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257B1 -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5257B1 KR101525257B1 KR1020090081067A KR20090081067A KR101525257B1 KR 101525257 B1 KR101525257 B1 KR 101525257B1 KR 1020090081067 A KR1020090081067 A KR 1020090081067A KR 20090081067 A KR20090081067 A KR 20090081067A KR 101525257 B1 KR101525257 B1 KR 1015252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ist region
- diaper
- band
- absorbent
- fasten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6—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on lateral fl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가지는 제품 본체; 및 상기 제품 본체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을 결합하는 결합수단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과, 내측면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허리영역 또는 후방허리영역의 제1결합수단과 제2결합수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탈착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제품의 착용과 벗겨냄(제품의 개폐)이 가능한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흡수제품, 기저귀, 패스닝 부재, 체결, 탈착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 본체(예, 기저귀 등)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 모두에 결합수단을 둠으로써,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의 결합 시 자유롭게 탈착이 가능하고,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제품의 착용과 벗겨냄(제품의 개폐)이 가능한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혈액, 뇨, 생리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제품은 사용 중 위생적이고 편리함을 제공한다. 흡수제품은 착용자의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분비물(예를 들면, 뇨, 혈액, 생리혈 등)을 흡수하는 제품, 즉 오줌, 대변, 월경분비물 및 질 분비물을 흡수하는 일회용 제품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아 또는 실금자가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성인 요실금 환자용 제품, 용변훈련용 팬츠,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팬티라이너(panty liner)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일회용 흡수제품은, 일반적으로 액체 투과성의 상부시트, 상기 상부시트를 통과한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코어, 및 상기 흡수코어로부터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회용 흡수제품은 착용자에 의해 배설되는 분비물(예를 들면, 뇨, 혈액, 생리혈 등)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고 사용 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흡수코어의 흡수 용량을 높이며 두께를 보다 얇게 만드는 초박형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일회용 흡수제품을 비교적 오랫동안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유아 또는 실금자가 사용하는 기저귀 등과 같은 흡수제품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패스닝 부재를 갖는 오픈형 일회용 기저귀(이하 오픈형 기저귀라 칭함)와, 미리 체결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이하 팬티형 기저귀로 칭함)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제품의 사시 구성도로서, 오픈형 기저귀(D)의 일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저귀(D)는 착용자의 배쪽 허리부분(앞부분)에 위치되는 전방허리영역(A)과, 가랑이 부분에 위치되어 분비물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가랑이영역(B), 그리고 착용자의 등쪽 허리부분(뒷부분)에 위치하는 후방허리영역(C)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때 오픈형 기저귀(D)는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을 체결하는 패스닝 부재(1)를 갖는다.
상기 패스닝 부재(1)는 일반적으로 후방허리영역(C)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 적으로, 패스닝 부재(1)는 후방허리영역(C)에 고정된 고정부(1a)와, 상기 고정부(1a)와 연결되어 있되, 전방허리영역(C)에 부착되는 부착부(1b)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a)는 접착제, 열융착 또는 봉재(sewing) 등으로 방법으로 후방허리영역(C)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1b)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방허리영역(A)의 타겟부(2)에 점착에 의해 부착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저귀(D)는 착용자(아기)가 똑바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배쪽 부분(앞부분)에서만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반면, 착용자(아기)가 엎어져 있거나 기어다니는 경우, 그리고 붙잡고 서는 성장 단계, 그리고 아장아장 걸어다니는 성장 단계 등 활발한 활동을 하는 아기의 경우에는 착용과 벗겨냄이 어렵다. 