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735A - 육류 세절기 - Google Patents

육류 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735A
KR20180046735A KR1020160142286A KR20160142286A KR20180046735A KR 20180046735 A KR20180046735 A KR 20180046735A KR 1020160142286 A KR1020160142286 A KR 1020160142286A KR 20160142286 A KR20160142286 A KR 20160142286A KR 20180046735 A KR20180046735 A KR 20180046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discharge conveyor
conveyor
cu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224B1 (ko
Inventor
강인구
Original Assignee
(주)미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트팜 filed Critical (주)미트팜
Priority to KR102016014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2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5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 B26D1/6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rota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세절기에 관한 기술로서, 커팅날을 통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육류가 배출컨베이어에서 쉽게 떨어져 배출되는 한편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진 육류가 저장함에 수용되므로, 육류를 보다 위생적으로 절단하고, 작업성을 높이는 육류 세절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프레임 위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육류를 공급하는 투입컨베이어; 상기 바디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절단된 육류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한쌍의 커팅날이 설치되어 육류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며,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 및 커팅날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박스;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절단된 육류를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트리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배출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장함;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육류 세절기 {Meat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세절기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출컨베이어에 스크레이퍼(scraper)가 설치됨으로써, 커팅날을 통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육류가 배출컨베이어에서 쉽게 떨어져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배출컨베이어의 하부에 저장함이 설치됨에 따라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진 육류가 저장함에 수용되므로, 육류를 보다 위생적으로 절단하고, 작업성을 높이는 육류 세절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는 해동이 이루어진 육류 또는 생육과 저온으로 얼려(냉동)있는 냉동육으로 공급되며, 여기서 생육과 냉동육은 요리에 적합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조절되어 절단되며, 이러한 육류 절단장치는 절단되는 육류의 종류에 따라 생육용 육류 절단장치와, 냉동육용 육류 절단장치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종래는 해동이 이루어진 생육을 절단하는 생육용 육류 절단장치와, 저온으로 냉동된 냉동육을 절단하는 냉동육용 육류 절단장치가 각각 구분됨으로써, 육류를 판매하는 정육점과 같은 사업장에서는 각각의 생육용 육류 절단장치와, 냉동육용 육류 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냉장 상태의 생육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육류 절단장치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531호(육류 절단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평면상에서 육류가 공급되는 방향과 직교되게 설치되고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회전칼날과, 회전칼날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회전축회전절단기;와 상부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설치되되 상부 회전축의 하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롤러몸체와, 롤러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운송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하나의 회전절단기와 운송롤러를 사용해 육류를 다양한 두께로 절단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다수의 절단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절단부를 구비하는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절단부만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면 되므로 절단부를 관리하는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류를 절단하는 두께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칼날의 간격을 조절하는 시간만 작업이 지연되므로 종래 절단부를 일체로 교환하던 것에 비해 작업능률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회전칼날을 통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육류가 배출부의 컨베이어를 타고 외부로 배출될 경우, 육류의 표면 점성으로 인해 절단된 육류가 컨베이어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고 컨베이어에 말리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작업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경우, 절단된 육류가 배출부의 컨베이어에서 작업장의 바닥으로 떨어져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3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8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14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82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531호.
본 발명은 종래 육류 절단장치의 선행기술에서 회전칼날을 통해 절단된 육류가 배출부의 컨베이어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고 컨베이어에 말리는 문제점과, 절단된 육류가 배출컨베이어에서 작업장의 바닥으로 떨어져 비위생적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배출컨베이어에 스크레이퍼가 설치되는 한편 배출컨베이어의 하부에 절단된 육류가 떨어져 수용되는 저장함이 설치된 육류 세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컨베이어에 스크레이퍼가 설치됨으로써, 커팅날을 통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육류가 배출컨베이어에서 쉽게 떨어지는 한편 배출컨베이어의 하부에 저장함이 설치됨에 따라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진 육류가 저장함에 수용되므로, 육류를 보다 위생적으로 절단하고, 작업성을 높이는 육류 세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프레임 위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육류를 공급하는 투입컨베이어; 상기 바디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절단된 육류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한쌍의 커팅날이 설치되어 육류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며,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 및 커팅날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박스;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절단된 육류를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트리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배출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장함;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커터는 바디의 상부에 놓여 결합 설치되고, 상하로 배치된 한쌍의 커팅날이 양측부의 플랜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스크레이퍼는 배출컨베이어의 하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양측 프레임에 브라켓으로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출컨베이어에 스크레이퍼가 설치됨으로써, 커팅날을 통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육류가 배출컨베이어에서 쉽게 떨어지는 한편 배출컨베이어의 하부에 저장함이 설치됨에 따라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진 육류가 저장함에 수용되므로, 육류를 보다 위생적으로 