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350A -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350A
KR20180041350A KR1020160133375A KR20160133375A KR20180041350A KR 20180041350 A KR20180041350 A KR 20180041350A KR 1020160133375 A KR1020160133375 A KR 1020160133375A KR 20160133375 A KR20160133375 A KR 20160133375A KR 20180041350 A KR20180041350 A KR 20180041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t
leg
leg portion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근한
Original Assignee
홍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근한 filed Critical 홍근한
Priority to KR102016013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350A/ko
Publication of KR2018004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일체형으로 감싸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하여 단가를 낮추어 일회용을 사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그 의복 및 방법은 애완동물의 몸통을 감싸는 몸통부, 애완동물의 다리를 감싸는 다리부 및 애완동물의 발을 감싸는 발부를 포함하고, 다리부는 몸통부와 다리부가 만나는 가상의 경계선으로부터 몸통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다리부 및 발부는 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Clothes for P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lothe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감싸는 의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나 개와 같은 애완동물을 반려동물로 삼아 기르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대략 1,000만 마리 이상의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애완동물은 대부분 실내에서 자라게 되므로, 일정한 주기마다 운동을 시켜주거나 데리고 나가 산책을 통하여 운동을 시키고 있다. 특히, 외출을 할 때에는 애완동물을 아름답게 꾸미거나, 오물, 먼지, 벌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복을 입힌다. 이러한 의복은 애완동물의 동작의 불편함이 없어야 하고, 착용이 편리하여야 한다. 애완동물은 그 체형 및 크기가 매우 다양하므로, 이에 부합하는 의복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18258호, 제20-0383202호 등은 애완동물용 의복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의복은 애완동물의 다리를 감싸고 있지 않아서 애완동물용 신발을 따로 신겨야 하며 의복과 신발을 전부 착용해도 드러나는 부분이 많아서, 산책하는 과정에서 다리 및 전신에 오물, 흙과 같은 이물질이 묻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산책이 끝나고 돌아오면 옷이나 신발을 세탁하고, 가려지지 않은 부분에 다른 오물이나 먼지가 묻어 애완동물을 씻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리를 감싸는 의복을 종래의 방식으로 제작하려면, 몸통 및 4개의 다리를 감싸기 위한 5개의 조각을 봉제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종래의 제작방법은 5개의 조각을 별도로 만들어 "재봉과정"으로만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 이에 따라, 산책 후에 애완동물 의복을 폐기하고자 하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일체형으로 감싸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하여 단가를 낮추어 일회용을 사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의복은 애완동물의 몸통을 감싸는 몸통부, 상기 애완동물의 다리를 감싸는 다리부 및 상기 애완동물의 발을 감싸는 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다리부가 만나는 가상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몸통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제1 판 및 상기 제1 판 상의 일측에 정렬되는 제2 판 및 상기 제1 판 상의 타측에 정렬되는 제3 판의 3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의복은 통기성 재질인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판 및 상기 제3 판은 벨크로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발부에는 기공이 형성된 발포 고무층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발포 고무층에는 패터닝된 다수의 트래드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의복의 제조방법은 먼저, 몸통부, 다리부 및 발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각의 하나인 제1 판을 준비한다. 그후, 상기 제1 판 상의 일측에 상기 제1 판의 다리부 및 발부의 일측과 일치하도록 제2 판을 정렬시킨다. 상기 제1 판 상의 타측에 상기 제1 판의 다리부 및 발부의 타측과 일치하도록 제3 판을 정렬시킨다. 상기 다리부 및 발부를 융착에 의해 접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판 내지 제3 판은 융착되어 상기 몸통부, 상기 다리부 및 상기 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융착은 초음파 융착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다리부가 만나는 가상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몸통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통기성이 있는 직물의 3조각을 융착하여 애완동물용 의복을 제작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일체형으로 감싸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하여 단가를 낮춘다. 또한, 제조단가를 낮추어, 상업성이 뛰어나며 애완동물을 산책시킨 후 폐기할 수 있는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용 의복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용 의복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분리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판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판 및 제3 판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용 의복에서 애완동물의 발바닥에 접하는 미끄럼 방지층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기성이 있는 직물의 3조각을 융착하여 애완동물용 의복을 제작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일체형으로 감싸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하여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의복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3조각을 융착하여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감싸도록 일체형의 의복을 제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상기 과정으로 만들어진 의복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외출할 때 착용하는 의복에 한정되는 것이며, 애완동물은 개나 고양이와 같이 반려동물을 말한다. 특히, 상기 의복은 일회용으로 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의복(10)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애완동물은 반려견을 예로 들었으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애완동물에도 적용된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의복(10)은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감싼다. 경우에 따라, 의복(10)에서 애완동물의 발바닥에 접하는 부분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층(20)이 있을 수 있다. 애완동물용 의복(10)은 통기성이 있는 직물로 제작되어, 애완동물에서 발산되는 땀 등이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의복(10)은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감싸므로, 애완동물이 산책할 때 외부의 이물질, 흙, 오물 등이 애완동물에게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다리를 감싸면, 애완동물의 발바닥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서, 집으로 돌아왔을 때 애완동물의 발바닥을 세정하지 않아도 된다. 의복(10)을 착용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의 머리 및 꼬리부분은 노출된다.
