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601A -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취기 - Google Patents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601A
KR20180046601A KR1020160141950A KR20160141950A KR20180046601A KR 20180046601 A KR20180046601 A KR 20180046601A KR 1020160141950 A KR1020160141950 A KR 1020160141950A KR 20160141950 A KR20160141950 A KR 20160141950A KR 20180046601 A KR20180046601 A KR 2018004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s
collector
air
oil
various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
Original Assignee
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 filed Critical 박찬
Priority to KR102016014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601A/ko
Publication of KR2018004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원은 각종 식물류, 동물류, 곤충류로부터 채취하는 과정 중 산화적 산패(oxidative rancidity)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하여, 식물류, 동물류, 곤충류가 제공하는 천연 본래의 순수한 취출물 원료를 얻기 위한 채취기 및 그 채취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은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채취되는 기름이나 취출물을 산폐시키지 않는 구조의 채취기 관련 기술로서, 각종 식물이나 동물을 압박하여 유용물을 얻기 위한 채취기가 상부 유입구만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 구조를 이루며 채취기의 저부 또는 중간 부위에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제공하는 매개체가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고, 채취기의 저부에는 배출라인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각종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유용물을 채취하거나 압착 과정 중 매개체의 무거운 기체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채유기나 압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채취 또는 압착으로 얻어지는 성분이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산폐되지 않은 상태의 취출물을 얻도록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취기{Press kit that can prevent the rancidity of the oil by air oxidation}
본 발명은 각종 식물이나 동물, 곤충류로부터 사람이 원하는 유용물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내용물의 공기접촉을 차단하여 산화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유기나 압착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채취기에 관한 기술이다.
본원은 예를 들어 각종 식물로부터 고급유를 채취하거나 또는 고급 동물류로부터 식용곤충의 기름을 얻거나 또는 , 달팽이로부터의 뮤신 성분을 추출하거나 하는 과정에서 기름성분이나 추출물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산화적 산패 (oxidative rancidity)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채취기 장치나 추출된 물질이 공기와 접하지 못하게 채취기 주변을 밀봉시키고 그 내부에 화학반응에 의해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공급하여 산소를 없이한 상태에서 산폐되지 않은 기름이나 추출물을 얻고자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식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얻기 위한 착유기는 참깨, 들깨, 땅콩, 식물의 씨앗 등과 같은 각종 천원식물 또는 곡물로부터 추출물이나 기름을 얻기 위한 공정은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식물류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기름을 착유하여 얻게 되는 관련기술로 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1989-0004341호(1989.04.17.) 또는 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1990-0018754호(1990.11.08.)이외에도 다수의 특허나 실용신안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건강을 도모하는 사람들이 건강보양식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메기나 장어 또는 미꾸라지 등과 한약을 높은 온도로 삶아서 액으로 압착시키기 위한 어액(漁液) 압착기에 관한 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0419659호에서 어액 압착기 관련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달팽이 등의 곤충류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해내기 위한 착유기술로 등록특허 제 01052569호 기술에서는 유압식 자동착유기 관련하여 착유통 상부를 커버하는 후렌지판을 자동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과, 상기 착유통 하부를 승강시키는 메인피스톤의 하부에 상향 단차지게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압력증가에 따른 착유효율을 높이며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에 관련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분을 얻기 위한 기술은 현대인의 삶이 배고픔의 문제는 이미 해결되었고 보다 건강하고 장수할 수 있는 수단을 찾게 되었으며 더욱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인성 질환 증가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더 예뻐지고 싶은 인간의 욕망으로 고급화장품의 수요가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각종 식물류, 동물물, 곤충류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의 핵심원료인 DHA와 EPA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 원재료에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들 불포화 지방산으로 인해 콜레스테롤을 배출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능과 더불어 DHA 성분이 뇌 활동을 돕기 때문에 치매 예방과 