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377A -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377A
KR20180047377A KR1020160143379A KR20160143379A KR20180047377A KR 20180047377 A KR20180047377 A KR 20180047377A KR 1020160143379 A KR1020160143379 A KR 1020160143379A KR 20160143379 A KR20160143379 A KR 20160143379A KR 20180047377 A KR20180047377 A KR 20180047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information
customer
clothes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박스
Priority to KR1020160143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377A/ko
Publication of KR2018004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소 방문에 따른 시간적인 제약, 가정 방문에 따른 시간적인 낭비나 보안의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세탁함과 제2 세탁함이 구비되는 무인 세탁물 기기와,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가 소지한 세탁업체 단말과,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세탁업체 단말과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통한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고객에 의하여 상기 제1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요청에 관한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에 관한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는 제1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요청정보 및 제1 보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업체 단말로 상기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보관정보를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세탁업체에 의하여 상기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류의 세탁이 완료된 후,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세탁업체에 의하여 제2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완료에 관한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개폐에 관한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는 제4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완료정보 및 제2 보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완료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단말로 상기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고객에 의하여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Clothing Washing Service}
본 발명은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세탁함에 의류를 투입한 고객의 세탁 요청에 따라 세탁업체에 의해 의류가 세탁되도록 하고, 세탁된 의류는 다시 세탁함에 투입되도록 하여 고객이 찾아가도록 하는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업체가 제공하는 세탁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세탁물을 인근의 세탁소에 가져가야 하므로, 세탁업체의 영업시간과 사용자의 방문 시간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사용자가 세탁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세탁을 의뢰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물론 세탁업체가 아파트와 같은 주거 밀집 지역의 각 가정을 일일이 방문하여 세탁할 의류를 수거해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요즈음 사회 문제로 부각되는 세탁업체를 사칭한 절도 및 강도와 같은 범죄 행위로 인하여 세탁업체의 가정 방문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거 밀집 지역이 아닌 곳의 각 가정까지 세탁업체가 일일이 방문하여 의류를 수거하기에는 세탁업체의 시간과 인건비를 고려할 경우 세탁업 운영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세탁업체가 하나의 세탁물에 대하여 수거 및 배달을 중복적으로 수행하므로 인건비의 상승으로 고품질의 세탁 서비스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거지역의 각 거점마다 설치된 의류 투입용 세탁함에 고객이 의류를 투입하면, 세탁업체가 이를 수거하여 세탁을 한 후 다시 의류 투입용 세탁함에 보관하고, 이를 고객이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의류를 투입할 때 의류 종류와 그 세탁 방법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면, 이에 대응한 가격을 고객 단말로 제시하여 가격에 대응한 고객의 결제가 완료된 후에 세탁이 되거나 세탁물을 다시 찾아갈 수 있도록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지역에 위치하는 무인 세탁 기기 중 무인 세탁 기기의 고객 평가와 위치 정보를 참조로 하여 고객이 원하는 특정 세탁업체를 통해 의류가 세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세탁함에 의류를 투입한 시점으로부터 수거하기까지의 의류의 세탁 현황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1 세탁함과 제2 세탁함이 구비되는 무인 세탁물 기기와,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가 소지한 세탁업체 단말과,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세탁업체 단말과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통한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고객에 의하여 상기 제1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요청에 관한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에 관한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는 제1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요청정보 및 제1 보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업체 단말로 상기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보관정보를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세탁업체에 의하여 상기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류의 세탁이 완료된 후,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세탁업체에 의하여 제2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완료에 관한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개폐에 관한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는 제4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완료정보 및 제2 보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완료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단말로 상기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고객에 의하여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세탁요청정보는, 상기 세탁완료정보와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고객 단말의 번호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 상기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세탁업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특정 세탁업체에 관한 세탁업체 정보; 및 세탁될 의류의 종류, 상기 세탁될 의류의 세탁 부위, 상기 의류 종류와 세탁 부위에 대응하는 세탁 방법에 관한 세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세탁업체 