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845A - 자동차를 위한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 Google Patents

자동차를 위한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845A
KR20180042845A KR1020187003878A KR20187003878A KR20180042845A KR 20180042845 A KR20180042845 A KR 20180042845A KR 1020187003878 A KR1020187003878 A KR 1020187003878A KR 20187003878 A KR20187003878 A KR 20187003878A KR 20180042845 A KR20180042845 A KR 2018004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ring
bearing bushing
elastomeric element
sleeve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룸펠
하르트무트 크레머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4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F16F1/38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by means of inserts of more rigi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52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 F16F2230/0058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using inserts or exterior elements, e.g. to affect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베어링 부싱(1)은 2개 이상의 강도 단계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베어링 부싱(1)은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preloading)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를 위한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본 발명은, 내부 링 및 외부 링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과 외부 링 사이에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베어링 부싱은 2개 이상의 강도 단계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다.
자동차의 섀시에서 사용되는 베어링 부싱의 구조와 이 구조에 기인하는 작동 데이터는 자동차의 주행 특성 및 조향 특성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 베어링 부싱의 강도 또는 스프링 상수의 비교적 작은 변동만으로도, 예컨대 과소 또는 과잉 제어 거동뿐 아니라 섀시 프레임 소음, 진동 및 주행 경도(running hardness)와 같은 차량 특성에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베어링 부싱의 각각의 설정에 따라 자동차는 비교적 "연성의" 또는 비교적 "경성의" 주행 거동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자동차의 섀시 분야에는 다양한 베어링 부싱들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으로, 규정된 강도를 갖는 순수하게 기계적인 베어링 부싱 또는 고무 베어링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된 강도 또는 가변 강도를 갖는 유압 감쇠식 섀시 부싱이 공지되어 있다. 추가로, 자기 유변 유체 또는 자기 유변 엘라스토머를 갖는 베어링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때 강도는 자기장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예컨대, 문헌 DE 696 22 141 T2에는 자동차 내 서스펜션 컨트롤 아암과 자동차의 프레임 부품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가변 강도를 갖는 서스펜션 부싱의 제조 및 이용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서스펜션 부싱은 가변 강도를 갖는데, 이러한 가변 강도는, 제어 가능한 자기장에 의해 자신의 강도가 넓은 범위에 걸쳐 변경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는 자기 유변 엘라스토머 또는 겔이 함입됨으로써 구현된다. 이 변경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는 자기장은, 구조부의 일부로서 서스펜션 부싱 구조부 내에 완전히 통합된 전자기 구조부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베어링 부싱의 강도가 기계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유압식 또는 자기 유변식 작용 원리에 기반하지 않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베어링 부싱은 엘라스토머 요소에 예비 하중(preloading)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엘라스토머 요소에 예비 하중을 제공함으로써, 베어링 부싱의 강도가 증가된다. 이로써, 베어링 부싱은 제1 스위칭 위치에서 최소의 강도를 갖게 되며, 이 경우 엘라스토머 요소는 최소의 예비 하중을 받아서 최대의 변형 포텐셜을 갖는다. 그에 비해, 베어링 부싱은 제2 스위칭 위치에서 최대 강도를 가지며, 이 경우 엘라스토머 요소는 최대의 예비 하중을 받아서 최소의 변형 포텐셜을 갖는다. 제1 스위칭 위치와 제2 스위칭 위치 사이에서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스위칭 위치가 가능하며, 이 경우 엘라스토머 요소에 작용하는 예비 하중은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을 개선하는 다른 조치들은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용 섀시 링크의 사시도로서, 이 경우에는 섀시 링크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을 가지며,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a는 제4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베어링 부싱이 낮은 강도를 가지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베어링 부싱이 높은 강도를 갖고,
