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789A -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789A
KR20180092789A KR1020170031697A KR20170031697A KR20180092789A KR 20180092789 A KR20180092789 A KR 20180092789A KR 1020170031697 A KR1020170031697 A KR 1020170031697A KR 20170031697 A KR20170031697 A KR 20170031697A KR 20180092789 A KR20180092789 A KR 20180092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eller
information
tab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568B1 (ko
Inventor
김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링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링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링애드
Publication of KR2018009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케팅 능력이 없는 제품 공급자와 수익원이 필요한 인플루언서를 연결하는데 있다.
일례로,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 기본 정보를 각각 등록 받아 제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품 공급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품을 판매할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가 설정되며, 상기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 판매자를 선정하기 위한 제품 공급자 관리부; 및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제품 리스트 중 제품 판매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 받고, 제품 공급자 관리부를 통해 선정된 제품 판매자의 SNS와 연동되며 상기 제품 기본 정보가 자동 등록되는 제품 판매 사이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 받기 위한 제품 판매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OPEN SOCIAL MARK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성능 개선과 대중화와 이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진화로 새로운 디지털 생태계가 형성 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 기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의 영향력이 실증적으로 검증되고 있다. 인플루언서는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 팔로우, 친구관계 등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관계의 친밀성과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뢰성이 있으며, 다른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온라인 상의 상거래는 '온라인 쇼핑몰-오픈 마켓-소셜 쇼핑' 순으로 진화해 오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다수의 판매자(제품 생산자 또는 유통 업자)가 제품을 자유롭게 등록하고, 판매자가 등록한 제품을 구매자가 검색하거나 광고를 통해 구매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거래 방식은 생산자가 제품을 자유롭게 직접 팔 수 있는 경로를 열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물론, 제품 등록을 판매 사이트가 직접 결정하는 사이트도 여전히 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경우, 독점적 유통사와 소비자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상황이다.
제품 생산자가 직접 제품을 등록하는 오픈 마켓의 경우, 컨셉적으로 의미가 있지만 양질의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물건을 잘 파는 판매자인 경우가 많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결국, 유통 상에 의존하거나 판매 전문가에게 조력을 받아야 하지만 규모가 작은 상품 공급자에게는 이러한 조력을 받을 기회가 쉽게 주어지지 않는다. 결국, 제품만 있으면 소비자에게 팔 수 있다는 오픈 마켓의 개념이 성립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소수의 온라인 판매에 특화된 공급자들이 아니라면 소비자에게 온라인으로 물건을 판매하기는 쉽지 않다. 결국, 오픈 마켓이 개방적인 컨셉을 가지고 있지만, 실질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판매 역량이 필요하다.
반면, 인플루언서는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들은 컨텐츠 생산 능력과 영향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인플루언서는 이러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제품추천, 리뷰 혹은 PPL(product placement) 등을 통해 약간의 수익을 얻고 있는 상태이나, 이들의 영향력에 비하여 그에 따라 얻는 경제적 이익이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공개특허 제10-2015-0116141호(공개일자: 2015년10월15일) 공개특허 제10-2001-0044683호(공개일자: 2001년06월05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케팅 능력이 없는 제품 공급자와 수익원이 필요한 인플루언서를 연결하기 위한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은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 기본 정보를 각각 등록 받아 제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품 공급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품을 판매할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가 설정되며, 상기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 판매자를 선정하기 위한 제품 공급자 관리부; 및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제품 리스트 중 제품 판매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 받고, 제품 공급자 관리부를 통해 선정된 제품 판매자의 SNS와 연동되며 상기 제품 기본 정보가 자동 등록되는 제품 판매 사이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 받기 위한 제품 판매자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품 판매로 인해 발생되는 수익을 미리 정해진 분배율에 따라 제품 공급자와 제품 판매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수익 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공급자 관리부는,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의 스펙 정보, 가격 정보 및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품 기본 정보를 등록 받아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제품 판매자의 판매 실적에 따른 판매 등급을 설정하기 위한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 및 상기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을 실제로 판매할 제품 판매자를 선정하는 제품 판매자 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는,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제품 판매자의 성별 및 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조건 정보와, 제품 판매자의 SNS에 등록된 친구 수 및 팔로워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 정보를 더 설정하고, 상기 제품 판매자 선정부는, 상기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을 실제로 판매할 제품 판매자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등록되는 가격 정보는 소비자 판매가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자 판매가는 제품 공급가, 제품 판매자의 마진, 시스템 운영 수수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는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의 할인 조건 및 무료 배송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혜택 조건 정보를 등록 받기 위한 제품 할인 