정보 및 세탁 정보를 기초로 세탁 가격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를 전송받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세탁된 의류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에 대한 고객 평가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업체 정보에 포함시키는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 보관 정보는 제1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고객에 의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1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및 상기 제1 세탁함의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보관 정보는 제2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세탁업체에 의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및 상기 제2 세탁함의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보관정보 및 제2 보관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의 세탁함 사용현황 정보 및 고객 의류의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세탁함을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1 세탁함과 제2 세탁함이 구비되는 무인 세탁물 기기와,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가 소지한 세탁업체 단말과,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세탁업체 단말과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통한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에 의하여 상기 제1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요청에 관한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에 관한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제1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고, 세탁업체에 의한 상기 제1 보관정보의 재입력으로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류의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업체에 의하여 상기 제2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완료에 관한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개폐에 관한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고, 고객에 의한 상기 제2 보관정보의 재입력으로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보관 정보를 상기 세탁요청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세탁업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상기 세탁완료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세탁업체 정보 및 세탁 정보를 기초로 세탁 가격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 전송하는 세탁비 산출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를 전송받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세탁된 의류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에 대한 고객 평가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업체 정보에 포함시키는 고객 평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는, 세탁함 내의 의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의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의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는 상기 제1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고객에 의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1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상기 제1 세탁함의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제1 보관 정보 및 제2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세탁업체에 의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상기 제2 세탁함의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제2 보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보관정보 및 제2 보관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의 세탁함 사용현황 정보 및 고객 의류의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현황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함을 통해 고객과 세탁업체가 자유로운 시간에 의류를 투입 또는 수거할 수 있어 세탁소 방문에 따른 시간적인 제약, 가정 방문에 따른 시간적인 낭비나 보안의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탁 의류의 종류에 대응한 다양한 세탁 방법에 대한 옵션을 고객이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 만족을 극대화시키며, 세탁 방법에 대응하여 산출된 가격에 대한 결제가 수행된 후에야 세탁을 시행하거나 고객이 의류를 찾아갈 수 있게 되므로 고객의 의류 세탁 요청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지역에 위치하는 세탁업체 중 고객 평가와 위치 정보를 참조로 하여 특정 세탁업체를 고객이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안심하고 의류 세탁을 맡길 수 있도록 하며, 고객이 세탁함에 의류를 투입한 시점으로부터 다시 수거하기까지의 의류의 세탁 현황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어 자신의 의류에 대한 세탁 진행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만약 세탁 단계 이전이라면 의류 세탁 요청에 대한 취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인 세탁물 기기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고객의 거래 내역 정보의 확인을 위한 고객 단말의 화면 예시도,
도 5는 의류의 현재 세탁 현황에 대한 진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고객 단말의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의 전체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의 데이터 흐름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객이 소지하는 고객 단말(100) 및 세탁업체가 소지하는 세탁업체 단말(200), 제1 세탁함(301)과 제2 세탁함(302)이 구비되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 고객 단말(100), 세탁업체 단말(200), 무인 세탁물 기기(3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100)은 세탁업체에 의해 완료된 의류가 세탁업체에 의해 보관되는 제2 세탁함에 대한 제2 보관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단말기기이다.
또한, 고객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에 의해 생성되는 현황 정보를 전달받아 고객 의류의 현재 세탁 처리 현황 및 현재 세탁함의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세탁업체 단말(200)은 고객의 요청에 의해 의류가 보관되는 제1 세탁함에 대한 제1 보관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단말기기이다.
이때, 세탁업체 단말(200)은 관리 서버(400)에 의해 생성되는 현황 정보를 전달받아 고객 의류의 현재 세탁 처리 현황 및 현재 세탁함의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세탁업체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의류가 투입 및 수거되도록 지역별 거점에 설치되어 있는 세탁물 임시 보관함에 해당하며, 복수개의 제1 세탁함(301)과 제2 세탁함(302)을 구성한다.