절단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진 육류가 작업장의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저장함에 수용됨으로써, 작업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육류를 위생적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크레이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크레이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크레이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스크레이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프레임(10) 위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육류를 공급하는 투입컨베이어(30); 상기 바디(20)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절단된 육류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4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한쌍의 커팅날(51)이 설치되어 육류를 절단하는 커터(50); 상기 바디(20)의 일측에 설치되며, 투입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40) 및 커팅날(51)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박스(60); 상기 배출컨베이어(40)에 설치되고, 절단된 육류를 배출컨베이어(40)에서 떨어트리는 스크레이퍼(70); 및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배출컨베이어(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장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바디(20)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2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사각 형태로 짜여진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양측부가 개방된 형상으로서, 전방과 후방에 수직상의 판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투입컨베이어(30)는 작업자를 통해 육류를 자동 공급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투입컨베이어(3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전방과 후방에 수직상으로 배치된 바디(20)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며, 회전 작동이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투입컨베이어(30)는 바디(20)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한편 바디(20)가 위치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배치됨이 바람직하고, 양측부에 각각 회전하는 롤러가 배치되는 한편 양측부의 롤러에 벨트가 감겨져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배출컨베이어(40)는 절단된 육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배출컨베이어(4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투입컨베이어(30)와 대향되도록 바디(20)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며, 회전 작동이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배출컨베이어(40)는 바디(20)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는 한편 수평상으로 배치되고, 양측부에 각각 회전하는 롤러가 배치되는 한편 양측부의 롤러에 벨트가 감겨져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커터(50)는 육류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커터(5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바디(20)의 상부에 놓여 결합 설치되고, 상하로 배치된 한쌍의 커팅날(51)이 양측부의 플랜지(52)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커터(50)는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플랜지(52) 사이에 다수개의 가이드봉(53)이 결합되어 플랜지(52)의 지지력과 내구성을 높이고, 상부에 배치된 커팅날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져 설치되며, 하부에 배치되는 커팅날은 롤러의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파여져 구성된다.
한편 커터(50)는 양측 바디(20)의 상부에 플랜지(52)가 놓여 별도의 클램프로 분리가능케 결합 설치되며, 양측부의 플랜지(52)에 한쌍의 커팅날(51)이 베어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따라서, 커터(50)는 상부에 배치된 커팅날이 하부에 배치된 커팅날의 홈에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투입컨베이어(30)를 통해 공급되는 육류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컨트롤박스(60)는 내부에 모터와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투입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40) 및 커팅날(51)을 구동시키는 기능으로서, 상기 컨트롤박스(6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바디(20)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모터와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컨트롤박스(60)는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61)이 일측 바디(20)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바디(20)를 관통하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또한 모터의 동력이 투입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40)로 전달되어 각각 구동한다.
한편 바디(20)의 상부에 커터(50)를 조립 설치할 경우, 모터의 구동축(61)에 커팅날(51)의 회전축을 끼워 모터의 동력으로 커팅날(51)이 회전 구동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스크레이퍼(70)는 절단된 육류를 배출컨베이어(40)에서 떨어트리는 기능으로서, 상기 스크레이퍼(70)는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배출컨베이어(40)의 하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40)의 양측 프레임(41)에 브라켓(72)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서 스크레이퍼(70)는 배출컨베이어(40)의 양측 프레임(41)에 브라켓(72)이 각각 체결볼트(74)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40)의 하부에 배치되게 브라켓(72) 사이에 고정바(71)가 체결구(73)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고정바(71)에서 상향 경사지게 스크레이퍼(70)가 구성된다.
따라서, 스크레이퍼(70)는 도면에서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고정바(71)에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끝단부가 배출컨베이어(40)에 인접함에 따라 배출컨베이어(40)에 달라붙은 육류를 글어서 떨어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저장함(80)은 절단된 육류가 배출컨베이어(40)에서 떨어져 수용되는 기능으로서, 상기 저장함(80)은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프레임(10)의 일측에 부착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내부에 절단된 육류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성된다.
상기에서 저장함(80)은 배출컨베이어(40)에서 떨어지는 육류가 수용되도록 배출컨베이어(40)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서랍식으로 용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트롤박스(6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동력으로 커팅날(51)이 회전 구동하는 한편 투입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40)가 각각 구동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육류를 투입컨베이어(30) 위에 올려서 육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투입컨베이어(30)를 통해 공급되는 육류는 커터(50)에서 한쌍의 커팅날(51)을 통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다음, 배출컨베이어(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스크레이퍼(70)가 배출컨베이어(40)에 달라붙은 육류를 글어서 저장함(80)으로 떨어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출컨베이어에 스크레이퍼가 설치됨으로써, 커팅날을 통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된 육류가 배출컨베이어에서 쉽게 떨어지는 한편 배출컨베이어의 하부에 저장함이 설치됨에 따라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진 육류가 저장함에 수용되므로, 육류를 보다 위생적으로 절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출컨베이어에서 떨어진 육류가 작업장의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저장함에 수용됨으로써, 작업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육류를 위생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프레임 20: 바디
30: 투입컨베이어 40: 배출컨베이어
50: 커터 51: 커팅날
52: 플랜지 60: 컨트롤박스
70: 스크레이퍼 71: 고정바
72: 브라켓 73: 체결구
80: 저장함

