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360A -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 Google Patents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360A
KR20080018360A KR1020060080352A KR20060080352A KR20080018360A KR 20080018360 A KR20080018360 A KR 20080018360A KR 1020060080352 A KR1020060080352 A KR 1020060080352A KR 20060080352 A KR20060080352 A KR 20060080352A KR 20080018360 A KR20080018360 A KR 20080018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chitosan
wound
film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971B1 (ko
Inventor
이태완
정문상
이한구
Original Assignee
대화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화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9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3Carbohyd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가 합지된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수용성키토산,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등의 수용성고분자, 글리세린 등의 폴리올 및 가교제 등으로 구성되는 하이드로겔을 지지체에 적층시킨 하이드로겔 패드를 합지시키고, 상처 부위에 직접 닿는 하이드로겔 층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로 피복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처치료 및 침출물의 흡수기능이 우수하며, 상처부위에서 떼어낼 때 상처에 달라붙지 않아 통증이 거의 없으며, 치료 후에 흉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키토산, 하이드로겔, 상처치료

Description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A wound-healing dressing patch with hydrogel layer containing chitosan}
도 1에서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평면도이며,
도 2에서 (a)는 하이드로겔 패드, (b)는 하이드로겔 층, (c)는 하이드로겔 지지체의 평면도이다.
도 3에서 (a)는 투명 이형필름, (b)는 이형지의 평면도이다.
도 4에서 (a)는 S자형 절단 지지체가 합지된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 (b)는 일자형 절단 지지체가 합지된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 (c)는 폴리우레탄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 (a)에서 A-A' 절취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이형필름 2: 이형지
3: 하이드로겔 4: 하이드로겔 지지체
5: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 6: S자형 절단 지지체
7: 일자형 절단 지지체 8: 하이드로겔 패드
9: S자형 절단선 10: 일자형 절단선
A-A': 절취선
본 발명은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절단 지지체가 합지되어 있고, 피부의 수분 방출과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를 막는 기능을 가진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수용성키토산,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소디움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등의 수용성고분자, 글리세린 등의 폴리올 및 가교제 등으로 구성되는 하이드로겔을 지지체에 적층시킨 하이드로겔 패드를 합지시키고, 상처부위에 직접 닿는 하이드로겔 층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로 피복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투명상 또는 반투명상의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조성된 하이드로겔은 3차원 그물망 구조의 가교결합체로서 수용성키토산과 침출물의 흡수기능에 의해 보습환경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상처부위가 매끄럽게 치료되며, 상처치료효과가 매우 빠르다. 또한, 상처에 달라붙지 않아 떼어낼 때 통증이 거의 없고, 잔유물이 남지 않으며, 딱지가 생기지 않아 치료 후에 흉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인체에서 가장 큰 표면적을 가지는 피부는 자외선, 생ㆍ화학물질 등의 외부의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인체의 수분증발 및 체온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화상, 외상, 창상, 욕창 등의 피부 손상이 흔히 일어나고 있으며, 손상된 피부를 방치할 경우 이차적인 오염을 통하여 심한 결함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상처를 신속하게 치료하여 각종 부작용을 없애야 한다.
한편, 키토산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게 껍질을 이용한 민간처방으로 부종, 항알러지, 면역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의 본초강목에서는 게 가루(완자)가 종기, 부스럼 드의 치료제로 쓰이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일본의 백노약은 게, 새우껍질을 이용하여 해열, 강장, 화상 및 피부병 치료제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은 키토산은 게, 새우의 껍질과 오징어 뼈, 곰팡이, 버섯 균사체 및 미생물의 세포벽과 같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키틴을 탈아세탈화하여 얻어내는 아미노폴리사카라이드의 일종으로 독성이 없고, 생분해가 가능하며, 생체친화성이 우수하여, 1990년대부터 의료용으로 응용이 가능한 물질로서 상처치료제, 인공피부, 혈액응고제, 면역증강제, 항균 및 항산화제 등의 생리적인 효능 물질로 잘 알려져 왔다.
