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492A - 제품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492A
KR20180041492A KR1020160133715A KR20160133715A KR20180041492A KR 20180041492 A KR20180041492 A KR 20180041492A KR 1020160133715 A KR1020160133715 A KR 1020160133715A KR 20160133715 A KR20160133715 A KR 20160133715A KR 20180041492 A KR20180041492 A KR 2018004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tor
product
investor
creative
cre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록캡슐
김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록캡슐, 김희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록캡슐
Priority to KR102016013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492A/ko
Publication of KR2018004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에 의한 제품 판매 방법은 창작자 및 창작물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에 대한 투자자를 모집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의 판매에 의한 이익금을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 판매 방법{METHOD FOR PRODUCT SALES}
실시예는 제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디자이너들이 그들이 직접 디자인 한 의류, 가방, 핸드백, 신발, 악세사리 등과 같은 창작물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으로 소비자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디자이너들은 소비자들이 원하는 디자인으로 창작물들을 맞춤 생산하기도 하고, 개성있는 디자인을 가진 창작물 또는 유행을 따라 디자인을 한 창작물들을 소비자들에 판매하려고 한다.
디자이너들이 디자인한 창작물들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될 경우, 창작물의 디자인이 보호받지 못하고, 창작물의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들이 제작한 창작물들이 소량으로 생산될 경우, 판매 수익률이 작을 수 있고, 소비자들에게 반응이 좋아서 창작물들이 대량으로 생산되어야 할 경우, 디자이너들은 제작 비용을 부담할 수 없어 창작물이 제품화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제품 외에 특허품이나 실용신안등록을 받은 물품의 경우에도 제품의 생산을 위한 투자와 대량 생산 및 판매를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실시예는 창작자의 창작물을 제품화하여 생산하기 위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창작물을 등록하면 제품 생산에 투자할 투자자와 제품을 제조할 생산 업체가 선정되고, 생산된 제품이 FED 경매를 통해 판매될 수 있는 제품 판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창작자 및 창작물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에 대한 투자자를 모집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의 판매에 의한 이익금을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판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창작물의 판매는 경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매 절차에서 유찰된 창작물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판매할 수 있다.
상기 창작자와 창작물은 각각 디자이너와 디자인된 제품일 수 있다.
상기 투자자의 모집은, 크라우드 펀딩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이익금을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자와 상기 투자자 및 판매자에게 상기 이익금을 배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품 판매 방법은 창작자가 창작한 창작물이 제품화되기 전에 제품 투자자와 제품 생산 업체가 선정됨으로써 창작물이 안정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생산된 제품은 경매를 통해 판매되므로 제품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거래될 수 있으므로, 판매자의 수익이 보장되고 소비자의 합리적인 구매를 추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제품 판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제품 판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품 판매 방법은 창작자 및 창작물을 등록하는 단계(S110, S120), 창작물에 대한 투자자를 모집하는 단계(S140), 창작물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단계(S160, S190) 및 창작물의 판매에 의한 이익금을 배분하는 단계(S19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창작자는 디자이너일 수 있고, 창작물은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창작자는 디자이너 외에 특허품의 발명자 또는 실용신안등록을 받은 물품의 고안자일 수도 있고, 창작물은 디자인 제품 외에 특허품이나 실용신안등록을 받은 물품일 수 있다.
그리고, 창작자 및 창작물을 등록할 수 있는 웹 사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웹 사이트는 pc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거나 또는 스마트폰 등의 테블렛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창작자를 등록하는 단계(S110)에서 창작자는 자연인인 디자이너이거나 디자인 제품에 관한 지적 재산권 등을 양수한 기업일 수 있고, 또는 1개 기업에 다수의 창작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창작자는 창작자 등록을 위해 웹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으며, 회원은 다수의 레벨로 등급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레벨은 창작자 레벨, 일반 회원 레벨, 기업 고객 레벨, 핀테크 기업 레벨 및 생산자 레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창작자 등록을 위해 창작자는 다수의 레벨 중 창작자 레벨을 선택하여 회원 가입을 할 수 있다.
