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626B1 - 건강 신발 - Google Patents

건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626B1
KR102175626B1 KR1020190080242A KR20190080242A KR102175626B1 KR 102175626 B1 KR102175626 B1 KR 102175626B1 KR 1020190080242 A KR1020190080242 A KR 1020190080242A KR 20190080242 A KR20190080242 A KR 20190080242A KR 102175626 B1 KR102175626 B1 KR 102175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ole
walking
foot
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말
Original Assignee
양종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종말 filed Critical 양종말
Priority to KR102019008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95Piec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가락이 자유롭게 하여 발가락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맨발 보행과 같은 편안하고 건강한 보행이 기능하도록 하여 발 건강에 유익한 이점을 제공토록 한 건강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 외피의 이중 갑피로 형성한 주갑피(1)와, 상기 주갑피(1)에 봉재 결합하는 덮개갑피(2)와, 상기 덮개갑피(2)가 결합된 주갑피(1) 하부에 접착결합하는 아웃솔(3)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갑피(1)는 발가락과 발뒤꿈치를 포함한 발바닥 전부를 감싸는 발바닥부(11)와, 발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12)와, 발가락 위쪽 발등부위가 개방된 발등개방부(13)로 구성하고, 상기 주갑피(1)의 발바닥부(11) 저면에 아웃솔(3)을 접착 결합하여 건강 신발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건강 신발{HEALTH SHOES}
본 발명은 건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가락을 자유롭게 하여 보행 시에 발가락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맨발 보행과 같은 편안하고 건강한 보행을 보장함으로써 발 건강에 유익한 이점을 제공토록 한 건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면서 보행의 편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현대인의 생활에서 신발은 단순히 발을 보호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등의 발 건강에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여러 기능까지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도와 더불어 발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신발에 대해서도 기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신발에 대해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을 참고문헌들을 통해 살펴보면 이하와 같다.
참고문헌1에; 밑창 두께가 3㎜ 이하로 형성되어 보행할 때 땅의 모양이나 변화를 그대로 발과 온몸으로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대와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고 맨발 느낌을 줄 수 있는 밑창이 판형태를 이루는 건강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밑창의 재질을 방검용 직물로 형성하여 맨발보행의 느낌을 전달할 수 있으며, 지면의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발바닥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바닥이 얇은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한3에; 유연한 베이스에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질의 복수 단위패턴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반복 배열된 한 겹 이상의 보호층을 구비하는 유연한 박형의 밑창과, 상기 밑창과 연결되어 상기 밑창의 내면과 함께 발이 수용되는 공간과 발이 통과되는 발입구가 형성된 갑피로 구성된 베어풋 웨어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4에; 갑피의 하단부에 하부연장부재를 구비하여 맨발의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중앙 영역이 노출되어 지면과 직접 닿게 되어 황톳길이나 가벼운 산행길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험한 산행길 등에는 갑피의 하단 외주연부에 신발의 밑창의 역할을 하는 차단시트를 지프부재로써 분리하거나 결속하여 발바닥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맨발용 건강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신발 안창의 발굼치가 닿는 곳을 낮게 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뒷쪽으로 향하게 하면 보행시 필연적으로 발뒤굼치와 발바닥과 발가락에 차례로 힘을 가하게 되어 걷는 것만으로도 많은 운동효과를 낼 수 있으며, 엄지발가락과 엄지발가락을 받쳐주는 관절이 닿는 곳에 홈을 배설하여 보행시 발바닥 전체에 고르게 체중과 충격력이 분산되도록 한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6에; 신발의 갑피를 천 및 메쉬(mesh)구조의 망사를 갖는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통풍성을 갖게 함과 아울러 바닥창에 갑피 일부를 