수험생들에게도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의 발표 등으로 기능성 건강식품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종 식물류, 동물물, 곤충류에는 오메가 3, DHA 성분이 풍부하고, 이들 성분은 피부를 매끈하고 탄력적으로 만들어주고 비타민 E 성분은 노화를 촉진시키는 활성산소를 제거해 주기 때문에 피부 노화를 늦출 수 있고, 체력저하, 뇌 쇠퇴 방지에도 도움을 줘서 기능성 화장료의 개발 가능성도 높은 분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각종 식물류, 동물물, 곤충류로부터 채취하는 유용물에 대하여 식물류, 동물물, 곤충류로부터 취출한 내용물이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산폐 현상을 유발하여 유용성분이 갖는 본래의 효능을 약화시키고 쉽게 변질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수단이 별반 찾아볼 수 없었으나, 대부분의 불포화지방산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게 되면 산패 현상이 나타나고 장시간 방치되면 인체에 유해한 carbonyl compounds가 생성되어 인체에 유해함을 제공할 수 있는 원인물질이 될 수 있음에도 이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물론 공개된 특허기술 이외에 각종 식물류, 동물류, 곤충류로부터 채취하는 유용물이 산폐 되지 않은 상태로 고급원료를 제공하기 위해 공기가 차단된 진공조건, 또는 고압가스로 인한 무산소 조건의 고급기술이 적용되어 신선도 높은 원료를 통하여 고급 영양식품이나 또는 고급 화장료에 적용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이미 시행되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겠으나 본원과 같이 값싸고 손쉬운 방법으로 일반인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개시된바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원 발명자는 식물류, 동물물, 곤충류로부터 취출한 내용물이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산폐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간소하게 해소하는 실용적 수단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본원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원은 각종 식물류, 동물류, 곤충류로부터 채취하는 과정 중 산화적 산패(oxidative rancidity)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하여, 식물류, 동물류, 곤충류가 제공하는 천연 본래의 순수한 취출물 원료를 얻기 위한 채취기 및 그 채취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사상은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채취되는 기름이나 취출물을 산폐시키지 않는 구조의 채취기 관련 기술로서, 각종 식물이나 동물을 압박하여 유용물을 얻기 위한 채취기가 상부 유입구만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 구조를 이루며 채취기의 저부 또는 중간 부위에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제공하는 매개체가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고, 채취기의 저부에는 배출라인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각종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유용물을 채취하거나 압착 과정 중 매개체의 무거운 기체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채유기나 압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채취 또는 압착으로 얻어지는 성분이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산폐되지 않은 상태의 취출물을 얻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채취기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채취기에 내장되는 매개체는 탄산암모늄이나 중탄산암모늄 중에서 선택되는 약품이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 채취기의 상부로는 가공원료가 투압되는 원료투입호퍼를 갖고 원료투입호퍼 상부로는 투입호퍼 상단을 감싸는 덮개뚜껑을 갖고 오염물의 침부를 방지함은 물론 채취기에 내장되어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가 덮개뚜껑부까지 차 오르는 양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은 각종 식물이나 동물, 곤충으로부터 유용물을 채취할 때 산폐되지 않은 취출물을 얻기 위한 채취기의 이용방법으로서, 채취기의 상부로 채취대상을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구를 갖고 그 상부로는 뚜껑이 장착되고 채취기의 나머지 부분은 밀폐 구조를 이루며 채취기의 저부 또는 중간 부위에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제공하는 매개체가 내장되거나 투입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채취기의 저부에는 배출라인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각종 식물이나 동물, 곤충 중에서 선택되는 채취대상물로부터 유용물을 채취하거나 압착 과정 중 매개체의 무거운 기체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채취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얻어지는 성분이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산폐되지 않은 상태의 취출물을 얻도록 적용되는 채취기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원의 채취기는 신선도가 높은 인체에 유용한 원료를 산폐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하여 원료 내에 포함된 불포화지방산이 건강학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불포화지방산의 기름을 화장품 등과 같은 기능성 분야에 활용할 수 있어 채취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원은 각종 식물류, 동물류, 곤충류로부터 채취하는 과정 중 산화적 산패(oxidative rancidity)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하여, 식물류, 동물류, 곤충류가 제공하는 천연 본래의 순수한 취출물 원료를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산폐 되지 않은 불포화지방산을 이용하여 건강학적으로 우수한 기능식품 또는 불포화지방산의 기름을 고급화장품에 이용토록 하여 식물류, 동물류, 곤충류로부터 유용성분을 채취하는 사람들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경우 다양한 분야에서 원료의 신선도를 높이고 인체에 유익한 영양식품을 제공할 수 있어서 위생적, 환경적으로 추출물의 신선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 본원에서 제공하는 무산소 분위기가 종래 구성의 착유기 구조에 적용되기 위한 일 적용 실시양태 예시도.
