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030A - 애완견 신발 - Google Patents

애완견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030A
KR20180009030A KR1020160090411A KR20160090411A KR20180009030A KR 20180009030 A KR20180009030 A KR 20180009030A KR 1020160090411 A KR1020160090411 A KR 1020160090411A KR 20160090411 A KR20160090411 A KR 20160090411A KR 20180009030 A KR20180009030 A KR 20180009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dog
elasticity
p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16009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030A/ko
Publication of KR2018000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관견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크기가 동일한 4족 한 세트의 애완견 신발을 크기가 서로 다른 견족의 앞발과 뒷발에 구분없이 착용할 수 있으면서 착화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견족의 크기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으며, 발바닥의 구조에 맞도록 최적화된 형태의 애완견 신발을 제공할 목적으로, 상단에 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1)의 어느 한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2)가 형성되며 견족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신발 본체(10); 상기 절개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11)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임수단(20); 을 포함하되, 상기 신발 본체(10) 전체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애완견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견 신발{Pet shose}
본 발명은 애완견의 발(견족)에 착용할 수 있는 애완견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는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지 않고 발끝으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지행성 동물로서 발가락은 앞다리가 다섯 개, 뒷다리가 네 개로 사이즈가 앞다리의 발이 뒷다리의 발보다 약간 큰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개의 발톱은 스파이크 역할을 하여 주행시 스피드를 낼 수 있다.
최근 애완견 또는 반려견의 수가 증가하면서 각종 장신구가 등장하고 있으며, 일 예로 개의 신발은 개의 소유자가 인간적인 친밀감을 충족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개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도로와 같이 단단한 도로 표면이나 거친 표면에서 걷거나 뛸 때에 느끼는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애완견 신발의 선행기술 중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33175호(특허문헌 1)에서는 전방이 개방되어 견족을 수용하도록 피혁이나 직물로 형성된 갑피와, 상기 갑피의 전방 부분을 개폐하는 지퍼 등의 개폐수단과, 상기 갑피의 하방에 부착되어 지면에 접하며 고무재로 형성된 밑창으로 구성되는 애완견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 속에 스크린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애완견용 신발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비롯한 대부분의 애완견 신발은, 대부분 피혁 또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지고 크기가 동일한 신발 4족이 한 세트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피혁 또는 직물은 신축성이 없거나 신축성이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견족의 앞발과 뒷발 크기가 서로 다른 점을 고려하면, 신발 착화시 앞발과 뒷발의 착화감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앞발에 크기를 맞추면 뒷발이 헐겁고, 반대로 뒷발에 신발을 맞추면 앞발이 조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피혁이나 직물의 경우 통기성이 좋지 않으므로 견족의 위생상 좋지 않으며, 장식적인 미감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33175호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기가 동일한 4족 한 세트의 애완견 신발을 크기가 서로 다른 견족의 앞발과 뒷발에 구분없이 착용할 수 있으면서 착화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견족의 크기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으며, 발바닥의 구조에 맞도록 최적화된 형태의 애완견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애완견 신발은, 상단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어느 한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견족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신발 본체; 상기 절개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임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신발 본체 전체가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조임수단은, 일정 길이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분이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소재로 된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의 일측 단부는 상기 신발 본체의 외면에 고정된 고정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신발 본체 외면의 벨크로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 본체의 바닥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되고, 견족의 발바닥에서 볼록한 부분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의 상단면에 호형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 본체의 바닥부 하단에는 상기 신발 본체의 소재보다 경질의 밑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 본체의 일측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통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 본체는 견족의 발을 감싸는 하부와, 견족의 발목을 감싸는 상부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는 직물이나 망사상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자체가 실리콘과 같은 탄성과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되므로 앞발과 뒷발 크기가 다르더라도 구분없이 착용시킬 수 있어서 사용상 편리성이 있고, 또한 애완견 입장에서는 앞발과 뒷발의 착화감이 동일한 동시에 미끄러운 바닥면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신발 착용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발목 조임 수단이 벨크로 테이프를 갖춘 신축성 밴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발목 굵기에 맞추어 조이는 것이 가능하면서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갑피에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되거나 망사로 이루어져 있어서 통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견 신발은, 크게 신발 본체(10) 및 조임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발 본체(10)는, 상단에 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1)의 크기가 확장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입구(11)의 어느 한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2)는 필요에 따라 다수 곳에 여러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발 본체(10)는, 전체적으로 견족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종래와 같이 피혁이나 직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그 전체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견족의 앞발과 뒷발 크기가 차이가 있더라도 자체적으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조임수단(20)은, 상기 절개부(1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서 상기 조임수단(20)은, 일정 길이를 가진 밴드(21)와, 신발 본체(10) 외면에 고정된 벨크로(22)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21)는 적어도 일부분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소재로 되어 길이 변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밴드(2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신발 본체(10)의 외면에 고정된 고정부(23)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벨크로(22)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24)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밴드(21)의 길이가 신축되고, 상기 신발 본체(10)의 입구(11)는 절개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밴드(21)를 당기는 힘의 정도에 따라 상기 입구(11)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일 예로서 상기 신발 본체(10)의 바닥부(13)가 지면과 접촉되어 마모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바닥부(13)의 두께를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하고, 또한 견족의 발바닥에서 가운데이 있는 볼록한 부분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13)의 상단면에 호형의 홈(14)이 구비되게 하여 착화감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단면도로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신발 본체(10)의 바닥부(13)가 다른 부분에 비해 더 두꺼워지더라도 그 재질의 특성상 쉽게 마모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바닥부(13) 하단에는 상기 신발 본체(10)의 소재보다 더 경질의 밑창(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밑창은 더 경질의 고무나 실리콘 또는 인조가죽이나 천연가죽 등, 비교적 내마모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신발의 앞부분부터 뒷부분까지 바닥부(13)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밑창은 애완견이 보호자와 외출후 보호자는 애완견의 신발을 벋긴 후 밑창을 간단히 물이나 헝겊 등으로 깨끗이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애완견 신발은 애완견이 외출후에도 발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애완견 보호자도 집안의 청결과 애완견 신발을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사시도로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신발 본체(10)가 탄성과 신축성이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이므로 통기성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신발 본체(10)의 일측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통기구멍(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기구멍(15)의 크기는 제한이 없고, 또한 그 형상 역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신발의 사시도로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신발 본체(10)는 견족의 발을 감싸는 하부(10a)와, 견족의 발목을 감싸는 상부(10b)로 구획되고, 이때 하부(1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성과 탄성이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10b)는 직물 또는 망사상 직물로 이루어지게 하여 망사 구조로 인한 통기성을 더 크게 함으로써 하절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신발 본체
10a : 하부
10b : 상부
11 : 입구
12 : 절개부
13 : 바닥부
14 : 홈
15 : 통기구멍
20 : 조임수단
21 : 밴드
22 : 벨크로
23 : 고정부
24 : 탈부착부
30 : 밑창

