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492A -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 Google Patents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492A
KR20220127492A KR1020210031837A KR20210031837A KR20220127492A KR 20220127492 A KR20220127492 A KR 20220127492A KR 1020210031837 A KR1020210031837 A KR 1020210031837A KR 20210031837 A KR20210031837 A KR 20210031837A KR 20220127492 A KR20220127492 A KR 2022012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dog
dogs
disposabl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797B1 (ko
Inventor
하지영
Original Assignee
하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지영 filed Critical 하지영
Priority to KR102021003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7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wood, cork, card-board, paper or like fibrous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발은 부직포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반려견용 신발로서 사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DISPOSABLE SHOES FOR DOG MADE OF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발은 부직포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반려견용 신발로서 사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반려견(애완견, 강아지)은 대표적인 반려동물로서, 반려인구의 수는 계속 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견을 위한 각종 용품과 장신구 역시 그 종류가 날로 다양해지고 있는데, 일 예로, 반려견을 위한 신발도 치장과 건강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려견용 신발은 종래 좀 더 예쁘게 치장하는 장식의 용도로 많이 사용했지만, 근래에는 반려견의 건강을 위한 기능성이 차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특히 실외 활동을 할 때에 반려견 신발은 날카로운 물건에 의한 창상, 뜨거운 아스팔트에 의한 화상, 눈길을 걸을 때의 동상으로부터 반려견의 발(견족)을 보호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는 반려견의 발바닥에 상처가 생기면 자세와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져 슬개골 탈구와 고관절 이형성증 등의 관절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활동량이 떨어짐에 따라 체중 증가나 소화계통 이상 등의 내과 질환, 우울증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반려견용 신발은 기능적으로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 가죽과 같은 다소 딱딱한 소재로 제작된 반려견용 신발은 쓸려서 상처가 생기기도 하고, 실리콘처럼 유연하고 탄력 있는 소재로 제작된 반려견용 신발은 상처가 생기지 않지만 걷거나 뛰다 보면 신발이 말려서 활동하기에 불편하고 쉽게 벗겨지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부직포를 이용하여 반려견용 신발을 제조할 경우, 저가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반려견용 신발에 고정부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신발이 쉽게 벗겨지지 않고 손쉽게 고정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5287호는 고무판이 밑창으로 구비된 애완견용 신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부직포로 구성된 바닥부(10) 및 발목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10) 및 발목부(2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발목부(20)는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가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을 제공한다.
상기 바닥부(10)는 하면에 미끄럼 방지 패드(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목부(20)는 일측 끝단에 레이스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레이스부(22)는 복수의 홈 및 돌출부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은 전면개방, 일부개방 또는 전면폐쇄된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이 전면개방 또는 일부개방된 형태일 경우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은 개방 부분을 폐쇄시키기 위한 결합부(24)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밸트로 타입 또는 테이프 타입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목부(20) 및 고정부(30)는 절취선(26)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절취선(26)을 통해 고정부(30)를 분리하여 발목부(20)에 상기 고정부(30)를 결합함으로써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은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가벼우며, 생산단가가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부담없이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은 밑창부에 미끄럼 방지 패드가 형성되어 있어 반려견이 외부 활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한 활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은 별도의 고정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킬 경우, 상기 신발이 쉽게 벗겨지지 않고 손쉽게 고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은 일측 끝단에 레이스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려견의 털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2)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바닥부(10)의 하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발목부(20)의 뒤측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정부(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부직포로 구성된 바닥부(10) 및 발목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10) 및 발목부(2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발목부(20)는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가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을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을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바닥부(10)의 하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발목부(20)의 뒤측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고정부(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은 부직포로 구성된 바닥부(10) 및 발목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10) 및 발목부(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은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가벼우며, 생산단가가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0) 및 발목부(20)가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시 금형을 이용한 사출방식으로 간편하게 제조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0) 및 발목부(20)의 재질인 부직포는 1겹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겹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부직포가 복수 개의 겹으로 형성됨으로써 반려견의 발을 외부 위험요소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는 반려견의 발이 위치하는 공간으로서, 내측에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층이 단일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층의 재질은 부드러운 재질의 것이면 크게 제한이 없으나, 생산단가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 솜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부(10)는 외표면이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려견의 발바닥이 위치하는 내표면에는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층, 예를 들어 단일 층 또는 복수 층으로 형성된 솜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의 크기나 형태는 크게 제한이 없으며, 반려견의 종(種) 또는 반려견의 발 크기에 맞게끔 제조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10)는 단일 규격의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의 반려견에 맞는 크기/형태의 신발(1)을 선택하여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10)는 하면에 미끄럼 방지 