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697B1 -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또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또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697B1
KR100834697B1 KR1020070002082A KR20070002082A KR100834697B1 KR 100834697 B1 KR100834697 B1 KR 100834697B1 KR 1020070002082 A KR1020070002082 A KR 1020070002082A KR 20070002082 A KR20070002082 A KR 20070002082A KR 100834697 B1 KR100834697 B1 KR 10083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kin
apple
skin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희
이상화
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0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건조증상 완화, 피부 장벽기능 회복, 아토피의 예방 또는 치료 등의 효과가 있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초목 추출물, 낭탕자 추출물,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질에서 유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PAR 알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부 분화를 촉진하고,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켜 궁극적으로는 아토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천초목, 낭탕자, 사과자, PPAR, 피부장벽, 아토피

Description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Cosmetics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Zanthoxylum bungeanum Maxim, Hyoscyamus niger L. or Luffa cylindrica (L.) Roem}
본 발명은 피부 건조증상 완화, 피부 장벽기능 회복, 아토피의 예방 또는 치료 등의 효과가 있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각질형성세포 내에서 PPAR 알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를 촉진하여, 표피 분화가 불완전함으로 해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피부 부작용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진피(dermis)와 표피(epidermis)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는 콜라겐과 기타 단백질을 주로 합성하며, 소량의 지질을 생산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표피는 지질을 주로 생성하고, 콜라겐은 실질적으로 합성하지 않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는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가능하다.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최하층(stratum basale)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던 기저세포(basal cell)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형성된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오래된 각질형성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표피 최하층으로부터 올라온 새로운 각질형성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표피 분화(epidermis differentiation) 또는 각화(keratinization)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각화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질을 생성하여, 각질층이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피부장벽(skin barrier)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Vol I, 6th ed.).
현대사회의 주요 질환의 하나로 여겨지는 피부 건조증은 피부 장벽기능 이상이 가장 중요한 원인임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건조피부는 최근, 환경오염, 아파트, 고층 건물과 같은 건조한 환경의 증가,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우리나라 특유의 과도한 목욕 문화, 아토피나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증가하고 있으며,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피부 장벽기능의 이상이 최근 소아의 10%에서 발병하는 아토피 피부염에서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 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 능력이 있는 세라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와 같은 보습제가 개발되어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근본적인 치료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손상된 장벽을 근원적으로 재생시켜주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각질형성세포에 존재하는 PPAR(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가 그 리간드(ligand)와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재구성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미 알려진 PPAR 알파의 작용제(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Feingold et al., J. Invest . Dermatol ., 110, pp368-375, 1998], WY14643[Feingold et al., J. Invest . Dermatol ., 115, pp 353-360, 2000] 등을 피부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각질형성세포의 분화가 촉진되며, 피부장벽의 회복이 촉진됨이 확인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건조증상 완화, 피부 장벽기능 개선, 아토피의 치료 또는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PPAR 알파의 작용제 기능을 가지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을 개발하여, 피부장벽 손상 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근원적으로 피부 장벽을 회복시켜, 세라마이드 관련 연구에 치중되어 있는 피부 장벽 및 아토피 개선 소재 연구의 단점을 극복 및 보충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초목 추출물, 낭탕자 추출물,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초목 추출물, 낭탕자 추출물,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건조증상 완화 또는 피부 장벽기능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PPAR 알파를 활성화함으로써, 피부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피부장벽의 손상을 빠르게 회복시키고 피부 건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천연물 중에서 PPAR 알파 작용제 기능을 갖는 물질을 스크리닝하여, 천초목, 낭탕자 및 사과자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PPAR 알파 작용제 기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질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 결과에서도 뚜렷한 피부장벽 회복 속도를 증가시킴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초목 추출물, 낭탕자 추출물,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피부 건조증상 완화 또는 피부 장벽기능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천초목(川椒目; Zanthoxylum bungeanum Maxim)은 산초(山椒) 또는 익병화초 (翼柄花椒)라고도 불리며, 운향과의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 또는 동속 식물의 과피로서 씨를 될 수 있는 대로 제거한 것을 말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며,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복부의 찬 기운으로 인한 복통, 설사와 치통, 천식, 요통에 쓰며 살충작용이 있어, 옴, 가려움중, 음낭습지 등에도 사용하며, 약리작용으로 국부마취작용, 장관연동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中藥大辭典).