Claims (6)

  1. 상단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어느 한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견족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신발 본체;
    상기 절개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임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신발 본체 전체가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일정 길이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분이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소재로 된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의 일측 단부는 상기 신발 본체의 외면에 고정된 고정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신발 본체 외면의 벨크로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의 바닥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되고, 견족의 발바닥에서 볼록한 부분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의 상단면에 호형의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의 바닥부 하단에는 상기 신발 본체의 소재보다 경질의 밑창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의 일측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신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는 견족의 발을 감싸는 하부와, 견족의 발목을 감싸는 상부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는 직물 또는 망사상 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신발.
KR1020160090411A 2016-07-17 2016-07-17 애완견 신발 KR20180009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411A KR20180009030A (ko) 2016-07-17 2016-07-17 애완견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411A KR20180009030A (ko) 2016-07-17 2016-07-17 애완견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30A true KR20180009030A (ko) 2018-01-25

Family

ID=6109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411A KR20180009030A (ko) 2016-07-17 2016-07-17 애완견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03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128B1 (ko) * 2018-09-10 2019-05-08 하치수 애완견 신발
KR20210026516A (ko) 2019-08-30 2021-03-10 (주)더세이폴 애완견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102262839B1 (ko) * 2020-07-14 2021-06-08 이명화 애완견용 신발
KR102506137B1 (ko) * 2022-09-05 2023-03-03 김선영 애완견 신발
KR102522684B1 (ko) * 2022-06-13 2023-04-14 김태곤 약 흡수 기능을 가진 애완견 신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128B1 (ko) * 2018-09-10 2019-05-08 하치수 애완견 신발
KR20210026516A (ko) 2019-08-30 2021-03-10 (주)더세이폴 애완견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102262839B1 (ko) * 2020-07-14 2021-06-08 이명화 애완견용 신발
KR102522684B1 (ko) * 2022-06-13 2023-04-14 김태곤 약 흡수 기능을 가진 애완견 신발
KR102506137B1 (ko) * 2022-09-05 2023-03-03 김선영 애완견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9030A (ko) 애완견 신발
US20050188925A1 (en) Canine footwear
US4926568A (en) Sole protector attachment
US8567350B2 (en) Dog boot
US5553399A (en) Lightweight footwear article providing improved traction
US11825812B2 (en) Continuation application non-slip therapeutic dog boots
EP1747720A1 (en) Canine footwear
US5638614A (en) Shoe protector and floor covering aid
AU2014201307B2 (en) Shoe for use on animals
US11297800B2 (en) Trail boot with molded liner and adjustable metatarsal and metacarpal pad
SA109300181B1 (ar) حدوات للحيوانات الحافرة
US20070089691A1 (en) Foot covering for animals
US20040118015A1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thousands of flexible variable length bristles spaced in a special pattern providing comfortable enhanced support and special massaging effect on the foot sole
US20180303193A1 (en) Shoe Cover
US20160309832A1 (en) Shoe Cover
KR102467684B1 (ko) 애완견용 신발
KR200445837Y1 (ko) 애완견용 신발
KR200383278Y1 (ko) 애완동물용 신발
KR102262839B1 (ko) 애완견용 신발
KR102364654B1 (ko) 반려동물 미끄럼 방지용 슈즈
KR20160098845A (ko) 애완동물용 라텍스 신발
KR102629797B1 (ko)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JP2004254606A (ja) ペット用靴
CA2429389A1 (en) Pet nail cover
WO2003063630A1 (en) Double/sided insole for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