패드(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1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고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의 형태 및 숫자가 크게 제한되는 아니며, 상기 바닥부(10)의 하면이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의 재질 형태 및 숫자를 가지는 것이면 충분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은 바닥부(10)의 하면인 밑창부에 미끄럼 방지 패드(12)가 형성되어 있어 반려견이 외부 활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한 활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는 반려견의 발목 및 이의 윗부분이 위치하는 공간으로서,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 레이스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 끝단이란 바닥부(10)와 연결되는 부위의 반대편 끝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이스부(22)는 복수의 홈 및 돌출부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반려견이 상기 신발(1)을 착용 시에 반려견의 털이 상기 레이스부(22)의 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한 것일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심미감 또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은 전면개방, 일부개방 또는 전면폐쇄된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뒤측이란 반려견의 뒷발목이 위치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은 반려견의 발을 상기 신발(1)에 용이하게 착용시키기 위해, 전면개방 또는 일부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은 개방 부분을 폐쇄시키기 위한 결합부(24)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24)는 반려견의 뒷발목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위험요소로부터 뒷발목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밸트로 타입 또는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개방 부분을 폐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의 크기나 형태는 상기 바닥부(10)와 마찬가지로 크게 제한이 없으며, 반려견의 종(種) 또는 반려견의 발목(발목 윗부분 포함) 크기에 맞게끔 제조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목부(20)는 단일 규격의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의 반려견에 맞는 크기/형태의 신발(1)을 선택하여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은 발목부(20)에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를 1개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 하로 2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0)는 밸트로 타입 또는 테이프 타입인 것일 수 있으며, 도 1에는 밸트로 타입에 대해 나타내었으나, 테이프 타입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가 밸트로 타입인 경우, 상기 고정부(30)는 끈의 형태로서 일측 단부가 발목부(20)에 결합되어 있고, 일정 길이의 타측 단부는 발목부(20)와 이탈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에 반려견의 발을 삽입시에는 상기 고정부(30)의 타측 단부를 발목부(20)에 이탈시킨 상태에서 발을 삽입시키며, 삽입 후에는 타측 단부를 일측 단부와 밸트로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가 테이프 타입인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는 끈의 형태로서 양 끝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착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는 일반 기재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양 끝단부 중 일측 끝단부는 발목부(20)에 결합되어 있고, 기재부(34) 및 타측 끝단부는 발목부(20)와 이탈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에 반려견의 발을 삽입시에는 상기 기재부(34) 및 타측 끝단부를 발목부(20)에 이탈시킨 상태에서 발을 삽입시키며, 삽입 후에는 타측 끝단부 및 일측 끝단부를 접착부(32)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가 테이프 타입인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30)는 양 끝단부 모두에 접착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부(32)에는 이형지(36)가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형지(36)는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에 반려견의 발을 삽입하기 전에 상기 접착부(32)에 의해 고정부(30)가 원하지 않는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되는 구성인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반려견의 발을 상기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에 삽입 시에 이형지(36)가 부착된 상태로 발을 삽입시키며, 삽입 후에 상기 이형지(36)를 제거하고, 접착부(32)를 통해 이를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0)가 밸트로 타입인 경우 밸트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모두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테이프 타입인 경우 기재부(34)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0)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반려견의 발목이 보다 강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신발(1)이 쉽게 벗겨지지 않는 것일 수 있으며, 반려견의 발목에도 큰 압박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이 보다 우수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에는 밸트로 타입 또는 테이프 타입의 고정부(30) 모두 일측이 발목부(20)에 고정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고정부(30)가 상기 발목부(20)에 고정되지 않은 형태로서 별개로도 제공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태의 고정부(30) 또한 작동 원리는 일측이 발목부(20)에 고정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목부(20) 및 고정부(30)는 절취선(26)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절취선(26)은 레이스부(22)의 형태와 동일하게 복수의 홈 및 돌출부가 교차로 형성된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취선(26)을 이용하여 상기 발목부(20)로부터 상기 고정부(30)를 분리할 경우 발목부(20)의 일측 끝단에 레이스부(22)의 구현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 및 고정부(30)가 절취선(26)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절취선(26)을 통해 고정부(30)를 분리하여 발목부(20)에 상기 고정부(30)를 결합함으로써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트로 타입 또는 테이프 타입인 것일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 및 고정부(30)가 절취선(26)을 통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30)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이 일체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순히 상기 절취선(26)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부(3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것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10: 바닥부
12: 미끄럼 방지 패드 20: 발목부
22: 레이스부 24: 결합부
26: 절취선 30: 고정부
32: 접착부 34: 기재부
36: 이형지

Claims (10)

  1. 부직포로 구성된 바닥부(10) 및 발목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10) 및 발목부(2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발목부(20)는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가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는 하면에 미끄럼 방지 패드(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는 일측 끝단에 레이스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부(22)는 복수의 홈 및 돌출부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은 전면개방, 일부개방 또는 전면폐쇄된 형태인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이 전면개방 또는 일부개방된 형태일 경우 상기 발목부(20)의 뒤측은 개방 부분을 폐쇄시키기 위한 결합부(24)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밸트로 타입 또는 테이프 타입인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부(20) 및 고정부(30)는 절취선(26)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26)을 통해 고정부(30)를 분리하여 발목부(20)에 상기 고정부(30)를 결합함으로써 반려견의 발목을 고정시켜 주는 것인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1).
