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600A -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600A
KR20090001600A KR1020070042747A KR20070042747A KR20090001600A KR 20090001600 A KR20090001600 A KR 20090001600A KR 1020070042747 A KR1020070042747 A KR 1020070042747A KR 20070042747 A KR20070042747 A KR 20070042747A KR 20090001600 A KR20090001600 A KR 2009000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mall
product
sub
main
mar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희
Original Assignee
김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희 filed Critical 김중희
Publication of KR2009000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몰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인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와 동시에 상기 구매한 상품이 등록 표시되어 독자적으로 광고 판매 가능하도록 서브 쇼핑몰을 개설토록 하여 상품 유통시 발생되는 유통마진을 메인 쇼핑몰과 서브 쇼핑몰이 일정비율로 배분 가능토록 함으로서 메인 쇼핑몰 운영자와 이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도 상품 구매와 동시에 상품판매자로서의 자격을 취득함으로서 소비자와 판매자의 구별이 없도록 한 신개념의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메인 쇼핑몰에 회원가입후 인증절차를 거쳐 다양한 상품을 선택 구매 및 결제토록 하는 통상의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품제공자가 메인 쇼핑몰(M)에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은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카타고리별로 유통마진의 하한선 설정 및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마다의 유통마진(PS)중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과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간의 판매마진(PP)의 마진비율을 책정하고 이를 규정하는 메인 쇼핑몰 운영자 기준설정단계(S1)와,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하려는 상품제공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마다의 소비자판매가격 및 유통마진(PS)을 메인 쇼핑몰(M)에 제공하고 승인받아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제공자 상품 등록단계(S2)와,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되어 판매 가능한 상품을 제1 구매자가 선택 구입시 제1 구매자의 서브 쇼핑몰(SM)이 생성되고 상기 서브 쇼핑몰(SM)에는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M)과 링크되어 상기 서브 쇼핑몰(SM)에 상기 구매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는 단계(S3)와,
상기 서브 쇼핑몰(SM)를 통해 제2 구매자가 구매시 링크된 메인 쇼핑몰(M)로 실시간으로 통지 및 결제 완료되면 상품제공자가 상품을 발송하고 상기 메인 쇼핑몰(M)과 서브쇼핑몰(SM)간에 상기 마진비율에 따라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과 제2 구매자가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한 서브 쇼핑몰(SM)의 판매마진(PP)으로 분할하여 상기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서브 쇼핑몰(SM)에게 결제하여 주는 단계(S4)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판매자와 소비자의 패턴에서 벗어나 상품을 구매한 즉시 소비자입장에서 판매자입장으로 전환되어 직접 구매한 상품의 판매자가 됨으로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상품과 상품정보를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효과라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가 제조와 유통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품질중심의 유통구조로 획기적인 전환이 가능하며,
또한, 구매자인 서브쇼핑몰의 운영자는 자신이 구입해서 판매하는 상품의 정확한 상품정보를 자신의 서브쇼핑몰에 올릴 수 있어서 소비자는 좀 더 믿을 수 있는 상품정보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메인 쇼핑몰, 서브 쇼핑몰, 유통마진, 영업마진, 판매마진.

Description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Managed method of cyber shopping mall}
도 1은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품제조업자와 메인 쇼피몰간의 거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서브 쇼핑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제2 서브 쇼핑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제3 서브 쇼핑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 : 메인 쇼핑몰 SM : 서브 쇼핑몰
SM2 : 제2 서브쇼핑몰 SM3 : 제3 서브쇼핑몰
MP : 메인 쇼핑몰의 영업마진 PP : 서브 쇼핑몰의 판매마진
PS : 메인 쇼핑몰에 주어지는 각 상품의 유통마진
PS : MP+PP
본 발명은 쇼핑몰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인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와 동시에 상기 구매한 상품이 등록 표시되어 독자적으로 광고 판매 가능하도록 서브 쇼핑몰을 개설토록 하여 상품 유통시 발생되는 유통마진을 메인 쇼핑몰과 서브 쇼핑몰이 일정비율로 배분 가능토록 함으로서 메인 쇼핑몰 운영자와 이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도 상품 구매와 동시에 상품판매자로서의 자격을 취득함으로서 소비자와 판매자의 구별이 없도록 한 신개념의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과학 기술, 특히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람들의 생활은 매우 편리하고 윤택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인터넷의 발전으로 사람들은 세계 모든 곳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용이하게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고, 필요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Internet)은 통신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컴퓨터와 컴퓨터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호 연결된 컴퓨터는 전자메일이나 고퍼(Gopher), FTP 및 월드 와이드 웹(www)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이버 유통 서비스(전자 상거래, 경매), 사이버 금융서비스(증권, 뱅킹), 사이버 교육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인터넷을 이용한 종래의 사이버 쇼핑몰에서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상품판매업자는 상품의 판매가(소비자가)를 결정하고, 사이버 쇼핑몰에 상품을 등록하여 상품이 판매되면 해당 사이버 쇼핑몰이 정한 각각의 상품에 