저귀 본체(100)를 신체의 허리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킨다. 허리밴드(50)는 탄력성의 밴드 또는 비탄력성의 밴드에 탄성체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시트,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우레탄 부직포, 또는 천연섬유(혹은 합성섬유) 부직포에 탄성실이 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실에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밴드(50)는 기저귀 본체(100)의 폭(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부분적 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스닝 부재(200)는, 본 발명에 따라서 기저귀 본체(100)와 자유롭게 탈착(결합과 분리)이 가능한 체결시스템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 본체(100)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 본체(100)와 자유롭게 탈착(결합과 분리)될 수 있는 체결수단(2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패스닝 부재(200)는 밴드 형상의 본체(210) 및 상기 밴드 본체(210)에 형성된 체결수단(220)을 가지되, 상기 체결수단(220)은 제1체결수단(221)과 제2체결수단(222)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수단(221)과 제2체결수단(222)은 밴드 본체(210)의 양쪽 말단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밴드 본체(210)의 일측에는 제1체결수단(221)이 형성되고, 반대쪽 타측에는 제2체결수단(22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귀 본체(100)는 패스닝 부재(200)와 대응되는 체결시스템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기저귀 본체(100)는 그의 배면에, 즉 피부와 접촉되는 쪽의 반대쪽으로서 배면시트(30)가 있는 쪽에 상기 패스닝 부재(200)의 체결수단(220)과 대응되는 결합수단(120)을 갖는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120)은 제1결합수단(121)과 제2결합수단(1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수단(121)은 전방허리영역(A)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122)은 후방허리영역(C)의 배면에 설치된다.
이때,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저귀의 착용 시, 상기 패스닝 부재(200)의 제1체결수단(221)은 전방허리영역(A)의 배면에 설치된 제1결합수단(121)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패스닝 부재(200)의 제2체결수단(222)은 후방허리영역(C)의 배면에 설치된 제2결합수단(122)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별개의 부재로서, 제1체결수단(221)을 대상으로 하거나 제2결합수단(122)을 대상으로 하여 기저귀 본체(100)와의 결합력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이나 후방 그 어느 쪽에서도 기저귀 본체(100)를 착용자로부터 쉽게 벗겨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허리영역(A)이나 후방허리영역(C) 어느 쪽에서도 패스닝 부재(200)의 분리가 가능하여 착용자가 똑바로 누워 있거나, 엎드려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도 착용자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착용과 벗겨냄이 가능하고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기저귀를 폐기할 때도 착용자가 어느 자세로 있든 간에 패스닝 부재(200)를 쉽게 분리하여 배설물이 피부나 의류 등에 묻지 않게끔 쉽게 벗겨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흡수 제품)는, 패스닝 부재(200)를 기저귀 본체(100)에 결합시킨 후에 착용될 수 있다. 즉, 착용 전에 패스닝 부재(200)를 기저귀 본체(100)에 결합시켜 종래의 팬티형 기저귀와 같이 착용자의 다리에 끼워 아래에서 위로 당기어 일반 팬티나 바지의 착용방법으로 착용할 수 있다.
패스닝 부재(200)에 형성된 상기 체결수단(220), 즉 제1체결수단(221) 및 제2체결수단(222)은 후크(Hook), 루프(Loop), 단추(또는 단추 구멍) 및 재접착테이프 등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맞물려 탈착 조작이 용이하고, 수회의 탈착 조작을 실시하여도 결합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내구성 이 좋은 후크, 루프나 단추가 좋다. 또한, 상기 제1체결수단(221) 및 제2체결수단(222)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체결수단(221)이 후크로 구성되면, 제2체결수단(222)은 후크와 대응되는 루프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체결수단(221)이 단추로 구성되면, 제2체결수단(222)은 단추와 대응되는 단추 구멍이 될 수 있다.