감싸는 방수연장부를 형성하여 방수성을 강화시킨 통풍 및 방수기능이 구비된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7에; 바닥이 평평하여 충격 흡수를 못하는 기존 신발과는 달리 신발 밑창과 지면이 닿는 면을 발바닥의 모양으로 굴곡을 만들어서 충격이 흡수 될 수 있도록 한 사람의 발바닥 구조와 동일한 굴곡을 가진 신발밑창이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문헌8에; 일반도로, 공원 또는 숲길에서 맨발걷기를 할 때 착용함으로써 날카로운 돌이나 나무, 유리조각, 수분 또는 오물질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으며,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도 편안하게 운전을 할 수 있는 맨발걷기 및 맨발운전을 위한 다목적 보호구가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신발은 편리성과 발 건강을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 신발의 대부분은 쿳션 재질로 뒷축이 높게 형성되어 보행시 보행방향으로 체중이 편중된다. 즉 높은 뒷굽으로 인해 보행하는 (앞)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쏠리게 됨으로써 발 건강은 물론 허리건강 등에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기존 신발은 신발바닥이 전측 발가락 쪽은 낮고 후측 뒤꿈치 쪽은 높게 형성되어 무게중심이 몸 앞쪽으로 쏠릴 수 밖에 없게 되어 있고, 이러한 무게중심의 불균형은 보행시 체중이 발바닥 전방으로 옮겨지게 되므로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기울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신발은 발바닥 전체로 고르게 체중이 분산되지 못하고 앞 방향으로 체중을 쏠리게 하여 발의 균형을 무너뜨림으로써 보행시 발바닥의 관절과 발목, 척추 등에 무리를 주어 발의 피로도를 증가시킨다. 또 이러한 무게중심의 불균형으로 인한 체중의 편중은 발의 변형을 가져와 발가락 관절에 무지외반증(발가락 관절의 뼈가 바깥쪽으로 치우치는 관절질환) 등의 질병을 일으키고 척추에도 무리를 주어 디스크 등의 여러 척추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6429호, 2011.01.20.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3456호, 201.08.23. (참고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7186호, 2014.02.25.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9693호, 2014.07.16.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3642호, 2016.06.27. (참고문헌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144호, 2009.12.01. (참고문헌7)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0799호, 2010.01.26. (참고문헌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4797호, 2012.07.03.
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맨발 걷기는 나날이 각광을 받고 있다. 맨발 걷기는 발의 구속이 없고 보행 과정에서 발바닥의 신경과 근육을 자연스럽게 자극하여 발 건강에 유익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맨발 걷기는 맨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조성된 맨발 공원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만 가능하여,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도 맨발 걷기와 같은 보행의 효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신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발가락이 구속받지 않은 편안한 상태로 발을 자유롭게 하여 맨발 걷기와 같은 보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신발 본래 기능을 극대화하여 보다 편안하고 건강한 보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발과 척추 건강 등에 유익한 건강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의 (가)는 고양이의 수염이 온전한 상태의 모습으로, 고양이의 수염은 신체를 보호하고 주위 정보를 확보하는 데 필요한 안테나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깜깜한 밤에도 고양이는 기다란 수염을 이용해서 자기 몸이 빠져나갈 수 있는지 없는지, 방해물이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상세하게 분별하고 공간을 가늠할 수 있는 감각신경과 방향감각 기관으로 발달되어 있다.
어둠 속에서도 고양이 수염의 끝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고양이는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고 방해물의 상태를 파악하여 딱딱한 물체의 경우에는 피해가고 풀잎이나 나무잎 정도의 작은 방해물은 그대로 통과한다. 이처럼 고양이의 긴 수염은 각종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상황에 따라 동작의 민첩함을 결정하는 감각신경과 방향감각 기관 등으로 작용한다.
도 1의 (나)는 고양이의 한 쪽 수염을 잘라낸 모양으로, 이러한 경우 고양이는 오른쪽에 방해물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오른쪽으로 빠른 움직임을 보이게 되지만 결국에는 방해물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여 여러 방해물과 빈번하게 부딪히게 된다. 이후 고양이는 안테나(수염)가 잘린 것을 의식하는 것이 아니라 안테나로서 기능하지 못한 오른쪽 수염으로 인해 방해물과 수차례 부딪히게 되고 이러한 경험의 축척을 통해 오른쪽에 방해물이 전혀 없는 경우에도 오른쪽으로의 움직임을 조심스러워 하게 되고 동작은 둔화된다.