대한 수수료를 공제한 나머지를 상품판매대금으로 정산하여 지급받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즉, 상품판매업자가 정한 상품의 소비자가를 기준으로 경매, 역경매, 고정가판매, 공동구매 등등의 여러 판매방식으로 상품의 판매가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사이버 쇼핑몰의 상품 구매자는 상품을 구매하는 단순 소비자의 역할 외에는 쇼핑몰에 노출된 상품을 통해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명확한 수익모델도 없으며, 구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 또한 마땅치 않았고 기껏 쇼핑몰에 노출된 상품의 하단에 쓸수 있는 댓글 정도가 전부였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기존의 판매자와 소비자의 패턴에서 벗어나 상품을 구매한 즉시 소비자입장에서 판매자입장으로 전환되어 직접 구매한 상품의 판매자가 됨으로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상품과 상품정보를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제조와 유통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 는 품질중심의 유통구조를 갖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으며,
또한, 구매자인 서브쇼핑몰의 운영자는 자신이 구입해서 판매하는 상품의 정확한 상품정보를 자신의 서브쇼핑몰에 올릴 수 있어서 소비자는 좀 더 믿을 수 있는 상품정보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메인 쇼핑몰에 회원가입후 인증절차를 거쳐 다양한 상품을 선택 구매 및 결제토록 하는 통상의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품제공자가 메인 쇼핑몰(M)에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은 메인 쇼핑몰의 운영자가 카타고리별로 유통마진의 하한선 설정 및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마다의 유통마진중 메인 쇼핑몰의 영업마진과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간의 판매마진의 마진비율을 책정하고 이를 규정하는 메인 쇼핑몰 운영자 기준설정단계와, 상기 메인 쇼핑몰에 등록하려는 상품제공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마다의 소비자판매가격 및 유통마진을 메인 쇼핑몰에 제공하고 승인받아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제공자 상품 등록단계와, 상기 메인 쇼핑몰에 등록되어 판매 가능한 상품을 제1 구매자가 선택 구입시 제1 구매자의 서브 쇼핑몰이 생성되고 상기 서브 쇼핑몰 에는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과 링크되어 상기 서브 쇼핑몰에 상기 구매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서브 쇼핑몰을 통해 제2 구매자가 구매시 링크된 메인 쇼핑몰로 실시간으로 통지 및 결제 완료되면 상품제공자가 상품을 발송하고 상기 메인 쇼핑몰과 서브쇼핑몰간에 상기 마진비율에 따라 메인 쇼핑몰의 영업마진과 제2 구매자가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한 서브 쇼핑몰의 판매마진으로 분할하여 상기 메인 쇼핑몰의 운영자가 서브 쇼핑몰에게 결제하여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유통마진은 상품제공자가 판매할 상품을 메인쇼핑몰에 등록시 상품의 원가와 자신의 판매마진을 제외하고 메인쇼핑몰에 제공하는 상품의 유통마진인 것과,
최초 구매자인 제1 구매자가 메인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시 상기 유통마진은 메인 쇼핑몰의 영업마진과 동일한 것과,
상기 서브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제2 구매자도 상품 구매와 동시에 메인 쇼핑몰에 구매결정 정보가 통지되고 이에 따라 제2 구매자의 제2 서브 쇼핑몰이 생성되고 상기 제2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인 제2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과 링크되어 상기 제2 서브 쇼핑몰에 상기 구매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며 상기 제2 서브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제3 구매자도 상품 구매와 동시에 메인 쇼핑몰에 구매결정 정보가 통지되고 이에 따라 제3 구매자의 제3 서브 쇼핑몰이 생성되고 상기 제3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인 제3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과 링크되어 상기 제3 서브 쇼핑몰에 상기 제3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절차로 계속하여 하위 서브 쇼핑몰이 생성 가능하도록 된 것과,
메인 쇼핑몰 내지 하위 쇼핑몰에서 각 상품의 판매수량이 실시간으로 전체 쇼핑몰에 통지되어 각 상품의 잔여물량이 표시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제2 구매자 또는 제3 구매자도 상위 서브 쇼핑몰이 아니라 메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서브 쇼핑몰과 같은 독자적인 서브 쇼핑몰을 운영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메인 쇼핑몰에 등록 및 표시된 모든 상품마다 불특정 다수인이 상품의 구매없이 메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서브 쇼핑몰을 개설할 권한만을 부여받아 메인 쇼핑몰의 모든 상품을 자신의 서브 쇼핑몰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서브 쇼핑몰을 개설 가능하도록 된 것과,
상기 메인 쇼핑몰 또는 서브 쇼핑몰 내지 제3 서브 쇼핑몰에는 소비자의 상품 사용에 대한 평가인 사용평가란 또는 상품 사용자간의 친목 및 정보교환을 위한 동아리란등을 구비하여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및 식별토록 함으로서 등록된 상품의 삭제 또는 추가 등록등을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메인 쇼핑몰은 그 하부라인인 서브 쇼핑몰 내지 제3 서브 쇼핑몰 및 최하위 서브쇼핑몰을 꾸미기 위한 아이템등을 판매하여 상품 판매외의 수익의 창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메인 쇼핑몰에 등록 및 표시된 상품에는 판매마진이 개별 상품별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판매마진은 상기 최상위 서브 쇼핑몰에서 여러단계를 거친 최하위 서브 쇼핑몰간에 동일하게 확보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서브 쇼핑몰 내지 최하위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가 메인 쇼핑몰의 운영자에게 우수한 상품 또는 인기있는 상품의 추천시 메인 쇼핑몰 운영자는 추천한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에게 일정한 보상금을 지급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구현원리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품제조업자와 메인 쇼핑몰간의 거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서브 쇼핑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제2 서브 쇼핑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제3 서브 쇼핑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된 상품을 구매자가 구매하면 구매와 동시에 구매자가 직접 운영할 수 있는 서브 쇼핑몰이 생성 가능하도록 됨과 동시에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을 상기 구매자의 서브 쇼핑몰에 등록 및 표시되어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소비자인 동시에 판매자가 되는 것이다.