도 2 : 본원에서 제공하는 무산소 분위기가 종래의 착즙기 구조에 적용되기 위한 일 적용 실시양태 예시도.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내용을 도면을 제시하여 기재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무산소 분위기가 종래의 착유기 구조에 적용되어 실시되는 일 적용 실시양태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지시되는 곡물착유기(50)는 예를 들면 참깨나 들깨, 아마씨 등의 식물류로부터 기름을 얻을 때 적용될 수 있는 곡물착유기로서, 곡물 투입부(11) 및 기름유출부(13)가 구비된 압착실린더(10)와, 상기 압착실린더 내장되는 압착스크류(20)와, 상기 압착실린더(10)의 전방에 결합하여 압착스크류(20)의 회전을 지지하며 잔여물배출부(31)를 가지는 회전지지구(30)로 이루어진 곡물 착유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곡물 착유기에서 압착실린더(10)는 후측 상면에 구비되는 곡물 투입부(11)에 채유를 원하는 곡물이 투입되고, 상기 투입부에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착유부(14)에 스크류(20)가 내장되며 상기 압착실린더의 전방 선 단면에는 기름유출부(13)를 가지는 기름분리구(15) 및 상기 기름분리구의 외연으로 회전지지구(3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투입부(11)로 공급되는 아마씨나 참깨, 들깨 등의 채유 대상곡물은 스크류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착유부(14)를 통해서 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압착(가압) 및 착유가 진행될 때 상기 압착스크류(20)는 투입부(11) 아래의 중간에 나선부(22)에 절개부(23)를 일정구간으로 형성함에 따라 투입부(11)로 투입되는 곡물이 절개부(23)에 투입된 채 나선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착유부(14)로 투입되고 스크류에 의해 착유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20)는 절개부(23)가 투입부(11) 저부의 나선부(2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의 곡물이 다수 개의 절개부(23)로 투입되면서 나선부를 따라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더 많은 량의 곡물을 효과적으로 압박 및 파쇄하며 착유가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나선부(22)에 절개부(23)를 이웃하는 피치에 두 개 연속으로 절개하게 되면 곡물이 착유부 뒤로 밀려날 수도 있으므로 절개부(23)가 겹치지 않고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착스크류(20)는 실린더의 내측 착유부(14)에 내재되고 전방의 기름분리구(15) 및 회전지지구(30)를 관통한 채, 상기 회전지지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오링 등으로 밀봉구조로 지지되며, 전방 동력연결축(21)의 고정부(25) 내측에도 오링(24)이 내장되어 밀봉구조로 동력전달수단(40)에 연결되도록 적용되며 곡물로부터 착유된 기름은 기름유출부(13)를 통해 하부로 모인 기름은 배출밸브(44)를 통해 저장용기(45)에 담기는바, 상기 분리된 기름 및 착유기 내부에서 추출 대상물이 공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밀폐뚜껑(42)을 갖는 약품저장통(41)이 기름유출부(13) 저부의 내부 측벽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약품저장통(41)에 내장된 약품(40)으로 예를 들면, 탄산암모늄 또는 중탄산암모늄(90)이 내장되어 분해가스가 화살표 방향으로 분출구(43)을 통하여 기름유출부(13) 저부의 내부 측벽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가 곡물착유기(50) 전체로 채워지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곡물착유기(50)에서 압착, 추출 및 착유공정이 진행될 때 기름유출부(13) 저부의 측벽부에 내장된 탄산암모늄 또는 중탄산암모늄 등의 약품(40)이 서서히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발산하는 경우 곡물착유기(50) 내부에 있던 공기는 모두 상부의 오픈 된 원료주입부(11)의 상단을 덮고 있는 덮개부(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착유되는 공정라인 내부는 무산소 분위기가 되면서 착유과정 중 곡물로부터 얻어지는 불포화지방산의 기름이 배출밸브(44)를 통해 저장용기(45)에 담겨지며 산폐되지 않은 양질의 불포화지방산 오일을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 기술의 