이에 따라, 아기를 붙잡아 강제로 하늘을 보고 눕힌 상태로 만든 다음, 기저귀(D)를 착용시키거나 벗겨내야 하기 때문에 착용하는 아기는 물론 착용시키는 부모 모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팬티형 기저귀는 스스로 보행이 가능한 아기를 대상으로 다리를 끼워 입히기 편한 반면, 누워있는 아기를 대상으로는 입히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미리 체결된 체결형태 때문에 오픈형 기저귀(D)처럼 체결부위를 개폐하여 배변이나 배뇨 여부를 수시로 확인할 수 없고, 배변으로 인해 기저귀를 엉덩이부터 다리로 잡아당겨 벗길 때 배설물이 다리의 피부나 옷에 달라붙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팬티형 기저귀에 오픈형 기저귀의 패스닝 부재(1)를 도입하여 착용할 때는 팬티형처럼 입히고, 배변이나 배뇨를 확인하거나 기저귀를 갈아 줄 때 패스닝 부재(1)를 열어 오픈형 기저귀처럼 사용하는 형태를 개발했지만, 이 역시 패 스닝 부재(1)가 기저귀에 고정되어 있어 오픈형 기저귀(D)에서와 같이 아기가 하늘을 향해 똑바로 얌전히 누워있는 상태가 아닌 엎드려 있거나, 네 발로 기어다니는 중에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하고 쉽게 재체결하는 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0289호에는 기저귀의 사타구니 폭의 최소값을 나타내는 부위를 기저귀 길이 방향의 이등분되는 중앙선 양방향에 10%를 유지함으로써 착용자의 배쪽이나 등쪽 어느 쪽에서 채우더라도 흡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의 기저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문헌에 제시된 기저귀 역시 패스닝 부재(1)가 기저귀 본체의 후방허리영역(C)에 고정된 것으로서, 이 역시 아기의 자세가 패스닝 부재(1)의 부착부(1b)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 1에 보인 종래의 오픈형 기저귀(D)와 같이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하거나, 기저귀(D)를 벗겨내야 할 경우에는 아기의 자세를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착용하는 아기는 물론 착용시키는 부모의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 모두에 결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착용과 벗겨냄(제품의 개폐)이 가능한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가지는 제품 본체; 및
상기 제품 본체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을 결합하는 결합수단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과, 내측면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허리영역 또는 후방허리영역의 제1결합수단과 제 2결합수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은 패스닝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외측면에 마련된 상기 제1결합수단과, 내측면에 마련된 상기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패스닝 부재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결합수단은 프론탈(Frontal) 또는 루프로 이루어진 랜딩 부재(Loop, Landing Member)에 의해 탈착(결합과 분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패스닝 부재는 제품 본체의 폐기 처리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 모두에 결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착용과 벗겨냄(개폐)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똑바로 누워 있거나, 엎드려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착용과 벗겨냄이 가능하고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제품 본체와, 상기 제품 본체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제품 본체와 자유롭게 탈착(결합과 분리)이 가능한 결합시스템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결합수단은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과, 내측면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허리영역 또는 후방허리영역의 제1결합수단과 제2결합수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탈착구조인 것으로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 역 모두에 결합수단을 둠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전방허리영역(착용자의 배쪽)은 물론 후방허리영역(착용자의 등쪽), 그 어느 쪽에서도 흡수제품의 착용과 벗겨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일회용 흡수제품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유아 또는 실금자가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 등을 들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일회용 흡수제품 중에서 유아가 착용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회용 기저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도 2는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I-I선 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도 2에 보인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는 모래시계 형태로서 상하, 좌우가 대칭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저귀는 상하, 좌우가 반드시 대칭구조로 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은 대칭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착"이란 고형접착제, 고온용융 접착제, 봉재(sewing), 열 또는 초음파 등의 결합수단으로 기저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상호간이 긴밀하게 결합 되거나, 또는 군데군데 간헐적으로 결합 된 것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착용자(아기)의 앞부분(배쪽)에 위치되는 전방허리영역(A), 가랑이 부분에 위치되어 분비물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가랑이영역(B), 그리고 착 용자의 뒷부분(등쪽)에 위치되는 후방허리영역(C)으로 구분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흡수 제품)은 기저귀 본체(100)는 착용자의 피부 쪽에 위치하는 상부시트(10); 착용 시 외부표면을 형성하여 의류와 접촉될 수 있는 배면시트(30); 상기 상부시트(10)와 배면시트(30)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코어(20); 및 소정의 폭을 가지며 종방향(도 2에서 세로방향)으로 길게 결합된 응가밴드(40)를 갖는다. 그리고 기저귀 본체(100)를 착용자의 허리에 밀착시킬 수 있는 허리밴드(50)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시트(10)는 분비물을 흡수코어(20) 쪽으로 신속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액체 투과성으로서, 이는 흡수코어(20) 및 배면시트(30)와 부착되는데, 중앙 영역은 흡수코어(20)와 부착되며, 자장자리 영역은 배면시트(30)와 부착된다.