상기 통기성 직물은 원사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여 망형으로 직물을 제직하거나, 직물을 제직한 다음 일부의 경사와 위사를 제거하는 방법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는 솜, 비스코스레이온,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가 사용된다. 부직포의 가공법은 침지식 및 건식이 있다. 침지식은 초지식이라고도 하며, 섬유를 합성수지 접착제 통에 넣어 적셨다가 건조, 열처리한 것으로 종이와 비슷하다. 건식은 섬유를 얇은 솜 모양으로 만든 것에 합성수지를 내뿜고 열을 가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부직포는 상술한 것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제품을 제작 시에는 신축성이 뛰어난 특수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작하여 사이즈차이 및 불편함을 해소 하여주며 활동성을 높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의복(10)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분리 전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의복(10)은 3개의 조각인 제1 판(11), 제2 판(12) 및 제3 판(13)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의복(10)은 제1 판(11) 상에 제2 판(12) 및 제3 판(13)이 정렬된 후에, 융착선(15)을 따라 융착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융착이란 의복(10)의 재질, 예컨대 부직포의 유리전이온도(Tg) 내지 용융온도(Tm) 사이에 해당하는 열에너지로, 그 일부를 녹여서 접착하는 것을 말한다. 융착은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열융착 등이 있으며,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초음파 융착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제1 판(11)의 우측에는 제2 판(12)이 정렬되고, 제1 판(11)의 좌측에는 제3 판(13)이 정렬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즉, 좌측 및 우측 대신에 일측 및 타측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판(11)에서 융착선이 시작되는 융착 개시점(a) 사이의 간격은 D1이고, 제2 판(12)에서 융착 개시점(a)과 단부 사이의 폭은 W1이며, 제3 판(13)에서 융착 개시점(a)와 단부 사이의 폭은 W2이다. 간격(D1) 및 폭(W1)과 폭(W2)의 합(W1+W2)은 간격(D1)에 비하여 충분하게 크다. 여기서 충분하게 크다는 것은 폭(W1)과 폭(W2)의 합(W1+W2)이 애완동물의 몸통을 덮는 부분이므로, 이를 고려한 것이다. 융착 개시점(a)은 애완동물의 다리를 삽입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융착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이에 따라, 융착 개시점(a)은 애완동물의 종류, 형태 및 크기 등에 부합되도록 적절하게 조절된다.
제2 판(12) 및 제3 판(13)을 개방(open)하여 애완동물의 다리를 삽입한 후, 제2 및 제3 판(12, 13)을 고정부(14)로 고정하면 애완동물에의 의복(10) 착용이 완료된다. 고정부(14)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지퍼, 단추, 벨크로(velcro) 등이 있다. 상기 벨크로는 성긴 실코가 있어 쉽게 부착되고, 부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고정부(14)로 적합하다. 제2 판(12)의 고정부(14a) 및 제3 판(13)의 고정부(14b)를 서로 맞대어 압력을 가하여 부착하면, 제2 및 제3 판(12, 13)은 고정된다. 이때, 벨크로는 부착이 쉽고, 부착되는 위치가 정해지지 않아서 지퍼나 단추보다 부착 위치의 대한 여유(margin)이 크다.
