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848A -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848A
KR20180041848A KR1020160134084A KR20160134084A KR20180041848A KR 20180041848 A KR20180041848 A KR 20180041848A KR 1020160134084 A KR1020160134084 A KR 1020160134084A KR 20160134084 A KR20160134084 A KR 20160134084A KR 20180041848 A KR20180041848 A KR 2018004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copolymer
aerosol formulation
propellant
dioxolan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835B1 (ko
Inventor
이제후
Original Assignee
이제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후 filed Critical 이제후
Priority to KR102016013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76Sprayable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14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1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 공중합체 5~10 wt%, 1,3-디옥소란 10~25 wt%, 휘발성 용매 15~55 wt%, 점착력 향상제 1~5 wt%, 매스틱유 0.5~3 wt%, 분사제(추진제) 25~50 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및 그 제조방법{An aerosol formulation of spray ban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프레이 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공중합체, 1,3-디옥소란, 휘발성 용매, 점착력 향상제, 분사제(추진제), 착향제인 매스틱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굴곡진 부위의 상처보호 및 신축성, 통풍 및 방수가 우수하여 일상생활 및 물속에서도 상처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상처 보호재는 인공피부 연구 초기부터 사용되어져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주로 화상이나 외상등의 치료 보조에 사용되고 있다. 피부에 상처가 생기면 새롭게 성장할 때까지 실리콘이나 드레싱 같은 일시적인 보호막을 부착하거나 본인의 피부조직을 떼어 이식하는 것으로 손상을 입은 피부가 회복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환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체내로부터의 수분 누출을 방지하고 삼출액(염증이 있을 때 혈관 밖으로 나와 병소에 모인 액체)을 흡수하고, 외부로부터의 잡균 침입 및 감염을 방지한다. 겔을 응용한 것 외에도 폴리우레탄 막 또는 키틴 등을 이용한 다공질 막이나 돼지가죽의 동결건조물 등으로 제조되고 있다.
즉, 피부상처 보호재는 상처의 오염방지 및 보호를 목적으로 상처 난 피부에 직접 닿는 의료기기로써, 생체적 합성을 포함하여 상처를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하며 삼출액의 흡수, 출혈 또는 체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피부상처 보호재의 사용방법은 시트형, 겔형, 스프레이형 등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현재 유통되고 있는 피부상처 보호재들은 폴리우레탄 폼형, 시트형, 액체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이중 액상형의 피부상처 보호재는 상처부위 보호 및 치료를 동시에 병행가능하고 빠른 회복이 가능하고, 스프레이 제형 등으로 만들 수 있어서 기술개발 및 원가절감이 실현될 수 있으며, 굴곡진 부위 또는 국소상처부위의 빠른 치료가 가능하다는 특장점이 있어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중 하나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피부 및 상처 보호를 위한 액상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우레탄과 휘발성 용매를 포함하고, 점착제, 방향제, 보습제, 피부 진정제, 국소 마취제, 각질 제거제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와 같은 유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표면에 유체로서 적용되지만, 이후 건조되어 패치와 같은 커버 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개시가 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3은 아크릴 수지, 가소제 및 알코올을 함유한 원액과 분사제(추진제)로 구성되는 피부용 에어로졸 조성물을 인간 피부 상에 분사하여 평평한 막 상태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피부 피복용 피막의 제법, 상기 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인간 피부 피복용 피막 및 상기 제법에 이용하는 인간 피부용 에어로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액상 밴드는 상처에 적용 시 별도의 솔을 이용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과, 솔이 상처부위에 접촉 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필름을 형성할 때 또는 상처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처 면에 덮었을 때, 필름의 특성상 신축성 및 방수성이 거의 없어 움직임 성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어 관절 부위와 같이 굴곡진 부위의 상처에 사용하는 경우에 액상 밴드의 신축성 및 움직임 성이 좋지 않아 뜯어지거나 국소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방수성이 없어 물속에서 액상밴드가 쉽게 떨어지게 되어 상처를 100 % 보호할 수 없고, 반복적으로 도포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등록특허 제10-1125162호 (2010. 09. 29. 공개) 등록특허 제10-0604295호( 2001. 09. 07. 공고) 일본등록특허 제3805521호 (1998. 10. 2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굴곡진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함, 신축성, 방수, 통풍이 가능한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는 아크릴 공중합체 5~10 wt%, 1,3-디옥소란 10~25 wt%, 휘발성 용매 15~55 wt%, 점착력 향상제 1~5 wt%, 매스틱유 0.5~3 wt%, 분사제(추진제) 25~50 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표 1. 조성물 성분표).