창작물을 등록하는 단계(S120)에서는 창작자의 창작물을 웹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
창작자 레벨의 회원이 등록한 창작물은 디자인 이미지 또는 개체일 수 있고, 웹 사이트에 등록된 하나의 창작물은 하나의 고유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웹 사이트에 등록되어 고유 번호가 부여된 창작물은 창작물의 디자인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창작물을 웹 사이트에 등록한 창작자는 디자인 진흥원과 협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진 패션 디자이너 A씨가 웹 사이트에서 디자이너 레벨로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A씨가 디자인한 패션 아이템 5개를 웹 사이트에 초기 생산 비용을 투자 받기 위해 딜 등록을 할 수 있다. 웹 사이트에 등록된 디자인은 저작권 보호를 위해 디자인 진흥원의 도움을 받아 디자인 보호 등록을 할 수 있다.
핀테크(fintech) 업체도 웹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그리고, 창작자 레벨의 회원이 하나 이상의 디자인을 웹 사이트에 등록하면, 웹 사이트에 등록된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원하는 핀테크 업체는 웹 사이트에 캠페인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캠페인은 디자이너, 디자인, 핀테크 업체, 캠페인 목표 금액, 수익 분배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사이트 내에 등록된 핀테크 업체 중 하나의 업체, 예를 들어, K사는 A씨가 등록한 딜의 주관사 역할을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한 후 조건이 성립되면 주관사가 선정될 수 있다(S130).
핀테크 업체가 캠페인을 등록하면, 창작물에 투자를 할 투자자를 모집할 수 있다(S140).
웹 사이트에는 투자자가 일반 회원 레벨로 회원 가입을 할 수 있다.
하나의 캠페인에는 다수의 투자자(일반 회원 레벨)가 있을 수 있으며, 투자자는 다수의 캠페인에 펀딩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투자자는 캠페인에 설정되어있는 금액을 투자할 수 있다.
투자자의 모집은,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으로 진행될 수 있다.
크라우드 펀딩은 후원, 기부, 대출, 투자 등을 목적으로 웹이나 모바일 네트워크 등을 통해 다수의 개인으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행위로, 웹 사이트에 등록된 창작물은 크라우드 펀딩으로 투자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K사가 A씨의 딜을 웹 사이트에 등록하면서 투자자를 모으고, 다수의 투자자 중 L씨는 총 투자유치금액 500만 원 중 50만원을 투자할 수 있으며, 10명이 500만원을 투자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시간 동안 500만원 투자금, 즉, 목표 금액이 모이면 금번 딜이 계속 진행될 수 있고, 목표 금액이 달성되지 않으면 다시 투자자를 유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될 수 있다(S150).
창작물이 투자자로부터 투자를 받는 금액이 결정되면, n개의 생산자 네트워크에 발주하여 창작물을 생산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S160).
창작물이 제품으로 생산되면, 창작물을 판매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S185).
창작물의 판매는 경매로 이루어질 수 있고(S170), 경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0만원이 웹 사이트에 등록된 생산 업체에 전달되고 A씨의 디자인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생산된 제품은 FDE(Fashion Design Exchange) 경매로 넘어갈 수 있으며, 경매 시작가는 1000만원에서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FDE는 상술한 등록된 창작물이 등록되고 판매되는 url 주소 내지 사이버 상 영역의 소유자 내지 운영자 일 수 있다.
그리고, 도매업자 W사는 A씨의 디자인 아이템 모두를 치열한 경매 끝에 2000만원에 낙찰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경매의 낙찰 여부(S180)를 통해 판매 경로는 달라질 수 있다.
경매 절차에서 유찰된 창작물(S185)은 투자자의 투자금 회수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유통경로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산된 제품은 경매를 통해 소비자에게 판매될 수 있다.
창작물의 판매에 의한 이익금은 창작자와 투자자 및 판매자에게 배분될 수 있다(S190).
경매에 낙찰된 캠페인에 투자한 창작자 및 투자자 그리고, FDE에게 최초 약정된 수익금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자:투자자:FDE=30:50:20의 비율로 이익금이 배분 될 수 있고, 2000만원의 이익금이 발생되면, 창작자는 2000만원*30%(600만원)을 배당받을 수 있고, 투자자는 2000만원*50%(1000만원)을 배당받을 수 있으며, FDE는 2000만원*20%(400만원)을 배당받을 수 있다. 여기서, FDE는 상술한 제품의 판매를 관리하는 판매자 내지 운영자일 수 있다.