도 1의 (다)는 고양이의 양쪽 수염을 모두 잘라낸 경우로서, 고양이의 움직임은 양 쪽으로 안테나를 모두 잃게 되어 양 쪽 모두에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됨으로써 좌우 양 쪽의 방해물과 여러 번 충돌하게 되고 이러한 경험이 축적된 결과로서 고양이의 움직임은 전체적으로 매우 조심스럽게 되고 또 둔화되어 빠른 움직임을 잃어버리게 된다.
인간의 발가락도 역시 보행 시에 전술한 고양이의 수염과 같은 안테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행 시에 발가락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인체의 발바닥 전방에 돌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다섯개의 발가락은 보행시 발과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과 함께 고양이의 수염처럼 안테나로서 역할한다.
일례로, 오른발의 발가락이 얼음의 표면이나 바닥의 방해물을 감지하면 미끄럼이나 위험을 감지한 발가락은 끝을 구부려서 발 끝만이 지면에 닿도록 발바닥 전부를 위로 치켜올린 상태로 조심성있게 천천히 움직이게 되고, 이와 함께 왼발 역시 발가락을 통해 방해물이 감지되면 상기 오른발의 경우처럼 조심성있게 움직이게 된다.
즉, 양 발은 발가락이 전해주는 위험 정보에 따라 균형을 잡고 발 전체의 움직이는 속도를 매우 천천히 하여 발바닥의 착지 상태가 불안전하다는 것을 통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얼음 표면 위에서는 매우 조심성 있게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처럼 발바닥의 전방에 돌출되어 나온 발가락은 위에서 살펴본 고양이의 안테나와 같이 기능하여 발이 닿는 지면의 상태와 발바닥의 착지상태 등의 정보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역할한다.
그런데 신발이 발바닥 전체를 꽉 쥐고 있는 좁은 형태의 신발의 경우에는 발가락 전체가 구속되어 엄지 발가락을 비롯한 발가락 전부가 움추린 형태로 장시간 있게 되어 발가락 등에 변형이 발생될 뿐 만 아니라 발가락의 구부리는 힘이 약하고 지면의 정보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신호전달의 속도가 느리고 정확도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면에 대한 정보제공이 정확하지 않다는 신호를 지속해서 보내는 발가락에 의해 걸음걸이는 균형을 잡지 못해 부자연스럽게 될 수 밖에 없고 보행속도도 느리지게 된다.
이처럼 폭이 좁은 신발을 신게 되면 발가락을 움추리게 되므로 발가락의 구부리는 힘이 약화되고 느린 속도로 움직이게 되는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발은 빠르게 노쇠되고 잘못된 보행자세가 굳어지게 된다.
즉, 도 2의 (가)와 같이 좁고 작은 신발을 오래 신게 되면 사방(A,B,C,D)에서 다섯개의 발가락을 짓누르게 되어 발가락의 구부리는 속도와 힘이 퇴보되므로 마치 고양이의 수염을 모두 잘라낸 것과 같은 발이 된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앞이 뾰족하고 뒷굽이 높은 구두 등의 신발이 가지고 있는 공통된 문제점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나)와 같이 발가락이 구속받지 않은 편안한 상태로 지면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폭이 넓은 신발을 제공하여 엄지 발가락을 비롯하여 다섯개 발가락 전부가 사방(a,b,c,d)으로 자유롭게 펼쳐져서 제 기능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또 편안한 상태에서 보행을 수행하게 하여 발에 무리를 주지 않고 발의 변형 등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발가락을 자유롭게 하면서 발바닥 전부가 앞뒤의 불균형없이 지면에 고르게 착지되게 하여 안정된 자세로 보행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신발바닥을 형성함으로써 굽이 높은 신발의 경우처럼 체중이 앞쪽으로 쏠려서 무게중심이 편중되지 않게 하고 발바닥 전체가 고르게 체중을 받쳐서 몸의 균형을 바르게 잡아줄 수 있게 하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내,외피의 이중 갑피로 되고 발가락과 발뒤꿈치를 포함한 발바닥 전부를 감싸는 발바닥부, 발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 발가락 위쪽 발등부위가 개방된 발등개방부로 구성된 주갑피와, 상기 주갑피에 결합하는 덮개갑피와, 상기 덮개갑피가 결합된 주갑피 하부에 접착결합하는 아웃솔로이루어진 건강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발가락이 위치되는 연질의 발 앞부분과 경질의 발뒤꿈치부분을 플랙시블(Flexible)한 가요성재질의 