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753Y1 - 발가락 양말 - Google Patents

발가락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753Y1
KR200479753Y1 KR2020140009206U KR20140009206U KR200479753Y1 KR 200479753 Y1 KR200479753 Y1 KR 200479753Y1 KR 2020140009206 U KR2020140009206 U KR 2020140009206U KR 20140009206 U KR20140009206 U KR 20140009206U KR 200479753 Y1 KR200479753 Y1 KR 200479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sock
insulating layer
toe por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후
Original Assignee
안정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후 filed Critical 안정후
Priority to KR2020140009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5Hosiery made essentially of a multi-ply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가락 양말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보온성을 향상시킨 발가락 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을 수용하는 발가락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발목 부분을 감싸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온층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발가락부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발가락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피가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발가락 양말을 이루는 발가락부의 단부에 보온층을 구비하여 발가락부의 단부에서 자주 발생 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발가락 양말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둘째, 발가락부의 단부에 구비된 보온층과 발가락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피의 구성을 통하여 발가락 양말의 보온성을 높임은 물론이고, 발가락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발가락 양말의 미관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발가락 양말의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를 개선하여 전체적인 발가락 양말 시장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셋째, 발가락부의 외측에 외피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가락부와 외피가 연결층을 통하여 상호 구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피의 내측에서 발가락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가락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보행 편의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발가락에 마찰 등에 의한 손상이나 피부질환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발가락부의 단부가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가락 양말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발가락 양말의 재구입과 같은 불필요한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가락 양말{The toe socks}
본 고안은 발가락 양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가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발가락부의 단부에 보온층을 구비하고, 발가락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외피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발가락 양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발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발가락의 단부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발가락 양말의 손상을 방지하여 발가락 양말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발가락 양말에 관한 것이다.
발가락 양말이란, 사용자의 발, 발목, 발가락 부위를 감싸며 보온을 이룰 수있는 양말의 형상에서 발가락이 수용되는 부위를 발가락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한 양말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가락 양말은 양말에 수용되는 발가락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땀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나 발가락에 피부질환 또는 상처가 있는 사용자가 발가락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발가락 양발은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을 수용하는 발가락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발목 부분을 감싸는 연장부(300)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의 발가락 양말은 발 또는 발가락에 피부질환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 피부질환이 없는 사용자가 발가락 양말의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미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손쉽게 사용자가 발가락 양말의 사용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발가락이 삽입되는 발가락 양말의 외측 부위에 발가락이 수용되는 부위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발가락 양말 등은 발가락이 수용되는 부위의 외부노출은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었지만, 발가락이 수용되는 발가락 부위의 외부노출이 어려워 발가락이 수용되는 부위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발가락 양말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발가락 양말의 외측에 커버 등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결합된 커버와 발가락이 수용된 발가락 양말의 부위가 연결된 상태를 이루지 않아 사용자가 발가락 양말을 착용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발가락이 수용된 부위와 커버가 각각 유동 될 수 있어 발가락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발가락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가락 부위에 피부질환 또는 상처가 발생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199776(2000.08.04) (2)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360706(2004.08.23)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가락 양말의 외측에 외피를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발가락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보온층을 통하여 발가락부가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발가락부의 보온성을 높일 수 있는 발가락 양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발가락 양말을 착용하여 이동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발가락부와 이에 결합되는 외피가 연결층을 통하여 상호 구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외피의 내측에서 발가락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발가락 양말의 사용을 이룰 수 있는 발가락 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을 수용하는 발가락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발목 부분을 감싸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는 보온층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발가락부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발가락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피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보온층은 부드러운 면 재질의 섬유층이 여러 번의 재봉과정을 통해 복수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온층의 길이는 발가락부의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2~4cm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부와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발가락부를 보온하고, 발가락부와 외피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상호 구속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층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발가락 양말을 이루는 발가락부의 단부에 보온층을 구비하여 발가락부의 단부에서 자주 발생 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발가락 양말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둘째, 발가락부의 단부에 구비된 보온층과 발가락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피의 구성을 통하여 발가락 양말의 보온성을 높임은 물론이고, 발가락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발가락 양말의 미관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발가락 양말의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를 개선하여 전체적인 발가락 양말 시장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셋째, 발가락부의 외측에 외피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가락부와 외피가 연결층을 통하여 상호 구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피의 내측에서 발가락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가락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보행 편의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발가락에 마찰 등에 의한 손상이나 피부질환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발가락부의 단부가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가락 양말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발가락 양말의 재구입과 같은 불필요한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가락 양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가락 양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가락 양말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발가락부와 외피의 내측에 연결층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2 내지 도 5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가락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발가락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장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가락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200)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일정 두께는 갖는 보온층(210)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발가락부(20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에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부(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외피(40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100), 발가락부(200), 연장부(300)는 면,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발가락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하되, 발가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몸체부(100)의 일측에서 각각 분기되게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특히, 상기 발가락부(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보온층(210)은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발가락부(200)를 이루는 면 재질의 섬유층 내측에 보온층(210)을 이루는 면 재질의 섬유층을 더 보강하는 형태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 발가락부(200), 연장부(300)를 땀의 흡수가 용이하면서도 부드러운 재질의 면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발가락부(200)의 단부 부위에 면 재질의 보온층(210)이 더 구비될 수 있도록 발가락부(200)의 단부에 여러 번의 보온층(210)을 형성할 수 있는 면 재질을 재봉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결합 구성함으로써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보온층(210)이 구비된 발가락부(200)의 구성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발가락 양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발가락 단부와 발가락 양말의 발가락부(200) 단부의 밀착부위에서 자주 발생 될 수 있는 발가락부(200)의 찢어짐이나 손상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어 발가락 양말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며, 발가락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가락 부위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발가락부(200)의 내측으로 보온층(210)이 구비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가락부(200)의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가락이 수용되는 경우에도 구비된 보온층(210)으로 인하여 불편한 느낌이 발생 되지 않는 구성이라면 상기 보온층(210)은 발가락부(200)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보온층(210)이 다수개 적층되도록 여러번의 재봉 과정을 통하여 상기 발가락부(200)의 단부에 보온층(210)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예컨대, 상기 보온층(210)은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단일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발가락부(200)에 복수층으로 형성하여 발가락부(200)의 찢어짐과 같은 파손을 방지하고 발가락부(200)의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보온층(210)의 복수층 형성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가락부(200)에 보온층(210)을 재봉하는 과정의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보온층(210)의 형성은 발가락 양말을 제조하는 제조환경이나 사용자의 발가락 양말 사용 목적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가락부(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보온층(210)의 길이는 발가락부(200)의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2~4cm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보온층(210)이 발가락부(200)의 선단으로부터 4c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발가락부(200)에 수용되는 사용자의 발가락 움직임이 보온층(210)에 의하여 방해를 받을 수 있고, 상기 발가락부(200)의 선단으로부터 2cm 이하로 보온층(21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온층(210)의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발가락부(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보온층(210)은 발가락부(200)의 끝단으로부터 2~4cm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400)는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발가락부(20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면 재질을 이루는 외피(400)를 상기 발가락부(200)와 연결된 몸체부(100)의 일측에 재봉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외피(400)가 도시된 도 2에서와 같이, 발가락부(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외피(400)의 결합은 발가락 양말의 제조시에 발가락 양말의 몸체부(100)와 외피(400)의 재봉되는 과정을 통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발가락부(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외피(400)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발가락부(200)와 외피(400)의 내측으로 연결층(410)을 구비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층(410)은 도시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발가락부(200)의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발가락부(200)와 외피(400)가 접촉면을 중심으로 상호 구속이 가능하도록 발가락부(200)와 외피(400)의 연결되는 부위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발가락 양말을 착용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외피(400)의 내측에 구성된 발가락부(200)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발가락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보행 편의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발가락에 마찰 등에 의한 손상이나 피부질환 등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사용자의 발가락이 수용되는 발가락부(200)와 상기 발가락부(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외피(400)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어 발가락양말을 착용한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신발 등을 착용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불필요한 발가락부(200)와 외피(400)의 마찰로 인하여 발가락부(200)에 수용된 사용자의 발가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가락부(200)가 외피(400)의 내측에서 유동되며 손상되는 것을 원활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발가락부(200)와 외피(400)가 연결층(41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가락 양말을 이루는 발가락부의 단부가 보온층을 통하여 보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발가락부의 단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찢어짐과 같은 손상을 방지하고, 발가락부의 보온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발가락 양말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몸체부 200: 발가락부
210: 보온층 300: 연장부
400: 외피 410: 연결층