도 3은 도 2의 제1 판(11)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2 판(12) 및 제3 판(13)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제1 판(11)은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완동물의 몸통이 착용되는 몸통부(11a), 다리가 착용되는 다리부(11b) 및 다리에서 발이 삽입되는 발부(11c)로 나뉜다. 다리부(11b)는 애완동물이 앞 다리가 삽입되는 제1 다리부[11b(1)] 및 뒤 다리가 삽입되는 제2 다리부[11b(2)]가 있다. 제1 다리부[11b(1)]와 몸통부(11a)는 가상의 경계선(b)에서 만나고, 제2 다리부[11b(2)]와 몸통부(11a)는 가상의 경계선(c)에서 만난다. 이와 같이, 가상의 경계선(b) 및 경계선(c)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몸통부(11a)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판(11)이 펼쳐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다리부(11b)는 몸통부(11a)의 단부인 경계선을 지나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형태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5개 조각으로 이루어진 의복의 몸통부와는 다른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제1 판(11)이 펼쳐진 상태에서, 다리부(11b)가 몸통부(11a)의 내부에 연결된다. 종래와 같이 몸통부(11a) 내부에서 다리부(11b)가 연결되면, 애완동물용 의복은 몸통부 하나와 다리부 4개로 총 5개의 조각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의복(10)은 다리부(11b)는 몸통부(11a)의 단부인 경계선을 지나 연장되므로 3개의 조각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종래의 방식은 다리부가 몸통부의 내부와 연결된 것이고, 본 발명의 다리부는 몸통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이므로, 서로 구분된다.
제1 다리부[11b(1)] 및 제2 다리부[11b(2)]에는 애완동물의 다리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삽입영역(d)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제2 판(12) 및 제3 판(13)을 결합하면, 삽입영역(d)이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3 판(11, 12, 13)의 크기는 적절하게 조절된다. 몸통부(11b)는 도 2에서 설명한 간격(D1)을 가지며, 간격(D1)은 애완동물의 복부의 형상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3 판(12, 13)이 제1 판(11) 상에 정렬될 때, 제2 및 제3 판(12, 13)은 서로 밀착되지 않고,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할 수 있는 정도로 정렬된다.
도 4에 의하면, 제2 판(12)은 제1 판(11)의 우측, 제3 판(13)은 제1 판(11)의 좌측에 배치되어, 제1 판(11)에 정렬된다. 즉, 제2 판(12)의 몸통부(12a) 및 제3 판의 몸통부(13a)는 제1 판(11)의 몸통부(11a) 상에 놓인다. 제2 판(12)의 다리부(12b) 및 제3 판의 다리부(13b)는 제1 판(11)의 다리부(11b) 상에 위치한다. 제2 판(12)의 발부(12c) 및 제3 판(13)의 발부(13c)는 제1 판(11)의 발부(11c)에 정합된다. 물론, 제2 판(12)의 제1 다리부[12b(1)] 및 제3 판(13)의 제1 다리부[13b(1)]은 제1 판(11)의 제1 다리부[11a(1)], 그리고 제2 판(12)의 제2 다리부[12b(2)] 및 제3 판(13)의 제2 다리부[13b(2)]는 제1 판(11)의 제2 다리부[11b(2)]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의복(10)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판(11) 상의 일측에 제1 판(11)의 다리부(11b) 및 발부(11c)의 일측과 일치하도록 제2 판(12)을 정렬시킨다. 즉, 제2 판(12)의 다리부(12b) 및 발부(12c)는 제1 판(11)의 다리부(11b) 및 발부(11c)의 일측에 일치된다. 그후, 제1 판(11) 상의 타측에 제1 판의 다리부 및 발부의 타측과 일치하도록 제3 판(13)을 정렬시킨다. 즉, 제3 판(13)의 다리부(13b) 및 발부(13c)는 제1 판(11)의 다리부(11b) 및 발부(11c)의 타측에 일치된다. 다리부(11b, 12b, 13b) 및 발부(11c, 12c, 13c)를 융착선(15)을 따라 융착에 의해 접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제1 판 내지 제3 판(11, 12, 13)은 애완동물용 의복(10)의 몸통부, 다리부 및 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의복(10)은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일체형으로 감싸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애완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일체형으로 감싸면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은 제1 내지 제3판(11, 12, 13)의 3개의 조각으로 구현한다. 5개의 조각으로 만들어지는 몸통부에 4개의 다리부를 각각 재봉방식으로 접합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의복(10)은 단지 3개의 조각을 정렬한 후 융착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방법이 간단하다. 