제1 세탁함(301)은 고객에 의해 투입되는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이고 제2 세탁함(302)은 세탁업체에 의해 투입되는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이며, 이러한 제1 세탁함(301)과 제2 세탁함(302)은 동일 거점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거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들 각 보관함들은 고유의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있으며, 임시 비밀번호를 부여받아 의류 투입 후 도어가 닫히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고객 또는 세탁업체에 의한 임시 비밀번호의 재입력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도록 한다.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고객에 의하여 제1 세탁함(301)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요청에 관한 세탁요청정보 및 제1 세탁함(301)의 도어 잠금에 관한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 서버(400)에 전달한다.
즉,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고객에 의해 특정 제1 세탁함(301)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1 세탁함(301)에 투입되는 의류에 관한 세탁 정보, 세탁업체 정보, 고객 정보, 고객에 의해 지정되는 제1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를 고객에 의해 입력받게 되면, 의류에 관한 세탁 정보, 세탁업체 정보,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세탁요청정보 및 특정 제1 세탁함(301)의 고유 식별 번호, 고객에 의해 지정되는 제1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투입된 의류의 감지에 대한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제1 보관 정보를 관리 서버(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고객 정보는 세탁업체가 세탁 완료에 대한 메시지와, 세탁 완료된 의류의 보관을 위한 제2 보관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고객 단말의 번호를 필수로 포함한다.
또한 세탁업체 정보는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세탁업체 리스트 중에서 고객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세탁업체에 관한 상호명을 포함한다.
또한 세탁 정보는 세탁될 의류의 종류, 세탁될 의류의 세탁 부위, 의류 종류와 세탁 부위에 대응하는 세탁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의류의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업체에 의하여 제2 세탁함(302)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완료에 관한 세탁완료정보 및 제2 세탁함(302)의 도어 개폐에 관한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 서버(400)에 전달한다.
즉,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세탁업체에 의해 특정 제2 세탁함(302)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2 세탁함(302)에 투입되는 의류에 관한 세탁 완료 메시지 및 고객 단말 번호를 입력받게 되면, 세탁 완료 메시지 및 고객 단말 번호를 포함하는 세탁 완료 정보 및 특정 제2 세탁함(302)의 고유 식별 번호, 세탁업체에 의해 지정되는 제2 세탁함(302)의 임시 비밀번호, 투입된 의류의 감지에 대한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제2 보관 정보를 관리 서버(400)에 전달하게 된다.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위와 같은 업무를 수행하게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의류 감지부(310), 모니터(320), 비용 결제부(330), 인증 처리부(340), 스피커(350), 카드인식부(360), 감시카메라(3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의류 감지부(310)는 제1 세탁함(301)과 제2 세탁함(302)의 내부에서 의류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의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의류 감지 센서에 해당한다.
모니터(320)는 고객 또는 세탁업체가 세탁요청정보, 세탁완료 정보, 보관 정보 등을 입력하고 세탁함 사용 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출력 장치이다.
비용 결제부(330)는 관리 서버(400)에 의해 전송된 세탁물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고객의 신용카드 번호와 같은 결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인증 처리부(340)는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임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기지정된 임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도어 잠금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
스피커(350)는 고객 또는 세탁업체의 정보 입력 과정 및 결제 정보 입력 과정과 같은 무인 세탁물 기기(300)의 사용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출력장치이다.
카드인식부(360)는 고객 또는 세탁업체의 코드 정보를 저장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에 해당하며, 코드 정보를 관리 서버(400)에 제공함으로써 고객 및 세탁업체가 별도로 무인 세탁물 기기(300)에 고객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코드 정보만으로 자동으로 고객 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시카메라(370)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에 보관되어 있는 의류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무인 세탁물 기기(300)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CCTV 또는 블랙박스에 해당한다.