또한, 패스닝 부재(200)는 밴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일면에 부착된 체결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체결수단(220)은 밴드 본체(210)에 초음파 실링, 열(Heat) 실링, 접착제(핫멜트 등의 고형 접착제나 용제 타입 액상 접착제 등) 및 봉재(sewing)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밴드 본체(210)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질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나 직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접촉되는 점을 고려하여 천연소재로 제조한 부직포나 직포가 좋다. 아울러, 상기 밴드 본체(210)는 착용자의 배가 부르거나 배가 꺼졌을 때도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밴드 본체(210)는 탄력성의 밴드 또는 비탄력성의 밴드에 탄성체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시트,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우레탄 부직포, 또는 천연섬유(혹은 합성섬유) 부직포에 탄성실이 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실로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귀 본체(100)에 형성된 결합수단(120)은 체결수단(220)과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여기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수단(120), 즉 제1결합수단(121) 및 제2결합수단(122)은 후크(Hook), 루프(Loop), 단추(또는 단추 구멍) 및 재접착테이프 등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이때, 결합수단(120)은 체결수단(220)과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체결수단(220)이 후크로 구성되면 결합수단(120)은 루프로 구성되고, 이와 반대로 체결수단(220)이 루프로 구성되면 결합수단(120)은 후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후크-루프 체결 구조(통상, '벨크로'라 명명될 수 있음)에 의해 기저귀 본체(100)와 패스닝 부재(200)는 자유롭게 탈착(결합과 분리)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기저귀 본체(100)와 패스닝 부재(200)가 후크-루프 체결시스템을 가지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허리영역(A) 또는 후방허리영역(C)의 배면시트(30)에 결합수단(120)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결합수단(120)(121 또는 122)은 루프로 구성되고, 패스닝 부재(200)의 밴드 본체(210) 상에 체결수단(220)(221 또는 22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체결수단(220)은 후크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체결수단(220)이 단추로 구성되면 결합수단(120)은 단추 구멍으로 구성되고, 체결수단(220)이 재접착테이프로 구성되면 결합수단(120)은 접착면을 제공하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120)은 배면시트(30)가 될 수 있다. 배면시트(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32)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체결수단(220)이 재접착테이프로 구성되면 탈부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체결수단(220)이 재접착테이프로 구성된 경우, 별도의 결합수단(120)을 형성하지 않고도, 배면시트(30), 즉 플라스틱 필름(32)이 결합수단(120)이 되어 탈부착된다. 또한, 상기 배면시트(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32)과 외각에 배치된 섬유시트(3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체결수단(220)이 후크로 구성되면 탈부착이 가능하다. 즉, 후크는 섬유시트(34)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120)을 형성하지 않고도, 배면시트(30), 즉 섬유시트(34)가 결합수단(120)이 되어 탈부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200)의 다른 구현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패스닝 부재(200)의 제1체결수단(221) 및 제2체결수단(222)은 밴드 본체(210)의 양쪽 말단(도 6에서 좌우측 말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체결수단(221) 및 제2체결수단(222)은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체결수단(221)과 제2체결수단(222)이 3개로 분할된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흡수 제품)의 폐기 처리 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귀의 폐기 시 패스닝 부재(200)를 이용하여 기저귀를 묶어 압축하여 폐기시킬 수 있다. 이때, 패스닝 부재(200)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즉, 밴드 본체(2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밴드 본체(210)는 150 ~ 600%의 탄성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탄성율 150%'이란 초기 수축된 상태의 밴드 본체(210)의 길이를 100이라고 했을 경우 최대로 늘어날 수 있는 길이가 150임을 의미한다. 또한, 패스닝 부재(200)의 제1체결수단(221) 및 제2체결수단(222)은 서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탈착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체결수단(221)이 후크로 구성되면, 제2체결수단(222)은 후크와 대응되는 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스닝 부재(200)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여기에 형성된 제1체결수단(221) 및 제2체결수단(222)이 서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탈착 구조를 가지는 경우, 기저귀(흡수 제품)의 폐기 처리 수단으로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기저귀의 폐기 시, 패스닝 부재(200)가 신축성을 가지므로 감아서 압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패스닝 부재(200)의 양 말단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감아서 압축한 후 제1체결수단(221)과 제2체결수단(222)을 서로 체결시키면 기저귀를 간편하게 폐기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 본체(100)로부터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저귀에서와 같이 기저귀 본체에 항구적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200)는 제1체결수단(221) 및 제2체결수단(222)에 의해 어느 쪽에서도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개폐가 용이하여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착용자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벗겨냄이 가능하고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200)를 착용자(아기 모형)의 배 부위(앞부분)에서 체결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200)를 착용자(아기 모형)의 등 부위(뒷부분)에서 체결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200)가 체결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진을 보인 것이 다.
