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963A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 Google Patents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963A
KR20180046963A KR1020160142024A KR20160142024A KR20180046963A KR 20180046963 A KR20180046963 A KR 20180046963A KR 1020160142024 A KR1020160142024 A KR 1020160142024A KR 20160142024 A KR20160142024 A KR 20160142024A KR 20180046963 A KR20180046963 A KR 2018004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ped
electrolyte
conductive layer
ceramic composite
solid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079B1 (ko
Inventor
주종훈
박정환
나범탁
이다애
박종혁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0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5Glass; Ceram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는 한 셀의 공기극(Cathode)과 접한 면에 위치하며, 페로브스카이트와 전해질의 복합체인 세라믹 복합체로 형성되는 p 형 전도층 및 인접한 다른 셀의 연료극(Anode)과 접한 면에 위치하며, 페로브스카이트와 전해질의 복합체인 세라믹 복합체로 형성되는 n 형 전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접속자에서, 산화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에서 모두 안정한 상태이면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소결성을 갖고, 접속자 소재와 SOFC 단위 셀 간의 열팽창계수의 매칭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Multi-layer structured inter-connector of solid oxide fuel cell}
본 발명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에서, 각 셀을 연결시켜주는 접속자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산업 발전과 인구 증가에 따라 에너지 수요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현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의 고갈과 함께 환경오염에 따른 지구 온난화 등 부작용으로 인해, 친 환경적이면서 전력 변환 효율이 높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시키는 높은 효율을 가진 전기화학적 에너지 변환장치이며, 연료로서 탄화수소의 직접 사용이 가능하고,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료 개질 시스템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은 에너지 효율, 다양한 연료선택,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낮은 배기가스 배출과 같은 특징 때문에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전원공급장치, 보조전력원과 같이 다양한 전력발전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고체상의 세라믹을 전해질로 사용하여 고온에서 연료(H2, CH4 등)와 공기(산소)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장치로서, 현존하는 발전 기술 중 효율이 가장 높고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전해질과 전극이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평판형이나 원통형, 평관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고, 지지체(support)에 따라서 연료극 지지체식과 공기극 지지체식 및 전해질 지지체식으로 분류된다.
연료극 지지체식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경우, 가격을 낮추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동 온도를 800℃ 이하의 중·저온으로 낮추려고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기본단위인 단위 셀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치밀한 구조의 전해질(Electrolyte) 양면에 전기화학적 촉매 작용을 하는 다공질 구조의 연료극(Anode)과 공기극(Cathode)이 접해있는 구조를 갖는다. 고온의 작동 분위기에서(~800 ℃) 연료극과 공기극에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면, 전해질 양면에 화학적인 포텐셜 차이에 의한 전위차가 발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해질 내부에서는 이온전도가 일어나고, 연료극과 공기극을 연결하는 외부 회로를 통해 전자가 이동함으로써 발전이 구현되는 것이 연료전지 원리이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작동 전압은 일반적으로 1.0V 미만으로 높지 않고, 공업적인 사용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위 셀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한 연료전지 스택(stack)을 사용한다.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함에 있어 단위 셀의 공기극은 인접한 다른 단위 셀의 연료극과 연결되고, 연료극은 인접한 또 다른 단위셀의 공기극과 연결 되는데, 이때 연료와 공기의 접촉을 방지하는 동시에 두 단위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치밀한 구조의 전자 전도성 물질의 접속자(interconnect)가 셀의 핵심 구성 요소로 필요하게 된다.
평판형 SOFC는 전력밀도와 생산성이 높고 전해질 박막화가 가능한 반면, 별도의 밀봉재를 이용한 기체 밀봉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고, 고온에서 금속 연결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크롬 휘발로 인해 전극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열 사이클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평판평 SOFC는 대면적 셀의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용량 스택(stack)의 제작도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실용화의 관건이 된다.
원통형 및 평관형 SOFC의 경우는 기체 밀봉이 불필요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시험 항목에서 신뢰성이 검증되었기 때문에,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SOFC 디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평판형 SOFC에 비해 출력밀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상술한 평관형 또는 원통형 SOFC 스택은 연료극 지지체 상에 연료극, 전해질층, 공기극 및 접속자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제조된다.
