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109A -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109A
KR20180045109A KR1020160138656A KR20160138656A KR20180045109A KR 20180045109 A KR20180045109 A KR 20180045109A KR 1020160138656 A KR1020160138656 A KR 1020160138656A KR 20160138656 A KR20160138656 A KR 20160138656A KR 20180045109 A KR20180045109 A KR 20180045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lamiaceae
cortiso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720B1 (ko
Inventor
노경백
이정아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꿀풀 추출물이 11β-HSD1의 활성을 저해하여 코티솔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코티솔에 의한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kin microrelief damage and atrophoderma comprising Prunella vulgaris extract}
본 발명은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11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 효소1(11β-HSD1)의 과활성화와 연관된 피부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11β-HSD1의 활성을 억제하여 11β-HSD1의 조정을 받는 코티솔(cortisol)의 생성을 억제시키거나 세포 내에서 코티손이 코티솔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하여, 코티솔에 의해 발생한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1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 효소1(11β-HSD1)은 간, 지방 조직, 뇌, 혈관, 폐, 뼈 및 피부 등 인체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11β-HSD1은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NADPH)에 의해 비활성화된 코티손(cortisone)을 활성화된 코티솔(cortisol)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코티솔은 글루코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 GR)와 결합하여 이와 관련된 신호를 활성화시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를 조정한다. 글루티코티코이드(glucocorticoid, GC)와 11β-HSD1의 과활성화는 비만, 인슐린 민감성, 2형 당뇨, 고지혈 등의 대사증후군에 깊은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의 치료를 목표로 하여 11β-HSD1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코티솔은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에 결합하는 스테로이드 계열 호르몬으로 거의 모든 척추동물에 존재한다.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코티솔은 질병, 외상, 온도변화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스트레스 또는 분노, 갈등, 불안 등과 같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부신피질에서 생성되고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지표로써 사용되고 있다. 코티솔은 그 양이 증가하면 혈압 상승, 혈당 증가, 호흡수와 심박수를 증가시키며 면역 체계를 저해한다.
코티솔은 피부의 멜라닌 합성을 증진시키고 여드름을 악화시키며(Hunt et al., J Endocrinol. 1994;140(1):R1-3, Chiu et al., Arch Dermatol. 2003;139(7):897-900), 노화에 따른 피부 면역기능을 저하시키고 (Kinn et al., Sci Rep. 2015;5:10472), 구강 상피세포에서 잇몸조직이 쇠퇴되는 것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Mahendra et al., Indian J Dent Res. 2011;22(1):6-9). 코티솔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신체의 모든 조직의 퇴화, 손상 및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것과 연관이 있다. 코티솔에 과다하게 노출되면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이 위축되고 표피와 진피 경계부(dermal-epidermal junction: DEJ)가 편평해지며 이에 따라 피부가 얇고 투명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Korting et al.,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2002;15(2):8591). 또한, 코티솔은 섬유아세포의 수를 감소시키고 진피 콜라겐을 감소시키는 현상이 나타나는데(Kolbe et al., Skin Res Technol. 2001;7(2):73-77, Cutroneo et al., Coll Relat Res. 1981;1(6):557-568, Nuutinen et al.,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1;15(4):361-362),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적용 시 나타나는 피부 위축증이 이에 해당된다(Werth et al., Arch Dermatol Res. 1998;290(7):388393).
한편, 피부 위축증은 피부를 더 얇고 더 연약하게 만들기 때문에, 피부는 쉽게 건조해지고 상처 입을 수 있으며, 피부의 보호장벽 기능이 감소된다.
이와 관련하여, 11β-HSD1을 녹아웃(knock-out)시킨 쥐에서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고, 11β-HSD1 저해제 처리 시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구성성분을 증가하며 상처치료 효능이 개선된다는 선행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11β-HSD1 저해제가 코티솔을 매개로 하는 피부조직이 감소되는 것을 개선시킬 수 있는 목표물질로 연구되고 있다(Tiganescu et al., J Clin Invest, 2013; 123(7):3051-3060).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로 인해 피부조직이 감소되는 것을 개선하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식물에서 유래한 화합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던 중, 꿀풀 추출물이 코티솔 활성화에 관여하는 11β-HSD1의 활성을 저해하고, 이를 통해 코티솔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진피 위축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1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 효소1(11β-HSD1)의 과활성화로 인한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11β-HSD1은 다양한 원인, 예를 들어 자외선조사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환경과 내인성 노화 요인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는 비활성화된 코티손을 활성화된 코티솔(cortisol)로 전환시킨다. 활성화된 코티솔은 인체의 모든 조직, 특히 피부와 관련하여 피부 조직의 감소 및 위축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꿀풀 추출물은 11β-HSD1의 활성을 저해하여 코티솔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11β-HSD1의 활성에 의해 생성되는 코티솔에 의한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결은 피부 표면의 미세한 선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미세구조를 의미하며 연령별·부위별로 유의하게 다르다. 피부결은 선의 깊이에 따라 1차(약 20-100um), 2차(약 5-40um), 3차(약 0.5um) 라인으로 구분되며, 피부결이 좋을수록 각 라인들이 그물형태의 네트워크구조를 이루며 선들이 만나서 생기는 다각형과 별 모양이 뚜렷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12:103-114, 1999).
