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928A -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928A
KR20180042928A KR1020160135528A KR20160135528A KR20180042928A KR 20180042928 A KR20180042928 A KR 20180042928A KR 1020160135528 A KR1020160135528 A KR 1020160135528A KR 20160135528 A KR20160135528 A KR 20160135528A KR 20180042928 A KR20180042928 A KR 20180042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s
shelves
information
senso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범
Original Assignee
에이지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디(주) filed Critical 에이지디(주)
Priority to KR102016013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928A/ko
Publication of KR2018004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05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Shelf)과, 복수의 선반에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래크(Rack)와, 복수의 선반과 인접한 위치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 연결되며, 검출부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검출부 및 구동부에 연결되며, 검출부 및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검출부로부터 전송 받은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구동부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A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판매기에 설치되는 복수의 선반, 복수의 래크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는 사람이 없이도 상품을 자동적으로 판매하는 기계로서,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거나 카드를 넣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원하는 상품이 자동적으로 나오는 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는 판매 시간이나 설치 장소에 별다른 제약을 받지 않고, 캔이나 팩에 저장된 음료, 과자 등 간단한 식료품, 티슈 등 원하는 상품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자동 판매기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넷 형태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선반(Shelf)과, 각각의 선반에 배치된 복수의 래크(Rack)를 포함하고,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적재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상품의 선택이 있는 경우, 특정 선반에 배치된 특정 래크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선반과 복수의 래크는 상품의 크기, 종류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배치 형태, 배치 위치 등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상품을 보관하거나 배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선반과 복수의 래크에 대한 배치 형태, 배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판매기는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선반과 복수의 래크에 대한 배치 형태, 배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동 판매기의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선반과 복수의 래크에 대한 배치 형태, 배치 위치에 대한 파악이 자동 판매기의 관리자에 의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관리자의 실수, 파악 작업 누락 등으로 인해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동 판매기에 설치되는 복수의 선반, 복수의 래크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선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 각각의 위치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자동 판매기)에 설치된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선반, 복수의 래크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Shelf)과, 상기 복수의 선반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래크(Rack)와, 상기 복수의 선반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부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함께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동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Shelf)과, 상기 복수의 선반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래크(Rack)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출부가 초기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Shelf)과, 상기 복수의 선반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래크(Rack)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출부가 초기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부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종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동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선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 각각의 위치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자동 판매기)에 설치된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선반, 복수의 래크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선반 각각의 위치 정보, 복수의 래크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종류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자동 판매기에 설치된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동 제어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선반, 복수의 래크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고,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검출부에 구비된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를 이용하여 복수의 선반에 구비된 제1 마그넷, 복수의 래크에 구비된 제2 마그넷을 감지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와 구동으로 복수의 선반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검출부의 동작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래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00)는 복수의 선반(110), 복수의 래크(120), 검출부(130), 구동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선반(Shelf)(110)은 자동 판매기(100)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제1 방향(도 2의 상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선반(110)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선반(110) 각각은 일단 또는 양 끝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도 4의 111A, 111B, 111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은 검출부(130)가 복수의 선반(110) 각각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래크(Rack)(120)는 복수의 선반(110)에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도 2의 우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선반(110) 각각에 대해, 동일한 개수의 래크(120)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선반(110)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개수의 래크(120)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래크(120) 각각은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도 4의 121A 내지 121J)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은 검출부(130)가 복수의 래크(120) 각각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복수의 선반(110)과 인접한 위치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부(130)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복수의 선반(110)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출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도 