탭을 더 제공하고, 상기 제품 할인 탭을 통해 등록된 구매 혜택 조건 정보는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에 자동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판매자 관리부는,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제품 리스트 중 제품 판매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 받고, 제품 판매자의 SNS 정보를 기초로 제품 판매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는 제품 판매 요청부; 및 상기 제품 공급자 관리부를 통해 제품 판매자로 선정되는 경우,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제품 소개 탭을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 받기 위한 제품 판매 사이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는 제품 판매자의 판매 등급에 따라 판매할 수 있는 제품의 종류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 생성부는, 등록된 홍보 콘텐츠에 대한 상기 제품 공급자의 인증을 표시하기 위한 홍보 콘텐츠 인증 마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정보 탭은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와 연동되어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상기 제품 기본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표시되는 제품 기본 정보를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정보 탭은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와 연동되어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상기 제품 기본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표시되는 제품 기본 정보를 자동 변경하되, 변경된 히스토리를 타임라인 형태로 기록하여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 정보 탭은 상기 제품 소개 탭을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는 상기 제품 소개 탭을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해당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제품 판매자와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케팅 능력이 없는 제품 공급자와 수익원이 필요한 인플루언서를 연결하기 위한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제품 공급자, 제품 판매자 및 제품 구매자 간의 개략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정보 탭을 이용한 제품 기본 정보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정보 탭을 이용한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등록 방법과 제품 할인 탭을 이용한 구매 혜택 조건 정보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정보 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품 공급 페이지를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급 페이지의 제품 판매자 또는 제품 판매 희망자 버전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품 공급 페이지에서 특정 제품 공급자의 등록 상품 정보를 선택 시 해당 등록 상품 정보의 확인 및 판매권한요청을 위한 화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권한 요청을 위한 제품 판매자 또는 제품 판매 희망자의 정보 등록 및 판매 권한 승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소개 탭을 이용한 제품 홍보 콘텐츠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제품 판매 사이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제품 공급자, 제품 판매자 및 제품 구매자 간의 개략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정보 탭을 이용한 제품 기본 정보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정보 탭을 이용한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등록 방법과 제품 할인 탭을 이용한 구매 혜택 조건 정보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정보 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품 공급 페이지를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공급 페이지의 제품 판매자 또는 제품 판매 희망자 버전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품 공급 페이지에서 특정 제품 공급자의 등록 상품 정보를 선택 시 해당 등록 상품 정보의 확인 및 판매권한요청을 위한 화면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권한 요청을 위한 제품 판매자 또는 제품 판매 희망자의 정보 등록 및 판매 권한 승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소개 탭을 이용한 제품 홍보 콘텐츠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제품 판매 사이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1000)은 제품 공급자(제품 생산자) 단말(1), 제품 판매자 단말(2) 및 제품 구매자 단말(3)과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며, 제품 공급자 관리부(100), 제품 판매자 관리부(200) 및 수익 정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공급자 단말(1)은 제품 공급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이고, 제품 판매자 단말(2)은 제품 판매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이며, 제품 구매자 단말(3)은 제품 구매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로서 서버 형태로 구현된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1000)을 이용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본 실시예의 제품 공급자 단말(1), 제품 판매자 단말(2) 및 제품 구매자 단말(3)은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품 공급자 관리부(100)는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 기본 정보를 각각 등록 받아 제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품 공급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품을 판매할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가 설정되며,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 판매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품 공급자 관리부(100)는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110),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120) 및 제품 판매자 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110)는,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의 스펙 정보, 가격 정보 및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기본 정보를 등록 받아 제품 공급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공급자는 제품 공급자 단말(1)을 통해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1000)의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110)에 접속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110)에서 제공하는 제품 정보 탭(11)을 이용하여 제품의 스펙 정보, 제품의 가격 정보 및 제품의 제고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기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의 스펙 정보는 제품 이미지, 제품의 사양, 제품의 사용법 등의 스펙 관련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의 가격 정보는 제품 공급가, 판매자 마진, 시스템 운영 수수료를 합산한 금액일 수 있으며, 시스템 운영 수수료는 본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는 플랫폼의 이용 수수료와 PG(payment gateway)사의 이용 수수료를 합산한 금액일 수 있다.