한편, 단순히 구매자가 판매자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구매한 상품을 자신의 서브 쇼핑몰(SM)에 등록 및 표시하여 영업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또 다른 구매자가 상기 서브 쇼핑몰(SM)에서 등록 및 표시된 상품을 구매하면 그 상품의 유통마진(PS)중 메인 쇼핑몰(M)이 정한 마진비율에 근거하여 메인 쇼핑몰(M)과 서브 쇼핑몰(SM)이 각각 영업마진(MP)과 판매마진(PP)이라는 명목으로 유통마진(PS)을 분할하여 취득함으로서 메인 쇼핑몰(M)과 서브 쇼핑몰(SM) 모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핵심적인 내용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메인 쇼핑몰에 회원가입후 인증절차를 거쳐 다양한 상품을 선택 구매 및 결제토록 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이버 쇼핑몰과 동일하며, 이와 같이 메인 쇼핑몰(M)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전절차와 상품 제조업자가 자신이 생산한 상품을 메인 쇼핑몰(M)에 등록 표시하기 위한 사전 절차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아니며,
우선 메인 쇼핑몰(M)에 상품제공자가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일정한 규약을 설정하여 표시하고 이와 같은 규약에 동의하는 상품제공자만이 메인 쇼핑몰(M)에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 및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품제공자의 범위는 광범위한 것으로서 예를들어 제조업자, 일반중 고용품업자, 일반개인, 일반수공업자, 유통업자 가내수공업자 등등 자신이 직접 제조 및 생산하거나 소량으로 집이나 기타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생산하거나 그 형식이나 제공자의 범위는 특정되게 한정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첫단계로서 즉, 상품제공자가 메인 쇼핑몰(M)에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은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카타로그별로 예를들어 의류, 가전제품, 사무용품 등등 더욱 세부적으로 의류일 경우 여성용, 남성용, 아동용, 유아용 및 언더웨어, 셔츠, 자켓, 바지 등등 무수히 많고 세밀하게 카타고리가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카타고리별이라는 의미는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임의적으로 정할 수 있으며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의류, 가전제품, 사무용품 등등으로 크게 설명하고자 하며 이와 같이 모든 상품을 카타고리별로 분류하고 각 카타고리별로 유통마진의 하한선 설정 및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마다의 유통마진(PS)중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과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간의 판매마진(PP)의 마진비율을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책정하고 이를 규정하는 메인 쇼핑몰 운영자 기준설정단계(S1)가 그것이다.
상기 유통마진(PS)은 상품제공자가 판매할 상품을 메인쇼핑몰(M)에 등록시 상품의 원가와 자신의 판매마진을 제외하고 메인쇼핑몰(M)에 제공하는 상품의 유통마진(PS)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품제공자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고 광범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이해함에 있어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일예로 상품 제조업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품제조업자의 경우는 상품 생산시 소요되는 생산원가와 이에 대한 생산마진 및 상품제조업자의 유통마진을 제외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만약 상품제조업자가 특정상품의 소비자가격을 \ 10,000원이라고 한다면 상기 특정상품의 생산원가가 \ 3,000원이고 생산마진이 \ 2,000원이며 상품제조업자의 유통마진이 \ 2,000원이라면 상기 총금액 \ 7,000원을 제외한 나머지인 \ 3,000원이 본 발명에서의 유통마진(PS)인 것이다.