도 6a는 제5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제6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8은 제7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제8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10은 제9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섀시 링크(17)에서 이를 위해 제공된 보어(16)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섀시 링크(17)는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동차의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섀시 내에 설치된다. 베어링 부싱(1)의 볼트(18)에는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동차의 축 캐리어가 고정된다. 또한, 섀시 링크(17)는, 스위칭 불가능한 기계식 베어링 부싱(1a)이 배열되어 있는 추가의 보어(16a)를 구비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베어링 부싱(1a)은 종래 방식의 고무 베어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부싱(1a)의 볼트(18a)에는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휠 캐리어가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또한, 외부 링(3)의 내부 둘레 면에는 주연부에 걸친 그루브(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루브 내에 환상 클램핑 요소(12)가 배열되어 있다. 이때, 환상 클램핑 요소(12)의 직경은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축소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환상 클램핑 요소(12)의 직경 감소에 의해서 엘라스토머 요소(4a)에 가해지는 예비 하중이 증가된다. 클램핑 요소(12)의 직경 확대는 엘라스토머 요소(4a)에 가해지는 예비 하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베어링 부싱(1)에 부하가 가해질 때, 주연부에 걸친 그루브(11) 내부로의 엘라스토머 요소(4a)의 유동까지도 구현하며, 이로 인해 베어링 부싱(1)의 강도는 더욱 감소된다. 환상 클램핑 요소(12)의 직경을 변경하기 위해, 환상 클램핑 요소(12)가 액추에이터(15)와 상호 작용한다.
도 3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또한, 내부 링(2)이 슬리브(5) 상에 배열되어 있다. 더 나아가, 슬리브(5) 상에는,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및 제2 쐐기형 링(6a, 6b)이 배열되어 있다. 이때, 개별 쐐기형 링(6a, 6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슬리브(5) 사이에 접한다. 2개의 쐐기형 링(6a, 6b)이 축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내부 링(2)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다. 이 목적을 위해, 내부 링(2)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내부 링(2)은 탄성적인 변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 내부 링(2)은 특히 벽이 얇게 형성되어 있다. 2개 쐐기형 링(6a, 6b)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해, 2개의 쐐기형 링(6a, 6b)은 액추에이터(15)와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내부 링(2)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반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쐐기형 슬리브(7) 상에 배열되어 있다. 쐐기형 슬리브(7)는 자신의 측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리브(5) 상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쐐기형 슬리브(7)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내부 링(2)을 축 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슬리브 요소(19)는 축 방향으로 내부 링에 지지된다. 쐐기형 슬리브(7)의 축 방향 이동은 내부 링(2)의 반경 방향 확장을 유도한다. 이 목적을 위해, 내부 링(2)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특히 전체 둘레 면에 걸쳐 분포된,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한다. 내부 링(2)의 확장은 외부 링(3)과 내부 링(2) 사이에서 엘라스토머 요소(4a)의 가압을 야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엘라스토머 요소(4a)에 가해지는 예비 하중이 증가하고, 이로써 베어링 부싱(1)의 강도도 증가한다. 쐐기형 슬리브(7)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쐐기형 슬리브(7)가 액추에이터(15)와 상호 작용한다.