또한,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110)는,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의 할인 조건 및 무료 배송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혜택 조건 정보를 등록 받기 위한 제품 할인 탭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정보 탭(11) 내에서 제품 할인 탭(1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품 할인 탭(12)을 통하여 할인 조건, 무료 배송 조건 등의 구매 혜택 조건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할인 탭(12)을 통해 등록된 구매 혜택 조건 정보는 상술한 제품 기본 정보와 함께 후술하는 제품 판매 사이트에 자동 등록 및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120)는 제품 정보 탭(11)을 통해 제품 판매자의 판매 실적에 따른 판매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판매자의 판매 실적은 제품 판매 수, 제품 판매자 매출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 실적에 따라 제품 판매자의 판매 등급이 자동으로 책정되며,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판매 등급은 제품 공급자의 권한으로 임의 책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품 판매 조건 설정부(120)는, 제품 정보 탭(11)을 통해 제품 판매자의 성별 및 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조건 정보와, 제품 판매자의 SNS에 등록된 친구 수 및 팔로워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공급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정보 탭(11)을 이용하여 제품을 판매할 제품 판매자의 성별, 연령(연령대)와 같은 제1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인플루언서로서 얼만큼의 영향력과 수준을 가진 제품 판매자를 원하는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페이스북의 친구 수, 인스타그램의 팔로워 수, 카카오 스토리의 친구 수, 트위터의 팔로워 수와 같이 제품 판매자의 SNS 인맥 수준을 제2 조건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우선적으로 제품 판매자에 대한 특별한 조건을 설정하지 않고, 누구나 제품 공급자의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되, 예외적으로 제품 공급자가 특정한 조건을 갖는 제품 판매자를 원하는 경우 제품 판매 조건 설정부(120)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등급으로만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제1 조건만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조건만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 또한 가능하다. 즉, 판매 등급과 제1 조건을 하나의 조건으로 설정하거나, 판매 등급과 제2 조건을 하나의 조건으로 설정하거나, 제1 및 제2 조건을 하나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판매 등급, 제1 및 제2 조건 모두 설정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 정보 탭(11)은, 제품 공급자가 제품 공급 페이지(10)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등록 및 조건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정보 탭(11)을 통해 등록 및 설정되는 정보는 제품 판매자가 보증하는 부분이 아니라 제품 공급자가 보증해야 할 부분이므로, 제품 정보 탭(11)에 대한 접근 및 이용 권한은 제품 공급자에게만 허용되며, 제품 판매자에게는 허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품 정보 탭(11)을 이용한 등록 및 설정 과정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품 공급자의 제품 정보가 등록된 제품 공급 페이지(10)를 생성할 수 있다. 제품 공급 페이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별로 정보를 그룹화하여 관리 및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제품 정보 선택 시 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판매 희망자 또는 제품 판매자의 버전의 제품 공급 페이지(10')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제품 공급 페이지(10)는 제품 공급자가 관리할 수 있는 버전의 웹 페이지이고, 도 6에 도시된 제품 공급 페이지(10')는 제품 판매 희망자 또는 제품 판매자가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버전의 웹 페이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공급 페이지(10')에는 제품 판매자가 판매할 수 있는 제품의 종류가 노출되어 있는데, 모든 제품 판매자에게 동일한 제품이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 공급자가 설정한 조건이나 각 제품 판매자의 판매 등급에 따라 노출되는 제품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등급이 높을수록 많은 종류의 제품이 노출되어 다양한 제품 판매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판매 등급이 낮으면 제품의 종류가 상대적으로 적게 노출될 수 있으며, 제품 판매자에게 노출되는 제품은 자유롭게 선택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품 판매자의 판매 능력에 따라 제품을 판매 기회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급자 버전 제품 공급 페이지(10)와 판매자 버전 제품 공급 페이지(10')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판매자 버전 제품 공급 페이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공급자 별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 공급자의 항목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해당 제품 공급자가 등록한 제품 이미지들을 미리 보기 형태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품 공급자가 등록한 제품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이미지로 표시되는 제품 리스트를 선택하면 제품 기본 정보, 구매 혜택 정보 등 해당 제품 공급자가 등록한 제품 관련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품 판매 희망자 또는 제품 판매자는 이러한 상세 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리스트 하단에 표시되는 '판매권한요청'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물질적 또는 유형의 제품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여행 상품, 금융 상품, 상품권, 공연 티켓 등의 비물질적 또는 무형의 상품도 판매할 수 있다.