상기의 유통마진(PS)를 상품제공자 입장에서는 낮추면 낮출수록 이익이 많이 생기고 메인 쇼핑몰(M)의 이익이 줄어듬에 따라 상품제공자는 유통마진(PS)를 낮추고자 노력할 것이므로 이를 방지키 위하여 메인 쇼핑몰(M)은 상기 유통마진(PS)의 하한선을 미리 설정 상품제공자가 메인 쇼핑몰(M)에 특정상품을 등록 및 표시하기 이전에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와 상품제공자간에 약정을 하는 것이 상기 유통마진 하한선 설정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통마진 하한선 설정을 약정함으로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와 메인 쇼핑몰의 운영자의 이익이 균형을 이룰 수 있고 이는 상품제공자, 메인쇼핑몰의 운영자 및 서브쇼핑몰의 운영자 모두에게 공평하고 균형된 이익을 창출키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메인 쇼핑몰 운영자 기준 설정단계(S1)에 합의하여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하려는 상품제공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마다의 소비자판매가격 및 유통마진(PS)을 메인 쇼핑몰(M)에 제공하고 승인받아 상품을 등록하는 단계가 상품제공자 상품 등록단계로서 도 2에서는 제공자 등록단계(S2)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등록된 상품제공자의 상품이 메인 쇼핑몰(M)에 카타고리별로 즉, 예를들어 의류, 가전제품, 사무용품, 스포츠용품 등등으로 나눌수 있고 그 내부에서도 남성의류, 여성의류, 아동의류, 세탁기, 전화기, PDP, LCD, 등산용품 등등 무수히 많은 세부 카타고리별로 나누어지며 이와 같이 나누어지는 즉, 다품종을 다양한 모델 및 종류로 나누어 구색을 갖추는 것은 일반 쇼핑몰과 다를 것이 없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메인쇼핑몰 운영자 기준설정단계를 설정하고 이에 동의하여 상품제공자가 제공자 등록단계를 거쳐 메인 쇼핑몰(M)에 자신이 제공한 상품을 등록 및 표시하는 것이 일차적인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품제공자와 메인쇼핑몰(M)간의 거래과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제공자 등록단계를 거친 상품제공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서버, 결제서버, 마진서버 등에 상기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승인이 되고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보관되며 이를 기초로 하여 상품제공자와의 거래 관계를 보관 가능하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서버들은 모두 소비자인 구매자에게도 적용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상품제공자가 메인쇼핑몰(M)에 특정 상품을 각각 등록 및 표시한 후에는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된 각각의 상품들은 상기 상품들을 구매코자 하는 구매자와의 마진 비율을 책정하여 구체적으로 그 금액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유통마진(PS)중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을 제외한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간의 판매마진(PP)만을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각각의 상품마다 수익의 범위를 카타고리별로 색으로 표현된 몇 단계의 막대그래프로 수익정보를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일반 소비자 즉, 구매자는 회원가입후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판매마진(PP)가 어느 정도이고 따라서, 서브 쇼핑몰의 개설시 자신의 영업이익인 판매마진(PP)을 산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메인 쇼핑몰(M) 입장에서는 구매자의 구매력을 더욱 자극 또는 촉진시킬 수 있어 매출증대에 도움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상품을 등록 및 표시하고 이에 대한 각각의 마진비율을 책정한 상태에서 불특정 다수인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되어 판매 가능한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구매자 즉, 제1 구매자가 선택 구입시 제1 구매자의 서브 쇼핑몰(SM)이 생성되고 상기 서브 쇼핑몰(SM)에는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M)과 링크되어 상기 서브 쇼핑몰(SM)에 상기 구매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서브 쇼핑몰 생성 단계(S3)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구매자 즉 최초 구매자는 메인 쇼핑몰(M)에서 최초로 상품을 구매한 것이며 결국 구매와 동시에 서브 쇼핑몰이 생성은 되나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는 판매마진(PP)이 발생할 수 없고 따라서, 상기 제1 구매자가 메인 쇼핑몰(M)에서 상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상기 유통마진(PS)는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에 해당되어 유통마진(PS)와 영업마진(MP)가 이 경우에만 동일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서브 쇼핑몰(SM)이 생성된 상태에서는 상기 판매마진(MP)이 제1 구매자에게 수익으로 창출될 수 없는 것이다.