SOFC에서 접속자(interconnect)는 단위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연료와 공기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평관형 및 원통형 SOFC 의 핵심 부품이다. SOFC용 접속자 소재는 높은 전자 전도성, 산화/환원 분위기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다른 소재와의 낮은 반응성 및 유사한 열팽창 계수, 낮은 가스 투과도 등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도 1은 평관형 SOFC 스택과 접속자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OFC 단위 셀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치밀한 구조의 전해질(Electrolyte)(5) 양면에 전기화학적 촉매 작용을 하는 다공질 구조의 연료극(Anode)(10)과 공기극(Cathode)(20)이 접해있는 구조이다.
접속자(Interconnector)(30)는 평관형 SOFC 스택에서 셀과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연료(fuel)와 공기(air)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작동 온도와 스택 디자인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작동하는 SOFC의 경우 세라믹 접속자가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작동하는 SOFC의 경우 Fe-Cr계열 금속 분리판이 사용되고 있다.
금속 분리판은 세라믹 접속자에 비하여 전기/열전도도가 높고, 가격이 낮으며, 대면적화가 용이하다는 등 여러 장점이 있으나, 양극에서 산화막이 성장하면서 비저항이 높아지고, 기화된 금속이 양극의 삼상계면(Triple Phase Boundary, TPB)를 오염시켜 심각한 전극 성능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스피넬과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코팅 소재의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반면 세라믹 접속자의 경우, 고온의 작동온도에서 화학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가져 안정적인 접속자 소재로써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세라믹 접속자 소재들의 경우, 산화 또는 환원의 한 가지 분위기에서의 안정성만 확보되어, 산화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 모두에 노출되는 분위기에서의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지 못하여, SOFC 스택용 접속자 소재로서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세라믹 접속자 소재로 가장 많이 쓰이는 물질은 p-type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의 LaCrO3 계열로, 이 소재는 p-type 전도체로서 산화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에서 좋은 안정성을 나타내지만, 소결성이 좋지 않고 환원 분위기에서 전자 전도도가 낮으며, 환원에 따른 화학적 팽창이 내부 응력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세라믹 접속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산화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에서 안정하여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열팽창계수, 소결성, 접합성, 기계적 강도 등의 안정적인 물성을 지닌 새로운 세라믹 접속자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924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산화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에 안정하여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면서, 이와 동시에 열팽창계수, 소결성, 접합성, 기계적 강도 등의 안정적인 물성을 갖는 세라믹 소재로 구성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는 한 셀의 공기극(Cathode)과 접한 면에 위치하며, 페로브스카이트와 전해질의 복합체인 세라믹 복합체로 형성되는 p 형 전도층 및 인접한 다른 셀의 연료극(Anode)과 접한 면에 위치하며, 페로브스카이트와 전해질의 복합체인 세라믹 복합체로 형성되는 n 형 전도층을 포함한다.
상기 세라믹 복합체는 전해질이 50~80 vol%이고, 페로브스카이트 구조가 20~50 vol%의 부피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AO2 구조에서 A 원소를 일부 치환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해질은 Sm doped CeO2, La doped CeO2, Sc stablized ZrO2, Y stablized ZrO2, Gd doped CeO2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형 전도층은 ABO3 구조에서 A 원소가 양이온 금속 원소 중 1종의 원소로 선택되고, 선택된 원소 중에서 일부가 전자가 수가 상대적으로 -1인 금속 원소로 치환되며, B 원소가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원소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p형 전도층은 Sr doped LaMnO3, Ca doped LaFeO3, Sr Co co-doped LaFeO3, Sr Co co-doped BaFeO3, Sr doped PrMnO3, Sr doped NdMnO3, Sr doped GdMnO3, Ca doped PrMnO3, Ce doped SrMnO3, Ca doped YMnO3, Sr Mn co-doped LaCuO3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형 전도층은 ABO3 구조에서 A 원소가 양이온 금속 원소 중 1종의 원소로 선택되고, 선택된 원소 중에서 일부가 전자가 수가 상대적으로 +1인 금속 원소로 치환되며, B 원소가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원소 또는 금속 원소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n형 전도층은 La doped SrTiO3, La doped SrVO3, Y doped SrTiO3, Mo doped CaVO3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접속자에서, 산화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에서 모두 안정한 상태이면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소결성을 갖고, 접속자 소재와 SOFC 단위 셀 간의 열팽창계수의 매칭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접속자 소재의 물성 향상을 통해, SOFC 스택 기술에서 가장 큰 문제로 작용하고 있는 수명과 내구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SOFC 스택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기술 상용화 수준의 접속자 소재 기술 확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평관형 SOFC 스택과 접속자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p-n 접합 다층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p-n 접합 다층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에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에서 셀과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자에 대한 것으로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p-n 접합 다층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는 p 형(p-type) 전도층(110) 및 n 형(n-type) 전도층(120)을 포함한다.