낭탕자(Hyoscyamus niger L.)는 가지과 식물인 낭탕의 8-9월 성숙기의 종자를 털어 햇빛에 말린 것을 말하며, 천선자(天仙子)라고도 한다. 독성이 강하며, 치통 및 외과의 마취제로 사용되었다고 보고되어 있다. 알칼로이드 0.06-0.2%가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유가 25% 함유되어 있고, 스테롤도 포함되어 있다. 유럽이 원산지이지만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북아프리카·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中藥大辭典).
사과자(絲瓜子)는 박과 식물인 사과(絲瓜; 수세미오이; Luffa cylindrica)의 종자로서 가을에 잘 익은 열매를 따서 종자를 수집하여 양건함으로써 만든다. 강력한 설사 작용이 있고, 이뇨, 해독, 해열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유를 23.5-38.9%를 함유하며, 주성분으로는 리놀산, 팔미티산, 스테아린산, 오레인산 등의 글리세리드 및 인지질, 스쿠알렌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中藥大辭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천초목, 낭탕자 및 사과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PPAR 알파의 활성능을 평가한 결과, 천초목, 낭탕자 및 사과자 추출물은 매우 강력한 PPAR 알파 활성 효과를 나타냄을 밝혀냈다. 따라서, 천 연물질인 천초목, 낭탕자 및 사과자 추출물을 피부외용 연고, 에센스, 크림 등의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첨가하면 별다른 부작용 없이 피부 건조증상 완화, 피부 장벽기능 회복,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천초목, 낭탕자 및 사과자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천연물의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초목, 낭탕자, 사과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로 가열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고순도의 추출물을 얻으려면, 추출액을 같은 방법으로 1회 이상씩 더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천초목, 낭탕자 및 사과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또는 화장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의약품 및 화장료는 약학적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혹은 어떤 편리한 운반체, 부형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투여 또는 반복투여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은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고형 제제에는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투명 겔제, 반투명 겔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겔화제, 계면활성제, 오일, 유지, 실리콘 성분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피부와 관련된 것임을 고려할 때, 상기 천초목, 낭탕자,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피부외용연고, 로션 등과 같은 반고형 제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제조시에 함유되는 천초목, 낭탕자,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그 건조 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 중량%이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PPAR 알파 활성 효과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증가하는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의 증대가 기대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18> 천연물 추출물의 제조
시판되는 천선자, 낭탕자 및 사과자를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100g을 물이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등의 용매 3리터에 투입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3시간 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그 후, 결과물을 1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표 1과 같은 각각의 건조 중량을 얻었다. 각 추출 용매 및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하기 표 1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추출용매 천초목 낭탕자 사과자
80% 메탄올 5.2g (실시예1) 7.5g (실시예7) 7.3g (실시예13)
정제수 4.1g (실시예2) 7.5g (실시예8) 7.1g (실시예14)
95% 에탄올 4.9g (실시예3) 6.2g (실시예9) 5.9g (실시예15)
70% 아세톤 4.2g (실시예4) 6.1g (실시예10) 6.1g (실시예16)
에틸아세테이트 3.7g (실시예5) 5.4g (실시예11) 7.4g (실시예17)
클로로포름 4.3g (실시예6) 7.1g (실시예12) 6.5g (실시예18)
<실험예 1> PPAR 알파 활성화 실험
상기 추출 실시예 1-18에 따라 얻은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PPAR 알파 활성능을 평가하였다.
마우스 myoblast 세포주인 C2C12 세포(ATCC CRL-1772)를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벡터는 3가지를 사용하였는데 1) pZEO 벡터(Invitrogen)의 SV40 프로모터에 효모의 전사인자인 GAL4-DBD(DNA Binding Domain)과 인간 PPAR 알파 LBD(Ligand Binding Domain)에서 Ser167에서 Tyr468을 암호하는 DNA단편(유전자 은행정보, NM 005036)을 포함하는 벡터, 2) GAL4 응답 서열을 루시퍼라이제를 발현하는 pGL3 벡터(Promega)의 다중제한 효소 인지 부위에 삽입된 벡터, 및 3) 트랜스팩션 대조군(transfection internal control)로 b-galactodisase을 발현하는 벡터를 사용하였다.