연결부분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분은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 부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뒤꿈치부분에는 딱딱할 경질성을 가진 펄프(PULP)재질의 디딤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디딤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의 주갑피의 바닥부에는 상기 디딤부재와 전후 길이가 같고 폭은 좁게 형성된 쿠션공을 형성하여 상기 디딤부재와 균등한 재질의 충진재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발가락과 발바닥이 아무런 구속을 받지 않는 흡사 맨발 상태로 발을 보호하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맨발 걷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더욱 편안하고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여 발 건강에 유익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건강 신발의 제공으로 발의 피로를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면역기능을 강화시켜는 등의 건강을 유지, 회복할 수 있는 건강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른 걸음이 가능하게 하여 관절, 발목,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흡수하여 보행시 피로도를 경감시키며,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신체의 균형과 중심을 잡아주고, 발교정과 척추교정이 가능한 이익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발가락과 발바닥을 좁게 구속하지 않고 발가락 전부가 자유롭게 펴진 상태로 착화하고 보행할 수 있어 피로도를 경감하며 발바닥 전체 근육을 사용할 수 있어 발가락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발가락 전체의 신경 자극을 통하여 인체의 평행 유지와 균형감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뒤꿈치 부위에 디딤판을 구비하여 보행시 추진력을 확보하고 충추신경과 뇌의 자극을 통해 신진대사를 활성화하고 균형잡힌 안정된 보행을 보장하고, 발바닥 아치 부위의 충격흡수 기능과 반발력 부여 기능 등으로 편안하고 건강한 보행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완성된 신발의 측면도
도 6, 도 7은 본 발명 중 완성된 신발의 일부 발췌 단면도 및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 중 일 요부 발췌도
도 9는 본 발명 중 작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 중 완성된 신발의 사시도
도 11,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
본 발명은 갑피와 아웃솔 및 인솔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내,외피로 이루어지는 이중구조로 주갑피를 구성하고, 내,외피 이중으로 이루어진 주갑피는 발 앞쪽 발가락 및 발 뒤쪽 뒤꿈치를 포함하여 발바닥 전부를 아래 바닥에서 감싸도록 하여 신발을 구성한다.
상기 주갑피는 발가락을 포함하여 발바닥 전체를 감싸는 발바닥부와, 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갑피와 달리 발가락 상부, 즉 발등부위는 개방, 노출되도록 발등개방부를 가진다.
상기 발등개방부에는 설포가 형성된 덮개갑피를 결합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등개방부를 통해 발가락을 포함한 발전체가 최대한 구속받지 않고 자유롭게 한다.
상기 갑피와 결합되는 아웃솔은 전체를 평평하게 하고, 앞과 뒤의 끝 부분만 낮은 각도로 살짝 들리게 하여 보행시 완만한 텐션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아웃솔은 발가락이 위치되는 발 앞부분은 연질로 구성하고, 발뒤꿈치부분은 딱딱한 경질로 구성하고, 이들이 연결되는 연결 부분에는 가요성재질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완성된 신발의 측면도, 도 6, 도 7은 본 발명 중 완성된 신발의 일부 발췌 단면도 및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중 일 요부 발췌도 및 작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외피는 방수성과 발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통기성을 갖춘 양피(羊皮)로 하고, 내피는 통기성과 함께 향균성이 뛰어난 돈피(豚皮)로 하여 이들 천연가죽의 이중 구조로 주갑피(1)를 형성한다.