p 형 전도층(110)은 한 셀의 공기극(Cathode)(20)과 접한 면에 위치하며,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와 전해질(Electrolyte)의 복합체인 세라믹 복합체로 형성된다.
n 형 전도층(120)은 인접한 다른 셀의 연료극(Anode)(10)과 접한 면에 위치하며, 페로브스카이트와 전해질의 복합체인 세라믹 복합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세라믹 복합체는 전해질을 모체로 하여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와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며, 구체적인 혼합 비율은 전해질이 50~80 vol%이고, 페로브스카이트 구조가 20~50 vol%의 부피 비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해질은 AO2 구조에서 A 원소를 일부 치환한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질은 Sm doped CeO2, La doped CeO2, Sc stablized ZrO2, Y stablized ZrO2, Gd doped CeO2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p형 전도층(110)은 ABO3 구조에서 A 원소가 양이온 금속 원소 중 1종의 원소로 선택되고, 선택된 원소 중에서 일부가 상대적으로 전자가 수가 -1인 금속 원소로 치환되며, B 원소가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원소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p형 전도층(110)은 Sr doped LaMnO3, Ca doped LaFeO3, Sr Co co-doped LaFeO3, Sr Co co-doped BaFeO3, Sr doped PrMnO3, Sr doped NdMnO3, Sr doped GdMnO3, Ca doped PrMnO3, Ce doped SrMnO3, Ca doped YMnO3, Sr Mn co-doped LaCuO3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n형 전도층(120)은 ABO3 구조에서 A 원소가 양이온 금속 원소 중 1종의 원소로 선택되고, 선택된 원소 중에서 일부가 상대적으로 전자가 수가 +1인 금속 원소로 치환되며, B 원소가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원소 또는 금속 원소로 선택된다.
n형 전도층(120)은 La doped SrTiO3, La doped SrVO3, Y doped SrTiO3, Mo doped CaVO3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 형 전도층(110)은 ABO3 의 구조에서 A 격자 자리에 전자가 수가 상대적으로 -1가 낮은 금속물질 M1을 치환하여 (A1- xM1x)BO3- δ 로 구성한다. 그리고, A 격자 자리의 과잉 전자와 전기적인 중성을 이루기 위해, B 격자 자리에 위치한 전이금속은 전자가 수가 상대적으로 +1가 만큼 높아지고 p 형 전도체를 이루게 된다.
p 형 전도층(110)은 정공이 전기전도의 모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공기극(cathode)(20)의 산화 분위기(oxidizing atmosphere)에서 산소 분자의 산화 반응에 쉽게 전자를 제공하고, 정공을 형성하여 높은 안정성과 p 형 전기 전도도를 나타낸다.
n 형 전도층(120)은 ABO3 의 구조에서 A 격자 자리에 전자가 수가 상대적으로 +1가 높은 금속물질 M2을 치환하여 (A1- xM2x)BO3- δ 로 구성한다. A 격자 자리의 결핍 전자와 전기적인 중성을 이루기 위해, B 격자 자리에 위치한 전이금속은 전자가수가 -1가 만큼 낮아지고 n 형 전도체를 이룬다.