세포를 4×104의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깐 후, 12시간 배양하고, 상기 세 종류의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일시적인 리포팩타민을 이용하여 트랜스팩션(transient transfection) 하였다. 8시간 후,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12시간 배양한 후, 1×PBS로 세척하고, 1×reporter lysis buffer로 세포를 깬 후, 루시퍼래이즈 분석 키트(Promega)와 b-galactodisase 분석 키트(Promega)를 사용하여, 루시퍼래이즈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PPAR 알파 활성도는 '루시퍼래이즈 활성/b-galactosiase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은 PPAR 알파의 리간드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Wy-14,643(Calbiochem)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시료를 녹일 때 사용한 DMSO 0.05%으로 하였다.
실험예 1-1
상기 실험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 1-18을 각 최종농도가 0.005%(DMSO 0.05%)가 되도록 하여 C2C12 세포에 처리하여 PPAR 알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3번 반복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PPAR 알파 활성도
음성대조군 1.08±0.003
WY-14,643 0.5 uM 3.03±0.003
WY-14,643 1 uM 10.08±0.003
실시예 1 2.03±0.002
실시예 2 2.06±0.003
실시예 3 3.02±0.002
실시예 4 2.32±0.003
실시예 5 3.38±0.002
실시예 6 5.48±0.003
실시예 7 2.38±0.002
실시예 8 3.01±0.002
실시예 9 3.10±0.003
실시예 10 3.45±0.003
실시예 11 3.68±0.002
실시예 12 6.18±0.003
실시예 13 3.65±0.003
실시예 14 3.98±0.003
실시예 15 3.63±0.003
실시예 16 2.67±0.003
실시예 17 2.34±0.003
실시예 18 6.56±0.003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제된 화합물인 Wy-14,643와 비교했을 때, 실시예 1-18에 따라 얻어진 각 시료들은 전혀 정제되지 않은 추출물임을 감안하면 매우 강력한 PPAR 알파 활성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실시예 6, 12 및 18이 음성대조군과 양성대조군인 WY-14,643과 비교할 때 PPAR 알파 활성능이 현저히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2
실험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6, 12 및 18의 추출물의 농도 변화에 따른 PPAR 알파 활성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적용농도 PPAR 알파 활성도(음성대조군 대비%)
음성대조군 100%
양성대조군(WY-14,643) 0.5 uM 280%
1.0 uM 935%
실시예 6 0.005 % 500%
0.05% 620%
0.5 % 950%
실시예 12 0.005% 570%
0.05% 690%
0.5% 973%
실시예 18 0.005% 607%
0.05% 693%
0.5% 980%
상기 표 3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PPAR 알파 활성도를 크게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촉진능 평가
사람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을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에서 계대 배양한 후, T75 플라스크에 1×106개를 넣고 24시간 부착시켰다. 세포가 플라스크의 30% 정도로 찼을 때, 1×PBS로 씻어낸 후, Ca2 + free-KGM으로 24시간 처리하여, Ca2 + 고갈시켰다. 그 후, 실시예 6, 12 및 18의 추출물이 0.05% 농도로 포함된 0.03mM Ca2 +-KGM처리한 후, 72시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한 후, RNA easy mini kit(Qiagen)으로 RNA을 분리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마커 중의 하나인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transglutaminse)의 발현을 RT-PCR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0.03mM의 Ca2 +을 포함하는 KGM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KGM에 Ca2 + 1.2 mM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트랜스글루타이네이즈 발현량 (음성대조군대비%)
음성대조군(Low Ca2 +; 0.03 mM) 100%
양성대조군(High Ca2 +; 1.2 mM) 150%
실시예 6 0.005 % 122%
0.05% 155%
0.5 % 209%
실시예 12 0.005% 132%
0.05% 157%
0.5% 230%
실시예 18 0.005% 143%
0.05% 170%
0.5% 222%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0.5% 농도에서 트랜스글루타이제이즈의 발현량을 2배 이상 증가시켰다. 또한 양성대조군보다도 상당히 많은 양이 발현되었다.
이하, 천초목, 낭탕자,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의 처방예를 제조예로 나타내었다.
<제조예 1-3 및 비교예 1>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처방예는 하기 표 5와 같다. 천초목, 낭탕자 및 사과자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1 및 17의 것을 사용하였다.