상기 양피와 돈피의 이중 구조로 된 주갑피(1)는 발 앞쪽의 발가락 및 발뒤꿈치를 포함하여 발바닥 전부를 바닥에서부터 감싸는 발바닥부(11)와, 발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12)와, 발가락 위쪽으로 발등부위를 개방시킨 발등개방부(13)로 구성한다.
상기 발바닥부(11)는 발가락을 포함하여 발바닥 전부를 감싸도록 하고 이들 발가락이 위치되는 앞쪽은 발가락을 조이거나 구속하지 않고 발가락 모두가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넓은 폭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발가락을 포함하여 발바닥 전체를 감싸는 발바닥부(11)의 앞쪽 상부, 즉 발등이 위치하는 부분은 발등부위가 노출되어 발가락이 있는 발의 앞쪽이 더욱 자유롭도록 발등개방부(13)를 형성한다.
발등개방부(13)는 발가락 상부와 발등 상부가 위치되는 부위 전체를 개방하는 것으로, 이러한 발등개방부(13)는 발가락과 발등을 구속하지 않는다.
상기 발등개방부(13)에는 설포(21)가 형성된 덮개갑피(2)를 결합한다.
상기 덮개갑피(2)는 주갑피(1)의 발등개방부(13)가 위치되는 발등을 압박하지 않고 여유있게 덮도록 봉재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발등 부위에 덮개갑피(2)가 덮혀져 결합되는 주갑피(1) 신발 내에서 발가락과 함께 발의 움직임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도모되게 하고,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도 흡사 맨발과 같은 자유로움으로 보행이 이루어지게 한다.
[일반적인 종래 갑피는 발바닥 부위가 개방되고, 발등 부위를 감싸면서 신발을 형성하게 되므로 발등과 함께 발가락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신발 내부에서 발을 갑갑하게 만든다.]
이와 같이 발가락이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펼쳐지도록 하면 보행 시에 발가락이 흡사 고양이의 수염과 같은 안테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편하고 안정적인 보행을 제공할 수 있다.
발가락을 꽉 조여 구속하지 않게 되면 엄지 발가락을 비롯하여 발가락 전부가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보행 시에 엄지 발가락을 힘을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엄지 발가락을 따라 한 발 안쪽으로 중심이 잡혀지면서 보행이 이루어진다.
즉, 엄지 발가락를 시작으로 발뒤꿈치로 이어지는 일자 형태로 보행이 이루어지고 양 엄지 발가락이 마주보는 중앙에서 신체의 중심이 균형을 잡으면서 자연스럽게 편한 보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팔자 걸음이나 오 다리 형태의 걸음걸이가 자연스럽게 교정되고, 양 엄지 발가락 사이의 신체 중심으로 보행의 무게중심이 형성되어 안정되고 편안하게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척추가 곧게 펴지고 무리가 가지 않게 되어 바른 보행자세를 갖게 되어 피로도 경감과 척추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주갑피(1)의 바닥부(11) 저면에는 앞뒤로 전체가 평평한 아웃솔(3)을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솔(3)은 주갑피(1)의 바닥부(11)와 나란히 수평을 이루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한다.
평평한 바닥 구조의 아웃솔(3)은 발바닥이 전체가 지면에 고르게 착지되게 하여 체중이 앞 쪽으로 쏠리지 않게 함으로써 바른 보행이 가능하게 하고, 보행 시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발의 변형을 예방하고 피로도를 경감시킨다.
또, 수평을 이루는 발바닥 전체에 고르게 체중이 분산되으로 기존처럼 높은 뒷굽으로 인해 무게 중심이 앞쪽 이동하여 신체의 균형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부터 척추 등에 무리를 가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3)은 발가락이 위치되는 발 앞부분(A)은 연질로 형성하고 발뒤꿈치부분(C)은 딱딱한 경질로 구성하며 이들이 연결되는 중앙, 즉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 부위(용천혈, 이하 아치 부위라고 한다.)이 위치되는 연결 부분(B)은 플랙시블(Flexible)한 가요성재질로 형성한다.