 그리고, 투자자 A씨는 핀테크 주관사를 포함한 분배율 1000만원/11명 (10명의 투자자+주관사)=909,000원을 돌려 받을 수 있고, 투자자의 투자 수익률은 909,000원/500,000원=1.82으로 약 82%일 수 있다.
상술한 제품 판매 방법은, 크라우드 디자인 소싱(crowd design sourcing) 및 펀딩(funding)을 통하여 디자인 제품의 가격이 결정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비즈니스 모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제품 판매 방법은 창작자가 창작한 창작물이 제품화되기 전에 제품 투자자와 제품 생산 업체가 선정됨으로써 창작물이 안정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생산된 제품은 경매를 통해 판매되므로 제품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거래될 수 있으므로, 판매자의 수익이 보장되고 소비자의 합리적인 구매를 추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창작자 및 창작물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에 대한 투자자를 모집하는 단계;
    상기 창작물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단계; 및
    상기 창작물의 판매에 의한 이익금을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판매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의 판매는 경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매 절차에서 유찰된 창작물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판매하는 제품 판매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자와 창작물은 각각 디자이너와 디자인된 제품인 제품 판매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자의 모집은, 크라우드 펀딩으로 진행되는 제품 판매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익금을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창작자와 상기 투자자 및 판매자에게 상기 이익금을 배분하는 제품 판매 방법.
KR1020160133715A 2016-10-14 2016-10-14 제품 판매 방법 KR20180041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15A KR20180041492A (ko) 2016-10-14 2016-10-14 제품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15A KR20180041492A (ko) 2016-10-14 2016-10-14 제품 판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92A true KR20180041492A (ko) 2018-04-24

Family

ID=6208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715A KR20180041492A (ko) 2016-10-14 2016-10-14 제품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4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57A1 (ko) * 2018-11-26 2020-06-04 송낙문 향수팩 액세서리 디자인 시스템과 향수팩 액세서리 디자인 시스템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57A1 (ko) * 2018-11-26 2020-06-04 송낙문 향수팩 액세서리 디자인 시스템과 향수팩 액세서리 디자인 시스템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568B1 (ko)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US20140379547A1 (en) Method for Aggregat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Services In An Exchange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Battle et al. Access-based consumption: a new business model for luxury and secondhand fashion business?
KR20190127344A (ko) 공급자와 판매자간 전자 상거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KR101575927B1 (ko) 반복 판매가 가능한 상품 재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Siswadi et al. Literature Study on Fiqh Muamalah Digital Business Transactions (e-commerce)
KR20130139457A (ko)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방법
Muresan et al. Relation between internet and social media to support sales in business
KR20180041492A (ko) 제품 판매 방법
KR20070008468A (ko) 구매자 만의 사용기(리뷰)를 통한 유저간의 정보 교환에서발생하는 수익에 대한 비지니스 모델
WO2019212437A2 (en) An electronic sales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be integrated into the marketing chain to get the product they need along with gaining profit from such trade
KR20150027782A (ko) 공유형 오픈마켓 플랫폼
KR20090001600A (ko)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JP2020505713A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CN107274230A (zh) 消费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0523808B1 (ko) 판매자의 예치금을 이용한 안전한 전자상거래 대금결제방법
KR20160095320A (ko) 웹 링크를 통한 상품판매 수익 분배 시스템 및 광고
Wulandari et al. The Influence of E-Commerce Information System on Local Product Companies
CN115239389A (zh) 电子商务平台和基于电子商务平台的公益慈善方法
JP2006209190A (ja) 運用方針管理システム。
Alaei et al. A Game-Theoretic Approach for Pricing and Determining Virtual Reality Investment and Cybersecurity Level in a Dual-Channel Supply Chain
Stefan et al. The e-commerce tools and their use in the global market
Orzoł Main Models and Structures in E-Commerce
Amalia Hijup. com E-commerce Practices Based on Sharia Business Et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