제조방법이 간단하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어서, 일회용 의복(10)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의복(10)을 부직포와 같은 통기성이 있는 재질로 함으로써, 애완동물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의복(10)에서 애완동물의 발바닥에 접하는 미끄럼 방지층(20)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미끄럼 방지층(20)은 기공(22)이나 트래드(23)와 같이 홈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대표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층의 하나(20a)는 다수개의 기공(22)을 포함하는 발포 고무층(21)으로 이루어진다. 발포 고무층(21)은 애완동물용 의복(10)에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스프레이 방식 등에 의해 코팅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발포 고무층(21)는 고무에 발포제를 이하여 미세한 기공을 형성한 폼(foam) 형태의 발포 고무로써, 상기 발포 고무는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폴리아미드 고무, 천연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니트릴 부틸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프로필렌-스티렌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미끄러운 길은 빙판, 빗길처럼 수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발포 고무층(21)은 애완동물이 미끄러운 길을 걸을 때, 기공(22)의 공기가 방출되면서, 수막을 제거하여 마찰력을 늘일 수 있다. 즉, 수막에 기공(22)이 닿으면, 기공(22)에 닿는 부분의 수막이 파괴되어 수막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는 요인을 제공하는 수막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어, 애완동물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공(22)에서의 공기의 방출은 발포 고무층(21)의 형상을 유동적으로 변하게 하므로, 애완동물이 걸을 때 마찰력을 제공한다. 마찰력이 제공되는 미끄럼 방지층(20a)은 애완동물이 자연스럽게 산책할 수 있도록 한다.
미끄럼 방지층의 다른 하나(20b)는 발포 고무층(21)에 다수의 그루브(groove)가 패터닝된 트래드(23)가 형성되어 있다. 트래드(23)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착지할 때 트래드(23) 내부의 공기가 지면으로 방출되면서 수막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는 마름모꼴의 동일한 형상의 그루브가 두 개의 열로 배열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트래드(23)의 형상이나 배열을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트래드(23)에서의 공기의 방출은 발포 고무층(21)의 형상을 유동적으로 변하게 하므로, 애완동물이 걸을 때 마찰력을 제공한다. 마찰력이 제공되는 미끄럼 방지층(20b)은 애완동물이 자연스럽게 산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애완동물용 의복 11; 제1 판
12; 제2 판 13; 제3 판
20; 미끄럼 방지층 21; 발포 고무층
22; 기공 23; 트래드

Claims (9)

  1. 애완동물의 몸통을 감싸는 몸통부;
    상기 애완동물의 다리를 감싸는 다리부; 및
    상기 애완동물의 발을 감싸는 발부를 포함하는 의복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다리부가 만나는 가상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몸통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제1 판 및 상기 제1 판 상의 일측에 정렬되는 제2 판 및 상기 제1 판 상의 타측에 정렬되는 제3 판의 3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통기성 재질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 및 상기 제3 판은 벨크로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부에는 기공이 형성된 발포 고무층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고무층에는 패터닝된 다수의 트래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
  7. 몸통부, 다리부 및 발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각의 하나인 제1 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판 상의 일측에 상기 제1 판의 다리부 및 발부의 일측과 일치하도록 제2 판을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판 상의 타측에 상기 제1 판의 다리부 및 발부의 타측과 일치하도록 제3 판을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리부 및 발부를 융착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 내지 제3 판은 접합되어 상기 몸통부, 상기 다리부 및 상기 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은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다리부가 만나는 가상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몸통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의복의 제조방법.