관리 서버(400)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로부터 세탁요청정보 및 제1 보관 정보를 전송받고, 전달받은 세탁요청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세탁업체 단말(200)로 세탁요청정보 및 제1 보관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세탁업체에 의하여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무인 세탁물 기기가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관리 서버(400)는 세탁 정보, 세탁업체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어,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해 고객이 보다 상세한 세탁 정보와 세탁업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세탁 정보는 의류의 종류, 세탁할 의류의 부위, 의류의 종류에 대응하는 세탁 방법에 대한 정보인데, 세탁되는 의류의 종류로는 면, 마, 견 모, 합성 중 어느 하나의 의류의 소재, 의류의 소재에 대응하는 셔츠, 바지, 치마, 양말, 속옷, 이불, 수건 등에 대한 정보에 해당되며, 의류 종류에 대응한 세탁 방법으로는 특정 의류 종류에 대한 울 세탁, 일반 세탁, 삶아 빨기, 드라이 크리닝과 같은 특정 세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령 울 소재의 바지일 경우 이에 대한 세탁 방법으로 울 세탁이나 드라이 크리닝이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세부적인 선택 사항으로 세탁/헹굼/탈수에 대한 시간, 헹굼/탈수에 대한 횟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세탁업체 정보는 각 지점별 세탁업체에 대한 리스트에 대한 정보인데, 각 세탁업체별 전화번호, 위치정보, 고객 평가 정보, 이벤트 정보를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해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고객이 특정 세탁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로부터 세탁완료정보 및 제2 보관 정보를 전송받고, 전달받은 세탁완료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단말(100)로 세탁완료정보 및 제2 보관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고객에 의하여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무인 세탁물 기기가 제2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400)는 세탁비 산출부(410), 결제 처리부(420), 저장부(330), 현황 알림부(440), 고객평가 처리부(4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세탁비 산출부(410)는 고객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세탁업체 정보와 세탁 정보를 기초로 세탁 가격 정보를 산출한다.
즉, 세탁비 산출부(410)는 의류의 종류와 그 세탁 방법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세탁업체별로 책정된 세탁 요금 단가를 기초로, 의류별 세탁 비용과 고객의 전체 세탁 비용을 산출한다.
또한 세탁비 산출부(41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고객의 거래 내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총 거래 실적에 대응한 고객의 세탁 비용에 대한 할인을 산출할 수도 있다.
결제 처리부(420)는 고객의 세탁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수단이며,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세탁 비용에 대응한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관리 서버(400)에 전송하면, 결제 처리부(420)는 직접 결제 처리를 수행하거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도록 연계된 별도의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부(430)는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하는 세탁업체 정보, 세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저장부(430)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한 고객의 특정 세탁업체에 대한 정보의 입력 시에 세탁업체의 지점 리스트를 제공한다.
이때 저장부(430)는 세탁업체 정보에 세탁업체별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와 하기에 설명될 고객 평가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어, 고객이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해 특정 세탁업체를 선택할 시에 세탁업체의 위치와 고객 평가를 제공함으로써 참고 사항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430)는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고객별 의류 세탁 요청에 관한 거래 내역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저장부(430)는 세탁요청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고객 정보와 세탁 정보를 기초로, 해당 고객이 지금까지 의류 세탁을 요청하여 거래 대금을 결제한 후 세탁 서비스를 이용했던 거래 내역들을 저장해두었다가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한 고객(100)의 요청이 있을 경우 거래 내역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거래 내역 정보는 고객이 의류 세탁을 요청했던 날짜를 포함한 세탁 정보, 세탁소 정보, 거래 대금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저장부(430)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해 전달되는 고객 평가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현황 알림부(440)는 고객이 투입한 의류가 투입 시점으로부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세탁 진행현황 정보 및 세탁함의 사용 현황에 대한 세탁함 사용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고객 단말(100)과 세탁업체 단말(200)에 전송한다.
즉, 현황 알림부(440)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세탁함(210)과 제2 세탁함(220)의 의류 감지 신호를 통해 세탁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고객 단말(100)과 세탁업체 단말(200)에 메시지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현황 알림부(440)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로부터 전달받은 제1 보관 정보와 제2 보관정보를 통해 세탁함 사용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400)에 접속한 단말을 통해 세탁함 사용현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황 알림부(440)는 제1 세탁함(301)에 의류가 투입되어 제1 세탁함(301)으로부터 의류 감지에 의한 의류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의류가 투입된 것으로 인식하어 이에 대한 표시를 하게 되고, 의류가 수거되어 제1 세탁함(301)으로부터 의류 감지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수거로 인식하여 이에 대한 표시를 하게 된다.