번호
조성물
허용 조성 범위(wt%)
1
아크릴공중합체
5~10
2
1,3-디옥소란
10~25
3
휘발성 용매
15~55
4
점착력 향상제
1~5
5
매스틱유(착향제)
0.5~3
6
분사제(추진제)
25~50
합계
100
또한, 상기 아크릴공중합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EA) 30~80 wt%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0~70 wt%로 혼합되어 이루지고, 상기 아크릴공중합체는 1,3-디옥소란에 30 wt%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휘발성 용매는 에탄올,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점착력 향상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실리콘 또는 Luvimer 100P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사제(추진제)는 디메틸에테르(DME; Dimethyl Ether), LPG, 공기(Air),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질소(Nitrogen) 또는 파우치(pouch)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밴드는 방향제, 보습제 또는 소독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향제는 레몬향, 라벤더향, 감귤향, 멘톨 또는 살리실산메틸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며, 보습제는 바셀린 또는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이고, 소독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캄포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제조방법은 에틸아크릴레이트(EA) 30~80 wt%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0~70 wt%를 포함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1,3-디옥소란에 3:7의 중량비로 용해시켜 아크릴 공중합체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액을 에탄올에 용해시키는 단계; 점착력 향상제를 첨가하여 30 분 교반한 후, 매스틱유를 첨가하여 에어로솔 제형의 액상 밴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밴드에 분사제(추진제)를 충전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에 의하면, 피부에 안전한 고분자 물질을 도포하는 스프레이 밴드인 것으로, 상처부위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인하여 상처부위에 적용이 편리하고 굴곡진 부위 또는 국소상처부위의 상처보호, 신축성, 통풍, 방수가 우수하여 일상생활 및 물속에서도 잘 떨어지지 않아 상처를 잘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방수실험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방수력 테스트 전 필터페이퍼 도면이며, 도 2b는 방수력 테스트 후 필터페이퍼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 수지인 아크릴공중합체, 1,3-디옥소란, 휘발성 용매, 점착력 향상제, 매스틱유 및 분사제(추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공중합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EA) 30~80 wt%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0~70 wt%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EA) 및 메틸메타크릴레이드(MMA)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유리전이온도(Tg)가 변하게 되는데, 유리전이온도가 올라가면 소위 플라스틱화가 되며, 유리전이온도가 내려가면 고무화가 되기 때문에 너무 내려가면 점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에틸아크릴레이트(EA)의 함량이 올라가면 고무화가 진행이 되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함량이 올라가면 경화(플라스틱화)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조성범위가 바람직하며, 에틸아크릴레이트 60 wt%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 wt%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점성이 매우 높아 단독으로 바로 사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으므로 극성이 있는 고분자를 매우 잘 녹일 수 있는 물질에 아크릴 공중합체를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1,3-디옥소란에 약 30 wt%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혼합, 즉 아크릴 공중합체를 1,3-디옥소란에 3:7의 중량비율로 혼합,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3-디옥소란에 아크릴 중합체가 30 wt% 초과되면 아크릴중합체의 농도가 진해지고, 30 wt% 미만이면 아크릴중합체의 농도가 묽어지기 때문에 품질에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휘발성 용매는 에탄올,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름형성제로 점착력 향상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력 향상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실리콘 또는 루비머(Luvimer) 100P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고,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력 향상제는 알코올등과 혼합될 수 있고, 점착력에 있어 피부에 부착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므로 밴드 제조 시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매스틱유(mastic oil)는 그리스 키오스섬에서만 자생하는 피스타치아 렌티쿠스(Pistachia lenstiscus) 나무에 날카로운 연장으로 상처를 내어 분비물이 나오게 하면 눈물방울 모양처럼 흐르며 방울지어 땅위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것을 모으면 매스틱 레진(mastic resin) 또는 매스틱 검(mastic gum) 또는 식물성 오일에 녹인 매스틱 유(mastic oil)가 되는 것이다.
상기 매스틱유(mastic oil)는 매스틱 레진(mastic resin) 또는 매스틱 검(mastic gum)이라고도 하며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사용되는데, 의약외품으로 사용 시에는 매스틱 레진 혹은 매스틱 검을 고순도로 추출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매스틱유 또는 매스틱 레진 또는 매스틱 검은 착향제이자, 위·십이지장궤양의 원인이 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해 강력한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39-1946, No. 26, 12.24.1998 참조), 일반세균(대장균, 황색포도구균, 고초균)에도 항균작용을 보였으며(일본 가나가와 치과대학 구강세균학교실 연구 및 J. Asri. Food chem 5:53(20), 7681-5, 2005), 치주병, 창상(創傷), 순창(脣瘡)등에도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식료품((주)진용, 제2014-50호)이나 화장품(CAS No.61789-92-2)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정성이 확보된 원료이다.
