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116A -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116A
KR20180048116A KR1020160145280A KR20160145280A KR20180048116A KR 20180048116 A KR20180048116 A KR 20180048116A KR 1020160145280 A KR1020160145280 A KR 1020160145280A KR 20160145280 A KR20160145280 A KR 20160145280A KR 20180048116 A KR20180048116 A KR 20180048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horizontal
mold
spac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6014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8116A/ko
Publication of KR2018004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에 의해 승강블럭(100)의 주입구(110)로 공급된 용융상태의 수지를 금형의 상형(200)과 하형(300)의 접합부분에 형성된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으로 주입되도록 성형공간(500)과 연통되어 수지가 내부로 통과하는 통구가 구비된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에 있어서, 승강블럭(100)의 주입구(110) 하단에는 게이트입구(410)를 형성하고, 게이트입구(410)의 하단에는 승강블럭(100)과 하형(300)의 접합부분에 수평통구(420)를 양측방으로 형성하며, 양측 수평통구(420)의 단부에는 상,하형(200)(300)의 접합부분에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상의 호형통구(430)를 각각 형성하며, 양측 호형통구(430)의 단부의 게이트출구(431)에는 상,하형(200)(300)의 접합부분에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을 형성하고, 수평통구(420)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의 하측에는 상단에 끼움홈(610)이 형성된 이젝터핀(600)의 상단이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양측으로 성형품의 성형공간을 형성하여 용융수지를 주입 및 냉각하여 성형품을 제작함으로써, 게이트의 중심부를 이젝터핀으로 밀어올릴 경우에 양측의 무게 밸런스가 이루어져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그대로 상향으로 밀어내어 냉각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게이트를 이루는 수평통구, 호형통구의 내부 공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주입된 수지의 냉각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사이클이 빨라져서 생산량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The gate structure for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트의 양측으로 성형품의 성형공간을 형성하여 용융수지를 주입 및 냉각하여 성형품을 제작함으로써, 게이트의 양측의 무게 밸런스가 이루어져 냉각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게이트 전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주입된 수지의 냉각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사이클이 빨라지게 한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성형법 중의 한 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해서 유동상태로 되었을 때 금형의 성형공간으로 사출한 후 냉각시켜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성형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성형품을 제조하는 플라스틱 성형 방법이다.
즉, 호퍼에 담긴 건조된 수지는 일정량 만큼 가열되어 실린더로 공급되어져 용융된 후 플런저(plunger)에 의하여 노즐을 통해 러너(runner)와 게이트(gate)를 통해 금형의 상형과 하형의 결합부분에 마련된 성형공간으로 주입된다.
그런 다음 상기 금형의 성형공간에 주입된 수지는 냉각되어 고화된 상태에서 플런저가 후퇴되고 금형의 상형과 하형이 분리되면서 이젝터핀에 의해 금형으로부터 탈리됨으로써 사출성형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사출성형이 완료된 성형품을 게이트의 중심부를 이젝터핀으로 밀어올릴 경우에 성형품이 게이트의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어서 무게 밸런스가 한쪽으로 치우쳐지므로 게이트의 중심부를 이젝터핀으로 밀어올리면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수지가 성형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게이트의 두께가 두꺼워서 주입된 수지의 냉각시간이 오래걸리므로 생산사이클이 느려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971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의 양측으로 성형품의 성형공간을 형성하여 용융수지를 주입 및 냉각하여 성형품을 제작함으로써, 게이트의 중심부를 이젝터핀으로 밀어올릴 경우에 양측의 무게 밸런스가 이루어져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그대로 상향으로 밀어내어 냉각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를 이루는 수평통구, 호형통구의 내부 공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주입된 수지의 냉각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사이클이 빨라져서 생산량이 증대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는 노즐에 의해 승강블럭(100)의 주입구(110)로 공급된 용융상태의 수지를 금형의 상형(200)과 하형(300)의 접합부분에 형성된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으로 주입되도록 성형공간(500)과 연통되어 수지가 내부로 통과하는 통구가 구비된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에 있어서,
