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437B1 -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 Google Patents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437B1
KR102079437B1 KR1020180015914A KR20180015914A KR102079437B1 KR 102079437 B1 KR102079437 B1 KR 102079437B1 KR 1020180015914 A KR1020180015914 A KR 1020180015914A KR 20180015914 A KR20180015914 A KR 20180015914A KR 102079437 B1 KR102079437 B1 KR 10207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ody portion
pocket
inlet
d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234A (ko
Inventor
문병휘
강연희
Original Assignee
문병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휘 filed Critical 문병휘
Priority to KR102018001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4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발을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의 발 장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발 부위가 삽입되는 포켓부(1100), 상기 포켓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발목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몸체부(1200),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발이 인입출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는 입구부(1300)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내외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유통홀(1210)을 포함하고, 상기 유통홀은 발의 인입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외부 압력의 차이를 보상하여 장착시 포켓부가 발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탈거시 음압으로 인하여 포켓부가 당겨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며 몸체부의 신축성을 향상하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WALKING CAP PROTECTING ANIMAL'S FOOT FROM DIRT}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 착용되는 용품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의 발을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의 발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반려동물의 확산 추세에 따라 애완동물용 악세사리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 애완동물을 위한 신발이나 양말이 다수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애완동물용 신발이나 양말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애완동물의 발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다.
상기 애완동물용 양말이나 신발은 발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착용에 있어서 이물감을 최소화하여야 하는 목적을 동시에 수행할 것이 요청되는데,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된 바닥판에 천을 봉제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위생성을 고려하여 신발이나 양말은 신고 외출을 한 이후에 다시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이를 벗고 세척하거나 1회용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5826호는 종래기술의 애완동물용 신발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발바닥을 받쳐주고, 쿠션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바닥부(30)와, 바닥부(30)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발 및 발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출입용 개구부(40)가 형성되는 몸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애완동물용 신발의 경우 착탈이 불편하고 한번 외출을 할 때마다 세척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상의 어려움도 존재한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신발을 1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제조단가의 문제와 함께 수시적으로 외출을 하는 과정에서의 사용자 경제적 부담도 상당히 큰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탈이 간편하면서도 제조 및 사용상의 경제성이 우수하고 착용시 견고성과 쾌적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 부위가 삽입되는 포켓부(1100), 상기 포켓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발목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몸체부(1200),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발이 인입출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는 입구부(1300)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내외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유통홀(1210)을 포함하고, 상기 유통홀은 발의 인입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외부 압력의 차이를 보상하여 장착시 포켓부가 발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탈거시 음압으로 인하여 포켓부가 당겨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며 몸체부의 신축성을 향상하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부와 몸체부의 연결부위에 배치는 하측리브(1120) 및 상기 몸체부와 입구부의 연결부위에 배치되는 상측리브(1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상측리브는 제1리브(1321) 및 제1리브에 인접 형성되는 제2리브(1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통홀은, 몸체부의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열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배열단위는, 상호 인접되는 부위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가 중심부보다 더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열단위가 인접되는 부위에서 몸체부 및 포켓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종형보강부(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 몸체부 및 포켓부는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일의 사출물로서 형성되어 생산 및 사용상의 경제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반려동물의 외출시에 편리하게 발에 장착하여 사용하되 필요 없을 때에는 간편하게 탈거하여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위생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부가공정 없이 1번의 사출공정을 통하여 제조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및 사용상의 경제성이 우수하여 1회용으로 사용하더라도 부담이 적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경제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포켓 구조를 채택함에 있어서 발에 정확하게 밀착되고 움직임 간에 위치가 변경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리브와 하측리브 및 보강구조들을 구비하고 사용상의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통홀들의 배치를 통하여 사용상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탈착 과정에서 유연성을 증가하여 찢어짐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압력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어 신체에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사용상 및 탈착 과정에서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애완동물용 신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따른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애견의 발에 장착되어 외부 이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캡으로서, 발이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고 단일의 주머니 형태로 구성되며 발목 부위에서 내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복수의 유통홀을 가지는 오염방지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은 전체적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애견의 발의 형상에 맞추어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발의 형상이나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애견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고양이나 돼지 등 애완용으로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따른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의 정면도이다.
오염방지 캡(1000)은 전체적으로 하부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항아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장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발이 삽입되어 오염을 직접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부의 포켓부(1100)와, 발목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몸체부(1200)와, 몸체부(1200)의 상부에서 발이 인입출되는 개구를 가지는 입구부(1300)로 구분될 수 있다.
