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278Y1 - 애완동물용 신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278Y1
KR200383278Y1 KR20-2005-0004728U KR20050004728U KR200383278Y1 KR 200383278 Y1 KR200383278 Y1 KR 200383278Y1 KR 20050004728 U KR20050004728 U KR 20050004728U KR 200383278 Y1 KR200383278 Y1 KR 200383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shoe body
shoe
shoes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용
Original Assignee
김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용 filed Critical 김화용
Priority to KR20-2005-0004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발과 발목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신발몸체와; 상기 신발몸체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신발몸체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개를 포함하여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모두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발목을 보호하면서도 그 활동에 구속을 주지 않아 애완동물의 발을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유지하고, 신고 벗거나 발에 밀착되는 감 등이 탁월한 애완동물용 신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신발{Shoes for pets}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를 포함하여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모두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발목을 보호하면서도 그 활동에 구속을 주지 않아 애완동물의 발을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유지하고, 신고 벗거나 발에 밀착되는 감 등이 탁월한 애완동물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이란 발을 보호하고 모양새를 갖추기 위하여 신는 물건을 총칭하며, 예전부터 짚신, 나막신, 구두 및 장화 등의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그 종류에 따라 재료가 다르지만, 대체적으로는 가죽, 짚, 목재, 직물, 고무, 합성수지 등이 사용되며, 단독재료를 사용해서 만드는 것과 몇 가지 종류의 재료를 사용해서 만드는 것이 있다.
신발은 주로 사람들이 편의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지만, 근자에 들어서는 애완동물에게도 해당 동물의 발 형태에 맞게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예로써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20-315792호를 보면 애완견에 사용되는 신발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신발(101)은 애완견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몸체(110)와, 신발몸체(110)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15)와, 신발몸체(1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지퍼(122)로 이루어져 있다. 신발몸체(110)의 중앙영역에는 애완견의 발목을 조이는 수단으로써 밸크로밴드(12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에, 지퍼(122)를 열어 신발몸체(110)의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에서 애완견의 발을 수용시킨다. 그리고는 열었던 지퍼(122)를 닫고 밸크로밴드(120)를 조임으로써 애완견에 신발(101)을 신길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지 애완견에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의 범위가 좁다. 뿐만 아니라 지퍼(122)가 신발몸체(110)의 전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퍼(122)로 인해 애완견이 움직이는데 불편하다. 즉, 지퍼(122)는 그 성질상 길이방향에 가로로 잘 구부려지지 않기 때문에 도 1의 신발(101)을 신은 애완견이 활동하는데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도 1의 애완견용 신발(101)의 경우에는 단지 애완견의 발에 착용하는 외형적인 면에만 그 초점이 맞춰있기 때문에 애완견의 발목을 보호하는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실제도 도 1의 신발(101)을 착용하고 있는 애완견의 경우에는 그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개를 포함하여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모두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발목을 보호하면서도 그 활동에 구속을 주지 않아 애완동물의 발을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유지하고, 신고 벗거나 발에 밀착되는 감 등이 탁월한 애완동물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애완동물의 발과 발목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신발몸체와; 상기 신발몸체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신발몸체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발몸체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신발몸체의 후면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지퍼를 포함한다.
상기 신발몸체는 상기 바닥부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발목을 보호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신발몸체에는 신축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부의 영역에는 상기 신발몸체를 상기 애완동물의 발목으로 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밸크로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몸체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몸체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신발의 정면 사시도로써 접철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포함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신발(1)은 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발에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신발(1)은, 크게 애완동물의 발과 발목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신발몸체(10)와, 신발몸체(10)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5)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이 싣는 구두는 주로 발을 수용하는 것에 불과하지만, 애완동물의 경우에는 발과 발목을 일체로 집어넣어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신발몸체(10)의 경우에도 마치, 장화처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신발몸체(10)는 천을 포함하여 가죽이나 비닐 등의 각종 천연, 인공 합섬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신발몸체(10)는 애완동물의 발바닥이 위치하는 하부영역과 애완동물의 발목이 위치하는 상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하부 및 상부영역을 별도로 제조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것보다는 제조하기도 쉬울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발과 발목 형상에 맞게 맞춤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발과 발복을 편안하게 보호하는 데 보다 유리한 것이다.