4의 111A, 111B, 111C 등)이 구비된 복수의 선반(110)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도 4의 121A 내지 121J)이 구비된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검출부(130)에 연결되며, 검출부(130)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부(140)는 구동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풀리(Pulley) 및 벨트(Belt), 또는, 볼 스크류(Ball screw)를 이용하여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시키는 리니어 모션 시스템(Linear motion system)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출부(130) 및 구동부(140)에 연결되며, 검출부(130) 및 구동부(1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검출부(130)로부터 전송 받은 복수의 선반(110)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구동부(140)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복수의 선반(110)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선반(110)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에서는 3 개의 선반(110A, 110B, 110C)이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30)는 초기 위치에서 제1 방향(도 4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21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30)는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를 포함하고, 3 개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의 양 끝단에는 한 쌍의 제1 마그넷(111A, 112A, 111B, 112B, 111C, 112C)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3 개의 선반(110A, 110B, 110C)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 111B, 111C)은 3 개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일 뿐 아니라, 3 개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시작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 112B, 112C)은 3 개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종료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30)는 제1 방향으로 이동(①, ②, ③)하며,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를 통해 3 개의 선반(110A, 110B, 110C)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 111B, 111C)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검출부(130)의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로부터 제1 마그넷(111A, 111B, 111C)의 감지 신호를 받을 때마다 구동부(140)로부터 구동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후 검출부(130)는 제1 방향으로 이동(④)하다가 더 이상의 선반이 없는 경우, 3 개의 선반(110A, 110B, 110C) 중 첫번째 선반(11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의 위치로 이동(⑤)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검출부(130)는,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S210),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해,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도 4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2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의 위치로부터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의 위치까지 이동(⑥)하며,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를 통해 복수의 래크(120A, 120B, 120C, 120D)에 설치된 제2 마그넷(121A, 121B, 121C, 121D)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검출부(130)의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로부터 제2 마그넷(121A, 121B, 121C, 121D)의 감지 신호를 받을 때마다 구동부(140)로부터 구동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후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의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이 감지되면, 다시 첫 번째 선반(11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의 위치로 이동(⑦)한 후, 두 번째 선반(120B)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B)의 위치로 이동(⑧)할 수 있다. 또는,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의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의 위치로부터 두 번째 선반(120B)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B)의 위치로 직접 이동할 수도 있다.
이후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선반(110B), 세 번째 선반(110C)에 대해서도 이동(⑨, ⑩, ⑪, ⑫)해 가며, 복수의 래크(120E, 120F, 120G, 120H, 120I, 120J)에 설치된 제2 마그넷(121E, 121F, 121G, 121H, 121I, 121J)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검출부(130)의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로부터 제2 마그넷(121E, 121F, 121G, 121H, 121I, 121J)의 감지 신호를 받을 때마다 구동부(140)로부터 구동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검출부(130)가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S210, S220), 제어부(150)는 검출부(130)로부터 전송 받은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구동부(140)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30).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검출부(130)에서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 111B, 111C)이나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에 설치된 제2 마그넷(121A 내지 121J)을 감지할 때마다 구동부(140)의 구동 정보(예를 들어, 구동 모터 또는 엔코더의 회전수)를 전송 받으므로,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40).
여기서 상품 정보는,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서 이송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의 위치 정보로부터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수용 가능한 상품의 크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서 이송될 상품을 내부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또는 외부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등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검출부의 동작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검출부(130)는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모두에 대해 존재 여부를 먼저 검출한 후, 각각의 선반(110A, 110B, 110C)에 대해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해, 특정 선반(예를 들어, 첫 번째 선반 110A)이 존재하는 경우, 즉시 해당 선반(예를 들어, 첫 번째 선반 110A)에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D) 각각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 후, 다시 다음 선반(예를 들어, 두 번째 선반 110B)의 존재 여부를 다시 검출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ƒˆ이, 검출부(130)는 제1 방향으로 이동(①)하다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를 통해 첫 번째 선반(11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이 감지되면 첫 번째 선반(110A)의 존재 여부를 제어부(150)로 전송한 후, 첫 번째 선반(11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의 위치로부터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의 위치까지 이동(②)하며,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를 통해 복수의 래크(120A, 120B, 120C, 120D)에 설치된 제2 마그넷(121A, 121B, 121C, 121D)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의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이 감지되면, 다시 첫 번째 선반(11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의 위치로 이동(③)한 후, 다시 두 번째 선반(120B)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이동(④)할 수 있다.