약품저장통(41)에 내장되도록 적용 가능한 약품은 분말상의 탄산암모늄이나 또는 중탄산암모늄이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바, 열적 안정성이 비교적 낮은 암모늄[(NH4)2CO3] 또는 중탄산암모늄[(NH4)HCO3]는 대기 중에서 서서히 분해되면서 공기보다 비중이 큰 기체상태의 이산화탄소(CO2), 암모니아(NH3), 중탄산암모늄[(NH4)HCO3]가 곡물착유기(50) 내부로 방출되면서 방출되는 가스는 화살표 방향의 가스 흐름에 따라 곡물착유기(50)의 하부에 마련된 기름유출부(13)부터 공기를 밀어내고 점차 착유라인을 거쳐 원료주입부(11)의 상단까지의 공기를 밖으로 밀어주어 무산소 분위기의 곡물착유기(5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곡물착유기(50)의 측벽부에 밀봉구조의 케이스 형태로 약품저장통(41)에 약품을 내장하고 측벽부 내측으로 가스분출구(43)를 만들어 발생되는 가스가 곡물착유기(50)의 저부에서부터 무거운 기체가 채워지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원에서 사용되는 탄산암모늄[(NH4)2CO3] 내지는 중탄산암모늄[(NH4)HCO3]은 곡물착유기(50) 내부에 무산소 분위기를 장기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 분말 상의 탄산암모늄[(NH4)2CO3] 내지는 중탄산암모늄[(NH4)HCO3]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포장이면 모두 가능하다 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부직포, 헝겊, 다기공성 종이, 다기공성 용기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원의 곡물착유기(50)에서 기름유출부(13) 주변 또는 추출공정 라인의 일부에 다기공성 용기에 본원 약품이 내장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도 가능하다.
상기 구조의 곡물착유기(50)에서는 저부로 구비되는 기름유출부(13)로 기름은 통과하여 아래로 흘러내리고, 곡물에서 기름이 분리된 후의 잔여물(찌꺼기)은 유출되지 않도록 적용되고 착유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스크류 및 회전지지구의 마지막단부로 노출되어 있는 잔여물배출부(31)를 통해 잔여물을 배출시키도록 적용되고 동력전달축(21)은 회전동력을 스크류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모터 등과 같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되며, 기어방식 내지는 벨트/풀리방식, 체인/스프로킷방식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하는 무산소 분위기가 종래의 착즙기(100) 구조에 적용되기 위한 하나의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에서는 착즙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조립되는 부분을 떼어내서 분해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2b에서는 결합된 착즙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투시형태의 측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서 제시되는 착즙기는 영업용이 아니라 일반 가정집에서 식물성 화장품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알로에를 다듬어 넣고 압착하여 알로에 엑기스를 짜내는 용도에 사용하거나 또는 동물성으로 달팽이를 압착하여 뮤신을 추출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스테인레스제 철판을 감아서 원통형 구조의 압착통(60)을 형성할 수 있는데 원통형 철판을 적당 직경으로 감아서 벽체(61)를 이루고 바닥체(62)는 다수의 통기공(62a)이 형성되어 압출액이 저부로 빠지는 구조를 이루며 벽체의 상부는 상부고정테(63)로 감싸주고 벽체 저부는 바닥체(62) 및 벽체(61)를 감싼 하부고정테(64)가 각각 용접되는 구성으로 높은 압박에도 내구성을 갖는 압착통(60)을 형성하고, 압착통의 상부로는 뚜껑부(70)가 형성되고, 뚜껑부에는 착즙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구(71)와 압착통(60)의 벽체(61)와 긴밀히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걸이(72)를 갖고, 상부고정테(63)에는 체결고리(63a)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체결고리(63a)가 체결걸이(7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뚜껑부(70)가 압착통(6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뚜껑부(70)의 중앙 부위로는 ∪자 고정홈(73)을 