한편으로 상기 구매자가 자신은 단순히 일반구매만 즉, 자신의 서브 쇼핑몰을 생성치 아니하는 단순히 소비자로서의 권리만 유지코자 한다면 이런 경우에는 구매자 자신의 자유의사로 일반구매자로서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상기 서브 쇼핑몰(SM)를 통해 제2 구매자가 구매요청을 할 경우 서브 쇼핑몰(SM)과 링크된 메인 쇼핑몰(M)로 제2 구매자의 구매요청이 실시간으로 통지되고 이는 곧 상품제공자에게 통지되며 제2 구매자로 부터 메인 쇼핑몰(M)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 상품제공자가 직접 상품을 발송하고 상기 결제 금액은 상기 메인 쇼핑몰(M)에서 정한 상기 마진비율에 의거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를 제외하고 서브쇼핑몰(SM)에 상기 상품의 판매마진(PP)을 결제하여 주는 단계(S4)가 이루어져야 비로서 제1 구매자는 수익이 창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그 하위 서브 쇼핑몰이나 상기 메인 쇼핑몰(M)에서 상품을 구매하더라도 동일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품제공자가 특정 상품을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키 위하여는 상기 특정상품의 소비자가와 이에 포함되는 유통마진(PS)을 메인 쇼핑몰(M)에 제공하고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즉, 소비자가가 \ 10,000원이고 유통마진(PS)이 \ 3,000원이라고 승인 신청하여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가 허락되었다면,
상기 유통마진(PS)에는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와 서브 쇼핑몰(SM)의 판매마진(PP)가 합산된 것으로 만약 메인 쇼핑몰이 상기 마진비율을 50:50으로 정하였다면,
상기의 경우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은 \ 1,500원이고 서브 쇼핑몰(SM)의 판매마진(PP)도 \ 1,500원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서브 쇼핑몰(SM)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제2 구매자도 마찬가지로 제2 서브 쇼핑몰(SM2)이 생성되고 자신이 구매한 상품이 자신의 제2 서브 쇼핑몰(SM2)에 등록 및 표시되며 이를 보고 제3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였다면,
상기 제1 구매자인 서브 쇼핑몰(SM)의 운영자는 제외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서브 쇼핑몰(SM2)의 운영자인 제2 구매자와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상품의 유통마진(PS) \ 3,000원을 각각 영업마진(MP) \ 1,500원 판매마진(PP) \ 1,500원으로 분할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익 창출방법은 구매자가 특정 서브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시 상기 특정 서브 쇼핑몰과 메인 쇼핑몰만이 유통마진(PS)를 공유할 수 있고 그 상위 서브 쇼핑몰은 수익이 창출되지 아니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떤 특정 서브 쇼핑몰의 하부라인으로 생성된 다수의 서브 쇼핑몰에서 일정기간 발생한 매출액 즉, 상기 하부라인의 다수 서브 쇼핑몰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이 상품을 구매함으로서 발생된 다수의 서브 쇼핑몰의 일정기간 발생된 매출액을 그 상위 특정 쇼핑몰에 일정비율의 판매촉진장려금이라는 명목으로 지불함으로서 비록 자신 즉, 상위 특정 쇼핑몰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이 상품을 구매치 아니하더라도 그 하부라인의 서브 쇼핑몰에서 발생된 매출액의 일정비율을 판매촉진장려금 명목으로 지불받을 수 있음으로서 결국 모든 서브 쇼핑몰에게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계속적으로 제1 구매자 내지 제3 구매자로 구매자를 구별하는 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편의로서 규정한 것이며 제1 구매자 내지 제3 구매자 및 그 하위 구매자도 모두 메인 쇼핑몰(M)에서 최초로 구매시에는 제1 구매자이며 편의상 상위 서브 쇼핑몰에서 구매한 구매자를 제2 및 제3 .... 제N 구매자로 지칭하는 것일 뿐이다.
한편, 메인 쇼핑몰 내지 하위 쇼핑몰에서 각 상품의 판매수량이 실시간으로 전체 쇼핑몰에 통지되어 각 상품의 잔여물량이 표시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며 그러함에 따라 특정상품의 잔여량이나 기타 재고량 파악이 가능하고 결국 소비자 즉, 특정상품의 구매자나 메인 쇼핑몰 및 기타 하위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가 어떤 상품이 품절이 되고 재차 주문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 및 절차가 계속적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그럼에 따라 상품의 구매자는 자신의 쇼핑몰을 생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생성된 쇼핑몰을 통해 자신이 구매하고 경험한 상품을 판매 및 홍보, 광고가 가능한 것이다.