이후,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선반(110B), 세 번째 선반(110C)에 대해서도 이동(⑤, ⑥, ⑦, ⑧, ⑨)해 가며, 복수의 래크(120E, 120F, 120G, 120H, 120I, 120J)에 설치된 제2 마그넷(121E, 121F, 121G, 121H, 121I, 121J)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00)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부(130)를 이용하여 복수의 선반(110)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120) 각각의 위치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자동 판매기(100)에 설치된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선반(110), 복수의 래크(120) 및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00)는, 검출부(130)에 구비된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131)를 이용하여 복수의 선반(110)에 구비된 제1 마그넷(111), 복수의 래크(120)에 구비된 제2 마그넷(121)을 감지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와 구동으로 복수의 선반(110) 각각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120)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 및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 만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복수의 래크 각각(130)은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마그넷(도 7의 122B, 122D, 122E, 122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마그넷은 검출부(130)가 복수의 래크(130) 각각의 종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래크(130) 각각의 종류 정보는 복수의 래크(130)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복수의 래크(130) 각각에 대한 구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00)의 제어 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검출부(130)가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마그넷(122B, 122D, 122E, 122I)을 감지하여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함께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30)는 초기 위치에서 제1 방향(도 7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310). 도 6의 단계 S310은 도 3의 단계 S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검출부(130)는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해,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도 7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종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32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의 위치로부터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의 위치까지 이동(⑥)하며,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를 통해 복수의 래크(120A, 120B, 120C, 120D)에 설치된 제2 마그넷(121A, 121B, 121C, 121D) 및 제3 마그넷(122A, 122B, 122C, 122D)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검출부(130)의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로부터 제2 마그넷(121A, 121B, 121C, 121D)의 감지 신호를 받을 때마다 구동부(140)로부터 구동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래크(120A) 및 세 번째 래크(120C)는 제2 마그넷(121A, 121C)만 존재하고, 두 번째 래크(120B) 및 네 번째 래크(120D)는 제2 마그넷(121B, 121D) 이외에 제3 마그넷(122B, 122D)을 더 포함하므로, 검출부(130)는 제3 마그넷의 유무 또는 제3 마그넷의 개수를 감지하여 래크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의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이 감지되면, 다시 첫 번째 선반(110A)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A)의 위치로 이동(⑦)한 후, 두 번째 선반(120B)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B)의 위치로 이동(⑧)할 수 있다. 또는,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의 타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2A)의 위치로부터 두 번째 선반(120B)의 일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넷(111B)의 위치로 직접 이동할 수도 있다.
이후 검출부(130)는 첫 번째 선반(110A)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선반(110B), 세 번째 선반(110C)에 대해서도 이동(⑨, ⑩, ⑪, ⑫)해 가며, 복수의 래크(120E, 120F, 120G, 120H, 120I, 120J)에 설치된 제2 마그넷(121E, 121F, 121G, 121H, 121I, 121J) 및 제3 마그넷(122E, 122F, 122G, 122H, 122I, 122J)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검출부(130)의 홀 센서 또는 MR 센서(131)로부터 제2 마그넷(121E, 121F, 121G, 121H, 121I, 121J) 및 제3 마그넷(122E, 122F, 122G, 122H, 122I, 122J)의 감지 신호를 받을 때마다 구동부(140)로부터 구동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검출부(130)가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종류 정보를 검출한 후(S310, S320), 제어부(150)는 검출부(130)로부터 전송 받은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구동부(140)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330). 도 6의 단계 S330은 도 3의 단계 S2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복수의 선반(110A, 110B, 110C)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종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동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40).