한편, 판매자 버전 제품 공급 페이지(10')는 제품 판매 희망자 또는 제품 판매자가 특정 제품 공급자의 특정 제품에 대한 '판매권한요청'을 받을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판매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제품 판매자 관리부(200)에 대한 구성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품 판매자 선정부(130)는, 미리 설정된 제품 판매자의 판매 등급에 기초하여 해당 제품을 실제로 판매할 제품 판매자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제품 판매자 선정부(130)는,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120)를 통해 설정된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 판매를 희망하는 제품 판매 희망자들 중 조건에 부합되는 자 즉 제품 판매자를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에 부합되는 정도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제품 판매 희망자가 특정 제품에 대한 판매 권한을 요청할 때 제품 판매 희망자의 제1, 2 조건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면, 제품 판매자 선정부(130)에서 이를 미리 설정된 제1, 2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포인트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제품 판매 희망자를 제품 판매자로서 승인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조건 정보 중 성별의 가중치를 5로 하고, 부합될 경우 5포인트를 부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0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고, 연령(연령대)의 가중치를 5로하고, 부합될 경우 5포인트를 부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차등적으로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대의 연령대로 설정된 경우 제품 판매 희망자가 20대이거나 40대인 경우 -1포인트를 적용하여 4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고, 10대이거나 50대인 경우 -2포인트를 적용하여 3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조건 정보의 가중치를 90으로 하고, SNS의 친구와 팔로워 총 수가 총 200명 이상인 경우 70포인트를 부여하고, 300명 이상인 경우 80 포인트를 부여하며, 400명 이상인 경우 90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조건 정보의 경우 SNS의 친구와 팔로워 총 수가 일정 인원 미만인 경우 0포인트를 부여 받을 수 있음에 따라 제품 판매 희망자가 인플루언서로서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지가 제품 판매 권한을 받기 위한 큰 변수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공급자가 '성별: 남성, 연령: 30대, SNS 조건으로 총 200명 이상인 경우 70포인트를 부여하고, 300명 이상인 경우 80 포인트를 부여하며, 400명 이상인 경우 90포인트를 부여'한다고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를 등록한 경우, 어떠한 제품 판매 희망자가 '남성, 31세, 친구 및 팔로워 총 수 350명'인 경우 총 포인트가 90포인트가 되며, 이렇게 계산된 포인트가 기준 포인트 이상이 되면 제품 판매자로서 승인될 수 있다.