연질로 형성된 발 앞부분(A)은 보행시 착지와 발을 들어올리는 동작에서 쿳션력을 제공하고, 딱딱한 경질의 발뒤꿈치부분(C)은 충격 등으로부터 발뒤꿈치를 보호함과 아울러 보행시에 안정된 디딤판으로 역할하게 한다.
종래 신발은 발뒤꿈치부분(C)을 쿳션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마치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지지만, 실상은 과도한 높이의 쿳션재질로 뒷굽이 높아지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체중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쿳션재질로 발뒤꿈치가 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도로 방해하게 함으로써 오히려 피로도를 높이는 등의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쿳션재질로 발뒤꿈치부분(C)을 높게 형성하게 되면 그 높이에 의해 체중이 앞쪽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보행시 추친력을 제공하도록 디딤 역할을 해야하는 발뒤꿈치 부분이 쿳션으로 인한 유연성으로 중심을 잡기 어렵게 되므로 오히려 보행력을 약화시킨다.
이처럼 아웃솔의 발뒤꿈치 부분이 디딤판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해 약화되면 인체는 [흡사 꿀렁꿀렁한 지면을 걷는 것과 같이 되므로] 발목과 관절 등에 무리한 힘을 가해서 보행해야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피로도를 증가시키며 몸의 균형을 흐트러뜨리고 척추 등에도 무리를 주는 등, 바른 보행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발뒤꿈치부분(C)이 경질로 되어 보행시 착지와 함께 발바닥 전체를 들어올릴때 발뒤꿈치를 보호함과 아울러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튼튼하고 안정된 디딤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발뒤꿈치부분(C)에는 발뒤꿈치부분(C)에 비해 보다 딱딱한 경질성과 다소의 탄력성을 갖춘 펄프(PULP)재질(특수펄프: 특수소재가 혼합된 펄프)로 된 디딤부재(4)를 삽입하여 보다 단단하면서도 탄력적인 디딤판으로 역할할 수 있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디딤부재(4)는 보행 시 발뒤꿈치가 추진력을 얻을 때 디딤판으로 역할하여 적은 힘으로 큰 보행력을 확보한다.
기존에는 뒤꿈치 부위에 강화된 완충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쿳션재를 구비함으로써 보행시 추진력이 약화되어 결과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필요이상 소모하게 되어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디딤판을 통해 보행 추진력을 얻게 됨으로써 피로도의 증가없이 경쾌한 보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디딤판의 역할 수행 과정에서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적정한 충격은 충추신경과 함께 뇌에 전달되어 이들을 각성시킴으로써 이러한 충추신경과 뇌의 자극을 통해 신진대사를 활성화하고 균형잡힌 안정된 보행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수펄프로 된 디딤부재(4)에 대응하는 위치의 주갑피(1)의 바닥부(11)에는 쿳션공(5)을 형성하고, 쿳션공(5)에는 충진재(6)를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곧, 상기 특수펄프로 된 디딤부재(4)에 대응하는 위치의 주갑피(1)의 바닥부(11)에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쿳션공(5)을 형성하고 여기에 디딤부재(4)의 재질이나 이와 균등한 재질의 충진재(6)를 넣어 결합한다.
상기 쿳션공(5)은 특수펄프로 된 디딤부재(4)의 전후 길이와 같게 형성하고 폭은 좁게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쿳션공(5)은 아웃솔(3), 디딤부재(4), 충진재(6)를 통해 보행 방향으로 3층 구조로 디딤과 완충의 기능으로 역할하게 한다.
한편, 발 앞부분(A)과 뒤꿈치부분(C) 사이의 연결부분(B)은 가요성재질로 되어 보행시 굴신되는 발바닥의 아치 부위에 위치하여 발바닥의 아치 부위와 함께 충분한 굴신(屈伸) 기능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탄력적인 완충동작으로 보행의 안정감과 함께 피로도를 경감시킨다.