광고 및 홍보의 예로서는 요즘 유행하고 있는 UCC 동영상을 통해 구입한 상품이 옷이라면 자신이 직접 입고 옷의 질감이나 기타 좋은 점 및 불편한 점 등등을 표현할 수 있으며 그외에 사용평가란이나 동아리란 등을 만들어 상품의 홍보 및 광고는 물론이고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등을 불특정 다수인에게 인식시킴으로서 자신의 쇼핑몰에서의 수익창출을 더욱 발휘할 수 있고 만약, 자신이 구매한 상품이 직접 경험한 결과 만족치 못하였다면 자신의 쇼핑몰에서 그 상품을 삭제할 수도 있고 좋은 상품의 경우에는 추가 등록도 가능하며 자신의 쇼핑몰을 홍보키 위해 쇼핑몰을 꾸미는 아이템 등을 메인 쇼핑몰(M)로 부터 구매하여 자신의 쇼핑몰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메인 쇼핑몰(M)의 입장에서는 상품 판매 수익 이외의 수익 창출도 가능한 것으로서 양자가 모두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부라인으로 생성되는 쇼핑몰의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서브 쇼핑몰(SM)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제2 구매자도 상품 구매와 동시에 메인 쇼핑몰(M)에 구매결정 정보가 통지되고 이에 따라 제2 구매자의 제2 서브 쇼핑몰(SM2)이 생성되고 상기 제2 서브 쇼핑몰(SM2)의 운영자인 제2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M)과 링크되어 상기 제2 서브 쇼핑몰(SM2)에 상기 구매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며 상기 제2 서브 쇼핑몰(SM2)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제3 구매자도 상품 구매와 동시에 메인 쇼핑몰(M)에 구매결정 정보가 통지되고 이에 따라 제3 구매자의 제3 서브 쇼핑몰(SM3)이 생성되고 상기 제3 서브 쇼핑몰(SM3)의 운영자인 제3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M)과 링크되어 상기 제3 서브 쇼핑몰(SM3)에 상기 제3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절차로 계속하여 하위 서브 쇼핑몰이 생성 가능하며,
상기에서 구매결정 정보란 구매자의 주소, 성명, 기타 배송지 구매물품 등등에 관련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구매자의 신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구매자 또는 제3 구매자도 바로 상위 서브 쇼핑몰이 아니라 메인 쇼핑몰(M)에서 상품을 구매한다면 당연히 서브 쇼핑몰(SM)과 같은 독자적인 서브 쇼핑몰을 운영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의 제1 구매자, 제2 구매자.......제N 구매자라고 지칭하는 것은 메인 쇼핑몰(M)에서 구매한 최초 구매자를 단순히 제1 구매자라고 지칭하는 것이며 상기 제1 구매자의 서브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한 자를 단순히 제2 구매자 등과 같이 순차적으로 지칭하는 것일 뿐 제2 구매자와 제1 구매자가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쇼핑몰에서 구매했는지 여부에 따라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편의상 규정한 것일 뿐이다.
예를들어 메인 쇼핑몰(M)에서 구매한 자는 아무리 많은 구매자라도 모두 제1 구매자이며 상기 제1 구매자의 서브 쇼핑몰에서 구매한 자는 제2 구매자이며 상기 제2 구매자가 메인쇼핑몰(M)에서 최초로 상품을 구매하였다면 당연히 제1 구매자인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록 메인 쇼핑몰(M)로 부터 상품을 구매치는 아니하더라도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된 각 상품마다 불특정 다수인이 서브 쇼핑몰을 개설할 권한만을 부여받아 메인 쇼핑몰(M)의 모든 상품을 자신의 서브 쇼핑몰을 각각 개설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된 모든 상품은 불특정 다수인이 상품 구매없이 메인 쇼핑몰(M)에 접속하여 서브 쇼핑몰을 개설할 권한만을 부여받아 모든 상품을 자신의 개설된 서브 쇼핑몰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명 "Drop Shipping"으로서 직접 상품을 구매 및 사용치 아니하고 실질적으로 쇼핑몰을 운영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일정한 비용이라든지 또는 일정한 경품행사의 당첨 등의 명목으로 비록 상품은 구매치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직접 구매한 구매자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서브 쇼핑몰의 개설 권한 및 이에 따른 상품 판매권한을 부여함으로서 소비자의 입장 및 메인 쇼핑몰(m)의 입장 모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미 상기에서 언급한 바 있지만,
상기 메인 쇼핑몰(M) 또는 서브 쇼핑몰(SM) 내지 제3 서브 쇼핑몰(SM3)에는 소비자의 상품 사용에 대한 평가인 사용평가란 또는 상품 사용자간의 친목 및 정보교환을 위한 동아리란등을 구비하여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및 식별토록 함으로서 등록된 상품의 삭제 또는 추가 등록등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또 다른 구매자가 상기 등록 및 표시된 상품 즉, 직접 구매하여 경험한 소비자로 부터 정확한 상품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상품의 판매량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사용한 결과 불만족한 경우라면 서브 쇼핑몰 및 기타 하부라인의 쇼핑몰 등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불만족한 상품을 자신의 쇼핑몰에서 삭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신뢰와 품질 보증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쇼핑몰(M)은 그 하부라인인 서브 쇼핑몰 내지 제3 서브 쇼핑몰 및 최하위 서브쇼핑몰을 꾸미기 위한 아이템등을 판매하여 상품 판매외의 수익의 창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신 쇼핑몰을 불특정 다수인이 많이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 가능하도록 구매의욕을 북돋을 수도 있다.