한편, 본 발명의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 본체(100)에 미리 결합된 형태로 판매될 수 있고, 별도로 판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귀 본체(100) 2개 이상에 본 발명의 패스닝 부재(200) 1세트(패스닝 부재 2개)를 묶어서 판매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I-I선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보인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Ⅱ-Ⅱ선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의 다른 구현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를 착용자(아기 모형)의 배 부위(앞부분)에서 체결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를 착용자(아기 모형)의 등 부위(뒷부분)에서 체결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스닝 부재가 체결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시트 20 : 흡수코어
30 : 배면시트 40 : 응가밴드
50 : 허리밴드 100 : 기저귀 본체
120 : 결합수단 121 : 제1결합수단
122 : 제2결합수단 200 : 패스닝 부재
210 : 밴드 본체 220 : 체결수단
221 : 제1체결수단 222 : 제2체결수단

Claims (10)

  1.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가지는 제품 본체; 및
    상기 제품 본체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을 체결하는 패스닝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 본체는 배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허리영역의 배면에 설치된 제1결합수단과, 후방허리영역의 배면에 설치된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제품 본체의 제1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한 제1체결수단과, 제품 본체의 제2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한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의 제1체결수단과 제2체결수단은 후크, 루프, 단추 및 재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는 신축성의 밴드를 가지되, 상기 밴드의 일측에는 제1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타측에는 제2체결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본체와 패스닝 부재는 후크-루프 체결 구조에 의해 탈착(결합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는 제품 본체의 폐기 처리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며, 제1체결수단과 제2체결수단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탈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본체의 제1결합수단과 제2결합수단은 후크, 루프, 단추 및 재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본체의 제1결합수단과 제2결합수단은 배면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시트는 플라스틱 필름 및 섬유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KR1020090005527A 2009-01-22 2009-01-22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KR20100086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27A KR20100086255A (ko) 2009-01-22 2009-01-22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27A KR20100086255A (ko) 2009-01-22 2009-01-22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55A true KR20100086255A (ko) 2010-07-30

Family

ID=4264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527A KR20100086255A (ko) 2009-01-22 2009-01-22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2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6571B2 (en) 2017-06-27 2022-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bodily exudate separation and sampling
US11298276B2 (en) 2016-03-01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adapted for collection of uncontaminated and intact stool sample from an infant
US11938009B2 (en) 2017-06-27 2024-03-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product adapted for collection of exudate sample from an infant
US12075985B2 (en) 2016-03-01 2024-09-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product adapted for collection of urine sample from an infa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8276B2 (en) 2016-03-01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adapted for collection of uncontaminated and intact stool sample from an infant
US12075985B2 (en) 2016-03-01 2024-09-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product adapted for collection of urine sample from an infant
US11246571B2 (en) 2017-06-27 2022-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bodily exudate separation and sampling
US11938009B2 (en) 2017-06-27 2024-03-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product adapted for collection of exudate sample from an inf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4428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antlike pull down feature
US20040127878A1 (en) Surround stretch absorbent garments
TW201440739A (zh) 吸收性物品
JP2000513639A (ja) 調節可能なウエスト部材を備えた吸収体
JP2004520869A (ja) 取り外し可能な脆弱ラインとファスナを備えたパンツ状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H02297364A (ja) 吸収性物品
JP2007244506A (ja) パンツ型おむつ及び尿取りパッド
JP2007029609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A2905930A1 (en) Absorbent article for accommodating a catheter and tubing
JP2008525148A (ja) パンツ型吸収用品
JP2008054987A (ja) パンツ型おむつ
JP2007209774A (ja) 吸収性物品ならびにこれを構成するパンツ本体
KR20100086255A (ko)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KR20190034976A (ko) 재습윤 저감형 개인위생용품
JP4099325B2 (ja) 男性用吸収性物品
JPH0677722U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60110474A (ko) 일회용 기저귀의 초박형 흡수코어 및 그 제조방법
KR200467843Y1 (ko) 용변주머니 교체형 기저귀
KR100736385B1 (ko) 천연소재 다층부직포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0526101B1 (ko) 폐기커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KR101525257B1 (ko)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JP2002534158A (ja) 視覚による点検手段を有する生体排泄物捕集器
JP2002177325A (ja) 使いすておむつ
KR100380026B1 (ko) 일회용 흡수제품
JPH0675444U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