신발몸체(10)의 내부에는 애완동물의 발등을 보호하는 호보혀(12)가 배치되어 있다. 신발몸체(10)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통기공(13)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13)으로 외부의 공기가 신발몸체(10) 내로 순환될 수 있기 때문에 신발(1) 내부에 땀이 차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바닥부(15)는 신발몸체(10)의 저면을 형성한다. 전술한 것처럼 신발몸체(10)가 일체로 제조되기 때문에 바닥부(15)는 단지 신발몸체(10)의 저면에 결합 또는 부착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 때, 신발몸체(10)가 천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데 반해, 바닥부(15)는 지면에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상대적으로 마모가 덜 되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재질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중에서도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재질로 채용함으로써 마모방지 기능 외에도 완충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한편, 신발몸체(10)의 상면에는 애완동물의 활동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접철부(17)의 위치는 애완동물의 발등과 발목 사이의 위치가 된다. 이러한 접철부(17)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H1)에서 도 2b에 도시된 상태(H2)로 넓게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신발(1)을 신은 애완동물이 활동하는 가운데, 발과 발목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과정에서 본 신발(1)의 접철부(17)가 도 2a 및 도 2b의 상태(H1, H2)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걷는데 상대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인간을 포함하여 애완동물이 걸어 다니는 경우, 발가락에 형성된 수많은 관절이 상대적으로 접철되거나(구부려지거나 펴지거나) 꺾이게 되는데, 이처럼 관절들이 접철되거나 꺾이는 것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접철부(17)가 도 2a 및 도 2b의 상태(H1, H2)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본 신발(1)을 신더라도 보다 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편안하게 걸어 다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종래의 도 1에서는 이 같은 접철부(17)가 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가락이나 발 등에 존재하는 관절에 무리를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신발(101, 도 1 참조)을 착용하여 오래 사용하다 보면, 애완견의 발에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게 된다.
도 3은 애완동물용 신발에서 주름부 영역을 보인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신발몸체(10)에는 신축가능한 주름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19)의 내부에는 밴드가 일체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주름부(19)만으로도 신발몸체(10)가 애완동물의 발목을 꽉 조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주름부(19)만으로 신발(1)이 쉽게 벗겨질 수도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신발몸체(10)에는 신발몸체(10)를 애완동물의 발목으로 밀착시키는 복수개의 밸크로밴드(20)가 마련되어 있다. 필요시 밸크로밴드(20)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애완동물용 신발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신발몸체(10)는 바닥부(15)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θ)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즉, 전술한 것처럼 바닥부(15)가 비교적 단단한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신발몸체(10) 역시 상대적으로 강성을 갖는 재질로써 형성될 경우, 도 4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신발(1)을 착용하고 있는 애완동물은 그 발바닥이 바닥부(15)에 배치되고 발목이 신발몸체(1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애완동물의 발목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도 1과 비교해 볼 때, 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참고로, 도 1의 종래 신발(101)의 경우, 신발몸체(110)가 바닥부(115)에 대해 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의 신발(101)을 착용할 경우, 중심이 후방으로 쏠리게 마련이다. 이처럼 중심이 후방으로 쏠리게 되면, 애완견이 걸어 다니는 데 있어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으며, 심할 경우, 관절에 무리를 주게 되어 건강이 악화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전술한 것처럼, 신발몸체(10)는 바닥부(15)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θ)를 가지고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 중심이 후방으로 쏠리는 것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신발(1)을 착용한 애완동물의 경우, 상대적으로 편안한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애완동물용 신발의 후면 사시도로써 애완동물용 신발을 사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신발몸체(10)의 배면에는 신발몸체(10)의 후면개구부(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지퍼(22)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도 1의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101, 도 1 참조)에도 지퍼(122, 도 1 참조)가 개시되어 있기는 하였지만, 도 1의 경우에는 지퍼(122)가 신발몸체(110)의 전면에 위치하여 걷는데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애완동물이 걷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지퍼(22)를 신발몸체(10)의 배면에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활동에 구속을 주지 않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지퍼(22)로 인해 신발몸체(10)를 바닥부(15)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θ)로 배치하는 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22)를 열어 신발몸체(10)의 후면개구부(10a)를 개방한 다음, 애완동물의 발을 수용시킨다. 