다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최상위 서브 쇼핑몰에서 여러단계를 거친 최하위 서브 쇼핑몰간에 상품 판매마진이 동일하게 확보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기존의 쇼핑몰의 운영방법과는 달리 메인 쇼핑몰(M)과 자신의 쇼핑몰간의 수익금을 각 상품에 부여된 유통마진(PS)을 마진비율에 따라 영업마진(MP)와 판매마진(PP)로 분할하여 취득하는 것으로서 상위 서브 쇼핑몰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서 단지 상위 서브쇼핑몰은 그 하위 서브 쇼핑몰에게 상품을 판매하고 이에 대한 수익금을 메인 쇼핑몰(M)과 분할하는 것이고 그 하위 서브 쇼핑몰은 단지 상위 서브 쇼핑몰로 부터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 메인 쇼핑몰(M)보다는 직접 구매하여 사용한 경험이 있는 상위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의 신뢰성에 바탕을 두고 상품을 구입함과 동시에 자신도 판매자로서의 자격을 취득하여 활동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종래의 다단계 또는 피라미드 판매방식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쇼핑몰 내지 최하위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가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에게 우수한 상품 또는 인기있는 상품의 추천시 메인 쇼핑몰(M) 운영자는 추천한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에게 일정한 보상금을 지급하는 것으로서 즉,
비록 메인 쇼핑몰(M)에서 구입하여 사용한 상품이 아니라도 사용한 결과 상품의 우수성이 체험된 상품의 경우 메인 쇼핑몰(M)에 이와 같은 상품을 추천하면 메인 쇼핑몰(M)에서는 상기 추천된 상품의 품질 및 기타 유통마진 등등을 감안하여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천한 서브 쇼핑몰 운영자에게 일정한 보상금을 금액으로 지불하거나 기타 상기에서 언급한 특 정상품을 비록 구매는 하지 아니하더라도 자신의 서브 쇼핑몰에 등록 및 표시할 수 있는 권한 예를들면 쿠폰이나 마일리지 등등을 부여하여 우수한 상품의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 가능하도록 하여 메인 쇼핑몰(M)의 우수성 및 기타 신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판매자와 소비자의 패턴에서 벗어나 상품을 구매한 즉시 소비자입장에서 판매자입장으로 전환되어 직접 구매한 상품의 판매자가 됨으로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상품과 상품정보를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효과라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가 제조와 유통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품질중심의 유통구조로 획기적인 전환이 가능하며,
또한, 구매자인 서브쇼핑몰의 운영자는 자신이 구입해서 판매하는 상품의 정확한 상품정보를 자신의 서브쇼핑몰에 올릴 수 있어서 소비자는 좀 더 믿을 수 있는 상품정보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인터넷에 접속하여 메인 쇼핑몰에 회원가입후 인증절차를 거쳐 다양한 상품을 선택 구매 및 결제토록 하는 통상의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품제공자가 메인 쇼핑몰(M)에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은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카타고리별로 유통마진의 하한선 설정 및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마다의 유통마진(PS)중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과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간의 판매마진(PP)의 마진비율을 책정하고 이를 규정하는 메인 쇼핑몰 운영자 기준설정단계(S1)와,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하려는 상품제공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마다의 소비자판매가격 및 유통마진(PS)을 메인 쇼핑몰(M)에 제공하고 승인받아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제공자 상품 등록단계(S2)와,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되어 판매 가능한 상품을 제1 구매자가 선택 구입시 제1 구매자의 서브 쇼핑몰(SM)이 생성되고 상기 서브 쇼핑몰(SM)에는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M)과 링크되어 상기 서브 쇼핑몰(SM)에 상기 구매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는 단계(S3)와,
    상기 서브 쇼핑몰(SM)를 통해 제2 구매자가 구매시 링크된 메인 쇼핑몰(M)로 실시간으로 통지 및 결제 완료되면 상품제공자가 상품을 발송하고 상기 메인 쇼핑몰(M)과 서브쇼핑몰(SM)간에 상기 마진비율에 따라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과 제2 구매자가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한 서브 쇼핑몰(SM)의 판매마진(PP)으로 분 할하여 상기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가 서브 쇼핑몰(SM)에게 결제하여 주는 단계(S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마진(PS)은 상품제공자가 판매할 상품을 메인쇼핑몰(M)에 등록시 상품의 원가와 자신의 판매마진을 제외하고 메인쇼핑몰(M)에 제공하는 상품의 유통마진(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최초 구매자인 제1 구매자가 메인 쇼핑몰(M)에서 상품 구매시 상기 유통마진(PS)은 메인 쇼핑몰(M)의 영업마진(MP)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쇼핑몰(SM)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제2 구매자도 상품 구매와 동시에 메인 쇼핑몰(M)에 구매결정 정보가 통지되고 이에 따라 제2 구매자의 제2 서브 쇼핑몰(SM2)이 생성되고 상기 제2 서브 쇼핑몰(SM2)의 운영자인 제2 구매자가 구입 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M)과 링크되어 상기 제2 서브 쇼핑몰(SM2)에 상기 구매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며 상기 제2 서브 쇼핑몰(SM2)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제3 구매자도 상품 구매와 동시에 메인 쇼핑몰(M)에 구매결정 정보가 통지되고 이에 따라 제3 구매자의 제3 서브 쇼핑몰(SM3)이 생성되고 상기 제3 서브 쇼핑몰(SM3)의 운영자인 제3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이 메인 쇼핑몰(M)과 링크되어 상기 제3 서브 쇼핑몰(SM3)에 상기 제3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이 등록 및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절차로 계속하여 하위 서브 쇼핑몰이 생성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메인 쇼핑몰 내지 하위 쇼핑몰에서 각 상품의 판매수량이 실시간으로 전체 쇼핑몰에 통지되어 각 상품의 잔여물량이 표시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6.