한편, 종래에 사용되어온 키토산은 분자 내에 분자간 수소결합이 매우 강한 아세틸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서, 물과 유기 용매에도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산업에 응용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많았다. 물에 용해되는 키토산은 저분자량의 키토산이나 키토올리고당이 있으나, 키토산은 분자량이 높을수록 그의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Jung B. O. et al ., J. Chitin Chitosan, 6(1), 12~17(2004)). 이러한 고분자량의 수용성키토산을 제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3,533,940호에서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초산과 같은 산성의 수용액에 용해되는 키토산을 제조하여 상업적으로 이용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상처치료 등의 인체에 사용하는 패치제형에 응용할 경우에는 잔류되어 있는 산에 의해 심각한 피부 자극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상처치료 효과가 우수한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를 제조하기 위한 키토산은 고분자량이어야 하며, 물에 쉽게 용해되는 성질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처치료용 키토산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패치의 조성물에 있어서, 절단 지지체가 합지된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수용성키토산,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소디움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등의 수용성고분자, 글리세린 등의 폴리올 및 가교제 등으로 구성되는 하이드로겔을 지지체에 적층시킨 하이드로겔 패드를 합지시키고, 상처부위에 직접 닿는 하이드로겔 층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로 피복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투명상 또는 반투명상의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조성된 하이드로겔은 3차원 그물망 구조의 가교결합체로서 수용성키토산과 침출물의 흡수기능에 의해 보습환경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상처부위가 매끄럽게 치료되며, 상처치료효과가 매우 빠르고, 상처에 달라붙지 않아 떼어낼 때 통증이 거의 없고, 잔유물이 남지 않으며, 딱지가 생기지 않아 치료 후에 흉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이 효과적으로 상처에 첩부되어 상처치료 및 침출물을 흡수하도록 설계된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는 도면 1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이드로겔의 변형을 막아주고, 외부로부터 오염을 막아주는 이형필름(1) 또는 이형지(2), 상처치료 및 침출물의 흡수기능을 가지는 키토산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층(3)을 지지체(4)에 적층한 하이드로겔 패드(8) 및 하이드로겔을 상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절단 지지체와 합지되어, 피부에 직접 첩부되는 방수기능의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도4의(a) 또는 (b))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겔 패드는 하이드로겔 층(3)을 지지체(4)에 적층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겔 층(3)은 수용성 키토산이외에 수용성 고분자, 가소제, 정제수, 가교제,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킬레이팅제, 색소 및 용해보조제 등으로 구성되어 상처치료 및 침출물의 흡수기능을 나타내며, 도포 두께는 10㎛ 내지 5,000㎛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0㎛이며, 가장 바람직한 도포 두께는 500㎛ 내지 2,500㎛이다. 도포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침출물의 흡수기능이 약하고, 5,000㎛ 를 초과할 경우 도포 두께가 두꺼워 사용하기 불편하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키토산을 제외한 수용성고분자는 천연고분자, 합성고분자 및 반합성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고분자로서 콜라겐, 젤라틴, 잔탄검, 카라 기난,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염, 히아루론산 또는 그의 염, 펙틴, 전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고분자로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부틸공중합체,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합성고분자로서 소디움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전분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6060475170-PAT00001
수용성키토산은 구조식 (Ⅰ)로서 나타내는 고분자량의 키토산으로서 다음과 같이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천연 생체고분자인 키틴을 초산에 용해시켜, 불용분을 제거한 후, 수산화나트륨으로 재결정하고, 여액이 중성이 될 때까지 정제수, 에탄올, 에테르 순으로 세척하여 감압 건조시켜 탈아세틸화도가 높은 키토산을 얻는다. 이 키토산을 초산용액에 용해시켜 라이소자임으로 분해하고, 에탄올로 세정한 다음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초음파 처리를 하면서 소금용액에서 이온교환을 시키고, 동결건조공정을 통하여 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 달톤의 키토산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키토산은 고분자량의 키토산으로서 액성이 5.0 내지 6.0의 약산성이며, 물에 쉽게 용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키토산은 0.0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용성키토산의 사용범위에서는 혼합점도의 물성이 우수하여 가교반응 후, 하이드로겔의 3차원의 그물망 구조에 균일하게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첩부 후에도 피부에 잔류하지 않아 끈적임이 없는 최적의 물성을 유지한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및 소디움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는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1.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이다. 1.0 중량부 미만 사용 시에는 겔 강도가 약하고, 20.0 중량부를 초과 사용할 경우에는 조성물을 혼합할 때 점도가 상승되어 균일상의 하이드로겔 제조가 어렵다.