형성한 지지판(74)이 용접 고정되고, 뚜껑부에는 나사봉(81) 및 돌림구(82)를 갖는 압축핸들(80)의 나사봉(81)을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봉(83)이 내삽되는 안내구멍(84) 및 고정홈(85)을 형성한 안내체(86)를 갖는 구조를 이루고, 안내체(86)의 고정홈(85)이 상기의 ∪자 고정홈(73)에 끼워 고정되기 위해 안내체(86)의 수직방향으로는 나사봉(81)의 단부(81b)가 내삽되는 관통구멍(87)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안내체(86)의 측면에 있는 안내구멍(84)으로 전면에 나사산(83a)를 형성한 작동봉(83)을 끼워 압박하는 구성을 이루고 나사봉(81)의 음각나사부(81a)와 나사 맞춤구조를 이루며 압착판(90)을 압박하여 액즙을 얻을 수 있도록 적용되는바, 압착판(90)은 원형압착통(60)의 내부에 밀착되는 외연을 이루고 중앙부에는 나사봉지지구(91)를 갖고 나사봉지지구(91)의 중앙부에는 나사봉(81)의 단부(81b)가 압착판의 중앙부로 내삽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홈(91a)을 가지며, 압착판의 상부면으로는 뚜껑부 저부에 형성된 파지걸고리(75)에 체결되는 걸림돌기부(92)를 갖는 구조로 제공된다.
본원의 도 2에서 실시양태로 제공되는 착즙기(100)의 실시양태는 압착통(60)의 뚜껑부(70)를 열고 압착판(90)을 외부로 끌어올리고 바닥체(62) 상부에 압착 또는 착즙을 위한 원료를 넣고 압착판(90)을 먼저 넣을 때 뚜껑부(70)에 형성된 파지걸고리(75)에 압착판(90)의 걸림돌기부(92)가 체결되어 뚜껑부 바닥면에 압착판(90)이 있는 상태로 뚜껑부를 닫아 체결고리(63a)를 체결걸이(72)에 걸어 체결하고 안내체(86)의 안내구멍(84)에 나사산(83a)를 형성한 작동봉(83)을 끼운 상태로 안내체(86)가 뚜껑부(70)의 ∪자 고정홈(73)위치로 이동시켜 수직방향으로는 나사봉(81)의 단부(81b)가 압착판(90)의 삽입홈(91a)에 끼워지면서 압착판이 계속 압박을 받으면서 내용물을 압착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압착통(60)의 바닥체(62)는 다공구조의 구멍(62a)이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압착물로부터 채취된 내용물은 바닥체(62) 구멍(62a)을 통하여 취출액 저류조(65)로 모이고 적당량이 모아지면 배출밸브(66)를 통하여 보관용기(67)에 담겨지도록 적용될 수 있는바, 도 2의 착즙기(100)에서 압착, 추출 및 착즙공정이 진행될 때 취출액 저류조(65) 측면에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발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약품이 내장된 밀폐뚜껑(42)을 갖는 약품저장통(41)이 취출액 저류조(63) 측벽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약품저장통(41)에 내장된 약품(40)으로 예를 들면, 탄산암모늄 또는 중탄산암모늄이 내장되어 분해가스가 화살표 방향으로 분출구(43)을 통하여 취출액 저류조(65) 측벽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가 착즙기(100) 전체로 채워지도록 탄산암모늄 또는 중탄산암모늄 등의 약품(40)이 서서히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발산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의 도 1 및 도 2에서는 밀폐뚜껑(42)을 갖는 약품저장통(41)에 약품(40)이 내장되는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공장규모로 대형으로 적용될 때는 공기보다 무거운 이산화탄소 기체나 불활성기체를 공급하는 봄베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제공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고자 하는바, 하기의 실시내용은 본원 기술사상이 구현되기 위한 하나의 적용예를 예시한 것으로, 반듯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균등론적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면 2 형태의 착즙기를 직경 15 ㎝ 높이 50 ㎝ 크기로 밀봉구조를 이루고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달팽이 500 g씩을 착즙기의 바닥체 상부에 올려 놓고 취출액 저류조 내부 벽면에 헝겊으로 포장된 삼전순약의 탄산암모늄 100 g을 내장한 착즙기의 실험용 작업기를 제작하고 달팽이 엑기스를 무산소 분위기와 공기가 있는 조건에서의 압착 및 추출실험을 실시하며 추출된 기름의 과산화물의 변화상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교 예 1
동일한 조건에서 착즙기 내부에 무산소 분위기를 제공하는 약품을 사용하지 통상의 자연상태에서 달팽이 엑기스를 추출하는 착즙공정을 수행하였다.