본 발명의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는 착향제로 매스틱유를 1~3 wt%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1 wt% 미만이면 착향 효과가 떨어지며, 3 wt% 초과되면 착향 효과는 좋아질 수 있으나, 매스틱 유가 고가의 원료이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증가되어 효율적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분사제(추진제)는 디메틸에터(DME; Dimethyl Ether), LPG, 공기(Air),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질소(Nitrogen) 또는 파우치(pouch)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방향제, 보습제 또는 소독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제는 레몬향, 라벤더향, 감귤향, 멘톨 또는 살리실산메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약 1~5 wt%, 바람직하게는 약 3 wt%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는 바셀린 또는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약 1~5 wt%, 바람직하게는 약 5 wt% 사용할 수 있다.
소독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캄포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약 1~5 wt%, 바람직하게는 약 5 wt%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의 스프레이 밴드는 아크릴공중합체 5~10 wt%, 1,3-디옥소란 10~25 wt%, 휘발성 용매 15~55 wt%, 점착력 향상제 1~5 wt%, 매스틱 유 1.5~2.5 wt%, 분사제(추진제) 25~50 wt%로 이루어진 에어로솔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나면 점착성 및 접착성에 문제가 생기며, 아크릴 공중합체를 녹이는 역할을 하는 1,3-디옥소란이 10 wt% 미만이면 아크릴 공중합체와 1,3-디옥소란 혼합물의 점성이 높아 에어로솔 타입의 스프레이 밴드로 사용할 때 스프레이가 잘 되지 않는 불편을 초래 할 수 있으며, 25 wt%를 초과하면 아크릴 공중합체와 1,3-디옥소란 혼합물의 점성이 낮아 상처부위에 집중분사가 되는 것이 아니라 넓게 퍼지도록 분사되는 등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어로솔 제형으로 스프레이 후 약 3 분 이내 건조되어 필름형태의 피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휘발성 용매가 15 wt% 미만이면 휘발성용매 및 분사제(추진제)와 균일하고 완전하게 섞이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55 wt%를 초과하면 건조되는 시간이 늦어져 피막(필름형태)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로 사용될 때, 1,3-디옥소란 및 휘발성 용매는 공기 중으로 모두 휘발되기 때문에 1.3-디옥소란 및 휘발성 용매의 함량에 따라 원액 물성은 변할 수 있으나, 1,3-디옥소란 및 휘발성 용매가 전부 휘발되면 필름형태가 되기 때문에 1,3-디옥소란 및 휘발성 용매는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점착력 향상제는 1 wt% 미만이면 점착성이 낮아져 굴곡진 부위의 상처 등을 보호하기 어렵고, 특히 물속에서 쉽게 떨어질 수 있으며, 5 wt% 초과하면 점착성이 과도하게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매스틱 유를 착향제로서 포함하고 있으나 그의 고유 항균작용,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분사제(추진제)는 15 wt% 미만이면 에어로솔 제형으로 스프레이 후 고른 분사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며, 50 wt%를 초과하면 에어로솔 타입으로 스프레이 중 원액의 농도가 낮아 피막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에틸아크릴레이트(EA) 30~80 wt%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0~70 wt%를 포함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1,3-디옥소란에 3:7의 중량비로 용해시켜 아크릴 공중합체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액을 에탄올에 용해시키는 단계; 여기에
점착력 향상제를 첨가하여 30 분 교반한 후, 매스틱유를 첨가하여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프레이 원액에 분사제(추진제)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3 구 중합 반응기에 용매인 증류수 200 g을 넣고, 증류수 30 g에 에틸아크릴레이트(EA) 15 g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10 g을 넣은 다음, 유화제인 SLS(sodium lauryl sulfate) 0.3 g를 첨가한다. 그리고 개시제인 포타슘 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를 3 % 수용액 상태로 만들어 0.3 g을 주입시키고 80 ℃에서 3 시간 반응하여 아크릴공중합체를 얻는다.
참조예 2
<매스틱 추출>
매스틱 유(chios gum mastic 제조사: 그리스 키오스 매스틱 재배인 협회) 20 g을 무수에탄올 1:10 (W/V)의 비율로 45 ℃에서 50 rpm으로 3 시간 교반후,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전시킨다.