포켓부(1100)는 상부가 몸체부(1200)에 연결되고 애견의 발 부위를 직접적으로 감싸며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다른 부위보다 평단면이 비교적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신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관 및 폐기 등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로 대칭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포켓부(1100)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며, 몸체부(1200)에 연결되는 상단부는 상하부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분리하면서 신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돌출되는 하측리브(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측리브(1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1200)는 애견의 발등 위쪽, 즉 발목 및/또는 그 상측의 다리 부위를 감싸게 되며, 포켓부(1100)가 하측으로 벗겨져 이탈되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부(1200)는 포켓부(1100)보다 평균적으로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200)의 상측으로는 입구부(1300)가 연결되고, 포켓부(1100)와의 연결관계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200)와 입구부(1300)의 연결부위에서는 상하부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분리하면서 신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돌출되는 상측리브(1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리브(1120)와 상측리브(1320)는 각각 애견의 다리 부위를 지지하며 최종적으로 포켓부(1100)가 애견의 활동시 적절하게 발의 위치에서 형태를 유지하며 오염방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신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측리브(1320)와 하측리브(1120)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인접되는 몸체부(1200) 및 입구부(1300)의 내면보다 작은 반경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동물의 다리 구조상 발목보다 다리의 상측 부위에서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올 가능성이 높은 것을 고려하여 상기 상측리브(1320)는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브(1321) 및 제2리브(1322)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구부(1300)의 상단은 발의 인입출을 위하여 개구가 형성되며 상측리브(1320) 및 하측리브(1120)보다 높이방향으로 두꺼운 입구링부(13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구링부(1310)는 발의 인입출시에 발톱 등으로 인하여 걸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능하며 착용시에는 최상단에서 신체에 밀착되어 하부 구조를 당겨주는 기능을 하면서 최종적인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입구링부(1310)도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인접되는 부위보다 작은 반경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구부(1300), 몸체부(1200) 및 포켓부(1100)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며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재질은 신축성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라텍스(Latex)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는 한 번의 사출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또한, 제조상 경제성은 사용자 입장에서 단가를 낮추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1회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부담도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포켓부(1100)는 내부에 발톱이 배치되고 바닥 부위에 지속적으로 마찰하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른 부위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한편, 발목 위쪽 부위를 감싸면서 포켓부(1100)를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200)에는 다수의 유통홀(12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통홀(1210)들의 위치는 선택적이나 포켓부(1100)에 형성되는 경우 외부 오염물이 내부로 유입되거나 수분이 유입될 수 있어 오염방지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몸체부(12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통홀(1210)들은 몸체부(1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장착시에 공기와 수분이 유출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유통홀(1210)들은 내외부를 연통하는 기능 외에 착탈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의 정면도이다.
입구부(1300)와 몸체부(1200)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상측리브(1320)가 제1리브(1321) 및 제2리브(1322)로서 구성되고, 몸체부(1200)에 포켓부(1100)의 사이에는 하측리브(1120)가 구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유통홀(1210)은 몸체부(1200),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측리브(1320)와 하측리브(1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통홀(1210)들은 몸체부(1200)의 유연성을 향상하도록 소정의 신축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애견의 발이 인입출시에 공기가 내외부로 유출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착과 탈거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장착과정을 살펴보면 입구링부(1310) 측으로부터 발이 삽입되면 몸체부(1200)를 따라 포켓부(1100)로 발이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발목보다 두께가 넓은 발 부위가 몸체부(120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유통홀(1210)들은 늘어날 수 있도록 신장성을 더욱 향상하게 되며, 포켓부(1100) 및 몸체부(1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통성은 특히 밀봉성이 강한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졌을 때 착용시 큰 의미를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통홀(121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발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포켓부 측으로 밀려 내려가 바람직하지 않은 빈 공간을 만들 수 있고 해당 부분이 부풀어 올라 돌멩이와 같은 외부 이물의 접촉에 따라 구멍이 발생하거나 찢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유통홀(1210)의 형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탈거 과정에서는 발이 인출됨에 따라 유통홀(1210)을 통하여 빈 공간만큼 공기가 유입되고 진공상태 내지는 음압으로 인하여 발에 달라붙어 당겨 올라가 잘 벗겨지지 않은 경우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과정과 마찬가지로 몸체부(1200)에서 유연성을 향상하여 더욱 쉽게 벗을 수 있도록 기여한다.