Claims (5)

  1. 프레임(10) 위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육류를 공급하는 투입컨베이어(30);
    상기 바디(20)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절단된 육류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4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한쌍의 커팅날(51)이 설치되어 육류를 절단하는 커터(50);
    상기 바디(20)의 일측에 설치되며, 투입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40) 및 커팅날(51)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박스(60);
    상기 배출컨베이어(40)에 설치되고, 절단된 육류를 배출컨베이어(40)에서 떨어트리는 스크레이퍼(70); 및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배출컨베이어(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장함(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세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커터(50)는,
    바디(20)의 상부에 놓여 결합 설치되고, 상하로 배치된 한쌍의 커팅날(51)이 양측부의 플랜지(52)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세절기.
  3. 제1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70)는,
    배출컨베이어(40)의 하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40)의 양측 프레임(41)에 브라켓(72)으로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세절기.
  4. 제3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70)는,
    배출컨베이어(40)의 양측 프레임(41)에 브라켓(72)이 각각 체결볼트(74)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72) 사이에 고정바(71)가 체결구(73)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고정바(71)에서 상향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세절기.
  5. 제1항에 있어서,
    저장함(80)은,
    내부에 절단된 육류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성되고, 내부 공간에 서랍식으로 용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세절기.
KR1020160142286A 2016-10-28 2016-10-28 육류 세절기 KR101861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286A KR101861224B1 (ko) 2016-10-28 2016-10-28 육류 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286A KR101861224B1 (ko) 2016-10-28 2016-10-28 육류 세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735A true KR20180046735A (ko) 2018-05-09
KR101861224B1 KR101861224B1 (ko) 2018-07-05

Family

ID=6220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286A KR101861224B1 (ko) 2016-10-28 2016-10-28 육류 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35B1 (ko) * 2022-12-30 2023-07-05 농업회사법인 미트앤라이프 주식회사 육류 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82Y1 (ko) * 2001-03-20 2001-10-17 기관호 생육세절기
KR200274715Y1 (ko) 2002-02-22 2002-05-04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육류 세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35B1 (ko) * 2022-12-30 2023-07-05 농업회사법인 미트앤라이프 주식회사 육류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224B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376B1 (ko)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US3980235A (en) Food cutting apparatus
KR101861224B1 (ko) 육류 세절기
KR20160144054A (ko) 육절기용 피가공육 고정장치
KR101691175B1 (ko)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KR101692588B1 (ko)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절기
CN202912349U (zh) 一种茶叶自动分叶输送机
KR200491141Y1 (ko) 근채류 절단장치
KR101759986B1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KR102420377B1 (ko) 육류 세절기
CN216127362U (zh) 切肉片机
KR101053930B1 (ko) 밤 박피기
KR20160008936A (ko) 냉동 뼈 고기 절단기
KR101151829B1 (ko) 미역세절기
CN209699216U (zh) 三维切丁机
KR200274715Y1 (ko) 육류 세절기
KR200367318Y1 (ko) 고추세절장치
CN203636872U (zh) 一种新型切菜机
CN211185655U (zh) 一种方便拆装切面刀的切面机
CN107926307B (zh) 一种铡草粉碎系统
CN218639758U (zh) 条状物切断机
KR101566676B1 (ko) 씨앗이탈방지구를 갖는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20150089442A (ko) 냉동 동물성사료 파쇄장치
CN109676669A (zh) 三维切丁机
KR101712882B1 (ko) 야채 세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