그리고 매스틱 에탄올 용액의 상층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된 상층액을 45 ℃에서 회전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고순도의 매스틱 추출물 18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원액 제조>
상기 참조예에서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와 1,3-디옥소란을 약 3:7의 중량비율로 용해시켜 얻은 아크릴 공중합체 원액을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원료로 사용한다. 제조한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원료를 에탄올 37.7 중량%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루비머100p 2.6 중량%을 첨가하여 약 30 분 간 교반한 후, 매스틱유 2 wt%를 첨가하여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원액으로 사용한다. 상기 스프레이 밴드 원액을 알루미늄 캔에 넣고 디메틸에테르(Dimethyl ether)를 36 중량% 충전시켜 에어로솔 제형의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아크릴 공중합체와 1,3-디옥소란이 2:8 의 중량비율로 사용되어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아크릴 공중합체와 1,3-디옥소란이 4:6 의 중량비율로 사용되어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에탄올 20 중량%을 사용하고, 분사제(추진제)는 53.7 중량%으로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에탄올 59.7 중량%을 사용하고, 분사제(추진제)는 14 중량%으로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용액 상태의 아크릴 공중합체의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대신에, 기존에 액상밴드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성분의 메디폼리퀴드 (제조원: 제네웰, 판매원 : 한국먼디피마(유))을 구입한 후 최대응력 (maximum stress)값과 신장율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방수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용액 상태인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를 일정크기의 두께(100 μm)로 스프레이 한 후 370 ℃에서 5 분간 건조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1)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기계적 특성 확인 (인장 강도)
상기 필름을 인스트론(Instron) 인장기기 (ASTM D-638-03, 인스트론 US 3360시리즈)로 인장시험을 실행하였다. 측정방법은 도그-본(dog-bone)형태로 제조된 필름을 그립(grip)사이에 위치시키고 고정시킨 후, 50 mm/min의 cross-head speed로 인장시험을 시행하였으며, 최대응력(maximum stress)값과 신장율을 구하고 표 2에 나타냈다.
2)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방수력 테스트
인장강도 시험 방법과 마찬가지로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를 아크릴공중합체 필름으로 제조한 후 직경 7 cm의 크기로 잘라 5 개를 취한 후 습도 65 %, 온도 200 ℃에서 2 시간 이상 방치하였다. 그 후 방수실험장치에 필름과 드라이 필터 페이퍼 (dry filter paper)를 고정시키고 방수실험장치에 500 mL 이상까지 증류수로 채워준 후 밸브를 열어 물을 챔버(chamber)에 투입시키고, 증류수의 눈금이 변하지 않는 때부터 5 분 동안 눈금의 변화와 드라이필터 페이퍼가 젖은 상태를 관찰하였다(도 1 참조).
그 결과 5 분 동안 증류수의 눈금변화가 없었고, 드라이필터 페이퍼가 젖지 않아 방수성이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1의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방수력 테스트한 결과를 도 2a, 2b에 도시하였으며,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페이퍼가 젖지 않음을 알 수 있다.
3) pH 측정
인장강도 시험과 마찬가지로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를 아크릴공중합체 필름으로 제조한 후, 제조된 필름을 용출한 액의 pH를 측정한 것이다. 상기 용출액은 상기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4 g 당 20mL의 식염수를 넣은 후 720 ℃에서 24 시간 동안 용출을 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4) 투습도 측정 - MVTR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상기 제조된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투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인장강도 시험과 마찬가지로 아크릴공중합체 필름을 제조한 후 지름 70 mm의 원형 시험편을 제조하여 시험 시편을 먼저 준비하였다. 투습도 측정을 위해 투습 컵을 수평으로 된 투습 컵 대에 올려놓은 후 흡습제인 염화칼슘 20 g을 투습컵 안에 미리 넣고 준비해 둔 시험편을 투습컵에 동심원이 되도록 올린 후 가이드를 컵대의 홈에 맞도록 덮었다. 시험편이 투습컵의 가장자리에 밀착시키도록 추를 올려놓은 후 녹인 파라핀 용액을 투습컵 둘레의 가장자리에 흘려 넣어 시험편의 가장자리를 봉합하였다. 파라핀용액이 굳은 후 시험편이 접합된 컵을 저울로 무게를 측정한 후 습도 85 %, 온도 370 ℃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시험편이 접합된 컵의 무게를 측정하여 증감된 시험편의 면적과 시간으로 나누어 투습도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pH
7.5
7.3
7.6
7.4
7.7
6.5
필름인장강도
(at break)
(kgf/cm2)
360
362
363
357
360
260
신장율(%)
610
605
590
610
600
30
투습도 MVTR(g/m2 ·day)
650
660
650
650
660
470
기존 폴리우레탄 원액에 비하여 본 발명의 아크릴공중합체 원액으로 제조된 스프레이 밴드는 표 2과 같이 필름 인장강도, 신장율, 투습도등 여러 시험에서 우수함을 보여준다.