n 형 전도층(120)은 전자가 전기전도의 모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연료극(10)의 환원 분위기(reducing atmosphere)에서 산소 이온이 환원되어 발생되는 전자를 쉽게 받아들이고, 높은 안정성과 n 형 전기 전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p-n 접합(junction)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는 산화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에 안정적이 되도록, 각기 다른 세라믹 소재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SOFC 스택을 형성할 때 SOFC의 전해질과 동시 소결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접속자를 구성하는 세라믹 소재와 SOFC 전해질의 열팽창계수(예를 들어, 10~12 × 10-6 K-1)는 서로 유사한 값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접속자 소재와 SOFC 전해질 간의 큰 TEC 차이는 소결 과정에서 깨짐, 갈라짐 등을 유발하고, 고온 작동 분위기에서 낮은 기계적인 안정성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단일 n형/p형(n-type/p-type)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세라믹은 높은 열팽창계수(BaSrCoFeO3, LaSrVO3: ~20 × 10-6 K- 1)와 낮은 소결성과, 낮은 접합성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단일상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을 이용한 p-n 접합 다층 구조 세라믹 접속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과 전해질을 일정한 부피 비율로 혼합하여 세라믹 복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체를 구성하기 위한 조건과 세라믹 복합체를 형성하였을 때 향상되는 물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세라믹 복합체는 전해질(Electrolyte)을 모체로 형성되고,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은 적절한 전기 전도성을 나타내기 위한 percolation을 위해 다음과 같은 부피 비율로 혼합된다. 즉, 전해질은 50~80 vol%이고,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은 50~20 vol%이다. 또한, 전해질과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은 화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한다.
이렇게 구성된 세라믹 복합체의 열팽창계수는 전해질의 낮은 열팽창계수(10~12 × 10-6 K- 1)를 따라가고, 이는 SOFC 전해질의 열팽창계수와 유사하기 때문에 열충격에 높은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복합체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전해질은 SOFC 전해질과 높은 접합성을 가져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와 SOFC의 동시 소결시 구조적 안정성이 크게 증가한다.
세라믹 복합체를 형성하면 전해질의 상대적으로 높은 소결성(예를 들어, 소결온도 > 1300℃)으로 인해, 단일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의 낮은 소결성(예를 들어, 소결온도 > 1500 ℃)이 완화되어, 더 낮은 온도에서 치밀한 구조의 접속자 소결이 가능하고, SOFC의 단위 셀 소결온도와 매칭 되어 동시 소결을 필요로 하는 공정 조건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소결이 가능하다.
전해질(예를 들어, Gd Doped Ce: 144 MPa, σf)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LaSrMnO3: 60 MPa, σf)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세라믹 복합체를 구성하면 단일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 접속자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고, 이는 매우 얇은 구조(~μm)로 형성되는 접속자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세라믹 복합체를 얇은 막 형태의 다층 구조로 적층한 후, 소결함으로써, 높은 전기 전도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산화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에서 안정적인 p-n 접합 구조를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p-n 접합 다층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에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속자(100)를 통한 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지며, 접속자(100)를 통해 단위 셀의 연료극(10)과 다음 단위 셀의 공기극(20)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공기(Air)와 연료(예를 들어, H2)의 지속적인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에 의해 전기 전도가 발생하고, 산화 분위기와 환원 분위기에서 동시에 안정적인 전기 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연료극 20 공기극
30, 100 접속자 110 p 형 전도층
120 n 형 전도층

Claims (8)

  1.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에서 셀과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자에서,
    한 셀의 공기극(Cathode)과 접한 면에 위치하며, 페로브스카이트와 전해질의 복합체인 세라믹 복합체로 형성되는 p 형 전도층; 및
    인접한 다른 셀의 연료극(Anode)과 접한 면에 위치하며, 페로브스카이트와 전해질의 복합체인 세라믹 복합체로 형성되는 n 형 전도층을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복합체는 전해질이 50~80 vol%이고, 페로브스카이트 구조가 20~50 vol%의 부피 비율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AO2 구조에서 A 원소를 일부 치환한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Sm doped CeO2, La doped CeO2, Sc stablized ZrO2, Y stablized ZrO2, Gd doped CeO2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형 전도층은 ABO3 구조에서 A 원소가 양이온 금속 원소 중 1종의 원소로 선택되고, 선택된 원소 중에서 일부가 상대적으로 전자가 수가 -1인 금속 원소로 치환되며, B 원소가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원소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p형 전도층은 Sr doped LaMnO3, Ca doped LaFeO3, Sr Co co-doped LaFeO3, Sr Co co-doped BaFeO3, Sr doped PrMnO3, Sr doped NdMnO3, Sr doped GdMnO3, Ca doped