상기 흡수코어(20)는 상부시트(10)를 통과한 분비물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부시트(10)와 배면시트(30)의 사이에 위치된다. 흡수코어(20)의 크기 및 형태(예를 들면, 장방형, 모래시계형, T자형, 비대칭형 등)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흡수코어(20)는 솜털 펄프(fluff pulp)와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로 이루어진 흡수체(25)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솜털 펄프는 섬유상의 웹 또는 목재펄프를 분쇄한 입자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비닐알콜-아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 폴리비닐알콜 가교물, 아크릴산염-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아크릴레이트-초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가교물,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가교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렌옥사이드 중합체 가교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단독이나 2종 이상을 혼합한 입자상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솜펄 펄프는 흡수체(25) 총중량의 10 ~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50중량%가 좋으며, 고흡수성 수지는 흡수체(25) 총중량의 20 ~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 80중량%가 좋다.
상기 흡수코어(20)는, 바람직하게는 상부시트(10)를 통과한 분비물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여 흡수체(25)의 모든 영역에 분비물을 분산시키고 흡수체(25)를 지지하여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 확산층(24)을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흡수 확산층(24)은 고흡수성의 부직포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코어(20)는 흡수체(25)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고 흡수체(25)가 덩어리지거나 둥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티슈(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흡수 확산층(24)은 상부시트(10)와 흡수체(25)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티슈(26)는 흡수체(25)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부착되거나, 흡수체(25)를 포장하는 형태로서 흡수체(25)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흡수코어(20)가 흡수 확산층(24), 흡수체(25) 및 티슈(26)로 이루어지되, 상기 티슈(26)는 흡수체(25)의 하부면에 단층으로 부착된 단면 모습을 예시하였다.
상기 배면시트(30)는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하여 착용자의 의복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으로서, 이는 적어도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32)은 액체 불투과성이면서, 바람직하게는 기체 투과성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배면시트(30)를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32)은 플라스틱 수지 원료에 탄산칼슘 등의 무기물을 첨가해 성형(압출 또는 사출)함으로써 필름에 미세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여 흡수코어(20)로부터 나온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기체 투과성인 것이 좋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32)의 성형에 적합한 물질은 10g/㎡ 내지 30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Film)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Polypropylene Film) 등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시트(30)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부드러움을 부여하기 위한 섬유시트(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필름(32)은 흡수코어(20) 쪽에 부착되고, 상기 섬유시트(34)는 플라스틱 필름(32)에 부착되어, 상기 섬유시트(34)가 기저귀 본체(100)의 최외각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섬유시트(34)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섬유시트(34)는 천연섬유(순면 등)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 좋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32)과 섬유시트(34)는 기저귀 본체(100)의 가로 세로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32)은 흡수코어(20)의 가로방향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축소하고, 상기 섬유시트(34)는 기저귀 본체(100)의 전체 가로방향 폭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여 부착한다.
상기 응가밴드(40)는 흡수코어(20)에서 이탈되는 분비물이 가랑이영역(B)의 좌우측(도 3에서 보았을 때 좌우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는 흡수 코어(20)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액체 불투과성이다. 이러한 응가밴드(40)는 응가밴드 탄성체(45)를 가지며, 적어도 가랑이영역(B)에서는 탄성체(45)에 의해 기립되어 분비물이 저장되는 포켓(pocket)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액상의 분비물은 응가밴트(40)에 의해 가두어져 기저귀 본체(100)의 좌우측으로 새지 않고 포켓(pocket)에 임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흡수체(20)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가밴드(40)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응가밴드(40A)와 외측 응가밴드(40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응가밴드(40)가 내측 응가밴드(40A)와 외측 응가밴드(40B)를 포함하는 경우 분비물의 샘 방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내측 응가밴드(40A)와 외측 응가밴드(40B)는 하나의 플랩(41)이 접어져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응가밴드(40)를 구성하는 플랩(41)은 소수성의 부직포 또는 방수성의 부직포 등의 액체 불투과성의 필름이 사용된다. 응가밴드(40)는, 이를 구성하는 플랩(41)으로서 소수성의 부직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소수성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2겹의 플랩(4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2겹의 플랩(41)은 고형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랩(41)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단위 면적당 중량이 13g/㎡ ~ 28g/㎡인 것이 좋다.