Claims (4)

  1.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을 수용하는 발가락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발목 부분을 감싸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는 보온층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발가락부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발가락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피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보온층은 부드러운 면 재질의 섬유층이 여러 번의 재봉과정을 통해 복수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온층의 길이는 발가락부의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2~4cm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부와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발가락부를 보온하고, 발가락부와 외피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상호 구속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층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양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9206U 2014-12-12 2014-12-12 발가락 양말 KR200479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06U KR200479753Y1 (ko) 2014-12-12 2014-12-12 발가락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06U KR200479753Y1 (ko) 2014-12-12 2014-12-12 발가락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753Y1 true KR200479753Y1 (ko) 2016-03-09

Family

ID=5553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206U KR200479753Y1 (ko) 2014-12-12 2014-12-12 발가락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501A (ko) 2020-12-21 2022-06-28 김명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267B2 (ja) 1990-01-16 2000-05-22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回転検出器用コア構造
KR200360706Y1 (ko) * 2004-06-14 2004-09-01 서보민 커버가 형성된 발가락 양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267B2 (ja) 1990-01-16 2000-05-22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回転検出器用コア構造
KR200360706Y1 (ko) * 2004-06-14 2004-09-01 서보민 커버가 형성된 발가락 양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501A (ko) 2020-12-21 2022-06-28 김명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7385A1 (en) Waterproof Sock Cover Apparatus
US20110314694A1 (en) Sandal toe post and strap system
US20150359652A1 (en) Toe correction device
US20140345033A1 (en) Sock construction
US9038286B2 (en) Footwear accessory
KR200479753Y1 (ko) 발가락 양말
CN203851876U (zh) 袜鞋结构
KR200442594Y1 (ko) 덧버선
KR101724036B1 (ko)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
US20140059745A1 (en) Socks for preventing creasing in footwear
KR101092246B1 (ko)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KR20180000082U (ko) 착용감이 우수한 덧버선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101345696B1 (ko) 유아용 실내화
KR100709266B1 (ko) 샌들용 양말
KR101552570B1 (ko) 기능성 발가락 스타킹 및 그 제조방법
KR200474072Y1 (ko) 양말
KR20140005473U (ko) 덧버선
US619837A (en) Bernard petciiaft
KR20170002097U (ko) 논슬립부 형성을 위한 덧버선의 힐
KR102226959B1 (ko) 여성 구두용 실리콘 코팅 레이스 덧신
KR20100007810U (ko) 양말
KR20160001178U (ko) 전면부 내측에 실리콘 패드를 갖는 양말
KR101855682B1 (ko) 키높이 밴드
GB2511105A (en) Sock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