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696B1 - 유아용 실내화 - Google Patents

유아용 실내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696B1
KR101345696B1 KR1020120003874A KR20120003874A KR101345696B1 KR 101345696 B1 KR101345696 B1 KR 101345696B1 KR 1020120003874 A KR1020120003874 A KR 1020120003874A KR 20120003874 A KR20120003874 A KR 20120003874A KR 101345696 B1 KR101345696 B1 KR 10134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toe
infant
socks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19A (ko
Inventor
오동재
Original Assignee
(주)와일드캣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일드캣 filed Critical (주)와일드캣
Priority to KR102012000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6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실내화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아의 발과 발목이 각각 수용되는 발수용부 및 발목부를 갖는 양말과; 상기 발수용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 제작되며, 그 선단부에는, 상기 발수용부에 수용된 발의 발가락 부분을 감싸 커버하되, 발가락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발가락의 체적보다 큰 내부 용적을 제공하는 발가락커버부가 형성된 발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아용 실내화는, 양말의 발수용부에 3차원 구조를 갖는 발받침을 고정시켜,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특히 발바닥과 발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실내화{House shoes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실내화에 관한 것이다.
걸음마를 막 배워 방안을 돌아다니기 시작하는 유아는 아무래도 걸음걸이가 불안하기 때문에 쉽게 미끄러져 넘어지기 쉽다. 이에 따라 유아용 양말의 바닥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수단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가령 양말의 바닥면에 합성수지를 도트(dot) 형태로 고착시킨 것으로서, 바닥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하는 원리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유아용 양말은, 상기한 미끄럼방지수단의 기능이 별로 좋지 못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상기 도트 형태의 합성수지는, 양말을 세탁함에 따라 탈락되기도 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굳어져 마찰력이 저하하여 처음의 기능을 잃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방바닥에 흘려 놓은 물이나 우유 등의 액체를 밟았을 때 젖어 축축해지므로 곧바로 갈아 신겨야 하고, 바닥에 떨어진 날카로운 물건을 밟았을 때 발바닥을 보호하는 기능도 없었다.
특히 섬유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외부의 자극이나 충격으로부터 발가락 부분을 보호할 수 도 없었다. 따라서 이를테면 무거운 장난감을 들다 놓친 경우 발가락 부분을 다칠 수 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양말의 발수용부에 3차원 구조를 갖는 발받침을 고정시켜,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특히 발바닥과 발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실내화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아용 실내화는, 유아의 발과 발목이 각각 수용되는 발수용부 및 발목부를 갖는 양말과; 상기 발수용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 제작되며, 그 선단부에는, 상기 발수용부에 수용된 발의 발가락 부분을 감싸 커버하되, 발가락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발가락의 체적보다 큰 내부 용적을 제공하는 발가락커버부가 형성된 발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실내화는, 인몰드사출을 통해 제작되어 발받침에 대해 양말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아울러, 상기 발가락커버부는, 상기 발받침의 선단에서 발등부위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발등부위로의 연장길이는, 발받침 길이의 1/3 내지 1/4이고, 상기 발가락커버부에는 상기 발가락커버부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되어 유아의 발가락에서 발생하는 땀을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인 통풍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아용 실내화는, 양말의 발수용부에 3차원 구조를 갖는 발받침을 고정시켜,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특히 발바닥과 발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유아용 실내화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유아용 실내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예 따른 유아용 실내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유아용 실내화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11)는, 유아의 발에 착용되는 양말(13)과, 상기 양말(13)의 발수용부(13r)에 결합하는 발받침(15)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양말(13)은, 유아의 발이 수용되는 발수용부(13r)과, 상기 발수용부(13r)에 일체를 이루며 발목을 수용하는 발목부(13p)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말(13)은 보온성을 갖는 면소재의 양말로서 유아의 발을 일차적으로 보호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양말(13)에 각종 만화 캐릭터나 기타 유아가 좋아하는 여러 가지 장식물을 추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양말(13)의 발수용부(13r)에 결합하는 발받침(15)은 양말(13)에 결합한 상태로 양말(13)을 착용한 유아의 발을 보호함은 물론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받침(15)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서 그 자체가 일체형이다. 상기 발받침(15)은 탄력성을 가지며 매우 가벼워 유아의 걸음에 방해되지 않으며 특히 발가락커버부(15k)를 가지므로, 외부의 자극이나 충격으로부터 발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특히 상기 발받침(15)의 선단부에는 발가락커버부(15k)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가락커버부(15k)는, 발받침(15)의 선단부(13k)에서 발등부위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양말을 착용한 유아의 발가락을 커버하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가락커버부(15k)의, 발등 부위로의 연장길이(B)는 발받침(15) 전체 길이(A)의 1/3 내지 1/4 정도이다. 상기 발가락커버부(15k)가 상기한 사이즈를 가짐으로 양말(13)을 착용한 유아의 발가락은 상기 발가락커버부(15k)의 하부에 충분히 감싸며 보호된다.