KR1020210031837A 2021-03-11 2021-03-11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KR10262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837A KR102629797B1 (ko) 2021-03-11 2021-03-11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837A KR102629797B1 (ko) 2021-03-11 2021-03-11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492A true KR20220127492A (ko) 2022-09-20
KR102629797B1 KR102629797B1 (ko) 2024-01-25

Family

ID=8344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837A KR102629797B1 (ko) 2021-03-11 2021-03-11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715B1 (ko) 2023-07-04 2024-01-17 박성주 반려견 일회용 신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337Y1 (ko) * 1987-04-10 1990-05-19 주식회사 금성사 Tv수상기용 스피커 위치 구동 장치
US5495828A (en) * 1994-06-30 1996-03-05 Solomon; Irving Animal boots with detachable, vertically adjustable fastening strap
US20140150299A1 (en) * 2012-12-01 2014-06-05 Therese Leigh Entler Canine protective boot
JP3197313U (ja) * 2012-03-20 2015-05-14 ▲諸▼▲曁▼市▲藍▼▲波▼▲児▼▲針▼▲紡▼有限公司 ペット用ソックス
KR20200114820A (ko) * 2019-03-29 2020-10-07 홍세영 애완견용 신발
KR20210026516A (ko) * 2019-08-30 2021-03-10 (주)더세이폴 애완견 신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313B2 (ja) 1992-02-19 2001-08-13 三井化学株式会社 オレフィンの重合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337Y1 (ko) * 1987-04-10 1990-05-19 주식회사 금성사 Tv수상기용 스피커 위치 구동 장치
US5495828A (en) * 1994-06-30 1996-03-05 Solomon; Irving Animal boots with detachable, vertically adjustable fastening strap
JP3197313U (ja) * 2012-03-20 2015-05-14 ▲諸▼▲曁▼市▲藍▼▲波▼▲児▼▲針▼▲紡▼有限公司 ペット用ソックス
US20140150299A1 (en) * 2012-12-01 2014-06-05 Therese Leigh Entler Canine protective boot
KR20200114820A (ko) * 2019-03-29 2020-10-07 홍세영 애완견용 신발
KR20210026516A (ko) * 2019-08-30 2021-03-10 (주)더세이폴 애완견 신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715B1 (ko) 2023-07-04 2024-01-17 박성주 반려견 일회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797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9795B2 (en) Flip flop and slipper in one/convertible sandal slipper
US20120255101A1 (en) Flat, topless socks
US20150374094A1 (en) Wearable Pedicure Protection Device
US11297800B2 (en) Trail boot with molded liner and adjustable metatarsal and metacarpal pad
WO2020054970A1 (ko) 애완견 신발
JP4504725B2 (ja) 足指を甲被から個別に突き出すことを可能とした履物
CN104225880A (zh) 一种蛙鞋
EP2870892B1 (en) Open shoe comprising a textile layer and means of fixation
KR20180009030A (ko) 애완견 신발
KR20220127492A (ko)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JP2013502973A (ja) 一体型アウトソールが備えられる5本指靴
US20150250266A1 (en) Shoe accessory devices
KR200383278Y1 (ko) 애완동물용 신발
JP3128268U (ja) 犬用靴
KR20090001566U (ko) 애완견용 신발
CN204092970U (zh) 一种蛙鞋
KR101838808B1 (ko) 뒤꿈치 가림용 풋웨어
KR20200099787A (ko) 애완견용 미끄럼방지 패치
KR102364654B1 (ko) 반려동물 미끄럼 방지용 슈즈
JP2004254606A (ja) ペット用靴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KR20110002513A (ko) 깔창덮개
KR20150002431U (ko) 본 발명은 집안에서 기르는 반려동물의 발을 외출시 보호하는 반려동물 신발에 관한 것 으로 본 발명의 명칭은 펫토우
JP4928889B2 (ja) 靴用中敷
WO2019178415A1 (en) Trail boot with molded liner and adjustable metatarsal and metacarpal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