본원에서 산패 현상은 본 비교 예 1 및 실시 예 1의 취출과정 중에 배출되는 불포화지방산 1 kg에 함유되는 과산화물의 mg 당량수로서 유지의 초기단계에 있어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기준으로 산패시험은 ICU(international chemical union)법에 따라 요오드적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산패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거된 유지를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초산(Acetic acid)의 혼합액에 용해하고, 요오드화칼륨(KI, Potassium iodide)를 가한 다음, 형성되는 I-를 유지 중의 과산화물과 반응시켜 I2로 산화하고, 생성된 요오드의 양을 Na2S2O3(Sodium thiosulfate)의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과산화물량을 확인하였으며, 본 과산화물량의 값은 실험에 투입된 500 g의 평균값으로 하고 추출공정을 수행한 후 6시간 후의 실험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과산화물량
(meq/kg)
위생상태
실시 예 1 13.8 매우 우수
비교 예1 44.9 매우 불량
일반적인 경우의 산패 발생 기준은 동물성 기름인 경우 20~40 meq/kg의 값으로 정하여 적용하는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산소가 포함된 자연상태에서 추출한 달팽이 추출액의 경우 추출 내용물이 산소와 접하면서 산화적 산패에 의한 과산물량이 44.9 meq/kg으로 높게 나타 남으로서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적 산패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실시 예 1과 같은 무산소 분위기에서 추출된 달팽이 추출액은 13.8 meq/kg의 낮은 과산화물량이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추출 내용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불포화지방산의 자연 산화에 의한 인체 유독성의 carbonyl compounds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여 발명을 완성하였다.
10 : 압착실린더 11 : 곡물 투입부
12 : 상부 덮개 13 : 기름유출부
14 : 착유부 15 : 기름분리구
20 : 압착스크류 21 : 회전축
22 : 나선부 23 : 절개부
24 : 오링 25 : 고정부
30 : 회전지지구 31 : 잔여물배출부
40 : 약품 41 : 약품저장통
42 : 약품저장통 뚜껑 43 : 분출구
44 : 배출밸브 45 : 저장용기
50 : 곡물착유기 60 : 압착통
61 : 벽체 62 : 바닥체
63 : 상부고정테 64 : 하부고정테
65 : 약액저류조 66 : 배출밸브
67 : 추출물저장통 70 : 뚜껑부
71 : 원료투입구 72 : 체결걸이
73 : ∪자 고정홈 74 : 지지판(74)
80 : 압축핸들 81 : 나사봉
82 : 돌림구 83 : 작동봉
84 : 안내구멍 85 : 고정홈
86 : 안내체 87 : 관통구멍
90 : 압착판 91 : 나사봉지지구
92 : 걸림돌기부 100 : 착즙기

Claims (4)

  1.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채취되는 기름이나 취출물을 산폐시키지 않는 구조의 채취기에 있어서
    각종 식물이나 동물을 압박하여 유용물을 얻기 위한 채취기가 상부 유입구만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 구조를 이루며 채취기의 저부 또는 중간 부위에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제공하는 매개체가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고, 채취기의 저부에는 배출라인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각종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유용물을 채취하거나 압착 과정 중 매개체의 무거운 기체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채유기나 압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채취 또는 압착으로 얻어지는 성분이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산폐되지 않은 상태의 취출물을 얻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기에 내장되는 매개체는 탄산암모늄이나 중탄산암모늄 중에서 선택되는 약품이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기의 상부로는 가공원료가 투압되는 원료투입호퍼를 갖고 원료투입호퍼 상부로는 투입호퍼 상단을 감싸는 덮개뚜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기.