또한, 응가밴드(40)는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2), 응가밴드 말단부(43),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4), 그리고 내측 플랩(46) 및 외측 플랩(47)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2)는 응가밴드 탄성체(4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응가밴드 플랩(41)이 상호 접착되는 지점이다. 이와 같이 마련된 공간, 즉 응가밴드 플랩(41)이 접어져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2)와 응가밴드 말단부(43) 사이에 마련된 공간 안에는 하나 이상의 응가밴드 탄성체(45)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응가밴드 탄성체(45)는 응가밴드 말단부(43)를 피부에 잘 밀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응가밴드(40A)(40B)의 적어도 가랑이영역(B)에는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응가밴드 탄성체(45)로는 탄성실이 유용하며, 상기 탄성실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응가밴드 탄성체(45)의 탄성율은 150 ~ 230%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80 ~ 200%의 탄성율을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예를 들어 '탄성율 200%'이란 초기 수축된 상태의 탄성체(45)의 길이를 100이라고 했을 경우 최대로 늘어날 수 있는 길이가 200임을 의미한다.
상기 응가밴드 말단부(43)는 응가밴드 탄성체(45)에 의해 기립되어 피부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4)는 응가밴드 플랩(41)의 종방향 말단 부분이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에 부착되는 지점(도 2참조)이다. 이러한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4)는 전방 허리부분(A)과 후방 허리부분(C)의 좌우 끝단에서부터 30 ~ 100mm정도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응가밴드 내측 플랩(46)은 내측 응가밴드(40A)와 외측 응가밴드(40B)를 연장하는 부분을 가리키는 응가밴드 플랩(41)이고, 응가밴드 외측 플랩(47)은 외측 응가밴드(40B)에서 횡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부분을 가리키는 응가밴드 플랩(41)이다. 이러한 내측 플랩(46)과 외측 플랩(47)은 응가밴드(40)가 기저귀 본체(100)에 고정되도록 상부시트(10) 또는 배면시트(30)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부시트(10)를 내외측 플랩(46)(47)이 있는 부분까지 연장시키는 경우에는 상부시트(10)에 부착, 고정되며, 상부시트(10)를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2)에 부근까지만 연장시키는 경우에는 배면시트(30)에 부착, 고정된다. 이러한, 응가밴드 내외측 플랩(46)(47)의 폭(횡방향 길이)은 15 ~ 50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5 ~ 35mm가 적절하다.
상기 허리밴드(50)는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허리영역(A) 및/또는 후방허리영역(C)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후방허리부분(C)에 위치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허리밴드(50)는 기저귀 본체(100)를 신체의 허리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킨다. 허리밴드(50)는 탄력성의 밴드 또는 비탄력성의 밴드에 탄성체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시트,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우레탄 부직포, 또는 천연섬유(혹은 합성섬유) 부직포에 탄성실이 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실에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밴드(50)는 기저귀 본체(100)의 폭(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수단(210), 즉 제1결합수단(211) 및 제2결합수단(212)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합수단(210)은 상기 후크(Hook), 루프(Loop), 및 재접착테이프 등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맞물려 탈착 조작이 용이하고, 수회의 탈착 조작을 실시하여도 결합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내구성이 좋은 후크, 루프가 좋다. 이때, 상기 제1결합수단(211)과 제2결합수단(212)은 서로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수단(211)이 후크로 구성되면, 제 2결합수단(212)은 후크와 대응되는 루프가 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수단(211)은 메카니컬 클로져 시스템, 즉 기계적 고착 시스템인 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수단(212)은 프론탈(Frontal) 혹은 루프로 이루어진 랜딩 부재(Loop, Landing Member)로 이루어진 것이 착용자의 신체 보호를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210)은 제품 본체(100)와 자유롭게 탈착(결합과 분리)이 가능한 결합시스템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211)과, 내측면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212)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허리영역(A) 