KR1020160133375A 2016-10-14 2016-10-14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1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75A KR20180041350A (ko) 2016-10-14 2016-10-14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75A KR20180041350A (ko) 2016-10-14 2016-10-14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350A true KR20180041350A (ko) 2018-04-24

Family

ID=6208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375A KR20180041350A (ko) 2016-10-14 2016-10-14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3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823A (ko) 2021-01-07 2022-07-14 유명선 털 빠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우주복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92B2 (ja) * 1987-02-09 1994-09-1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ビルトインフラッシュ装置
KR20040105666A (ko) * 2004-11-23 2004-12-16 정화숙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및 그 제조방법
JP2005248336A (ja) * 2004-03-01 2005-09-15 Nisshinbo Ind Inc 高伸長性・高伸長回復性不織布、これを用いた製品及び該製品の製造方法
US20140053790A1 (en) * 2012-02-17 2014-02-27 Mystique Rumps All-in-one Pet Garment
KR20150002362U (ko) * 2013-12-10 2015-06-19 박대복 애완견 떨 빠짐 방지 기능 망사 옷
KR101563440B1 (ko) * 2014-12-24 2015-10-26 최민준 애완동물용 의류
KR20160000087U (ko) * 2013-11-26 2016-01-08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터치 장치
KR20160000878U (ko) * 2014-09-04 2016-03-14 신현미 신발부가 결합된 애완견용 의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92B2 (ja) * 1987-02-09 1994-09-1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ビルトインフラッシュ装置
JP2005248336A (ja) * 2004-03-01 2005-09-15 Nisshinbo Ind Inc 高伸長性・高伸長回復性不織布、これを用いた製品及び該製品の製造方法
KR20040105666A (ko) * 2004-11-23 2004-12-16 정화숙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53790A1 (en) * 2012-02-17 2014-02-27 Mystique Rumps All-in-one Pet Garment
KR20160000087U (ko) * 2013-11-26 2016-01-08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터치 장치
KR20150002362U (ko) * 2013-12-10 2015-06-19 박대복 애완견 떨 빠짐 방지 기능 망사 옷
KR20160000878U (ko) * 2014-09-04 2016-03-14 신현미 신발부가 결합된 애완견용 의류
KR101563440B1 (ko) * 2014-12-24 2015-10-26 최민준 애완동물용 의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823A (ko) 2021-01-07 2022-07-14 유명선 털 빠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우주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342B2 (en) Infant clothing with traction devices
US7020896B2 (en) Clothing incorporated with protective devices
CN103458677B (zh) 宠物用吸收性物品
US20110197343A1 (en) Double Loop Sock
JP3197313U (ja) ペット用ソックス
US20120255101A1 (en) Flat, topless socks
US11297800B2 (en) Trail boot with molded liner and adjustable metatarsal and metacarpal pad
EP2870892B1 (en) Open shoe comprising a textile layer and means of fixation
KR20180041350A (ko)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US9050245B2 (en) Teething device
KR102506137B1 (ko) 애완견 신발
US20190307104A1 (en) Canine diaper device
CN204971995U (zh) 医用尿垫
KR20220127492A (ko)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CN208144476U (zh) 一种免洗且便于穿戴的婴儿套装
JP3501367B2 (ja) 調整可能な脚部保護用具
KR101345696B1 (ko) 유아용 실내화
KR200458506Y1 (ko) 유아용 캐리어 통풍 패드
JP2002235204A (ja) 足サポーター
WO2019178415A1 (en) Trail boot with molded liner and adjustable metatarsal and metacarpal pad
KR101607676B1 (ko) 일회용 신발 커버
JP2000316601A (ja) スリッパ
JP5018904B2 (ja) オムツカバーエコ
KR20230132086A (ko)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애완견 신발, 및 이 신발의 제조방법
JPH0727841Y2 (ja) ブー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