물론, 제품 판매자 선정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 판매자를 설정 정보에 따라 자동 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공급자의 판단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품 판매자를 선정 기준을 설정하는 이유는 인플루언서로서 검증되지 않은 제품 판매자의 무분별한 판매 행위를 방지하며, 판매 효과를 보다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품 판매자 관리부(200)는,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공 되는 제품 리스트 중 제품 판매 희망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 받고, 제품 공급자 관리부(100)를 통해 선정된 제품 판매자의 SNS와 연동되며 제품 기본 정보가 자동 등록되는 제품 판매 사이트를 생성하고,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품 판매자 관리부(200)는 제품 판매 요청부(210)와 제품 판매 사이트 생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 판매 요청부(210)는,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제품 리스트 중 제품 판매 희망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 받고, 제품 판매 희망자의 SNS 정보를 기초로 제품 판매에 대한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판매 희망자가 판매자 버전 제품 공급 페이지(10')에서 특정 제품에 대한 '판매권한요청'을 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판매 희망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제품 판매 희망자의 개인 정보에는 이름, 성별, 연령, SNS 등록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NS 등록 계정은 해당 제품 판매 희망자의 SNS에 등록된 친구 수와 팔로워 수를 확인해보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제품 판매자 선정부(13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 생성부(220)는, 제품 공급자 관리부(100)를 통해 제품 판매자로 선정되는 경우, 제품 판매 사이트를 자동 생성하고, 생성된 제품 판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제품 소개 탭을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판매 사이트(20)를 통해 제품 판매자가 판매권한을 요청한 해당 제품의 기본 정보가 표시되며, 제품 판매자가 해당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이미지, 홍보 동영상, 홍보 멘트, 관련 블로그, 관련 뉴스 보도 자료 등의 다양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도록 제품 소개 탭(2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품 소개 탭(21)은 크리에이터에 의해 다양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 받을 수 있는데, 여기서 크리에이터는 판매할 제품의 홍보 콘텐츠 제작자를 의미한다. 홍보 콘텐츠는 제품 공급자가 제품 판매자에게 별도로 요청하여 얻거나, 제품 판매자가 제품 공급자에게 자신이 제작한 홍보 콘텐츠의 사용을 요청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제품 판매자가 제작한 홍보 콘텐츠가 해당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해당 제품 판매자는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호 협의 하에 특정 제품 판매자가 해당 제품의 크리에이터로서 지정될 경우 해당 크리에이터가 제작한 홍보 콘텐츠는 제품 소개 탭(21)을 통해 등록되고, 등록된 홍보 콘텐츠는 제품 공급 페이지(10)의 제품 정보 탭(11)을 통해 제품 공급자에 의해 편집될 수 있다. 물론, 홍보 콘텐츠는 제품 소개 탭(21)을 통해 크리에이터에 의한 편집도 가능하며, 제품 정보 탭(11)과 제품 소개 탭(21)을 통해 편집된 홍보 콘텐츠는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홍보 콘텐츠에 대하여 해당 제품을 공급하는 제품 공급자로부터 정식으로 인증을 받았다는 표식인 제품 공급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홍보 콘텐츠 인증은 제품 판매자가 제품 공급자에게 요청할 수 있으나, 제품 공급자가 제품 판매자의 동의를 받지 않고도 인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된 홍보 콘텐츠에는 제품 공급자에게 인증을 받았다는 별도의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홍보 콘텐츠 인증 절차는, 제품 판매자의 과대 및 허위성 홍보 콘텐츠의 제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 구매자는 홍보 콘텐츠 인증 마크의 유무에 따라 과대 및 허위성 광고에 대한 인지 및 배제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과대 및 허위성 광고로 인해 제품이 판매될 경우 즉 인증되지 않은 홍보 콘텐츠로 제품이 판매되어 그에 따른 피해가 발생되는 경우, 그에 대한 책임을 제품 판매자에게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그에 대한 제품 공급자의 피해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한, 제품 정보 탭(11)은 제품 소개 탭(21)을 통해 등록된 홍보 콘텐츠를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다른 제품 판매자에게 노출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른 제품 판매자가 해당 홍보 콘텐츠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크리에이터에게는 홍보 콘텐츠 사용에 따른 별도의 수수료가 책정되어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제품 판매자의 해당 제품을 판매할 때마다 수수료가 발생되어 해당 크리에이터에게 홍보 콘텐츠의 사용에 대한 수수료가 지급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홍보 콘텐츠에 대한 수수료가 책정되지 않고 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제품의 정보, 판매 가격, 판매 조건 등이 기재된 제품 정보 페이지를 통하여 최초 작성한 제품 정보를 제품 공급자가 편집할 경우, 해당 편집에 대한 히스토리를 타임라인 형태로 기록되어 제품 판매자와 제품 구매자에게 각각 노출 될 수 있다. 이는 제품 정보에 대하여 변경된 내용을 제품 판매자와 제품 구매자(소비자)가 파악할 수 있고, 제품 판매자가 제품 홍보 내용과 판매되는 제품이 변경됨으로 인한 제품 구매자에 대한 이슈 사항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는,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제품 판매자가 효과적인 제품 판매를 하기 위하여 제작한 홍보 콘텐츠를 제품 공급자 및/또는 다른 제품 판매자와 공유하여 그에 대한 수수료를 받는 목적으로 활동할 수 있으나, 제품 판매가 목적이 아닌 홍보 콘텐츠의 사용에 대한 수수료만을 목적으로 하여 별도로 활동할 수 있다.