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매자 또는 제3 구매자도 상위 서브 쇼핑몰이 아니라 메인 쇼핑몰(M)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서브 쇼핑몰(SM)과 같은 독자적인 서브 쇼핑몰(SM)을 운영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된 모든 상품마다 불특정 다수인이 상품의 구매없이 메인 쇼핑몰(M)에 접속하여 서브 쇼핑몰을 개설할 권한만을 부여받아 메인 쇼핑몰(M)의 모든 상품을 자신의 서브 쇼핑몰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서브 쇼핑몰을 개설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쇼핑몰(M) 또는 서브 쇼핑몰(SM) 내지 제3 서브 쇼핑몰(SM3)에는 소비자의 상품 사용에 대한 평가인 사용평가란 또는 상품 사용자간의 친목 및 정보교환을 위한 동아리란등을 구비하여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및 식별토록 함으로서 등록된 상품의 삭제 또는 추가 등록등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쇼핑몰(M)은 그 하부라인인 서브 쇼핑몰 내지 제3 서브 쇼핑몰 및 최하위 서브쇼핑몰을 꾸미기 위한 아이템등을 판매하여 상품 판매외의 수익의 창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쇼핑몰(M)에 등록 및 표시된 상품에는 판매마진(PP)이 개별 상품별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판매마진(PP)은 상기 최상위 서브 쇼핑몰에서 여러단계를 거친 최하위 서브 쇼핑몰간에 동일하게 확보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쇼핑몰(SM) 내지 최하위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가 메인 쇼핑몰(M)의 운영자에게 우수한 상품 또는 인기있는 상품의 추천시 메인 쇼핑몰(M) 운영자는 추천한 서브 쇼핑몰의 운영자에게 일정한 보상금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KR1020070042747A 2007-02-16 2007-05-02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KR20090001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622 2007-02-16
KR20070016622 2007-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00A true KR20090001600A (ko) 2009-01-09

Family

ID=4048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747A KR20090001600A (ko) 2007-02-16 2007-05-02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6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76B1 (ko) * 2009-02-24 2012-06-26 서용성 수발주 시스템하에서의 이익 배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4885A (ko) 2015-08-26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라이브 쇼핑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19212437A3 (en) * 2018-05-03 2019-12-05 Modatevekkul Tekstil Elektronik Magazacilik Ve Ticaret Limited Sirketi An electronic sales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be integrated into the marketing chain to get the product they need along with gaining profit from such trade
KR20200092640A (ko) * 2019-01-25 2020-08-04 전호근 무한확장 네트워크 기반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76B1 (ko) * 2009-02-24 2012-06-26 서용성 수발주 시스템하에서의 이익 배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4885A (ko) 2015-08-26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라이브 쇼핑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19212437A3 (en) * 2018-05-03 2019-12-05 Modatevekkul Tekstil Elektronik Magazacilik Ve Ticaret Limited Sirketi An electronic sales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be integrated into the marketing chain to get the product they need along with gaining profit from such trade
KR20200092640A (ko) * 2019-01-25 2020-08-04 전호근 무한확장 네트워크 기반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Neighborhood social capital and social learning for experience attributes of products
Olbrich et al. Model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in social shopping communities with clickstream data
KR101893568B1 (ko)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KR20150061089A (ko) 아바타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및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CN107451830A (zh) 一种全网渠道分销模式系统软件
KR20090001600A (ko)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KR100364146B1 (ko) 인터넷 패션 비즈니스 제공방법
CN110415064A (zh) 一种整合零售供应链与销售链的利益共同体系统
KR101740623B1 (ko)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8663A (ko)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 컨텐츠 융합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27782A (ko) 공유형 오픈마켓 플랫폼
Tuunainen et al. eBusiness in apparel retailing industry-critical issues
KR20010104102A (ko) 인터넷상에서의 쇼핑몰 시스템 및 쇼핑몰 구축방법
KR20110019529A (ko) 판매 시스템
Tabaei et al. Developing online customer satisfaction strategic maps: With Iranian online retailing case studies
KR20070109523A (ko) 사용자 중심의 개인 맞춤형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6275A (ko) 온 오프 라인을 통한 멀티샵 운영 시스템
KR101779537B1 (ko) 온라인 중계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16874A (ko) 복합형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Singh et al. Internet retailing-new era of marketing
Choudhury et al. An approach to e-commerce with voice recognition
Fouskas et al. E-commerce Success Factors: A Taxonomy and Applic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KR20080025239A (ko) 인터넷을 이용한 디자인 제품 판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