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11A -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11A
KR20180042611A KR1020160134976A KR20160134976A KR20180042611A KR 20180042611 A KR20180042611 A KR 20180042611A KR 1020160134976 A KR1020160134976 A KR 1020160134976A KR 20160134976 A KR20160134976 A KR 20160134976A KR 20180042611 A KR20180042611 A KR 20180042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ear
worm
coil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균
Original Assignee
정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균 filed Critical 정현균
Priority to KR102016013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611A/ko
Publication of KR2018004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수용랙에 진열된 제품을 인출하는 방식을 PUSH 방식과 나선형 코일 방식의 인출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상품을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기기로 보다 다양한 제품의 판매가 가능하여 고객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수용랙에 진열된 제품을 인출하는 방식을 PUSH 방식과 나선형 코일 방식의 인출장치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상품을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기기로 보다 다양한 제품의 판매가 가능하여 고객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동전이나 지폐 등의 금품을 투입하고, 그 가치에 상당하는 물품을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이다.
자동판매기는 무인판매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좁은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운영할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에 많은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그 판매 물품에 있어서도 음료, 스낵 등의 식품 뿐만 아니라 캔 음료등 다양한 상품을 그 판매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판매기에서 제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장치는 나선형 코일방식과 PUSH방식으로 구분되며 나선형 코일방식의 경우 제품의 적재 및 배출을 담당하는 나선형 코일과 상기 나선형 코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다수개 코일은 각각 분리판에 의하여 분리되어 제품들이 이송과정에서 섞이거나 코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해주어, 대금이 투입되면 투입된 금액을 제어부에서 확인하고, 제품선택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부에서 확인하여 해당 제품의 대금 이상의 금액이 투입된 경우에는 해당 제품의 모터를 구동시켜 코일을 회전시킴으로서 제품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인출장치에 의하면 제품이 코일과 마찰하면서 비틀리거나 제품이 이송중 바닥면과 마찰하면서 제품에 손상이 발생하고, 코일을 회전시키는 모터에 피로도를 증가시켜 모터의 수명을 단축하며, 코일사이에 제품이 적재되므로 적재 깊이가 깊어질수록 제품의 기울기도 커지게 되어 내용물의 손상 등이 발생될 수 있었다.
아울러, 배출구는 통상 사각형구조로 되어 있고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제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제품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통상 제품의 특성에 따라 자동판매기에서 판매할 제품목록이 정해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음료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다수 종류의 음료들만이 전시되고 있고, 휴지류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다수 종류의 휴지류만 전시되고 있다.
상기한 자동판매기가 특정한 제품류만 판매하는 이유는 인출방식이 나선형 코일 방식 또는 PUSU방식으로 구별되어 있어 하나의 자동판매기에 다양한 상품을 비치하지 못하여 판매되는 제품류가 한정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공개특허 10-2011-00046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형 코일 방식과 PUSH 방식의 인출장치를 겸비하여 상품종류의 다양화는 물론 유지, 보수 및 운영적인 면에서 보다 경제성이 높은 자동판매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는 상품수용랙에 수납 보관된 제품을 인출하는 인출부를 나선형 코일 방식과 PUSH방식으로 복합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웜기어에 의하여 각각의 인출부를 동작시켜 인출동작이 정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나선형 코일 방식과 PUSH방식의 인출부를 복합적으로 구비하여 특정한 제품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상품을 판매 가능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높임은 물론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어 제품 판매실적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외형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를 보인 상태의 정면도.