승강블럭(100)의 주입구(110) 하단에는 게이트입구(410)를 형성하고, 게이트입구(410)의 하단에는 승강블럭(100)과 하형(300)의 접합부분에 수평통구(420)를 양측방으로 형성하며, 양측 수평통구(420)의 단부에는 상,하형(200)(300)의 접합부분에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상의 호형통구(430)를 각각 형성하며, 양측 호형통구(430)의 단부의 게이트출구(431)에는 상,하형(200)(300)의 접합부분에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을 형성하고, 수평통구(420)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의 하측에는 상단에 끼움홈(610)이 형성된 이젝터핀(600)의 상단이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는 게이트의 양측으로 성형품의 성형공간을 형성하여 용융수지를 주입 및 냉각하여 성형품을 제작함으로써, 게이트의 중심부를 이젝터핀으로 밀어올릴 경우에 양측의 무게 밸런스가 이루어져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그대로 상향으로 밀어내어 냉각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를 이루는 수평통구, 호형통구의 내부 공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주입된 수지의 냉각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사이클이 빨라져서 생산량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출금형의 사용상태의 수직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출금형의 사용상태의 부분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성형된 게이트와 성형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출성형된 게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는 노즐에 의해 승강블럭(100)의 주입구(110)로 공급된 용융상태의 수지를 금형의 상형(200)과 하형(300)의 접합부분에 형성된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으로 주입되도록 성형공간(500)과 연통되어 수지가 내부로 통과하는 통구가 구비되는데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출금형의 게이트(400)는 실린더에서 용융된 수지를 노즐을 통해 금형의 성형공간(500)으로 주입할 때, 상기 노즐과 성형공간(500)의 사이에 설치된 승강블럭(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수지를 성형공간(500)으로 최종 안내하는 역활을 하는 사출금형의 구성 요소이다.
본 발명의 사출금형의 게이트는 게이트입구(410), 수평통구(420), 호형통구(430), 끼움돌부형성공간(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승강블럭(100)은 상형(2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장착공간(210)에 삽입설치된다.
게이트입구(410)는 승강블럭(100)의 주입구(110) 하단에 주입구(110) 하단과 연통되게 형성한다.
게이트입구(410)의 하단에는 승강블럭(100)과 하형(300)의 접합부분에 수평통구(420)를 양측방으로 형성한다. 수평통구(420)는 수지가 양측 성형공간(500)을 향해 지나가는 통로역할을 하는 공간부이다.
양측 수평통구(420)의 단부에는 상,하형(200)(300)의 접합부분에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상의 호형통구(430)를 각각 형성한다. 호형통구(430)는 수평통구(420)와 연통되어 수지가 양측 성형공간(500)을 향해 지나가는 통로역할을 하는 공간부이다. 호형통구(430)의 단부는 게이트출구(431)로서 호형통구(430)의 단부에 연통되게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통구(420)와 호형통구(430)는 내부 공간의 두께를 낮게 형성하여 냉각된 수지의 두께가 얇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는 수평통구(420)와 호형통구(430)에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냉각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성형품(510)의 제작사이클 주기를 짧게 하여 제품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이점을 얻게 된다. 아울러, 수평통구(420)의 내부 공간의 두께는 2.5~3.5mm 사이의 두께로 할 수 있고, 호형통구(430)의 내부 공간의 두께는 2~4mm 사이의 두께로 할 수 있다.
양측 호형통구(430)의 단부의 게이트출구(431)에는 상,하형(200)(300)의 접합부분에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을 형성한다. 양측 호형통구(430)의 내부공간의 두께는 각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용융수지의 냉각 후 성형품(510)과 게이트의 절단을 용이하게 한다.