본 발명에서 가소제는 보습제의 역할을 하는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5.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는 조성물들이 균일한 점도 상태를 유지하여 배합물성이 매우 좋으며, 하이드로겔이 최적의 수분을 유지하여 보습효과 및 조성물의 유연성을 좋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정제수는 가소제와 함께 상처에 보습환경을 형성해 딱지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수용성고분자의 사용량에 따라 30.0 중량부에서 8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가교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 화합물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한다. 이 사용 범위에서 가교제는 수용성고분자와 최적의 가교결합을 하여 우수한 겔 강도 및 점착력을 가진 하이드로겔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의 계면활성제는 경피흡수를 촉진시키고, 조성물들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모든 음이온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사용할 수 있다. 0.0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과량을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의 하이드로겔은 pH 조절제, 킬레이팅제, 안정화제, 용해보조제, 방부제 및 색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시트릭산, 락틱산, 타르타릭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및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유기염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킬레이팅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그의 염, 소디움폴리아크릴레이트(분자량: 10,000 이하), 인산염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피로아황산나트륨,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아스코빈산 등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해보조제는 동식물성 오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 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0.2 중량부를 초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색소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수용성염료 및 안료 등을 적절히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상기의 조성물 이외에 하이드로겔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멘톨, 캄파 등의 민트계 정유성분, 상처치료 약용성분, 부형제, 무기충진제 및 점도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각각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겔을 적층하는 지지체(4)는 10㎛ 내지 100㎛ 두께의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에 부직포, 섬유, 면, 레이욘 등의 천연 및 화학섬유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평균 중량이 10g/㎡ 내지 60g/㎡이 되도록 합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겔의 변형을 막아주고, 외부로부터 오염을 막아주기 위해 이형필름(1) 또는 이형지(2)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형필름(1)은 투명 또는 백색의 불투명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필름을 사용하며, 이형지(2)는 종이를 폴리에틸렌으로 코팅한 후, 실리콘, 불소 등으로 이형처리를 한 것이다. 이형필름(1) 또는 이형지(2)의 두께는 2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미만의 것은 너무 얇아서 하이드로겔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훼손되기 쉽다. 200㎛를 초과할 경우 너무 두껍기 때문에 취급하기가 불편하게 된다. 특히, 도 3의 (a) 및 (b)와 같이 이형필름(1) 또는 이형지(2)에 제품명, 그림, 로고 또는 회사명 등을 원하는 색상으로 표현하여 상업적으로 차별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겔을 상처부위에 고정시키고, 피부에 직접 첩부되는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도4의 (a) 또는 (b))은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증기는 통과시키고, 외부의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을 가진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도4의 (c))에 S자형 또는 일자형 절단선이 있는 지지체와 합지되어 있다. S자형 또는 일자형 절단선은 본 발명을 상처에 붙인 후, 떼어내기 좋도록 편리성을 부여한 것이다. 또한,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도4의 (c))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제는 피부 자극성이 낮고 인체에 안전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수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로진,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의 점착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도4의 (c))의 투습도는 100g/m²/일 내지 5,000g/m²/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투습도는 500g/m²/일 내지 2,500g/m²/일이다. 투습도가 100g/m²/일 미만일 경우에는 땀에 의해 점착된 폴리우레탄 필름이 쉽게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5,000g/m²/일을 초과할 경우 방수기능이 약하게 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필름(도4의 (c))의 두께는 10㎛ 내지 5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범위에서의 폴리우레탄(도4의 (c))은 피부 첩부 시 부드러워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아 점착 시 사용감이 매우 좋다. S자형 절단 지지체(6) 또는 일자형 절단 지지체(7)는 얇은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지지해주며, 피부에 첩부한 후 지지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S자형 절단선 또는 일자형 절단선을 넣었다. 이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조되는 필름 또는 종이로서 그 두께는 20㎛ 내지 200㎛ 범위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는 다음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조성을 배합하는 순서는 하나의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단계로 하이드로겔 패드를 제조하는 단계, 제2단계는 하이드로 패드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S자형 절단 지지체(6) 또는 일자형 절단 지지체(7)에 합지하는 단계, 제3단계는 S자형 절단 지지체(6) 또는 일자형 절단 지지체(7)에 합지된 하이드로겔 패드에 이형필름(1) 또는 이형지(2)를 피복하는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이드로겔 패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성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그 조성의 함량으로 수용성고분자, 가교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팅제, 산화방지제들을 가소제에 분산시킨 후, pH 조절제를 용해시킨 정제수와 균일하게 혼합하여, 지지체에 도포한다.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폐 시키고, 24시간 상온에서 보관하여 숙성시킨다.
