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488B1 -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488B1
KR101791488B1 KR1020100071029A KR20100071029A KR101791488B1 KR 101791488 B1 KR101791488 B1 KR 101791488B1 KR 1020100071029 A KR1020100071029 A KR 1020100071029A KR 20100071029 A KR20100071029 A KR 20100071029A KR 101791488 B1 KR101791488 B1 KR 10179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gents
extract
skin
external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914A (ko
Inventor
김한성
김소연
정한순
안성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7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4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8Oldenlandia or Hedyo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lleviating stimulation caused from ultraviolet ray containing Oldenlandia Diffusa Willd extracts}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과도한 자외선이나 유해 라디칼(substance R) 등에 방치되면,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반응이 유발된다. 자외선이나 유해 라디칼에 의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외선 및 유해 라디칼에 의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피부 자극 완화 효능 물질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에, 자외선 및 유해 라디칼에 의한 피부 자극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알려진 연구 결과를 보면, 자외선과 여기서 유발되는 유해 라디칼로 인해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류(kinins)등에 의해 피부세포와 면역세포에서 다양한 시토키닌(Cytokine: 특히, IL-6 및 IL-8) 및 프로스타글라딘-2(PGE-2) 등이 분비됨으로써 피부 자극이 발생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에 따라 유해 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한 라디칼 형성 억제제를 비롯한 신경펩티드 길항제, 브라디키닌 길항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천연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백화사설초가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뛰어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자외선으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고, 천연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매우 안전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통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Oldenlandia Diffusa Will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백화사설초는 한의학뿐만 아니라, 민간요법으로도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어온 한방약제의 하나이다. 백화사설초는 중국의 남부, 동남아시아, 제주도의 울창하고 그늘진 숲속에서 자생하는 꼭두서니과(Rubiaceae) 식물로 중국 전통의학에서 간암, 폐암, 직장암의 치료, 해열, 해독에 사용되어 왔다. 백화사설초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베툴린(Betulin), 베툴릭산(Betulinic acid), 우루솔릭산(Ursolic acid),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베타-글리시레티닉산(β-Glycyrretinic acid), 펜타-쿠마릭산(ρ-Coumaric acid), 글루코사이드(Glucoside) 및 헨트리아콘테인(Hentriacontane) 등이 있으며 항암활성, 항염증효과 및 항바이러스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백화사설초를 자연건조하고 잘게 분쇄한 분쇄물의 건조중량에 대해 물,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등의 극성용매와 이들의 혼합용매를 5~20배 부피량으로 가하고 침적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한다.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분산시킨 후 분산액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등의 저극성 유기 용매를 가하고 진탕한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감압농축하여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얻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침과 페르콜레이션의 경우는 12~96시간, 또는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용매로 하여 4~25℃ 상온에서 3~20일 방치 숙성시켜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온침의 경우는 사용하는 용매 등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서 상이하나 적당한 것은 용매의 환류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5~24시간 정도를 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자극의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여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는 0.0001중량% 미만이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자극의 완화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백화사설초 추출물의 제조
백화사설초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한 백화사설초 가루 100g을 에탄올 1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4~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60℃로 감압 농축하였다. 이를 물 50㎖에 분산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0㎖로 다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19.4g의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얻었다.
[시험예 1] 각질형성세포에서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E 2(PGE2) 억제 효과 평가
사람의 표피조직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24-웰 시험플레이트에 5x104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고, 아스피린 처리를 하여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효소 (prostaglandin E2synthetase, 또는 cyclooxygenase)의 활성을 제거하였다. 아스피린 처리 2시간 후에 각질형성세포가 들어있는 각 웰을 PBS 로 2회 세척하고, 각 웰에 100㎕의 PBS를 넣었다. 이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 B(UV B)램프(Model: F15T8, UV B15W, Sankyo Dennki社,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20mJ/cm2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각질형성세포 배양액(keratinocyte growth media, Clonetics BioWhittacker社, MD, USA) 250㎕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상기 제조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 50㎕을 취하여 24시간 동안 생합성된 PGE2를 정량함으로써, 백화사설초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효과를 판단하였다. 이때, PGE2 면역효소반응(EI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군과 조사한 군의 PGE2 생성량의 차이로부터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농도(ppm) 자외선에 의한 PGE2 생성 억제율(%)
백화사설초 추출물 0.1 52.6
1 72.6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자외선을 조사한 세포에서 피부 자극의 주된 요인이 되는 PGE2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하기 조성물들은 O/W제형이며,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유상
성분
스테아릭액시드 1.0 1.0 1.0
세테아릴알코올 0.2 0.2 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오일 0.7 0.7 0.7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액시드 1.0 1.0 1.0
방부제 0.3 0.3 0.3
폴리데센 4.0 4.0 4.0
메도우폼시드오일 1.0 1.0 1.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3.0 3.0 3.0
디메치콘 0.5 0.5 0.5
세틸옥타노에이트 2.0 2.0 2.0
데실코코에이트 1.0 1.0 1.0
사이클로메치콘 3.0 3.0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0 5.0 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티이에이 0.15 0.15 0.15
방부제 0.2 0.2 0.2
백화사설초 추출물(상기 제조예 1) 1.0 10.0 -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 상기 유상성분들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상기 수상성분들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교반하에 온도를 70~75℃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2)에 상기 (1)을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고 28~30℃까지 냉각하였다.
[시험예 2] 인체시험을 통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홍반 완화 효능 평가
백화사설초 추출물의 자외선(UVB)에 의한 피부 홍반 유발 억제 효과를 Kaidbey와 Kurban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Kaidbey & Kurban, 1976, J.Invest.Dermatol., Vol 66 pp153-156).
즉,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팔뚝 부위에 직경 1.5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탁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홍반량(Minimal Erythma Dose, MED)의 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SE lamp(파장 290-320nm,Toshiba)로 조사하여 홍반을 유도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을 자외선 조사 1시간 전과 자외선 조사 직후에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6시간 및 24시간 후의 홍반지수를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의한 평가기준에 따라,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의 정도 평점
1)홍반과 가피 형성
홍반이 없음
아주 경도의 홍반(육안 식별 가능)
명료한 홍반
중등도에서 강한 홍반
심홍색의 강한 홍반과 기피 현상