이러한 피부결은 코티솔의 작용으로 피부조직이 감소함으로써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이 손상됨에 따라 촘촘하던 미세라인의 네트워크 구조가 무너져 표면적으로 피부가 거칠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를 피부결 손상이라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위축증은 피부의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이 위축되고 표피와 진피 경계부가 편평해지며 이에 따라 피부가 얇고 투명해지는 것으로, 피부가 위축 또는 비박화(卑薄化)되는 일련의 질환을 말한다.
본 발명의 꿀풀(Prunella vulagaris)은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자라고 있으며, 하고초, 동풍 또는 철색초 등으로도 불린다. 꿀풀은 간을 맑게 해주며 이뇨, 소염, 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전염성간염, 폐결핵, 임파선염, 수종, 고혈압 등을 치료하기 위한 약재로도 쓰인다.
본 발명의 꿀풀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꿀풀 추출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 등이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피부결 및 피부 위축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인 꿀풀 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꿀풀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피부결 및 피부 위축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인 꿀풀 추출물을 전체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으로서 꿀풀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300㎎/kg 범위 내이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주사제 또는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결 손상 또는 피부 위축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데, 치료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투여방법은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300㎎/kg 범위 내이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개체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에 의하여 개체의 피부결의 손상 및 피부 위축증을 개선, 호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꿀풀 추출물은 식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추출물로서, 화장료 및 의약품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11β-HSD1의 활성을 저해하여 코티솔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코티솔에 의한 피부조직의 감소를 방지하여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부각질세포에서 꿀풀 추출물의 11β-HSD1의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부각질세포에서 꿀풀 추출물의 코티솔 생성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꿀풀 추출물을 임상시험하여 코티솔 감소 효과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꿀풀 추출물을 임상시험하여 피부결이 개선된 효과 여부를 확인한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꿀풀 추출물 준비
꿀풀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다음, 40~50℃에서 건조한 다음, 분쇄하고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상기 분쇄된 꿀풀 분말 100g을 증류수 3 L에 침지하여 2시간 동안 3회 환류 추출하였다. 그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entec. No.2)에 여과하고,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꿀풀 추출물(13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꿀풀 추출물의 11β - HSD1 발현 저해 효과측정
꿀풀 추출물을 11β-HSD1 가우시아 루시페라아제(Gaussia luciferase)가 형질주입(transfection)된 HaCaT 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11β-HSD1 프로모터(promoter)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접종(2×105 세포/웰)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11β-HSD1 가우시아 루시페라아제를 형질주입시킨 뒤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꿀풀 추출물을 1시간 동안 전 처리한 다음 코티손(cortisone, Sigma aldrich)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바이오룩스® 가우시아 루시페라아제 어세이 킷(New England Biolabs)을 이용하여 11β-HSD1 프로모터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루미노미터를 이용하여 루미네센스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꿀풀 추출물은 코티손 처리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11β-HSD1 프로모터 활성화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꿀풀 추출물의 코티솔 생성 저해 효과측정
꿀풀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11β-HSD1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접종 (2× 105 세포/웰)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꿀풀 추출물을 1시간 동안 전 처리한 다음 코티손 (cortisone, Sigma aldrich)을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코티솔 엘리사 킷(Enzo)을 이용하여 생성된 코티솔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방법은 Enzo사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생성된 코티솔의 수치는 코티솔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꿀풀 추출물은 코티손 처리에 따른 코티솔 생성 정도와 비교하여 우수한 코티솔 생성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꿀풀 추출물 임상유효성 시험 결과
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코티솔 감소 및 피부결 손상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제제예 1과 같이 꿀풀 추출물을 0.01% 함유한 영양 크림을 사용하였고 개선 정도는 사용 전·후로 측정하였다. 시험대상자 33∼55세 여성 34명을 대상으로 8주간 1일 2회(아침, 저녁) 안면 전체에 사용하게 하였다. 평가는 제품 사용 전, 사용 4주 및 8주 후 시점에서 피부결 및 진피 치밀도 측정을 통해 제품에 의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4.1. 피부 각질층 코티솔 레벨측정
피부각질을 각질층 수집 전용 테이프 (D-Squame discs, CuDerm, USA)를 이용하여 피험자 각질층을 수집하고 MILLIPLEX Human Skin Magnetic Bead Panel (Millipore Corp., USA)을 이용하여 코티솔 레벨을 측정하였다. 하기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꿀풀 추출물을 포함한 크림 적용 4주부터 8주까지 코티솔 레벨이 우수하게 억제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4.2.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피부 피부결(Skin microrelief) 분석