표 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단위: 중량부)
Figure 112006060475170-PAT00002
품질평가 방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의 조성물에 대하여 배합 시 점도상태, 첩부 시 피부 잔유물, 흡수도 및 상처치료효과에 대한 시험방법 및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합시 균일성(혼합도)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점도가 상승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점도계를 사용하여 점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배합 시 균일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배합시 균일성
Figure 112006060475170-PAT00003
잔유물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5㎝ × 5㎝의 크기로 절단하여 1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6시간 동안 피부에 첩포한 후, 잔유물 및 끈적임 상태를 5점 척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잔유물 상태
Figure 112006060475170-PAT00004
흡수도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5㎝ × 5㎝의 크기로 절단하여 1시간 동안 25℃ 정제수에 침적시킨 후, 꺼내어 10분간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무게 변화량을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흡수도(%) = (침적 후의 무게-침적 전의 무게) / 침적 전의 무게 × 100
표 4. 흡수도 결과 (단위: %)
Figure 112006060475170-PAT00005
실험예
상처치료효과
본 발명의 상처치료효과는 약 3월령의 마이크로 피그를 대상으로 3주간 평가하였다. No.11 및 No.12의 외과용 매스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피그의 등 부위에 2㎝ × 2㎝의 크기(종으로 4㎝ 및 횡으로 6㎝ 간격)로 피부를 잘라내고, 대조군(무처리군)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3㎝×3㎝의 크기로 절단하여 3개씩 각각의 상처부위에 붙이고, 그 위에 4㎝×5㎝ 크기의 밀착포를 붙여 떼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은 3일마다 교환하였다. 상처치료효과는 상처의 크기 변화를 자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상처치료효과(%) = (초기 상처의 크기 - 3주후 상처의 크기) / 초기 상처의 크기 x 100
표 5. 상처치료효과 (단위: %)
Figure 112006060475170-PAT00006
이상의 품질평가결과, 수용성고분자와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높아져, 균일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어려우며, 상대적으로 수용성고분자의 함량이 낮은 비교예 3은 흡수도 시험에서 흘러내리는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잔유물은 가교되지 않는 수용성키토산의 함량이 초과 함유될 경우 피부에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처치료효과에 있어서 대조군은 창상에 딱지가 발생되어 상처부위가 건조하고, 딱지가 제거된 후에는 상처부위가 매우 거칠은 현상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2는 일반적인 물성은 우수한 수준이며, 상처부위가 매끈하였으나, 시험기간 동안에서 상처치료효과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키토산을 함유한 실시예 2는 상처치료효과가 상대적으로 매우 빠르게 나타났으며, 상처치유과정에서 상처부위가 매우 매끈하게 치료되는 것이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수용성키토산과 흡수된 침출물에 의한 상처치료의 상승작용과 보습환경 하에서 딱지를 생성시키지 않아 상처부위가 매끄럽게 치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상처부위에 딱지가 생성되지 않으면 상처 치료 후에 발생되는 흉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절단 지지체가 합지되어 있고, 피부의 수분방출과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를 막는 기능을 가진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수용성키토산,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소디움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등의 수용성고분자, 글리세린 등의 폴리올 및 가교제 등으로 구성되는 하이드로겔을 지지체에 적층시킨 하이드로겔 패드를 합지시키고, 상처부위에 직접 닿는 하이드로겔 층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이형필름으로 피복한 구조로 이루어진 투명상 또는 반투명상의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의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조성된 키토산 하이드로겔은 3차원 그물망 구조의 가교결합체로 수용성키토산과 침출물의 흡수기능에 의해 보습환경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상처부위가 매끄럽게 치료되며, 상처치료효과가 매우 빠르고, 상처에 달라붙지 않아 떼어낼 때 통증이 거의 없으며, 잔유물이 남지 않고, 치료 후에도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다음 구조식 (I)의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을 지지체에 적층시킨 하이드로겔 패드를 절단지지체가 합지되어 있는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합지시키고, 하이드로겔 층을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로 피복한 구조로 이루어진 투명상 또는 반투명상의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조성물.