도 5a 및 도 5b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또한, 반경 방향으로 슬리브(5)와 내부 링(2) 사이에는 3개의 편심 링(8a, 8b, 8c)이 각각 베어링 요소(20a 내지 20f)를 통해서 회전 동작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베어링 요소(20a 내지 20c)는 내부 링(2)의 내부 둘레 면에 배열되어 있고, 베어링 요소(20d 내지 20f)는 슬리브(5)의 외부 둘레 면에 배열되어 있다. 2개의 편심 링(8a 및 8c)이, 축 방향으로 이들 편심 링 사이에 배열된 편심 링(8b)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내부 링(2)의 반경 방향 확장이 이루어진다. 이 목적을 위해, 내부 링(2)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체 둘레 면에 걸쳐 분포된,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한다. 내부 링(2)의 확장은 일 측으로의 엘라스토머 요소(4a)의 반경 방향 압축을 유도하고, 이로써 엘라스토머 요소(4a)에 가해지는 예비 하중의, 방향에 따른 증가를 유도한다. 도 5a에 따르면, 베어링 부싱(1)은 본 제1 스위칭 위치에서 최소의 강도를 갖는다. 이때, 엘라스토머 요소(4a)는 편심 링(8a 내지 8c)에 의해서 압축되지 않는다. 그에 비해, 도 5b에는 베어링 부싱(1)이 제2 스위칭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제2 스위칭 위치에 따라, 베어링 부싱(1)은 최대의 강도를 가지며, 이 경우 엘라스토머 요소(4a)는 최대로 압축된다. 또한, 내부 링(2)은 제2 스위칭 위치에서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 6a 및 도 6b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또한, 반경 방향으로 엘라스토머 요소(4a)와 외부 링(3) 사이에는 6개의 쐐기형 요소(10a 내지 10f)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쐐기형 요소는 외부 링(3)의 내부 둘레 면에 있는 개별 램프(9a 내지 9f)와 상호 작용한다. 개별 쐐기형 요소(10a 내지 10f)가 개별 램프(9a 내지 9f)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링(3)의 회전 동작으로 인해 개별 쐐기형 요소(10a 내지 10f)의 반경 방향 동작이 이루어진다. 쐐기형 요소(10a 내지 10f)의 반경 방향 동작은 축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엘라스토머 요소(4a)의 압축을 야기한다. 엘라스토머 요소(4a)에서 쐐기형 요소(10a 내지 10f)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쐐기형 요소(10a 내지 10f)는 바람직하게 엘라스토머 요소(4a) 상에서 가황 처리되고, 추가로 반경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목적을 위해, 개별 볼트(22a 내지 22f)가 개별 쐐기형 요소(10a 내지 10f)를 관통하게 되며, 이 경우 개별 볼트(22a 내지 22f)는 도 6b에 도시된 그루브 디스크(24a, 24b)에 있는 개별 그루브(23a 내지 23g)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이로써, 볼트(22a 내지 22f)는 오로지 반경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내부 링(2)에 대하여 상대적인 외부 링(3)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하여, 외부 링(3)은 외부 둘레 면에 미끄럼 베어링 부싱(21)을 구비하며, 이 경우 외부 링(3)은 액추에이터(15)와 연결되어 있다.
도 7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또한, 추가의 내부 링(2a, 2b) 그리고 추가의 외부 링(3a, 3b)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개별 내부 링(2a, 2b)과 개별 외부 링(3a, 3b) 사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b, 4c)가 각각 축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되어 있다. 3개의 외부 링(3, 3a, 3b)은 회전 동작 가능하게 미끄럼 베어링 부싱(2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 요소들(4a 내지 4c)은 편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요소(4a 내지 4c)의 회전은 개별 엘라스토머 요소(4a 내지 4c)의 반경 방향 압축을 유도하고, 이로써 개별 엘라스토머 요소(4a 내지 4c)에 가해지는 예비 하중의, 방향에 따른 증가를 유도한다. 개별 엘라스토머 요소(4a 내지 4c)에 가해지는 예비 하중의, 방향에 따른 증가를 구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엘라스토머 요소(4a)는 자신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외부 링(3) 및 자신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내부 링(2)과 함께 시계 바늘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되며, 이 경우 엘라스토머 요소(4b 및 4c)는 개별 외부 링(3a, 3b) 및 개별 내부 링(2a, 2b)과 함께 시계 바늘과 반대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앙 축은 위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축 운동학에 관여하게 된다. 개별 내부 링(2, 2a, 2b)은 개별 베어링 요소(20a 내지 20c)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개별 엘라스토머 요소(4a 내지 4c)는 개별 액추에이터(15a 내지 15c)와 상호 작용한다.
도 8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디스크(13a, 13b)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 링(2)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디스크(13a, 13b)는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하여 액추에이터(15)를 통해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엘라스토머 요소(4a)는 2개의 디스크(13a, 13b)를 통해서 축 방향으로 압축된다.