PrMnO3, Ce doped SrMnO3, Ca doped YMnO3, Sr Mn co-doped LaCuO3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형 전도층은 ABO3 구조에서 A 원소가 양이온 금속 원소 중 1종의 원소로 선택되고, 선택된 원소 중에서 일부가 상대적으로 전자가 수가 +1인 금속 원소로 치환되며, B 원소가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원소 또는 금속 원소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n형 전도층은 La doped SrTiO3, La doped SrVO3, Y doped SrTiO3, Mo doped CaVO3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KR1020160142024A 2016-10-28 2016-10-28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KR10189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24A KR101891079B1 (ko) 2016-10-28 2016-10-28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24A KR101891079B1 (ko) 2016-10-28 2016-10-28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963A true KR20180046963A (ko) 2018-05-10
KR101891079B1 KR101891079B1 (ko) 2018-08-24

Family

ID=6218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24A KR101891079B1 (ko) 2016-10-28 2016-10-28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7410A (zh) * 2020-06-08 2020-10-23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铜掺杂钒酸盐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21201380B2 (en) * 2020-03-18 2023-03-09 Toshiba Energy Systems & Solutions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electrochemical cell stack, and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ce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334A (ja) * 2002-05-29 2004-05-20 Kyocera Corp 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
KR20130040311A (ko) * 2011-10-14 2013-04-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이중층 접속자,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0377B2 (ja) * 2003-09-26 2010-06-16 京セラ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334A (ja) * 2002-05-29 2004-05-20 Kyocera Corp 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
KR20130040311A (ko) * 2011-10-14 2013-04-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이중층 접속자,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01380B2 (en) * 2020-03-18 2023-03-09 Toshiba Energy Systems & Solutions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electrochemical cell stack, and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cell
CN111807410A (zh) * 2020-06-08 2020-10-23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铜掺杂钒酸盐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079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chsman et al. Low-temperature solid-oxide fuel cells
Singhal Solid oxide fuel cells for stationary, mobile, and military applications
Badwal et al. Solid oxide electrolyte fuel cell review
Huang et al. Development of solid oxide fuel cell materials for intermediate-to-low temperature operation
EP3432401B1 (en) Phase stable doped zirconia electrolyte compositions with low degradation
US20070259235A1 (en) Compact Fuel Cell
EP3306719B1 (en) Solid oxide fuel cell
US20120178012A1 (en) Sealing member for solid oxide fuel cell and solid oxide fuel cell employing the same
US20130143142A1 (en) Composite Solid Oxide Fuel Cell Electrolyte
US20130101922A1 (en) Solid oxide fuel cell
JP2008047545A (ja) ガスチャンネルを有する固体酸化物燃料電池
KR20110022907A (ko) 평관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KR101130126B1 (ko) 평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기 연결재 제작 및 설치
KR101891079B1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 구조 세라믹 복합체 접속자
KR101155375B1 (ko) 평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병합형 연료극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
KR101185380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접합형 평관형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스택 구조
JP4658489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これに用いる基板
EP4243128A1 (en) Optimized processing of electrodes for sofc and soec
EP4012071A1 (en) Solid oxide electrolyzer cell including electrolysis-tolerant air-side electrode
EP4152446A1 (en) Fuel cell with increased gravimetric power density
US10680270B2 (en) Fuel cell ink trace interconnect
JP2014191992A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16024951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6273306B2 (ja) セラミックセル構造
KR101530268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번들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