  4. 각종 식물이나 동물, 곤충으로부터 유용물을 채취할 때 산폐되지 않은 취출물을 얻기 위한 채취기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채취기의 상부로 채취대상을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구를 갖고 그 상부로는 뚜껑이 장착되고 채취기의 나머지 부분은 밀폐 구조를 이루며 채취기의 저부 또는 중간 부위에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를 제공하는 매개체가 내장되거나 투입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채취기의 저부에는 배출라인이 설치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각종 식물이나 동물, 곤충 중에서 선택되는 채취대상물로부터 유용물을 채취하거나 압착 과정 중 매개체의 무거운 기체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채취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얻어지는 성분이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산폐되지 않은 상태의 취출물을 얻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기 이용방법.
KR1020160141950A 2016-10-28 2016-10-28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취기 KR20180046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50A KR20180046601A (ko) 2016-10-28 2016-10-28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50A KR20180046601A (ko) 2016-10-28 2016-10-28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601A true KR20180046601A (ko) 2018-05-09

Family

ID=6220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950A KR20180046601A (ko) 2016-10-28 2016-10-28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6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26Y1 (ko) * 2019-01-16 2019-07-02 강희순 착유장치
CN110696414A (zh) * 2019-09-20 2020-01-17 西昌市金粮山粮油食品有限公司 一种核桃油压榨机
CN114889189A (zh) * 2022-06-17 2022-08-12 庄国庆 一种利用植物提取染料自动化生产系统及提取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26Y1 (ko) * 2019-01-16 2019-07-02 강희순 착유장치
CN110696414A (zh) * 2019-09-20 2020-01-17 西昌市金粮山粮油食品有限公司 一种核桃油压榨机
CN114889189A (zh) * 2022-06-17 2022-08-12 庄国庆 一种利用植物提取染料自动化生产系统及提取工艺
CN114889189B (zh) * 2022-06-17 2024-04-02 庄国庆 一种利用植物提取染料自动化生产系统及提取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6601A (ko)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채취기
CA1216592A (en) Food compositions containing fatty substanc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0140314918A1 (en) Juice Containing Pouch and Press for Extracting Juice from the Pouch
KR20130026211A (ko) 천연 사료 첨가제
CN106135986A (zh) 一种鲜石斛汁的制备工艺及杀菌方法
CN104720047A (zh) 一种非浓缩还原脐橙鲜榨果汁及其制备工艺
CN202864052U (zh) 一种压缩氮气保鲜的食用油包装装置
WO2015020912A1 (en) Juice containing pouch and press for extracting the juice from the pouch
JP2007056181A (ja) 機能性オリーブ油、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CN203110368U (zh) 一种榨油机
KR100977233B1 (ko) 로얄 제리의 정제 장치
WO2016205408A1 (en) Omega-3 spray
KR101815172B1 (ko) 농산물 갈변현상이 방지되는 착즙제조라인
MX2022010668A (es) Un exprimidor.
CN102318687A (zh) 云南大叶种茶树籽孕产妇油
CN112294076A (zh) 一种榨汁机
CN212089150U (zh) 一种球状水果榨汁机
KR100983834B1 (ko) 로얄 제리의 정제 장치
CN114480010A (zh) 一种食用植物油冷榨自动化生产工艺
KR101954350B1 (ko) 자동화 착즙기
CN109846054B (zh) 一种农业科学研究用浆果类皮籽分离装置
CN208838606U (zh) 一种辅食袋
CN112089303A (zh) 一种食品加工用榨汁装置
KR102024761B1 (ko) 다시마 함유 김 제조장치
CN213677804U (zh) 一种用于刺梨榨汁的果汁防氧化储存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5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27

Effective date: 201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