제품 판매자가 제품 소개 탭(21)을 통한 홍보 콘텐츠까지 등록을 마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품 판매자의 제품 판매 사이트(20)가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판매 사이트(20)는 독립된 소규모의 소핑몰로서, 소매상점과 유사한 개념을 갖는 가상공간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쇼핑몰과 외관상 차이가 없으나, 이 쇼핑몰의 제품 판매자는 재고와 배송의 부담 없이 제품 판매의 권한을 받아서 판매에 따른 이익을 분배 받는 형태로 운영될 수 있으며, TV 홈쇼핑의 쇼호스트의 역할과 유사하게 자신의 온라인 홍보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의 판매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판매 사이트(20)는 제품 판매자의 SNS와 연동하여 소셜 페이지에 자동 게재될 수 있으며, 홍보 콘텐츠는 제품 소개 탭(21)을 통해 언제든지 수정 가능하다. 또한, 소셜 페이지뿐만 아니라 제품 판매 사이트(20)의 링크 공유를 통하여 다양한 웹 사이트의 게시물로서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제품 공급 페이지(10)의 제품 정보 탭(11)은 제품 판매 사이트(20)와 연동되어 제품 정보 탭(11)을 통해 제품 기본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제품 판매 사이트(20)를 통해 표시되는 제품 기본 정보가 자동 변경될 수 있다. 오픈 판매 방식의 경우 제품 공급자와 제품 판매자 간의 제품 정보에 대한 공유가 쉽지 않아 판매자가 관리하는 제품의 가격 정보나 재고 정보 등의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제품 판매자를 통해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제품에 대한 주요한 정보의 변경이 발생될 경우 변경 사항 실시간 반영되어 소비자에게 즉시 고지되도록 제품 정보 탭(11)을 통한 제품 기본 정보가 제품 판매 사이트(20)에 실시간 업데이트되어 반영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품 정보 탭(11)은 제품 공급자가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제품 소개 탭(21)은 제품 판매자가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제한함으로써, 제품 공급자는 제품 자체에 대한 관리 업무에 집중하도록 하며 제품 판매자는 제품 판매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품 정보와 제품 소개에 대한 관리 주체를 분리하여 기존의 오픈 마켓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수익 정산부(300)는, 제품 판매자의 판매 활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익을 미리 정해진 분배율에 따라 제품 공급자와 제품 판매자에게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품 공급자와 제품 판매자 간의 수익 분배율은 제품 공급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공급자가 제품 가격 정보를 등록할 때 '판매자 마진'에 대한 금액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수익 정산을 위하여 제품 판매 희망자가 제품 판매자로서 승인될 때 제품 판매자에게 판매자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해당 판매 제품에 대한 제품 식별코드를 판매자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제품 판매자 별 판매 실적을 전산화함으로써 수익 정산 시 보다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100: 제품 공급자 관리부
110: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
120: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
130: 제품 판매자 선정부
200: 제품 판매자 관리부
210: 제품 판매 요청부
220: 제품 판매 사이트 생성부
300: 수익 정산부
10: 제공 공급 페이지
11: 제품 정보 탭
12: 제품 할인 탭
20: 제품 판매 사이트
21: 제품 소개 탭
1: 제품 공급자 단말
2: 제품 판매자 단말
3: 제품 구매자 단말

Claims (11)

  1.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 기본 정보를 각각 등록 받아 제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품 공급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품을 판매할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가 설정되며, 상기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 판매자를 선정하기 위한 제품 공급자 관리부; 및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제품 리스트 중 제품 판매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 받고, 제품 공급자 관리부를 통해 선정된 제품 판매자의 SNS와 연동되며 상기 제품 기본 정보가 자동 등록되는 제품 판매 사이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 받기 위한 제품 판매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제품 판매로 인해 발생되는 수익을 미리 정해진 분배율에 따라 제품 공급자와 제품 판매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수익 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공급자 관리부는,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의 스펙 정보, 가격 정보 및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품 기본 정보를 등록 받아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제품 판매자의 판매 실적에 따른 판매 등급을 설정하기 위한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 및
    상기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제품 판매자의 판매 등급에 기초하여 제품을 실제로 판매할 제품 판매자를 선정하는 제품 판매자 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는,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제품 판매자의 성별 및 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조건 정보와, 제품 판매자의 SNS에 등록된 친구 수 및 팔로워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조건 정보를 더 설정하고,