도 9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엘라스토머 요소(4a)는 2개의 레그(14a 및 14b)를 구비하며, 이들 레그는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위치에서는 엘라스토머 요소(4a)의 내부 둘레 면에서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레그(14a, 14b)는 이들 레그에 배열된 개별 미끄럼 부싱(21a, 21b)을 통해 내부 링(2) 상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엘라스토머 요소(4a)의 외부 둘레 면은 외부 링(3)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되어 있다. 베어링 부싱(1)의 강도를 변경하기 위해, 엘라스토머 요소(4a)를 축 방향으로 압축하기 위하여, 2개의 디스크(13a, 13b)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 링(2)에 배열되어 있다. 이로써, 2개의 레그(14a, 14b)는 액추에이터(15)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엘라스토머 요소(4a)에 가해지는 예비 하중이 증가된다. 강도의 변경은,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부하를 받지 않는 엘라스토머 요소(4a)의 자유 표면의 변경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출발 상태에서는, 엘라스토머 요소(4a)가 부하를 받지 않는 복수의 표면을 갖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연성이다. 최대 강도의 상태에서, 2개의 레그(14a, 14b)가 한 편으로는 축 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2개의 레그(13a, 13b)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부하를 받으면, 실질적으로 엘라스토머 요소(4a)에는 더 이상 자유 표면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도 10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싱(1)은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구비한다. 엘라스토머 요소(4a)는 2개의 레그(14a, 14b)를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2개의 레그(14a, 14b)가 불룩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2개의 레그(14a, 14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축 방향으로 2개의 레그(14a, 14b) 사이에서는 렌즈 형상의 공동(25)이 생성된다. 또한, 2개의 디스크(13a, 13b)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 링(2)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디스크(13a, 13b)는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하여 축 방향으로 개별 레그(14a, 14b)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2개의 레그(13a, 13b)가 액추에이터(15)와 상호 작용한다. 이 경우에도, 강도의 변경은 도 9에서와 마찬가지로,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부하를 받지 않는 엘라스토머 요소(4a)의 자유 표면의 변경에 의해서 나타난다.
1, 1a: 베어링 부싱
2: 내부 링
3: 외부 링
4a 내지 4c: 엘라스토머 요소
5: 슬리브
6a, 6b: 쐐기형 링
7: 쐐기형 슬리브
8a, 8b: 편심 링
9a 내지 9d: 램프
10a, 10b: 쐐기형 요소
11: 그루브
12: 클램핑 요소
13a, 13b: 디스크
14a, 14b: 레그
15: 액추에이터
16, 16a: 보어
17: 섀시 링크
18, 18a: 볼트
19: 슬리브 요소
20a 내지 20f: 베어링 요소
21: 미끄럼 베어링 부싱
22a 내지 22f: 볼트
23a 내지 23d: 그루브
24a, 24b: 그루브가 형성된 디스크
25: 공동

Claims (10)

  1. 내부 링(2) 및 외부 링(3)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외부 링(3) 사이에 배열된 엘라스토머 요소(4a)를 포함하며, 베어링 부싱(1)은 2개 이상의 강도 단계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에 있어서,
    베어링 부싱(1)은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링(2)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슬리브(5)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링(2)과 슬리브(5) 사이에는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쐐기형 링(6a, 6b)이 슬리브(5)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링(2)은 쐐기 형상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쐐기형 슬리브(7)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쐐기형 슬리브(7)는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 링(2)에 배열되어 있으며, 내부 링(2)은 적어도 일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4.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링(2)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2개 이상의 편심 링(8a, 8b)을 통해서 슬리브(5)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2개 이상의 편심 링(8a, 8b)은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링(2)과 슬리브(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링(3)은 내부 둘레 면에 복수의 램프(9a, 9b)를 구비하며, 개별 램프(9a, 9b)는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열된 개별 쐐기형 요소(10a, 10b)와 반경 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링(3)은 내부 둘레 면에 주연부에 걸친 그루브(11)를 구비하며, 환상 클램핑 요소(12)가 그루브(11) 내에 배열되어 있으며,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환상 클램핑 요소(12)의 직경이 축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7. 제1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요소(4a)는 편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축 방향으로 이웃하여, 편심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추가 엘라스토머 요소(4b)가 배열되어 있으며, 적어도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편심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엘라스토머 요소들(4a, 4b)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디스크(13a, 13b)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부 링(2)에 배열되어 있으며, 엘라스토머 요소(4a)에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디스크(13a, 13b)는 엘라스토머 요소(4a)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9. 제8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요소(4a)는 2개의 레그(14a, 14b)를 구비하며, 상기 레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 부싱(1)은 베어링 부싱(1)의 강도를 변경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어링 부싱(1).