또한 상기 발가락커버부(15k)의 (바닥면에 대한) 최대 높이(C)는, 유아의 발가락이 상하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히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발가락커버부(15k)가 제공하는 내부 용적은 발가락의 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상기 높이(C)는 약 2cm 내지 4cm 정도이다. 이와 같이 발가락커버부(15k)의 높이를 충분히 높게 형성함으로써 유아가 발가락을 계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안정된 보행과 인지적 행동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도면부호 15a는 통풍구이다. 상기 통풍구(15a)는 유아의 발가락에서 발생하는 땀을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이다. 상기 통풍구(15a)의 개수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유아용 실내화(11)는, 인몰드 사출을 통해 제작된다. 즉, 미리 준비된 몰드에 양말(13)을 세팅한 상태로 몰드 내부로 용융 합성수지를 주입한 후 냉각시켜 제작된 것이다. 상기 용융 합성수지는 몰드의 내부에서 양말(13)의 발수용부(13r)에 접한 상태로 냉각되므로 발수용부(13r)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양말(13)의 발수용부(13r)가 발받침(15)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발받침의 형상에 맞추어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그만큼 양말(13)을 착용하기가 수월하기도 하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유아용 실내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양말(13)의 발목부(13p) 일측에 개폐부(13b)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개폐부(13b)는, 양말(13)의 착용시 발목부(13p)의 입구를 벌리거나 잠그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폐부(13b)를 개방하면 발목부(13p)의 입구부가 넓어져 양말을 착용하기가 쉬워지고, 개폐부(13b)를 채우면 발목부(13p)가 잘 흘러내리지 않는다.
상기 개폐부(13b)는, 발목부(13p)의 일측에 발목부(13p)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13m)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패션단추(13c) 및 단추구멍(13d)이다.
상기 패션단추(13c)는 단추구멍(13d)에 끼워져 발목부(13p)를 잠그는 것으로서, 그 모양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단추구멍(13d)으로부터 패션단추(13c)를 분리하면 상기 절개부(13m)가 풀어 헤쳐져 양말을 쉽게 신고 벗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패션단추(13c)와 단추구멍(13d) 이외의 다른 잠금수단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11)는, 유아의 발에 착용되는 양말(13)과, 상기 양말(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합성수지재의 발받침(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 양말(13)과 발받침(15)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양말과 발받침이 착탈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이는 양말(13)의 분리 세탁을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11)는, 그 내측면에 다수의 제 1접착천(17a)이 구비되어 있는 발받침(15)과, 상기 발받침(15)이 제공하는 내부공간(15b)에 수용된 상태로 발받침(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양말(13)로 구성된다. 상기 양말(13)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1접착천(17a)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 2접착천(17b)이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접착천(17a)과 제 2접착천(17b)은 공지의 벨크로(velcro) 테잎으로서 상호 쌍을 이루며 접착 및 분리가 가능한 부재이다.
특히 상기 발받침(15)의 내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접착천(17a) 중 일부 접착천은 상기 발가락커버부(15k)의 내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발가락커버부(15k)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 1접착천(17a)은 양말(13)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 2접착부(17b)와 결합하여, 발가락커버부(15k)의 하부에 발가락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상기와 같이, 양말(13)이 발받침(15)에 대해 분리가 가능하므로, 양말(13)을 발받침(15)으로부터 분해하여 양말(13)만 독립 세탁할 수 있다.
사실 상기 발받침(15)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이므로, 오염이 되었을 때 물걸레나 물티슈로 간단히 닦아주면 어느 정도 세척이 가능하지만, 양말(13)은 섬유로 제작된 것이어서 때가 잘 타고 더욱이 피부와 직접 접하는 것이므로 잦은 세탁이 필요한데, 상기와 같이 양말(13)을 발받침(15)에 대해 분해 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유아용 실내화(11)를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13)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유아용 실내화(13)는, 유아의 발에 착용되는 양말(13)과, 상기 양말(13)의 발수용부(13r)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합성수지재 발받침(1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말(13)의 일측부에는 개폐부(13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13b)는, 발목부(13p)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13m)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며 쌍을 이루는 접착천(13e,13f)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천(13e,13f)은 상호 결합하여 발목부(13p)의 입구를 채우거나 분리되어 발목부(13p)의 입구를 넓게 개방한다.
아울러 상기 양말(13)의 발수용부(13r) 저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도트(13g)가 적용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도트(13g)는, 발수용부(13r)의 저면에 합성수지를 도트(dot)형태로 찍어 형성한 것으로서, 발받침(15)의 밑창에 접하며, 발받침(15)에 대한 양말(13)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발받침(15)의 양측에는 타이밴드(15c,15d)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타이밴드(15c,15d)는 일정폭을 갖는 띠형태의 부재로서 그 일단부가 상기 발받침(15)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타이밴드(15c,15d)의 내측면에는 접착천(15e,15f)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접착천(15e,15f)은 쌍을 이루며 상호 포개어져 접착 고정되는 공지의 벨크로테입이다.