여기서 상품 정보는, 복수의 래크(120A 내지 120J) 각각에서 이송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고, 구동 제어 정보는 래크의 종류에 따라 래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래크의 종류 정보는 상품의 크기, 종류 등에 다양한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래크의 구조, 구동 방식 등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래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에서는 선반 위에 설치되는 래크(120A)가 벨트 구동에 의해 상품을 이송하는 방식(이하, '벨트 방식')인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의 (b)에서는 래크(120B)가 나선형 스프링인 스파이럴(Spiral)의 회전에 의해 상품을 이송하는 방식(이하, '스파이럴 방식')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방식의 래크(120A)는 레일 몸체(122A)의 양 단에 설치된 한 쌍의 풀리(123A, 124A)와 벨트(125A)를 이용하여 이송판(126A)을 직선 구동시켜 상품을 이송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방식의 래크(120B)는 벨트 방식의 래크(120A)와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되, 한 쌍의 베벨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부(123B)를 통해 레일 몸체의 풀리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방향을 변환하여 나선형 스프링(124B)을 회전시켜 상품을 이송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래크(120A, 120B)의 종류가 2 가지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래크의 종류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00)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부(130)를 이용하여 복수의 선반(110) 각각의 위치 정보, 복수의 래크(120)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종류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자동 판매기(100)에 설치된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동 제어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선반(110), 복수의 래크(120) 및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고, 복수의 래크(120) 각각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동 판매기
110: 선반(Shelf) 120: 래크(Rack)
130: 검출부 140: 구동부
150: 제어부

Claims (8)

  1.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Shelf);
    상기 복수의 선반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래크(Rack);
    상기 복수의 선반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부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함께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동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5.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Shelf)과, 상기 복수의 선반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래크(Rack)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출부가 초기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
  7.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Shelf)과, 상기 복수의 선반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래크(Rack)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검출부가 초기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종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송 받은 구동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동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MR 센서(Magnetoresistance Sensor)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선반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홀 센서 또는 상기 MR 센서로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넷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마그넷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존재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래크 각각에 대한 종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제어 방법.
KR1020160135528A 2016-10-19 2016-10-19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2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28A KR20180042928A (ko) 2016-10-19 2016-10-19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28A KR20180042928A (ko) 2016-10-19 2016-10-19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28A true KR20180042928A (ko) 2018-04-27

Family

ID=6208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528A KR20180042928A (ko) 2016-10-19 2016-10-19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9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22B1 (ko) * 2012-12-04 2014-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멀티자동판매기의 선반제어정보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22B1 (ko) * 2012-12-04 2014-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멀티자동판매기의 선반제어정보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3295B2 (ja) 自動販売機
US11393274B2 (en) Method for detecting quantity of items, and vending machine
CN101118599B (zh) 一种证件管理方法和系统
US1055902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harmacy order-picking system
WO2021115213A1 (zh) 无线充电模块、无线充电桌、以及无线充电方法
US11995942B2 (en) Vending machine
CN106460262B (zh) 输纬器装置
CN103854370B (zh) 多功能自动售货机的货架控制信息管理装置及其方法
KR20180042928A (ko) 자동 판매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110326A (zh) 纸页处理器和纸页处理方法
JP2005001781A (ja) ピッキング支援装置
US20090095696A1 (en) Shelf storage system with an input station
JP3844903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200342706A1 (en)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detecting height of storage column
KR20040069390A (ko) 적외선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가열로 장입용 슬라브길이측정 방법 및 그 장치
JP4929016B2 (ja) 調剤装置のシート取り扱い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216156A (ja) 自動販売機
CN209486796U (zh) 一种售卖系统
CN103566528A (zh) 具有负载检知系统的重量训练器
JP2680028B2 (ja) 自動販売機における商品載置台昇降制御装置
CN101293139A (zh) 球供给装置
CN220189037U (zh) 一种物料推出机构及物料发放设备
CN211426793U (zh) 货篮定位系统
JP2017109868A (ja) 物品保管装置
CN212302624U (zh) 一种自动售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