수평통구(420)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의 하측에는 상단에 끼움홈(610)이 형성된 이젝터핀(600)의 상단이 위치한다. 용융수지가 이젝터핀(600)의 상단의 끼움홈(610)에도 흘러들어와서 냉각 후 게이트(400)의 중심부의 하단에 끼움돌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이젝터핀(600)의 상단의 끼움홈(610)이 게이트(400)의 끼움돌부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이젝터핀(600)으로 게이트(400)를 밀어올리기 용이한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는 게이트(400)의 양측으로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을 형성하여 용융수지를 주입 및 냉각하여 성형품(510)을 제작함으로써, 게이트(400)의 중심부를 이젝터핀(600)으로 밀어올릴 경우에 양측의 무게 밸런스가 이루어져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그대로 상향으로 밀어내어 냉각된 성형품(510)을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를 이루는 수평통구(420), 호형통구(430)의 내부 공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주입된 수지의 냉각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사이클이 빨라져서 생산량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승강블럭 110 : 주입구
200 : 상형 210 : 장착공간
300 : 하형 400 : 게이트
410 : 게이트입구 420 : 수평통구
430 : 호형통구 440 : 끼움돌부형성공간
500 : 성형공간 510 : 성형품
600 : 이젝터핀 610 : 끼움홈

Claims (2)

  1. 노즐에 의해 승강블럭(100)의 주입구(110)로 공급된 용융상태의 수지를 금형의 상형(200)과 하형(300)의 접합부분에 형성된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으로 주입되도록 성형공간(500)과 연통되어 수지가 내부로 통과하는 통구가 구비된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에 있어서,
    승강블럭(100)의 주입구(110) 하단에는 게이트입구(410)를 형성하고, 게이트입구(410)의 하단에는 승강블럭(100)과 하형(300)의 접합부분에 수평통구(420)를 양측방으로 형성하며, 양측 수평통구(420)의 단부에는 상,하형(200)(300)의 접합부분에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상의 호형통구(430)를 각각 형성하며, 양측 호형통구(430)의 단부의 게이트출구(431)에는 상,하형(200)(300)의 접합부분에 성형품(510)의 성형공간(500)을 형성하고, 수평통구(420)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의 하측에는 상단에 끼움홈(610)이 형성된 이젝터핀(600)의 상단이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통구(420)의 내부 공간의 두께는 2.5~3.5mm 사이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호형통구(430)의 내부 공간의 두께는 2~4mm 사이의 두께로 형성하되 호형통구(430)의 단부로 갈수록 두께를 작게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KR1020160145280A 2016-11-02 2016-11-02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KR20180048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80A KR20180048116A (ko) 2016-11-02 2016-11-02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80A KR20180048116A (ko) 2016-11-02 2016-11-02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116A true KR20180048116A (ko) 2018-05-10

Family

ID=6218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280A KR20180048116A (ko) 2016-11-02 2016-11-02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811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421U (ko) * 1995-08-23 1997-03-27 사출금형구조
CN202053472U (zh) * 2011-04-29 2011-11-30 泰德兴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直顶式顶出机构模具
JP2014133394A (ja) * 2013-01-11 2014-07-24 Panasonic Corp 射出成形型
KR20150003993U (ko) * 2014-04-22 2015-11-02 (주)아모레퍼시픽 플로우 마크를 방지하는 러너 구조가 구비된 사출성형용 금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421U (ko) * 1995-08-23 1997-03-27 사출금형구조
CN202053472U (zh) * 2011-04-29 2011-11-30 泰德兴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直顶式顶出机构模具
JP2014133394A (ja) * 2013-01-11 2014-07-24 Panasonic Corp 射出成形型
KR20150003993U (ko) * 2014-04-22 2015-11-02 (주)아모레퍼시픽 플로우 마크를 방지하는 러너 구조가 구비된 사출성형용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479B2 (en) Injection mold device
KR101221408B1 (ko) 적층형 벤트코어가 장착된 사출성형 금형
CN109551712B (zh) 上模四次下模两次开模结构复合瓶盖注塑模具
KR20160000996U (ko) 사출 성형용 금형
CN103909624B (zh) 模具的进胶结构
CN106915042A (zh) 便于脱模的注塑模具
KR101646640B1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20180048116A (ko) 사출금형의 게이트구조
KR101537011B1 (ko) 탄성 재질의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CN203854160U (zh) 注塑模具及成型设备
CN104924529A (zh) 方便注塑底脚的托盘模具
CN203092936U (zh) Abs塑料线盘成型模具
CN203092947U (zh) 模具的进胶结构
CN209022379U (zh) 一种能提升塑料制品外观质量的注塑模具
CN205969750U (zh) 一种碎纸机壳体注塑模具
CN214324000U (zh) 一种用于咖啡机控制盘的注塑模具
US8052410B2 (en) Plastic injection mold
KR200481048Y1 (ko) 플로우 마크를 방지하는 러너 구조가 구비된 사출성형용 금형
CN210283108U (zh) 带裙边96孔深孔板模具型芯口部透气机构
CN210791942U (zh) 转向柱护罩注塑模的模芯结构
CN203844135U (zh) 吸尘器过滤球的成型模具
CN106426774A (zh) 具有冷却装置的汽车前门用注塑模具
CN211868494U (zh) 双浇口注塑模具
CN209937525U (zh) 一种保险杠内衬支架的注塑模具
CN208164207U (zh) 四面内抽斜顶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