KR1020187003878A 2015-08-13 2016-05-17 자동차를 위한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KR20180042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5426.2A DE102015215426B4 (de) 2015-08-13 2015-08-13 Schaltbare Lagerbuchs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15426.2 2015-08-13
PCT/DE2016/200233 WO2017025086A1 (de) 2015-08-13 2016-05-17 Schaltbare lagerbuchse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845A true KR20180042845A (ko) 2018-04-26

Family

ID=5641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878A KR20180042845A (ko) 2015-08-13 2016-05-17 자동차를 위한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70978B2 (ko)
KR (1) KR20180042845A (ko)
CN (1) CN107850160B (ko)
DE (1) DE102015215426B4 (ko)
WO (1) WO2017025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4519B4 (de) * 2015-03-23 2018-02-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altbare Lagerbuchs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15425B3 (de) * 2015-08-13 2016-06-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altbare Lagerbuchse für ein Kraftfahrzeug
WO2018008425A1 (ja) * 2016-07-05 2018-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能動型騒音振動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7009679B4 (de) * 2017-10-18 2021-05-12 Jörn GmbH Elastomer-Metall-Lager
JP6576412B2 (ja) * 2017-11-17 2019-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用のマウント
US20230406087A1 (en) * 2020-10-14 2023-12-21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Mount design with integrated tunable retention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0607A (en) * 1926-04-09 1930-03-11 Gen Motors Res Corp Spring shackle
FR982035A (fr) * 1943-06-02 1951-06-04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systèmes du genre de ceux comportant un élement de gomme travaillant entre deux armatures et aux procédés pour les établir
US2414743A (en) 1943-07-08 1947-01-21 Lord Mfg Co Joint
US2460292A (en) * 1945-08-01 1949-02-01 Ivanovic Nicholas Vibration insulating mounting
DE923149C (de) 1952-02-26 1955-02-03 Schoeller & Co Elektrotech Vorrichtung zur Anzeige der Unsymmetrie in Dreiphasennetzen
US2917302A (en) * 1956-03-20 1959-12-15 Mattern Suspension system, especially for vehicles
US3134585A (en) * 1960-02-08 1964-05-26 Miner Inc W H Shock attenuating devices
GB1025402A (en) 1962-11-07 1966-04-06 Gomma Antivibranti Applic Resilient bearings for eliminating or damping vibration
FR1401275A (fr) * 1964-04-09 1965-06-04 Commerciale Paulstra Soc Perfectionnements aux supports élastiques antivibrants
US3279779A (en) * 1964-07-20 1966-10-18 Lord Corp Combined disc and elastomeric spring
US3411803A (en) * 1966-06-20 1968-11-19 Jamco Inc Vehicle idler arm
FR2122018A5 (ko) * 1971-01-14 1972-08-25 Kleber Colombes
NZ221163A (en) * 1988-01-22 1991-07-26 Bruce Archibald Short Tapered resilient bush for vehicle suspension arm
DE3923149A1 (de) * 1989-07-13 1991-01-24 Continental Ag Motorlager mit schaltbarem anschlag
DE4036538C2 (de) 1990-11-16 1997-01-3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ggregatlager
JP3039105B2 (ja) * 1992-01-30 2000-05-0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筒型防振マウントと該筒型防振マウントを用いたパワープラント支持装置および該パワープラント支持装置における筒型防振マウントの制御方法
EP0784163B1 (en) 1996-01-11 2002-07-03 Ford Motor Company Limited Variable stiffness bushing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s