그리고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었던 지퍼(22)를 닫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크로밴드(20)를 조임으로써 애완동물에 용이하게 신발(1)을 신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써 신발(1)을 신기면,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발목을 보호하면서도 그 활동에 구속을 주지 않아 애완동물의 발을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신발(1)은 신고 벗거나 발에 밀착되는 감이 탁월하고, 개를 포함하여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개를 포함하여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모두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발목을 보호하면서도 그 활동에 구속을 주지 않아 애완동물의 발을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유지하고, 신고 벗거나 발에 밀착되는 감 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애완견용 신발에 대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신발의 정면 사시도로써 접철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3은 애완동물용 신발에서 주름부 영역을 보인 도면,
도 4는 애완동물용 신발의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애완동물용 신발의 후면 사시도로써 애완동물용 신발을 사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신발에 대한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10 : 신발몸체
12 : 보호혀 13 : 통기공
15 : 바닥부 17 : 접철부
19 : 주름부 20 : 밸크로밴드
22 : 지퍼

Claims (6)

  1. 애완동물의 발과 발목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신발몸체와;
    상기 신발몸체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신발몸체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몸체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신발몸체의 후면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지퍼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몸체는 상기 바닥부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발목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몸체에는 신축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부의 영역에는 상기 신발몸체를 상기 애완동물의 발목으로 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밸크로밴드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몸체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신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몸체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신발.
KR20-2005-0004728U 2005-02-22 2005-02-22 애완동물용 신발 KR200383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728U KR200383278Y1 (ko) 2005-02-22 2005-02-22 애완동물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728U KR200383278Y1 (ko) 2005-02-22 2005-02-22 애완동물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278Y1 true KR200383278Y1 (ko) 2005-05-03

Family

ID=4368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728U KR200383278Y1 (ko) 2005-02-22 2005-02-22 애완동물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27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93B1 (ko) * 2010-04-16 2013-06-26 김정호 애완동물용 신발
KR20190096234A (ko) * 2018-02-08 2019-08-19 문병휘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KR20200114820A (ko) * 2019-03-29 2020-10-07 홍세영 애완견용 신발
KR102413280B1 (ko) 2021-11-03 2022-06-27 주식회사 미르 팩토리 일회용 애완견 신발
KR20240049866A (ko) 2022-10-11 2024-04-18 최상현 일회용 애완견 신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93B1 (ko) * 2010-04-16 2013-06-26 김정호 애완동물용 신발
KR20190096234A (ko) * 2018-02-08 2019-08-19 문병휘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KR102079437B1 (ko) * 2018-02-08 2020-02-19 문병휘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KR20200114820A (ko) * 2019-03-29 2020-10-07 홍세영 애완견용 신발
KR102345469B1 (ko) 2019-03-29 2021-12-30 홍세영 애완견용 신발
KR102413280B1 (ko) 2021-11-03 2022-06-27 주식회사 미르 팩토리 일회용 애완견 신발
KR20240049866A (ko) 2022-10-11 2024-04-18 최상현 일회용 애완견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860B2 (en)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able toe portions
US8033034B2 (en) Shoe with detachable and flexible heel strap
US856709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etachable upper and lower designs
US6035554A (en) Asymmetrical reversible article of footwear
US6665883B2 (en) Oversock
JPH01268502A (ja)
US20150374094A1 (en) Wearable Pedicure Protection Device
US20110214310A1 (en) Shoe chassis
KR200383278Y1 (ko) 애완동물용 신발
US20060143944A1 (en) Surfing footwear with leash anchor
KR20180009030A (ko) 애완견 신발
US5799416A (en) Anti-blister shoe grips
US20220322783A1 (en)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urfaces
JP2004254606A (ja) ペット用靴
JP2004530804A (ja) 靴用ヌードソックス
KR102626715B1 (ko) 반려견 일회용 신발
US4258481A (en) Boot
KR200314694Y1 (ko) 슬리퍼 기능을 갖는 구두
JP2003088266A (ja) 犬用靴
KR102175626B1 (ko) 건강 신발
KR200315792Y1 (ko) 애완견용 신발
JP3038247U (ja) 運動靴
JP2024013282A (ja) ルームシューズ
JP4671395B2 (ja) 履きやすさ、ホールド性及びサイズ適合性に優れたスリッパ
KR200294911Y1 (ko) 휴대용 덧장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