또는 후방허리영역(C)의 제 1 결합수단(211)과 제2결합수단(212)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탈착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결합수단(210)은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B)의 외측면에 제 1 결합수단(211)이 마련되고, 내측면에 제2결합수단(212)이 마련되어 기저귀의 착용 시, 상기 전방허리영역(A)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211)은 후방허리영역의 내측면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212)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이와 마찬가지로 후방허리영역(B)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211)은 전방허리영역의 내측면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212)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210)은 기저귀 본체(100)의 폭(횡방향) 전체에 걸쳐 형 성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와 같이 전방과 후방의 구분이 없이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B) 모두에 결합수단(210)을 둠으로써, 제1결합수단(211)을 대상으로 하거나 제2결합수단(212)을 대상으로 하여 기저귀 본체(100)와의 결합이 도모되거나 해제된다. 이에 따라,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이나 후방 그 어느 쪽에서도 기저귀 본체(100)를 착용자로부터 쉽게 벗겨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 중 어느 쪽에서도 기저귀 본체(100)와의 분리가 가능하여 착용자가 똑바로 누워 있거나, 엎드려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도 착용자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착용과 벗겨냄이 가능하고 배변이나 배뇨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기저귀를 폐기할 때도 착용자가 어느 자세로 있든 간에 쉽게 분리하여 배설물이 피부나 의류 등에 묻지 않게끔 쉽게 벗겨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흡수 제품)는, 패스닝 부재(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을 체결한다. 이러한 패스닝 부재(200)는 외측면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211)과, 내측면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2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결합수단(210)은 밴드 본체(220)에 초음파 실링, 열(Heat) 실링, 접착제(핫멜트 등의 고형 접착제나 용제 타입 액상 접착제 등) 및 봉재(sewing)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본체(220) 없이 제 1결합수단과 제 2결합수단이 서로 부착되어 패스닝 부재(200)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밴드 본체(210)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질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나 직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접촉되는 점을 고려하여 천연소재로 제조한 부직포나 직포가 좋다. 아울러, 상기 밴드 본체(210)는 착용자의 배가 부르거나 배가 꺼졌을 때도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밴드 본체(210)는 탄력성의 밴드 또는 비탄력성의 밴드에 탄성체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시트,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우레탄 부직포, 또는 천연섬유(혹은 합성섬유) 부직포에 탄성실이 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실로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후크-루프 결합수단(210)을 갖는 패스닝 부재(200)를 포함하는 기저귀 본체(100)의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저귀 본체(100)의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C)에 패스닝부재(300)가 부착되고, 이러한 패스닝 부재(200)를 이루는 밴드 본체(210)의 외측면에는 제1결합수단(211)이 부착되고, 내측면에는 제2결합수단(212)이 부착되어지되, 상기 제 1 결합수단(211)은 후크로 구성되고, 제 2결합수단(212)은 루프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 2결합부재(212)는 패스닝 부재(200)와 전,후방 허리영역(A,B)의 내측면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부착되거나, 도 4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결합수단(210)을 갖는 패스닝 부재(200)를 포함하는 기저귀 본 체(100)의 또 다른 모습을 예시한 것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스닝 부재(200)는 밴드 본체(210) 없이 제1결합수단(211)과 제2결합수단(212)이 상호 부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제1결합수단(211)이 재접착테이프로 구성되면 상기 제2결합수단(212)은 배면시트(30)가 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수단(211)이 재접착테이프로 구성된 경우, 별도의 제2결합수단(212)을 형성하지 않고도, 배면시트(30)가 제 2결합수단(212)이 되어 탈부착된다.