    상기 제품 판매자 선정부는,
    상기 제품 판매자 조건 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제품 판매자의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을 실제로 판매할 제품 판매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등록되는 가격 정보는 소비자 판매가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자 판매가는 제품 공급가, 제품 판매자의 마진, 시스템 운영 수수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 생성부는 제품 공급자로부터 제품의 할인 조건 및 무료 배송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혜택 조건 정보를 등록 받기 위한 제품 할인 탭을 더 제공하고,
    상기 제품 할인 탭을 통해 등록된 구매 혜택 조건 정보는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에 자동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제공 시스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판매자 관리부는,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제품 리스트 중 제품 판매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 받고, 제품 판매자의 SNS 정보를 기초로 제품 판매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는 제품 판매 요청부; 및
    상기 제품 공급자 관리부를 통해 제품 판매자로 선정되는 경우,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제품 소개 탭을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등록 받기 위한 제품 판매 사이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는 제품 판매자의 판매 등급에 따라 판매할 수 있는 제품의 종류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 생성부는, 등록된 홍보 콘텐츠에 대한 상기 제품 공급자의 인증을 표시하기 위한 홍보 콘텐츠 인증 마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 탭은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와 연동되어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상기 제품 기본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표시되는 제품 기본 정보를 자동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 탭은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와 연동되어 상기 제품 정보 탭을 통해 상기 제품 기본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표시되는 제품 기본 정보를 자동 변경하되, 변경된 히스토리를 타임라인 형태로 기록하여 상기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노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 탭은 상기 제품 소개 탭을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품 공급 페이지는 상기 제품 소개 탭을 통해 제품의 판매를 위한 홍보 콘텐츠를 해당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제품 판매자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KR1020170031697A 2017-02-10 2017-03-14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KR101893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93 2017-02-10
KR20170018593 2017-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89A true KR20180092789A (ko) 2018-08-20
KR101893568B1 KR101893568B1 (ko) 2018-08-30

Family

ID=6344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697A KR101893568B1 (ko) 2017-02-10 2017-03-14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5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71B1 (ko) * 2018-10-10 2019-06-05 주식회사 굿페이지 온라인 대행판매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888B1 (ko) * 2018-12-17 2019-09-0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KR20200074843A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Sns 판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KR20200120441A (ko) * 2019-04-12 2020-10-21 조은철 모객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기능을 갖는 디자인 여행 판매 방법
KR102194377B1 (ko) * 2020-04-29 2020-12-23 주식회사 애터미아자 퍼스널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폐쇄형 전자 상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2633A (ko) * 2019-09-09 2022-03-15 옴니비젼 씨오., 엘티디.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
US11430037B2 (en) 2019-09-11 2022-08-30 Ebay Korea Co. Ltd. Real time item listing modification
KR102590884B1 (ko) * 2023-01-26 2023-10-19 주식회사 커머스리그 사용자를 위한 거래 플랫폼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024B1 (ko) * 2019-01-18 2019-08-27 김다현 셀러쇼핑몰 통합 관리시스템