도 4와 본 발명의 인출장치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출장치를 복수개로 구성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출장치의 구조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스파이럴 방식의 상품 인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푸시방식의 상품 인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의 외형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를 보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상자형의 하우징이 외관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품을 적재하고 있는 상품수용랙과, 적재된 상품을 하나씩 인출하는 인출장치와 상기한 인출장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상품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품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하우징에 수직축 형태로 구비된 제1구동수단(200), 상기 제1구동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장치와, 상기 제1구동수단의 상하에 장착되며 수직축 형태의 제1구동수단을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구동수단(202)으로 구성되어 인출장치에 의하여 인출되는 제품을 배출구로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인출장치는 나선형 코일 방식과 푸시(PUSH)방식으로 복합적으로 하우징내에 배열되어 각각의 제품별로 다양한 제품을 진열 및 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으로 제품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최대 적재가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하여 상품수용랙 내부에는 다양한 제품이 적재 가능하며, 이와 같이 다양한 제품의 적재로 인하여 다양한 생필품 등을 동시에 적재하여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나선형 코일 방식과 PUSH 방식의 인출장치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을 보관하는 코일(2)과, 상기 코일을 회전시키는 작동기어(6)와, 상기 작동기어의 회전을 위한 타이밍벨트(4)와, 상기 타이밍벨트의 풀리홈에 맞물려 배출기 모터에 의하여 연동되도록 한 구동풀리(4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기어(6)는 웜기어 방식 또는 베벨기어 방식으로 구성되며, 타이밍벨트에 의하여 연동되는 중심축(64a)에 웜(33) 또는 베벨기어(35)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웜 또는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웜힐(36) 또는 베벨기어(35a)를 설치하여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웜휠 또는 베벨기어(35a)의 중심축(64)에는 코일고정용부싱(62)으로 코일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중심축(64)은 고정용E링(66)으로 그 중심축을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한다.
상기 웜 또는 베벨기어를 작동하는 중심축(64a)은 타이밍벨트(4)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기어(68)를 축설하며 중심축(64a)의 양단은 커버(7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고정용E링(66)으로 좌우 유격이 없도록 고정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수용랙과 상품수용랙은 2개의 인출부를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작동기어(6)와 작동기어(6)에 평기어(71)를 맞물려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크기가 큰 경우 두 개의 코일을 사용하여 제품을 인출하여 상품수용랙을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푸시(PUSH) 방식의 인출장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휠(33) 또는 베벨기어(35a)의 중심축(64)에 수나사(72)를 형성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나사에 맞물리며 직선운동 대상이 되는 암나사부에 상품을 밀어줄 수 있도록 수직축 형태의 밀대(76)를 장착한 볼 스크류(ball screw)로 방식으로 구성하여 중심축(64)이 회전하면 물려있던 암나사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밀대가 전진하면서 물품을 인출하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푸시(PUSH) 방식과 나선형 코일방식을 복합적으로 배열 설치하므로 제품을 다양하게 진열 및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는 타이밍벨트에 의한 작동방식으로 구동되므로 그 동작이 정확하여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방식보다 더욱 세밀한 구동이 가능하여 소형 상품의 판매가 가능함은 물론 적재용량의 확대에 따른 상품 판매의 다양화를 노릴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품 인출장치는 기존의 자동판매기의 상품수용랙을 제거하고 장착 가능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중 도 6내기 도 9에서는 웜기어와 베벨기어에 코일 방식과 푸시방식이 상하 복합적으로 형성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두 개를 한꺼 번에 설치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되는 판매기에 따라 웜휠 또는 베벨기어의 중심축에 푸시방식 또는 코일방식을 설치하고 다른 부품은 제거하여야 하는 것이다.
즉, 코일방식을 설치하면 푸시방식은 제거하고, 푸시방식으로 설치하면 코일방식은 제거하여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조체(바디)에 설치되는 작동기어에 스파이럴 방식 푸시방식을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여 종래의 자동판매기와는 차별이 가능하며 선택적인 설치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자동판매기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보다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코일 4: 타이밍벨트
6: 작동기어