한편, 상기 패스닝 부재(200)는 기저귀(흡수 제품)의 폐기 처리 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귀의 폐기 시 패스닝 부재(200)를 이용하여 기저귀를 묶어 압축하여 폐기시킬 수 있다. 이때, 패스닝 부재(200)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즉, 밴드 본체(2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밴드 본체(210)는 150 ~ 600%의 탄성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탄성율 150%'이란 초기 수축된 상태의 밴드 본체(210)의 길이를 100이라고 했을 경우 최대로 늘어날 수 있는 길이가 150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패스닝 부재(200)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여기에 형성된 제1결합수단(211) 및 제2결합수단(212)이 서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탈착 구조를 가지는 경우, 기저귀(흡수 제품)의 폐기 처리 수단으로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기저귀의 폐기 시, 패스닝 부재(200)가 신축성을 가지므로 감아서 압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전방과 후방의 구분이 없이 전방허리영역(A)과 후방허리영역(B) 모두에 결합수단(210)이 형성되어 기저귀를 간편하게 폐기 처 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 구성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I-I선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보인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시트 20 : 흡수코어
30 : 배면시트 40 : 응가밴드
50 : 허리밴드 100 : 기저귀 본체
200 : 패스닝 부재 210 : 결합수단
220 : 밴드 본체 211 : 제 1결합수단
212 : 제 2결합수단
Claims (5)
-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의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가지는 제품 본체; 및상기 제품 본체의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을 결합하는 결합수단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상기 결합수단은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과, 내측면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허리영역 또는 후방허리영역의 제1결합수단과 제2결합수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탈착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은 패스닝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패스닝 부재는 전방허리영역과 후방허리영역의 외측면에 마련된 상기 제1결합수단과, 내측면에 마련된 상기 제2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패스닝 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패스닝 부재는 제품 본체의 폐기 처리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제2결합수단은 프론탈(Frontal) 또는 루프로 이루어진 랜딩 부재(Loop, Landing Me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1067A KR101525257B1 (ko) | 2009-08-31 | 2009-08-31 |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1067A KR101525257B1 (ko) | 2009-08-31 | 2009-08-31 |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3295A KR20110023295A (ko) | 2011-03-08 |
KR101525257B1 true KR101525257B1 (ko) | 2015-06-02 |
Family
ID=4393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1067A KR101525257B1 (ko) | 2009-08-31 | 2009-08-31 |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525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38329A (en) * | 1997-01-18 | 2000-10-31 | Illinois Tool Works Inc. | Fastener assembly, fastener tape material, bag utilizing fastener tap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KR20060031690A (ko) * | 2003-07-30 | 2006-04-12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일회용 기저귀 |
-
2009
- 2009-08-31 KR KR1020090081067A patent/KR1015252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38329A (en) * | 1997-01-18 | 2000-10-31 | Illinois Tool Works Inc. | Fastener assembly, fastener tape material, bag utilizing fastener tap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KR20060031690A (ko) * | 2003-07-30 | 2006-04-12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일회용 기저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3295A (ko) | 2011-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08516B2 (en) | Disposable wearing article | |
JP4494412B2 (ja) | 使い捨てプルオン衣類 | |
TWI597055B (zh) | Absorbent article | |
KR101439560B1 (ko) | 몸에 접착하는 개인 위생 제품 | |
EP1754461A1 (en) | Disposable wearing article | |
JP3699328B2 (ja) |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 |
CN107072843B (zh) | 具有附连机构的护围短裤 | |
EP1256331A2 (en) | Body fluid absorbent article | |
JP2008525148A (ja) | パンツ型吸収用品 | |
CN101287434B (zh) | 包括处理用紧固装置的吸收制品 | |
WO2004087027A1 (ja) | 男性用吸収パッド | |
JP2007209774A (ja) | 吸収性物品ならびにこれを構成するパンツ本体 | |
KR20100086255A (ko) |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 |
US20220304866A1 (en) | Multi-piece absorbent articles with leg cuffs | |
KR101525257B1 (ko) | 개폐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흡수제품 | |
EP1064894B1 (en) | Article for dealing with body wastes | |
JP3798690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RU2371159C2 (ru) |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скрепля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поглощающего изделия | |
KR100526101B1 (ko) | 폐기커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 |
JPH11359A (ja) |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 |
JP2004223065A (ja) | 体液吸収性物品 | |
JP2003180735A (ja) | 吸収性物品 | |
JP4336525B2 (ja) | 男性用吸収パッド | |
KR100774562B1 (ko) |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 | |
JP2003024377A (ja) |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