    Figure 112006060475170-PAT00007
  2.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의 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 달톤이며, 액성이 5.0 내지 6.0의 약산성인 수용성키토산을 0.0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함유하며, 두께는 10㎛ 내지 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수용성 키토산이외의 하이드로겔 성분으로 콜라겐, 젤라틴, 잔탄검, 카라기난,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염, 히아루론산 또는 그 의 염, 펙틴, 전분,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부틸공중합체,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소디움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가용성 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전분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패드는 하이드로겔을 지지체에 적층시킨 것으로 지지체는 10㎛ 내지 100㎛ 두께의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에 부직포, 섬유, 면, 레이욘 등의 천연 및 화학섬유에서 선택된 성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합지시켜 평균 중량이 10g/㎡ 내지 6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조성물.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절단지지체는 S자형 또는 일자형 절단선이 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조되는 필름 또는 종이로서 그 두께가 2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조성물.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점착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피부자극성이 낮고 인체에 안전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로진, 폴리이소부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의 점착제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이 도포되고, 두께가 10㎛ 내지 50㎛이며, 투습도가 100g/m²/일 내지 5,000g/m²/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조성물.
  7. 제1항 또는 2항의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에 있어서, 이형필름은 투명 또는 백색의 불투명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필름으로 구성되고, 이형지는 종이에 폴리에틸렌을 코팅한 후, 실리콘, 불소 등으로 이형처리를 한 것으로서, 두께가 20㎛ 내지 200㎛의 범위이고,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에 제품명, 그림, 로고 및 회사명 등을 원하는 색상으로 표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조성물.
KR1020060080352A 2006-08-24 2006-08-24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KR10084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352A KR100847971B1 (ko) 2006-08-24 2006-08-24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352A KR100847971B1 (ko) 2006-08-24 2006-08-24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360A true KR20080018360A (ko) 2008-02-28
KR100847971B1 KR100847971B1 (ko) 2008-07-22

Family

ID=3938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352A KR100847971B1 (ko) 2006-08-24 2006-08-24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97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4326A2 (en) * 2009-12-21 2011-07-14 Resodyn Corporation Hemostatic agents and wound dressings
CN103556466A (zh) * 2013-11-04 2014-02-05 吴江市祥盛纺织品有限公司 一种复合抗污绒布
CN106075561A (zh) * 2016-07-29 2016-11-09 江苏蓝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壳聚糖创口修复胶体液的制备方法
KR101709290B1 (ko) * 2016-03-25 2017-02-23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
KR20170045727A (ko) * 2015-10-16 2017-04-27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건식 패드
WO2017073826A1 (ko) * 2015-10-30 2017-05-04 이태완 상처 치료용 고흡수성 제로겔 드레싱
KR20180076063A (ko) * 2016-12-27 2018-07-05 (주) 삼보 덱스트란 기반의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46788B1 (ko) * 2021-02-24 2021-04-30 송성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용 실리카 하이드로겔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6241A (ko) 2020-08-25 2022-03-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성 및 위생성이 향상된 롤 타입 연고
EP4205807A1 (de) * 2021-12-30 2023-07-05 Paul Hartmann AG Wundauflage zur antimikrobiellen wundbehandlung
EP4205808A1 (de) * 2021-12-30 2023-07-05 Paul Hartmann AG Vorrichtung zur antimikrobiellen wundbehandlung
KR102656495B1 (ko) * 2023-11-29 2024-04-12 주식회사 제브 스포츠패치 및 스포츠패치 제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3715A (zh) * 2011-11-03 2013-05-08 杭州炬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化、淡化疤痕的水凝胶疤痕贴