또한 수거 인식은 되었지만 세탁 진행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수거 후 세탁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상태로 인식하여 세탁 준비에 대한 표시를 하게 되고, 그 이후 단계인 세탁 중, 세탁 완료, 투입, 수거에 대한 단계는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황 알림부(440)가 세탁 과정에 대한 세탁 현황 정보를 고객 단말(100)에 알려줌으로써 세탁 진행 전에 고객의 변심으로 의류 세탁 요청을 취소하거나 세탁 방법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고객 평가 처리부(450)는 의류 세탁 서비스를 제공받은 고객이 세탁업체에 대해 평가한 평가 내용을 수집 및 데이터 처리한다.
즉, 세탁 완료된 의류를 받은 고객이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해 세탁 상태에 대한 평가를 입력하면, 고객 평가 처리부(450)는 이를 전달받아 데이터 처리한 후 저장부(440)에 전달함으로써 세탁업체별 고객 평가 정보로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고객 평가 정보는 고객이 작성한 단문 또는 장문의 글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5점 또는 10점 척도와 같은 점수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고객 평가 처리부(450)는 고객 평가 정보를 통해 고객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세탁업체와 고객 평가 점수가 가장 낮은 세탁업체 등과 같은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도 6과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우선,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고객에 의하여 제1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요청에 관한 세탁요청정보 및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에 관한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제1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이때, 세탁요청정보는 고객 정보, 세탁업체 정보, 세탁 정보를 포함한다.
고객 정보는 추후 세탁업체가 입력한 세탁완료정보와 제2 보관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고객 단말의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세탁업체 정보는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세탁업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특정 세탁업체에 관한 정보이다.
세탁 정보는 세탁될 의류의 종류, 세탁될 의류의 세탁 부위, 의류 종류와 세탁 부위에 대응하는 세탁 방법에 대한 정보이다.
제1 보관 정보는 제1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임시 비밀번호,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때,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세탁요청정보와 제1 보관 정보가 입력된 후, 제1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시킨다.
위와 같이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세탁요청정보 및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관리 서버(400)가 세탁요청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세탁업체 단말(200)로 세탁요청정보와 제1 보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00)에서 관리 서버(400)는 세탁요청정보와 제1 보관 정보를 저장하여,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고객별 의류 세탁 요청에 관한 거래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특정 세탁업체 단말(200)로 세탁요청정보와 제1 보관정보가 전송된 후,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세탁업체에 의하여 제1 보관정보를 재 입력받은 후 제1 세탁함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즉, 세탁업자 단말(200)에 전송된 제1 보관정보를 기초로 세탁업체가 제1 보관 정보를 무인 세탁물 기기(300)에 입력하면,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세탁업자에 의해 재입력된 제1 세탁함(301)의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기초로 제1 세탁함(30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세탁업체가 의류를 수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의류가 세탁업자에 의해 수거된 후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세탁이 완료된 후,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세탁업체에 의하여 제2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완료에 관한 세탁완료정보 및 제2 세탁함(302)의 도어 개폐에 관한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제2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는 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세탁완료정보는 세탁업체의 세탁 완료 메시지와 제2 보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고객 단말 번호를 필수로 포함한다.
제2 보관 정보는 제2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및 임시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세탁함(302)은 세탁업체에 의해 제2 세탁함(302)에 의류가 투입된 후 임시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도어 잠금 상태를 가진다.
위와 같이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세탁완료정보와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관리 서버(400)가 세탁완료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고객 단말(100)로 세탁완료정보와 제2 보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500)를 수행한다.