KR102150104B1 (ko) * 2019-10-21 2020-08-31 신인아 비즈니스 파트너 조합 솔루션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83A (ko) 2001-03-16 2001-06-05 김기찬 온라인 그래픽 편집을 활용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KR20050083397A (ko) * 2004-02-23 2005-08-26 신인식 인터넷 판매대리인을 통한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60112698A (ko) * 2006-10-11 2006-11-01 케이티커머스 주식회사 전자상거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270649B1 (ko) * 2012-11-02 2013-06-03 주식회사 제이와이씨컴퍼니 소셜마케터를 이용한 타겟 광고시스템
KR20150116141A (ko) 2014-04-05 2015-10-15 장선용 온라인 웹 사이트를 이용한 직거래 판매대행 및 광고 시스템
KR101560743B1 (ko) * 2013-06-18 2015-10-16 전경령 온라인 상품정보 확산시스템 및 확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83A (ko) 2001-03-16 2001-06-05 김기찬 온라인 그래픽 편집을 활용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KR20050083397A (ko) * 2004-02-23 2005-08-26 신인식 인터넷 판매대리인을 통한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20060112698A (ko) * 2006-10-11 2006-11-01 케이티커머스 주식회사 전자상거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270649B1 (ko) * 2012-11-02 2013-06-03 주식회사 제이와이씨컴퍼니 소셜마케터를 이용한 타겟 광고시스템
KR101560743B1 (ko) * 2013-06-18 2015-10-16 전경령 온라인 상품정보 확산시스템 및 확산방법
KR20150116141A (ko) 2014-04-05 2015-10-15 장선용 온라인 웹 사이트를 이용한 직거래 판매대행 및 광고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71B1 (ko) * 2018-10-10 2019-06-05 주식회사 굿페이지 온라인 대행판매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888B1 (ko) * 2018-12-17 2019-09-0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KR20200074843A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Sns 판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WO2020130369A1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KR20200120441A (ko) * 2019-04-12 2020-10-21 조은철 모객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기능을 갖는 디자인 여행 판매 방법
KR20220032633A (ko) * 2019-09-09 2022-03-15 옴니비젼 씨오., 엘티디. 관리 서버 및 관리 프로그램
US11430037B2 (en) 2019-09-11 2022-08-30 Ebay Korea Co. Ltd. Real time item listing modification
KR102194377B1 (ko) * 2020-04-29 2020-12-23 주식회사 애터미아자 퍼스널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폐쇄형 전자 상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3570423A (zh) * 2020-04-29 2021-10-29 株式会社艾多美Aza 基于个人平台的封闭式电子商务服务提供系统和方法
CN113570423B (zh) * 2020-04-29 2024-02-13 株式会社艾多美Aza 基于个人平台的封闭式电子商务服务提供系统和方法
KR102590884B1 (ko) * 2023-01-26 2023-10-19 주식회사 커머스리그 사용자를 위한 거래 플랫폼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568B1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568B1 (ko)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US201302118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products or services through an online social network
US20210133790A1 (en) Marketing Based Privacy Credits Using Conventional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20130297403A1 (en) Marketing based discounts and local heat clouds
JP2020030783A (ja) サーバ装置、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方法
KR102504773B1 (ko)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US20220318938A1 (en) Method to provide digital design content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TW202203119A (zh) 在多階層行銷系統中結合產品或服務之審查
TW202201316A (zh) 併入產品於多層次行銷系統中
KR20190143775A (ko)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TW202203118A (zh) 在多階層行銷系統中結合產品
KR20200078257A (ko) 리뷰 콘텐츠를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3732B1 (ko) 디자인 콘텐츠가 결합된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KR101740623B1 (ko)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
JP6872269B2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KR20190013000A (ko) 온라인 몰을 기반으로 하는 qr코드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방법
KR101082069B1 (ko) 공동구매 할인상품 구매시 결제 서비스 서버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영업 방법 및 시스템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KR20110019529A (ko) 판매 시스템
KR20070096275A (ko) 온 오프 라인을 통한 멀티샵 운영 시스템
KR20160032291A (ko) 고객이 구매하여 제공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한 상품 판매 방법
KR20190126505A (ko) 상품영상 컨텐츠 배포를 통한 상품 판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