KR101429455B1 (ko) * 2013-05-15 2014-08-13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자가합성체 키토산을 이용한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55949A (ko) 2019-11-08 2021-05-18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국소부위 상처 치료용 콜드플라즈마 및 저준위레이저 융합 패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801A (ko) * 1996-08-03 1998-05-15 최좌진 키토산 함유 부직포가 부착된 창상용 일회용 밴드(a band attached a nonwoven fabrics containg the composition of chitosan)
KR20010100252A (ko) * 2000-03-29 2001-11-14 임창준 수용성 키토산 막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일회용 밴드
BR0102637A (pt) 2001-05-17 2003-02-25 Johnson & Johnson Ind Com Curativo adesivo
KR100440239B1 (ko) * 2002-01-09 2004-07-15 한국원자력연구소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KR200301270Y1 (ko) 2002-10-26 2003-01-24 설순임 키토산이 함유된 인체 부착용 패치
KR200323831Y1 (ko) 2003-05-13 2003-08-21 이장수 상처보호를 위한 투명 점착필름 밴드
KR200390463Y1 (ko) * 2005-04-21 2005-07-21 주식회사 대일제약 하이드로겔을 도포한 상처 치료용 밴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4326A3 (en) * 2009-12-21 2011-10-20 Resodyn Corporation Hemostatic agents and wound dressings
WO2011084326A2 (en) * 2009-12-21 2011-07-14 Resodyn Corporation Hemostatic agents and wound dressings
CN103556466A (zh) * 2013-11-04 2014-02-05 吴江市祥盛纺织品有限公司 一种复合抗污绒布
KR20170045727A (ko) * 2015-10-16 2017-04-27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건식 패드
WO2017073826A1 (ko) * 2015-10-30 2017-05-04 이태완 상처 치료용 고흡수성 제로겔 드레싱
KR101709290B1 (ko) * 2016-03-25 2017-02-23 주식회사 한웅메디칼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제품
CN106075561A (zh) * 2016-07-29 2016-11-09 江苏蓝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壳聚糖创口修复胶体液的制备方法
KR20180076063A (ko) * 2016-12-27 2018-07-05 (주) 삼보 덱스트란 기반의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6241A (ko) 2020-08-25 2022-03-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성 및 위생성이 향상된 롤 타입 연고
KR102246788B1 (ko) * 2021-02-24 2021-04-30 송성은 수용성난각막단백질 및 수용성고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용 실리카 하이드로겔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4205807A1 (de) * 2021-12-30 2023-07-05 Paul Hartmann AG Wundauflage zur antimikrobiellen wundbehandlung
EP4205808A1 (de) * 2021-12-30 2023-07-05 Paul Hartmann AG Vorrichtung zur antimikrobiellen wundbehandlung
KR102656495B1 (ko) * 2023-11-29 2024-04-12 주식회사 제브 스포츠패치 및 스포츠패치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971B1 (ko) 2008-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971B1 (ko)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RU2273471C2 (ru) Гели, образованные при взаимодействии поливинилпирролидона с производными хитозана
US6635272B2 (en) Wound dressing and drug delivery system
KR101651709B1 (ko) 수용성 감압 접착제
US20070104769A1 (en) Bioabsorbable hemostatic gauze
KR101985368B1 (ko)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KR101429455B1 (ko) 자가합성체 키토산을 이용한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3893157B (zh) 水凝胶护眼贴敷料及其制备方法
KR20010072163A (ko) 피부 부착용의 향상된 접착제를 가진 1 회용 흡수성 물품
US9649330B2 (en) Hydrogel tattoo protection and aftercare system
CN105797202B (zh) 一种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CN102772801B (zh) 一种用于治疗擦伤的伤口喷雾剂及其制备方法
KR102505842B1 (ko) 개선된 이형 라이너 시스템을 함유하는 접착 패치
JP6716841B2 (ja) 止血材
WO2007056066A2 (en) Bioabsorbable hemostatic gauze
US8303980B2 (en) Wound-dress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316989B2 (ko)
IL162801A (en) Preparation for wound healing and prevention of bandage adhesion to the wound
JP2021014450A (ja) タトゥーの色を維持し、強化する方法
KR20040085646A (ko) 상처치료용 드레싱 또는 팩제로 이용할 수 있는 수화겔드레싱 및 그의 제조방법
JP5688578B2 (ja) 粘着性ゲル
JP3907872B2 (ja) ボディ用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JP4187976B2 (ja) 絆創膏
KR100740596B1 (ko) 점착밴드형 수화겔 드레싱 및 그 제조방법
WO2023021305A1 (en) Aqueous wound healing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