0
1
2
3
4
2)부종형성
부종 없음
매우 가벼운 부종(육안으로 겨우 식별)
명료한 부종(주위와 명료한 구분됨)
중등도의 부종(1mm정도 부어 오를 경우)
강한 부종(1mm이상 부어 오르고 노출 부위 밖까지 확장된 상태)

0
1
2
3
4
피부일차자극지수(Primary irritation index P.I.I.) = (홍반평점과 부종평점의 합의 평균치)/4
구분 홍반지수
6시간 후 24시간 후
실시예 1 1.9 2.6
실시예 2 1.6 2.1
비교예 1 2.0 3.3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0.0001~5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실시예 1~2)은 피부에서 자외선에 의한 홍반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자외선에 의한 홍반과 부종을 유발하였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백화사설초 추출물 0.0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제형예 2] 영양로션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백화사설초 추출물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5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백화사설초 추출물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제형예 4] 팩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백화사설초 추출물 0.5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에탄올 6.0
[제형예 5] 연고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백화사설초 추출물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밀납 4.0

Claims (5)

  1.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홍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백화사설초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여과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재추출한 것이고,
    상기 백화사설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 소낭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콘실 스틱 및 에어로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
KR1020100071029A 2010-07-22 2010-07-22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9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029A KR101791488B1 (ko) 2010-07-22 2010-07-22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029A KR101791488B1 (ko) 2010-07-22 2010-07-22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914A KR20120009914A (ko) 2012-02-02
KR101791488B1 true KR101791488B1 (ko) 2017-10-30

Family

ID=4583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029A KR101791488B1 (ko) 2010-07-22 2010-07-22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6662A (zh) * 2012-07-11 2014-01-29 韩国政 治疗牛皮癣油膏和癣粉配合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914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19825A (ja)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1683B1 (ko) 닥나무의 꽃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2202879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20170103172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3200A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791488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33648B1 (ko) 체지방 축적억제 및 분해 효과를 동시에 갖는 천연물 다이어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090126992A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2B1 (ko) 블루 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5303A (ko) 피부 미백재
KR101832862B1 (ko) 산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25603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22673B1 (ko) 한련초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길경 추출물, 및 카카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또는 두피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