코티솔은 피부조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피부조직이 감소하면 표면적으로 피부결이 손상되고 거칠어지게 된다. 코티솔 감소에 의한 피부결 손상의 개선을 피부결이 거친 정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고 측정은 3차원 피부 측정장치인 PRIMOS®premium (GFMesstechnik GmbH, German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평가 시점마다 촬영된 영상 이미지는 매칭(matching) 기능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위의 변화를 비교, 측정이 가능하며, 아래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피부결 및 주름변화를 분석하게 된다. 본 시험에서는 제품 사용 전, 사용 4주 및 8주 후 시점에서 눈가 주름을 촬영하고, 파라미터(Ra, Rmax, Rz, Rp 및 Rv)를 분석하였다. 파라미터 값이 감소할수록 피부결이 손상된 정도와 거칠기가 개선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기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꿀풀 추출물을 포함한 크림을 적용함에 따라 4주부터 8주까지 피부결의 상태가 사용전보다 유의하게 개선됨을 관찰하였다. 이는 꿀풀 추출물이 유의한 피부결 손상 개선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하기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성분 중량%
꿀풀 추출물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2.79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성분 중량%
꿀풀 추출물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1-3. 영양크림
성분 중량%
꿀풀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
성분 중량%
꿀풀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1-5. 팩
성분 중량%
꿀풀 추출물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Claims (2)

  1.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및 피부 위축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및 피부 위축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60138656A 2016-10-24 2016-10-24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56A KR101864720B1 (ko) 2016-10-24 2016-10-24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56A KR101864720B1 (ko) 2016-10-24 2016-10-24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09A true KR20180045109A (ko) 2018-05-04
KR101864720B1 KR101864720B1 (ko) 2018-06-08

Family

ID=6219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656A KR101864720B1 (ko) 2016-10-24 2016-10-24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4345A1 (en) * 2021-09-06 2023-03-08 Clariant International Ltd Prunella vulgaris extract and use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386A (ko) * 2007-01-30 2008-08-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KR20090038285A (ko) * 2007-10-15 2009-04-20 (주)아모레퍼시픽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1070A (ko) * 2011-09-20 2013-03-28 (주)그린솔루션스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386A (ko) * 2007-01-30 2008-08-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KR20090038285A (ko) * 2007-10-15 2009-04-20 (주)아모레퍼시픽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1070A (ko) * 2011-09-20 2013-03-28 (주)그린솔루션스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4345A1 (en) * 2021-09-06 2023-03-08 Clariant International Ltd Prunella vulgaris extract and use thereof
WO2023031002A1 (en) * 2021-09-06 2023-03-09 Clariant International Ltd Prunella vulgaris extract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20B1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EP2954897B1 (en) Skin-moisturising or wrinkle-improving extern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KR20130011703A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102911A (ko) 편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4932A (ko)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1875A (ko) 잎새버섯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지 산생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JP2009190988A (ja) p38MAPキナーゼ活性化抑制剤
KR101864720B1 (ko)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3306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9536A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18979B1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KR102291590B1 (ko) 유리딘 함량이 증가된 적채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142884A1 (en) Treatment of aging or uv-damaged skin
KR100558184B1 (ko) 미인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84A (ko) 민들레 및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4687B1 (ko) 트러플 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0291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02443B1 (ko) 달맞이꽃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834697B1 (ko)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또는 약학 조성물
WO2023063118A1 (ja) M2又はm2様マクロファージの誘導又は活性化剤、m2又はm2様マクロファージの誘導又は活性化方法、真皮の色素沈着を予防及び/又は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並びに真皮の色素沈着を予防及び/又は改善する方法
KR101924355B1 (ko) 함초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6094A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70071029A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