Claims (5)

  1. 상자형의 하우징이 외관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품을 적재하고 있는 상품수용랙과, 적재된 상품을 하나씩 인출하는 인출장치와 상기한 인출장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그리고 상품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품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한 인출장치는 상품을 인출하기 위한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벨트(4)와, 상기 타이밍벨트의 풀리홈에 맞물려 배출기 모터에 의하여 연동되도록 한 구동풀리(40)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기어(6)는 타이밍벨트에 의하여 연동되는 중심축(64a)에 웜(33) 또는 베벨기어(35)를 설치하여 상기 웜과 베벨기어(35)에 맞물려 회전하는 웜힐(36) 또는 베벨기어(35a)를 설치하여 연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웜휠 또는 베벨기어(35a)에 상품인출용 나선형 코일 또는 푸시방식의 밀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6)를 구성하는 웜휠과 베벨기어를 고정하는 중심축(64)에는 코일고정용부싱(62)으로 코일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중심축(64)은 고정용E링(66)으로 그 중심축을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하고, 작동기어(6)의 중심축(64a)은 타이밍벨트(4)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기어(68)를 축설하며 중심축(64a)의 양단은 커버(7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고정용E링(66)으로 좌우 유격이 없도록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방식의 인출장치는 중심축(64)에 수나사(72)를 형성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맞물리며 직선운동 대상이 되는 암나사부(74)에 상품을 밀어줄 수 있도록 수직축 형태의 밀대(76)를 장착하여 수나사가 회전하면 물려있던 암나사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밀대가 전진하면서 물품을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수용랙은 2개의 상품수용랙의 작동기어를 평기어(71)로 맞물려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제품의 크기가 큰 제품을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5. 상자형의 하우징이 외관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품을 적재하고 있는 상품수용랙과, 적재된 상품을 하나씩 인출하는 인출장치와 상기한 인출장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그리고 상품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품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한 인출장치는 하나의 구조체(바디)에 설치되는 작동기어에 웜과 웜휠의 조합에 의한 웜기어방식 또는 베벨기어의 조합에 의한 구동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며, 웜힐과 베벨기어의 중심축에 상품인출용 코일 또는 푸시방식의 밀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KR1020160134976A 2016-10-18 2016-10-18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KR20180042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976A KR20180042611A (ko) 2016-10-18 2016-10-18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976A KR20180042611A (ko) 2016-10-18 2016-10-18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11A true KR20180042611A (ko) 2018-04-26

Family

ID=6208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976A KR20180042611A (ko) 2016-10-18 2016-10-18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6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6062A (zh) * 2020-11-19 2021-03-09 张成鹏 一种体育用品共享自动租用机
CN114468580A (zh) * 2022-02-10 2022-05-13 江苏医信康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室用智能发衣柜
CN114550370A (zh) * 2022-02-08 2022-05-27 深圳华侨城卡乐技术有限公司 一种双向双级伸缩机构及无人售卖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6062A (zh) * 2020-11-19 2021-03-09 张成鹏 一种体育用品共享自动租用机
CN114550370A (zh) * 2022-02-08 2022-05-27 深圳华侨城卡乐技术有限公司 一种双向双级伸缩机构及无人售卖机
CN114468580A (zh) * 2022-02-10 2022-05-13 江苏医信康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室用智能发衣柜
CN114468580B (zh) * 2022-02-10 2023-09-22 江苏医信康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室用智能发衣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222B1 (ko) 자동 판매기
KR102128770B1 (ko) 포장육 자동판매기
TWI651690B (zh) 手動商品販賣裝置
KR101647043B1 (ko)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
KR20180042611A (ko)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KR200483539Y1 (ko) 자동 판매기 일체형 테이블
JP2009288982A (ja) 自動販売機
US1987835A (en) Vending machine
KR102019161B1 (ko)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US3720350A (en) Vending machine
US2272859A (en) Dispensing machine
JP5251739B2 (ja) 自動販売機
KR20210072083A (ko)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KR101341528B1 (ko) 식품 자판기
KR101260763B1 (ko) 자동 판매기
KR20010095130A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MX2015001875A (es) Aparato de almacenamiento de productos.
KR101806458B1 (ko) 자동판매기
US2968518A (en) Multiple merchandising vending machine
KR100624706B1 (ko) 페트병 자동판매기용 랙크
KR101335482B1 (ko) 자판기용 구동부 어셈블리
KR102648687B1 (ko) 자동판매장치
KR20140045083A (ko)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KR101360006B1 (ko) 컴팩트 자동판매기
JP2871074B2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0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23

Effective date: 2018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