상기 타이밴드(15c,15d)는, 발받침(15)의 내부에 양말(13)의 발수용부(13r)가 수용된 상태로, 발수용부(13r)의 발등부 측으로 회동하여 포개어진 상태로 결합함으로써, 양말(13)을 발받침(15)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유아용 실내화(11)의 경우, 상기 타이밴드(15c,15d)를 개폐함에 따라, 발받침(15)에 대한 양말(13)의 결합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양말(13)의 분리 세탁이 가능하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아용 실내화(11)는, 양말(13)의 하부에, 탄성력을 갖는 발받침(15)이 구비되고, 특히 발받침(15)으로 하여금 발가락 부위를 감싸 보호하게 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유아용 실내화 13:양말 13b:개폐부
13c:패션단추 13d:단추구멍 13e,13f:접착천
13g:미끄럼방지도트 13k:선단부 13m:절개부
13p:발목부 13r:발수용부 15:발받침
15a:통풍구 15b:내부공간 15c,15d:타이밴드
15e,15f:접착천 15k:발가락커버부 17a:제 1접착천
17b:제 2접착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유아의 발과 발목이 각각 수용되는 발수용부 및 발목부를 갖는 양말과,
    상기 발수용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 제작되며, 그 선단부에는, 상기 발수용부에 수용된 발의 발가락 부분을 감싸 커버하되, 발가락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발가락의 체적보다 큰 내부 용적을 제공하는 발가락커버부가 형성된 발받침을 포함하고,
    유아용 실내화는, 인몰드사출을 통해 제작되어 발받침에 대해 양말이 일체를 이루되,
    상기 발가락커버부는, 상기 발받침의 선단에서 발등부위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상기 선단으로부터 발등부위로의 연장길이는, 발받침 길이의 1/3 내지 1/4이고,
    상기 발가락커버부에는 상기 발가락커버부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되어 유아의 발가락에서 발생하는 땀을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인 통풍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실내화.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03874A 2012-01-12 2012-01-12 유아용 실내화 KR10134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74A KR101345696B1 (ko) 2012-01-12 2012-01-12 유아용 실내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74A KR101345696B1 (ko) 2012-01-12 2012-01-12 유아용 실내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19A KR20130083219A (ko) 2013-07-22
KR101345696B1 true KR101345696B1 (ko) 2013-12-30

Family

ID=4899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874A KR101345696B1 (ko) 2012-01-12 2012-01-12 유아용 실내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11413D0 (en) * 2013-06-27 2013-08-14 Clark C & J Int Ltd An article of footwear
CN203814683U (zh) * 2014-02-27 2014-09-10 陈谷铭 鞋足一体的袜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28436U (ko) * 1972-06-17 1974-11-05
KR20030070785A (ko) * 2002-02-26 2003-09-02 이종영 땀 흡수용 덧신
KR200418063Y1 (ko) * 2006-03-20 2006-06-09 조일훈 양말
KR101031972B1 (ko) * 2010-09-07 2011-04-29 (주)와일드캣 영유아용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28436U (ko) * 1972-06-17 1974-11-05
KR20030070785A (ko) * 2002-02-26 2003-09-02 이종영 땀 흡수용 덧신
KR200418063Y1 (ko) * 2006-03-20 2006-06-09 조일훈 양말
KR101031972B1 (ko) * 2010-09-07 2011-04-29 (주)와일드캣 영유아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19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59652A1 (en) Toe correction device
KR101345696B1 (ko) 유아용 실내화
JP5361341B2 (ja) 裸足歩行用靴下とその製造方法
KR101703323B1 (ko) 방전화
KR101123120B1 (ko) 쿠션 슬리퍼
KR200407391Y1 (ko) 의복부착용 스티커
KR20160106112A (ko) 신발과 발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양말 신발
KR100666938B1 (ko) 키높이 이중인솔
KR200445047Y1 (ko) 발매트
KR200479753Y1 (ko) 발가락 양말
JP2003009902A (ja) 幼児用靴中敷及び幼児用靴
KR20110002513A (ko) 깔창덮개
KR100587895B1 (ko) 발뒤꿈치 보호대
KR100999461B1 (ko)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발
JP2020014817A5 (ko)
KR101384889B1 (ko) 반영구적 하이힐용 신발커버
KR101122874B1 (ko) 실내화
JP6385030B2 (ja) フットカバー
KR200410272Y1 (ko) 발 보호용 양말 또는 덧신
KR101946349B1 (ko) 뒤꿈치 마사지 기능용 신발
JP4868669B2 (ja) 幼児用靴
KR20180041350A (ko) 애완동물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KR200353748Y1 (ko) 발뒤꿈치 물집발생 방지 및 발목 보호대
KR200450771Y1 (ko) 레저용 스타킹
KR20010000357U (ko) 맨발패션을 위한 다기능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