조성물 제조예(단위: 중량%) 비교예
1 2 3 1
천선자 추출물 낭탕자 추출물 사과자 추출물 10 - - - 10 - - - 10 - - -
디에틸 세바케이트 8 8 8 8
경납 5 5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6 6 6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바셀린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3> 피부 장벽 회복력 측정
상기 제조예 1-3 및 비교예 1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회복력을 측정하였다.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처방하여 장기간의 피부 손상으로 인한 피부장벽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건강한 남 여 20명씩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각각 두 개씩 2×2 cm2 크기로 아세톤을 1일 2회씩 4일 동안 도포하여 피부 장벽을 손상시켰다. 그 후, 5 및 6일째에는 아세톤으로 피부 장벽 손상시킨 후, 피부 면적 4 cm2 당 300ul 씩, 제조예 1-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료를 추가로 도포하고 5일 및 6일째에 경피 수분 손실의 회복도(Recovery Rate of Transepidermal Water Loss(TEWL))를 측정하였다. 경피 수분손실회복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경피 수분손실회복도(%) = (TEWL immediately after disturbance - TEWL at indicated time)/(TEWL immediately after disturbance - baseline TEWL) × 100
경피 수분 손실 회복도(%)
5 일차 6 일차
비교예 1 20.2±0.05 40.2±0.05
제조예 1 31.9±0.03 60.2±0.07
제조예 2 42.7±0.06 69.2±0.01
제조예 3 34.2±0.01 72.2±0.04
상기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경우, 대조군인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계속적인 아세톤 처리로 인해 야기된 피부 장벽의 회복률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의 개선 효과 측정을 하기 위해, 심한 건조증, 진무름, 가려움 등의 아토피 증상으로 진단받았던 10-50대 사이의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4 그룹으로 나누고, 비교예1 및 제조예 1-3의 조성물을 각 그룹에게 제공한 후, 아토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4주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효과는 4주 후, 개선 정도를 자가 설문을 통해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도포군 응답자 수(인)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비교예1 1 3 4 2
제조예1 3 4 3 0
제조예2 3 5 2 0
제조예3 2 5 3 0
상기 표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경우 대조군인 비교예 1에 비해서 전반적인 아토피 증상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천초목, 낭탕자,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은 PPAR 알파의 활성을 현저히 증가시키고,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며, 피부장벽의 회복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아토피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낭탕자 추출물,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총 건조 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낭탕자 추출물 또는 사과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낭탕자 추출물, 사과자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건조증상 완화 또는 피부 장벽기능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총 건조 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건조증상 완화 또는 피부 장벽기능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낭탕자 추출물 또는 사과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건조증상 완화 또는 피부 장벽기능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02082A 2007-01-08 2007-01-08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또는 약학 조성물 KR100834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082A KR100834697B1 (ko) 2007-01-08 2007-01-08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또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082A KR100834697B1 (ko) 2007-01-08 2007-01-08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또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697B1 true KR100834697B1 (ko) 2008-06-02

Family

ID=3976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082A KR100834697B1 (ko) 2007-01-08 2007-01-08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또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4323A (en) * 2015-11-13 2017-05-17 Trio Healthcare Ltd Skin barrier com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127A (ko) * 2003-11-24 2006-09-13 인데나 에스피아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 알레르기 증상 및 여드름 치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127A (ko) * 2003-11-24 2006-09-13 인데나 에스피아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 알레르기 증상 및 여드름 치료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4323A (en) * 2015-11-13 2017-05-17 Trio Healthcare Ltd Skin barrier composition
GB2544323B (en) * 2015-11-13 2018-10-17 Trio Healthcare Ltd Skin barrier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CN111700853B (zh) 一种具有抗敏修复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2500924B1 (ko)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3544B1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34697B1 (ko) 천초목, 낭탕자 또는 사과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또는 약학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418979B1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US20230270660A1 (en) Silybum marianum (L.) Gaertn. oil for reinforcing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KR10217888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1056541B1 (ko) Ppar 알파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KR20200073584A (ko) 민들레 및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8803B1 (ko) (2S)-1-O-리놀레노일-2-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179114B1 (ko)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816264B1 (ko) 목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924355B1 (ko) 함초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769577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1488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24969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