이때 관리 서버(400)는 세탁비용정보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하여 고객이 제2 세탁함(302)에 투입된 의류를 수거하기 전에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해 세탁 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관리 서버(400)는 앞서 무인 세탁물 기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세탁요청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세탁 방법에 따른 전체 의류 또는 개별 의류의 세탁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세탁 비용을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 단말(100)로 세탁완료정보와 제2 보관정보가 전송된 후,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고객에 의하여 제2 보관정보를 재 입력받은 후 제2 세탁함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단계(S600)를 수행한다.
즉, 고객 단말(100)에 전송된 제2 보관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제2 보관 정보를 무인 세탁물 기기(300)에 입력하면,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고객에 의해 재입력된 제2 세탁함(302)의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기초로 제2 세탁함(302)의 도어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고객이 의류를 수거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고객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세탁 비용을 확인한 후, 고객이 세탁 비용에 대응한 대금 결제 업무를 무인 세탁물 기기(300)의 비용 결제부(330)를 통해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400)는 무인 세탁물 기기(300)의 비용 결제부(330)를 통해 전달되는 대금 결제 정보를 기초로 고객의 세탁 비용에 대한 대금 결제를 직접 수행하거나 연계되어 있는 대금 결제 수단을 통해 대금 결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대금 결제가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에야, 고객에 의하여 제2 보관정보를 재입력받은 무인 세탁물 기기(300)가 제2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관리 서버(400)는 단계(S100) 내지 단계(S600)에서 무인 세탁물 기기(300)로부터 제1 세탁함(301)과 제2 세탁함(302)의 의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세탁함 사용현황 정보 및 고객 의류의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고객 단말(100)과 세탁업체 단말(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00) 이후, 고객은 세탁 완료된 의류의 세탁 상태를 확인한 후 무인 세탁물 기기(300)를 통해 특정 세탁업체에 의한 의류의 세탁 상태에 대한 고객 평가 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무인 세탁물 기기(300)는 고객 평가 정보를 관리 서버(400)에 전달함으로써 고객 평가 처리부(450)가 고객 평가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고객 단말 200 : 세탁업체 단말
300 : 무인 세탁물 기기 310 : 의류 감지부
320 : 모니터 330 : 비용 결제부
340 : 인증 처리부 400 : 관리 서버
410 : 비용 산출부 420 : 결제 처리부
430 : 저장부 440 : 현황 알림부
450 : 고객 평가 처리부

Claims (10)

  1. 제1 세탁함과 제2 세탁함이 구비되는 무인 세탁물 기기와,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가 소지한 세탁업체 단말과,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세탁업체 단말과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통한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고객에 의하여 상기 제1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요청에 관한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에 관한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는 제1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요청정보 및 제1 보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업체 단말로 상기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보관정보를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세탁업체에 의하여 상기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류의 세탁이 완료된 후,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세탁업체에 의하여 제2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완료에 관한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개폐에 관한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는 제4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완료정보 및 제2 보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완료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단말로 상기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고객에 의하여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가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요청정보는,
    상기 세탁완료정보와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고객 단말의 번호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
    상기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세탁업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특정 세탁업체에 관한 세탁업체 정보; 및
    세탁될 의류의 종류, 상기 세탁될 의류의 세탁 부위, 상기 의류 종류와 세탁 부위에 대응하는 세탁 방법에 관한 세탁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세탁업체 정보 및 세탁 정보를 기초로 세탁 가격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를 전송받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세탁된 의류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에 대한 고객 평가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업체 정보에 포함시키는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관 정보는 제1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고객에 의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1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및 상기 제1 세탁함의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보관 정보는 제2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세탁업체에 의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및 상기 제2 세탁함의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보관정보 및 제2 보관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의 세탁함 사용현황 정보 및 고객 의류의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7. 