즉,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 부위는 보행 시와 외부 충격 시에 굴신되어 발바닥과 발 전체에 걸쳐 완충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임에도 종래 신발은 아웃솔(3)의 발바닥의 아치 부위가 경질이나 연질로만 되어 발바닥의 아치 부위가 하는 완충역할을 방해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아치 부위의 아웃솔(3)에 가요성 재질의 연결부(B)로 구성하여 발바닥의 아치 부위가 굴신기능을 충실시 발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술한 완충 기능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이익 등을 통해 맨발 보행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인솔을 녹피(鹿皮)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향균성과 함께 방취, 방한 등이 우수한 건강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12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발등개방부(13)에 결합되는 덮개갑피(2) 내측에는 발등과 발가락 위쪽으로 보호갑피(7)를 구비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덮개갑피(2) 이면에 발가락과 발등의 위쪽으로 이들 발가락과 발등 전부를 덮는 보호갑피(7)를 결합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갑피(2)는 덮개갑피(2) 이면과 공간부(8)를 두고 결합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발등과 발가락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보호갑피(7)는 공간부(8)를 두고 덮개갑피(2) 이면에 결합되어 발등과 발가락을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하며, 다층에 의한 결합구조로 발등과 발가락을 보호한다.
특히 발가락이 구속되지 않는 맨발 보행 시에는 발바닥 전체의 움직임에 주동적으로 역할하는 엄지 발가락에 보다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보행 시에 자연스럽게 위쪽으로 들려지게 되는 데, 이러한 엄지 발가락의 상하 움직임에 상부 덮개갑피(2)에서 엄지 발가락 위쪽으로 쿳션력을 제공하여 엄지 발가락을 보호하고 완충기능으로 장시간 보행 시에도 피로도를 적게 하는 등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갑피(7)는 도 13과 같이 덮개갑피(2) 이면에 요철(凹凸)을 가진 보호갑피(9)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요철이 형성된 보호갑피(9)를 덮개갑피(2) 이면에 구비하면, 발가락 상부와 발등 상부를 쿳션기능으로 자연스럽게 보호할 수 있으면 물론 주갑피(1) 내부에서 자유로운 발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덮개갑피(2)와 발가락 및 발등 사이의 공간을 적게 하면서 이들을 감싸게 되어 전술한 보호기능과 함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등의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주갑피 11:발바닥부
12:뒤꿈치부 13:발등개방부
2:덮개갑피 21:설포
3:아웃솔 4:특수 펄프
5:쿳션공 6:충진재
7, 9:보호갑피 8:공간부

Claims (7)

  1. 내,외피의 이중 갑피로 되고 발가락과 발뒤꿈치를 포함한 발바닥 전부를 감싸는 발바닥부(11), 발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12), 발가락 위쪽 발등부위가 개방된 발등개방부(13)로 구성된 주갑피(1)와, 상기 주갑피(1)에 결합하는 덮개갑피(2)와, 상기 덮개갑피(2)가 결합된 주갑피(1) 하부에 접착결합하는 아웃솔(3)로이루어진 건강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3)은; 발가락이 위치되는 연질의 발 앞부분(A)과 경질의 발뒤꿈치부분(C)을 플랙시블(Flexible)한 가요성재질의 연결부분(B)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분(B)은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 부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뒤꿈치부분(C)에는 딱딱할 경질성을 가진 펄프(PULP)재질의 디딤부재(4)를 삽입하고, 상기 디딤부재(4)에 대응하는 위치의 주갑피(1)의 바닥부(11)에는 상기 디딤부재(4)와 전후 길이가 같고 폭은 좁게 형성된 쿠션공(5)을 형성하여 상기 디딤부재(4)와 균등한 재질의 충진재(6)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신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80242A 2019-07-03 2019-07-03 건강 신발 KR102175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42A KR102175626B1 (ko) 2019-07-03 2019-07-03 건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42A KR102175626B1 (ko) 2019-07-03 2019-07-03 건강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626B1 true KR102175626B1 (ko) 2020-11-06

Family