DE19605859C2 (de) 1996-02-16 1998-07-02 Metzeler Gimetall Ag Lagerbuchse
US5816587A (en) * 1996-07-23 1998-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rake shudder
US5924670A (en) * 1997-12-09 1999-07-20 Applied Power Inc. Adaptively tuned elastomeric vibration absorber
US20020113349A1 (en) 2001-02-09 2002-08-22 Rivin Evgeny I. Nonlinear and adjustable bushings
DE10117587A1 (de) * 2001-04-07 2002-10-10 Volkswagen Ag Pendelstütze für ein Aggregat in einem Kraftfahrzeug
DE10237439A1 (de) 2001-08-23 2003-03-13 Zf Sachs Ag Verstellbarer Stabilisator
DE10302790B3 (de) 2003-01-24 2004-07-01 Trelleborg Automotive Technical Centre Gmbh Lagerbuchse, insbesondere zum Lagern von schwingungsbeanspruchten Bauteilen eines Kraftfahrzeugs
DE10330877B4 (de) * 2003-07-09 2019-11-07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Fahrwerkslager
JP2005127386A (ja) 2003-10-22 2005-05-19 Honda Motor Co Ltd ゴムブッシュマウント
DE102004034632A1 (de) * 2004-07-16 2006-02-16 Zf Friedrichshafen Ag Elastomeres Buchsenlager mit Axialanschlag
DE102005028563B4 (de) * 2005-06-21 2021-06-10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Lager
DE102006030967A1 (de) 2006-07-03 2008-01-10 Universität Rostock Elastomeres Element
DE102007012772B4 (de) 2007-03-16 2012-09-27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Elastisches Lagerelement
DE102007026471B4 (de) 2007-06-05 2009-01-22 Zf Friedrichshafen Ag Federbeinstützlager
DE102009041022A1 (de) * 2009-09-12 2011-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geranordnung eines Stabilisators im Fahrwerk eines Fahrzeugs
US9284975B2 (en) 2011-03-09 2016-03-15 FM Energie GmbH & Co., KG Bushing which can be pretensioned by material displacement and bearing equipped with said bushing
DE102013013092A1 (de) * 2013-03-25 2014-09-25 Carl Freudenberg Kg Lager
DE102015215423A1 (de) * 2015-08-13 2017-02-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altbare Lagerbuchse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23936A1 (en) 2018-08-09
CN107850160A (zh) 2018-03-27
US10570978B2 (en) 2020-02-25
CN107850160B (zh) 2022-05-31
WO2017025086A1 (de) 2017-02-16
DE102015215426B4 (de) 2019-06-19
DE102015215426A1 (de)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2845A (ko) 자동차를 위한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US7506862B2 (en) Elastomer bush bearing with axial limit stop
KR20180040141A (ko) 자동차를 위한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EP1591679B1 (en) Thrust slide bearing
KR200471277Y1 (ko) 자동차 베어링 블록에서 사용되는 다부품 가이드 베어링
US10718395B2 (en) Switchable bearing bushing for a motor vehicle
KR20180042846A (ko) 자동차를 위한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US20170363150A1 (en) Torsional Damper With Angular-Dependent Friction Damping Device
US10625551B2 (en) Elastic chassis link for a vehicle
US10919565B2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4772114B2 (ja) ベアリング
JP2009542997A (ja) トルク伝達装置
EP3214324A1 (en) Synthetic resin sliding bearing
EP3372857B1 (en) Synthetic resin slide bearing
KR102136479B1 (ko)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KR20180018539A (ko) 자동차용 스위칭 가능한 베어링 부싱
EP3379095A1 (en) Synthetic resin plain bearing
JP2007127173A (ja) バウンドストッパ
KR20200111852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의 부시 장치
US20180050574A1 (en) Switchable bearing bush for a motor vehicle
JP6177106B2 (ja) フリクション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