제1 세탁함과 제2 세탁함이 구비되는 무인 세탁물 기기와,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가 소지한 세탁업체 단말과,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 상기 고객 단말 및 상기 세탁업체 단말과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통한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에 의하여 상기 제1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요청에 관한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에 관한 제1 보관정보를 입력받은 후 제1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고, 세탁업체에 의한 상기 제1 보관정보의 재입력으로 상기 제1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세탁요청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류의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업체에 의하여 상기 제2 세탁함에 투입되는 의류의 세탁 완료에 관한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개폐에 관한 제2 보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를 잠금하고, 고객에 의한 상기 제2 보관정보의 재입력으로 상기 제2 세탁함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 및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세탁요청정보 및 상기 제1 보관 정보를 상기 세탁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업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세탁완료정보 및 상기 제2 보관정보를 상기 세탁완료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세탁업체 정보 및 세탁 정보를 기초로 세탁 가격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 전송하는 세탁비 산출부;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상기 세탁 가격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를 전송받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로부터 세탁된 의류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에 대한 고객 평가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세탁업체 정보에 포함시키는 고객 평가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는,
    세탁함 내의 의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의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의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는 상기 제1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고객에 의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1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상기 제1 세탁함의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제1 보관 정보 및 제2 세탁함의 고유 식별번호, 세탁업체에 의해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세탁함의 임시 비밀번호, 상기 제2 세탁함의 의류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제2 보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보관정보 및 제2 보관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인 세탁물 기기의 세탁함 사용현황 정보 및 고객 의류의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세탁 진행현황 정보를 고객 단말 및 세탁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현황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세탁물 기기를 이용하여 의류 세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20160143379A 2016-10-31 2016-10-31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47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379A KR20180047377A (ko) 2016-10-31 2016-10-31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379A KR20180047377A (ko) 2016-10-31 2016-10-31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377A true KR20180047377A (ko) 2018-05-10

Family

ID=6218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379A KR20180047377A (ko) 2016-10-31 2016-10-31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73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50B1 (ko) * 2018-10-31 2020-04-28 유성천 무인 세탁함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관리하는 방법
KR102107317B1 (ko) * 2018-10-30 2020-05-06 정영지 스마트 세탁 시스템 및 스마트 세탁 방법
CN111489501A (zh) * 2020-03-12 2020-08-04 安徽辰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存取洗衣柜
KR20230038622A (ko) * 2021-09-12 2023-03-21 주식회사사는법연구소 Qr코드를 이용한 세탁물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317B1 (ko) * 2018-10-30 2020-05-06 정영지 스마트 세탁 시스템 및 스마트 세탁 방법
KR102105650B1 (ko) * 2018-10-31 2020-04-28 유성천 무인 세탁함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관리하는 방법
CN111489501A (zh) * 2020-03-12 2020-08-04 安徽辰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存取洗衣柜
KR20230038622A (ko) * 2021-09-12 2023-03-21 주식회사사는법연구소 Qr코드를 이용한 세탁물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7377A (ko)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1531443B1 (ko) 세탁 서비스 시스템
US10662578B2 (en) Laundry manag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3714630A (zh) 一种衣物自助收发系统及其自助收发方法
KR20190056346A (ko) 셀프 세탁소 시스템
JP2022037014A (ja) ランドリシステム
KR101530280B1 (ko) 세탁물 중개 방법
KR101876646B1 (ko) 무인 세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40177B1 (ko) 의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N110035107A (zh) 用于调度和付款的洗衣服务系统
WO2014182259A1 (en) A drop-off delivery service system
US20230005348A1 (en) Frau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50118009A (ko) 원격 제어 가능한 무인 세탁함을 이용한 세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81192A (ja) コインランドリーにおける予約管理システム
CN106251474B (zh) 金融自助设备的传感器异常容错方法及装置
KR20120110689A (ko) 이동형 세탁서비스 시스템
KR20160047815A (ko) 자동이송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세탁물 위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7564189A (zh) 一种被动支付的方法和被动支付的装置
KR101478574B1 (ko) 원격 제어 가능한 무인 세탁함을 이용한 세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5613A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무인 세탁 관리 시스템
JP6805378B1 (ja) 給水システム、給水装置、給水方法、給水プログラム
JP3562580B2 (ja) 自動決済型コインランドリー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記録媒体
KR20180136213A (ko) 무인 세탁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탁 서비스 방법
JP2018124643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101570288B1 (ko) 무인세탁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