1: 압력계 2a, 2b: 개스킷
3: 여과지 4: 검체

Claims (9)

  1. 아크릴 공중합체 5~10 wt%, 1,3-디옥소란 10~25 wt%, 휘발성 용매 15~55 wt%, 점착력 향상제 1~5 wt%, 매스틱유 0.5~3 wt%, 분사제 25~50 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 공중합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EA) 30~80 wt%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0~70 wt%로 혼합되어 이루지고, 1,3-디옥소란에 30 wt%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휘발성 용매는 에탄올,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분사제(추진제)는 디메틸에테르(DME; Dimethyl Ether), LPG, 공기(Air),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질소(Nitrogen) 또는 파우치(pouch)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점착력 향상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실리콘 또는 Luvimer 100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6. 제1항에 있어서,
    방향제, 보습제 또는 소독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7. 제6항에 있어서,
    방향제는 레몬향, 라벤더향, 감귤향, 멘톨 또는 살리실산메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보습제는 바셀린 또는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고, 소독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캄포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
  8. 에틸아크릴레이트(EA) 30~80 wt%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0~70 wt%를 포함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1,3-디옥소란에 3:7의 중량비로 용해시켜 아크릴 공중합체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원액을 에탄올에 용해시키는 단계;
    점착력 향상제를 첨가하여 30 분 교반한 후, 매스틱유를 첨가하여 에어로솔 제형의 액상 밴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밴드에 분사제(추진제)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아크릴공중합체 5~10 wt%, 1,3-디옥소란 10~25 wt%, 휘발성 용매 15~55 wt%, 점착력 향상제 1~5 wt%, 매스틱유 0.5~3 wt%, 분사제(추진제) 25~50 wt%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솔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의 제조방법.

KR1020160134084A 2016-10-17 2016-10-17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84A KR101858835B1 (ko) 2016-10-17 2016-10-17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84A KR101858835B1 (ko) 2016-10-17 2016-10-17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48A true KR20180041848A (ko) 2018-04-25
KR101858835B1 KR101858835B1 (ko) 2018-05-17

Family

ID=6208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084A KR101858835B1 (ko) 2016-10-17 2016-10-17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010A (ko) * 2021-06-07 2022-12-14 이동덕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수분 제품의 살균 시스템 및 살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0038B1 (fr) * 1995-10-20 1998-01-02 Lafon Labor Composition pour l'administration transdermique
JP3805521B2 (ja) * 1997-02-13 2006-08-02 株式会社ダイゾー ヒト皮膚被覆用皮膜の製法およびそれからえられた皮膜、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ヒト皮膚用エアゾール組成物
ATE343379T1 (de) 1998-08-20 2006-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prühverband und wirkstoffabgabesystem
KR101125162B1 (ko) 2009-03-17 2012-03-19 주식회사 제네웰 피부 및 상처의 보호를 위한 액상의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010A (ko) * 2021-06-07 2022-12-14 이동덕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수분 제품의 살균 시스템 및 살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35B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971B1 (ko)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KR100676937B1 (ko)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985368B1 (ko)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WO2009107189A1 (ja) ハイドロゲル創傷被覆材
CN105797202B (zh) 一种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JP5396125B2 (ja) 被膜形成型製剤
CN102058900B (zh) 一种具有防水性的创面防护用液体绷带及其制备方法
JPS60150755A (ja) 合成樹脂製創傷手当用品
KR101763368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CA2523365A1 (en) Antimicrobial materials comprising a silver-containing glass composition
CN112245652A (zh) 可快速成膜的抑菌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KR20110074116A (ko) 상처치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85739A (zh) 一种多功能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CN110859989B (zh) 一种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US20110190401A1 (en) Depolymerized polysaccharide-based hydrogel adhesiv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858835B1 (ko)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147207B2 (ja) ハイドロゲル創傷被覆材
KR20110027434A (ko) 약물의 서방출이 가능한 발수필름 형성용 조성물
WO2014151464A1 (en) Film-forming agents formed from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silicone acrylic polymers
WO2008150246A1 (en) Herbal haemostatic composition
KR20150033237A (ko) 외상 치료 및 모니터링용 수화겔 패치
KR20210060150A (ko) 창상피복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피복재
KR101775072B1 (ko) 피부보습 및 영양 공급을 위한 실리콘 마스크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리콘 마스크 팩
KR20180081972A (ko) 건강패드 점착제로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
CN111084902B (zh) 一种液体敷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