ID=7357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242A KR102175626B1 (ko) 2019-07-03 2019-07-03 건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626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231A (ko) * 1990-07-11 1992-02-28 원본미기재 판지 용기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9980055981U (ko) * 1998-06-24 1998-10-07 이수방 신발의 구조
KR20030051555A (ko) * 2003-06-07 2003-06-25 박주식 천연 게르마늄이 첨가된 신발
JP2008237723A (ja) * 2007-03-28 2008-10-09 Takayuki Okubo 手造り履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手造り履物キット
KR20090012144U (ko) 2008-05-26 2009-12-01 변명식 통풍 및 방수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100000799U (ko) 2008-07-16 2010-01-26 김정희 사람의 발바닥 구조와 동일한 굴곡을 가진 신발 밑창
KR20110006429A (ko) 2009-07-14 2011-01-20 홍재화 맨발 느낌을 줄 수 있는 건강 신발
KR20110056806A (ko) * 2009-11-23 2011-05-31 (주)조은제화 보행 편리성이 향상되게 한 신발용 아웃솔
KR20120004797U (ko) 2010-12-23 2012-07-03 김성수 맨발걷기 및 맨발운전을 위한 다목적 보호구
KR20120093456A (ko) 2010-09-03 2012-08-23 김가영 바닥이 얇은 신발
KR101367186B1 (ko) 2012-09-18 2014-02-25 김경환 베어풋 웨어
KR20140089693A (ko) 2013-01-07 2014-07-16 강기훈 맨발용 건강 신발
KR20160073642A (ko) 2014-12-17 2016-06-27 김상식 맨발로 걷는 효과를 가지는 신발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231A (ko) * 1990-07-11 1992-02-28 원본미기재 판지 용기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9980055981U (ko) * 1998-06-24 1998-10-07 이수방 신발의 구조
KR20030051555A (ko) * 2003-06-07 2003-06-25 박주식 천연 게르마늄이 첨가된 신발
JP2008237723A (ja) * 2007-03-28 2008-10-09 Takayuki Okubo 手造り履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手造り履物キット
KR20090012144U (ko) 2008-05-26 2009-12-01 변명식 통풍 및 방수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100000799U (ko) 2008-07-16 2010-01-26 김정희 사람의 발바닥 구조와 동일한 굴곡을 가진 신발 밑창
KR20110006429A (ko) 2009-07-14 2011-01-20 홍재화 맨발 느낌을 줄 수 있는 건강 신발
KR20110056806A (ko) * 2009-11-23 2011-05-31 (주)조은제화 보행 편리성이 향상되게 한 신발용 아웃솔
KR20120093456A (ko) 2010-09-03 2012-08-23 김가영 바닥이 얇은 신발
KR20120004797U (ko) 2010-12-23 2012-07-03 김성수 맨발걷기 및 맨발운전을 위한 다목적 보호구
KR101367186B1 (ko) 2012-09-18 2014-02-25 김경환 베어풋 웨어
KR20140089693A (ko) 2013-01-07 2014-07-16 강기훈 맨발용 건강 신발
KR20160073642A (ko) 2014-12-17 2016-06-27 김상식 맨발로 걷는 효과를 가지는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9831A (en) Flexible athletic shoe
US4974343A (en) Foot support and cushioning device
RU2478324C2 (ru) Обувь с подошвой в сборе с нестабильной структурой
TWI531326B (zh) 可替換中底系統
US20070006486A1 (en) Dance footwear
US4213255A (en) Sole for hiking boots and the like
US20060288609A1 (en) Dance footwear
US20020178621A1 (en) Healing shoe or sandal
JP2009509652A (ja) 関節的に独立して動くつま先部分を有するフットウエア
US6065229A (en) Multiple-part foot-support sole
KR20130126877A (ko) 기능성 신발깔창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JP4896221B2 (ja)
US2780013A (en) Footwear
KR100940011B1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US20220192311A1 (en) Shoe which comprises insole having lapillus attached thereto and foot correction outsole
KR102175626B1 (ko) 건강 신발
KR20230170565A (ko) 신발
KR200402604Y1 (ko) 기능성 신발의 안창
KR101098292B1 (ko) 맨발 느낌을 줄 수 있는 건강 신발
KR200461631Y1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JP3222446U (ja) 靴底及び靴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0978290B1 (ko)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