이때,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하측리브(1120)가 내주측으로 돌출되고 포켓부(1100)측으로 공기의 연통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홈을 구비하여 포켓부(1100)와 유통홀(1210) 간의 연통성을 더욱 향상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유통홀(1210)의 배열은 선택적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후좌우에서 대칭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방향성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통홀(1210)들의 배열도 전후좌우로 대칭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통홀(1210)의 배열은 원주방향을 따라 몸체부(1200)의 외면을 4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면에 각각 4개의 배열단위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통홀(1210)의 배열단위는 상호 인접되는 부위에서 그 배치 개수가 작아짐으로써 연결되는 부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시된 예와 같이 각 배열단위의 원주방향 중심측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 또는 연통되는 면적이 가장 크고 상호 인접되는 부위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 또는 연통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상기 상측리브(1320)와 하측리브(1120)에 부가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
따라서, 몸체부(1200) 및/또는 포켓부(1100)에는 횡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횡형보강부(10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횡형보강부(1020)는 대략 상측리브(1320)와 하측리브(1120)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측리브(1320) 및 하측리브(1120)보다는 유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작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몸체부(1200) 및/또는 포켓부(1100)를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종형보강부(10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형보강부(1010)는 횡형보강부(1020)를 원주방향으로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포켓부(1100)의 하단측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횡형보강부(1020)와 종형보강부(1010)의 배치와 개수는 선택적이나 종형보강부(1010)는 상기 설명된 유통홀(1210)의 배열단위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된 예를 참고하면 유통홀(1210)의 배열단위가 상호 마주보는 사이에서 종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형보강부(1010)는 유통홀(1210)의 배열단위들의 연결부위에서의 강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상기 횡형보강부(1020)와 종형보강부(1010)의 돌출되는 방향은 선택적 또는 병합적이며 내주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외주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염방지 캡(1000)은 애견의 발 부위에 장착되어 외출시 사용되고 실내에 돌아올 때에는 탈거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포켓부(1100)가 발 부위를 감싸 실질적으로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입구부(1300)와 몸체부(1200)는 애견의 다리(100)부위를 감싸면서 움직이는 과정에서 포켓부(1100)가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발목 부위에는 몸체부(1200)와 포켓부(1100)의 연결부위인 하측리브(1120)가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측에서는 상측리브(1320)가 입구부(1300) 측이 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200)가 발목 부위에 제대로 밀착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전체적으로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밀봉성을 가지기 때문에 내외부로 수분과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몸체부(1200)에 형성되는 유통홀(1210)들이 내부 공간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유통홀(1210)들은 발에의 장착 및 탈거 과정에서 더욱 중요하게 기능할 수 있으며, 제1기능으로서 인입출시 몸체부(1200)의 신장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공극에서 신축공간을 마련하게 되며, 제2기능으로서 인입출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차이를 보정함으로써 원활하게 발이 포켓부(1100)에 위치되고 정확하게 신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평단면상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져 전후좌우로 대칭적인 형상이 되기 때문에 장착되는 방향에 대한 고려 없이도 삽입할 수 있고 발의 형상에 맞추어 변형되고 신체에 밀착되기 때문에 보행상의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오염방지 캡 1010...종형보강부
1020...횡형보강부 1100...포켓부
1120...하측리브 1200...몸체부
1210...유통홀 1300...입구부
1310...입구링부 1320...상측리브
1321...제1리브 1322...제2리브

Claims (7)

  1. 발 부위가 삽입되는 포켓부(1100);
    상기 포켓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발목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몸체부(1200);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발이 인입출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는 입구부(1300);
    상기 몸체부와 포켓부의 연결부위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발목 부위에서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측리브(1120);
    상기 몸체부와 입구부의 연결부위에서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입구부 측이 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상측리브(1320); 및
    상기 하측리브와 상측리브 사이의 몸체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내외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유통홀(1210);을 포함하며,
    상기 입구부와 몸체부와 포켓부는,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고,
    상기 유통홀은, 몸체부의 유연성을 향상하도록 신축공간을 마련하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몸체부와 포켓부는,
    전후 및 좌우로 대칭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상단측에 배치되며 상측리브 및 하측리브보다 두꺼운 입구링부(1310);를 더 포함하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홀은,
    몸체부의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열단위로 이루어지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열단위는,
    상호 인접되는 부위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가 중심부보다 더 적은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단위가 인접되는 부위에서 몸체부 및 포켓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종형보강부(1010);를 더 포함하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몸체부 및 포켓부는,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일의 사출물로서 형성되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
KR1020180015914A 2018-02-08 2018-02-08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KR10207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14A KR102079437B1 (ko) 2018-02-08 2018-02-08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14A KR102079437B1 (ko) 2018-02-08 2018-02-08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34A KR20190096234A (ko) 2019-08-19
KR102079437B1 true KR102079437B1 (ko) 2020-02-19

Family

ID=6780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914A KR102079437B1 (ko) 2018-02-08 2018-02-08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253A (ko) 2022-10-06 2024-04-15 이상철 반려견용 신발
KR20240048257A (ko) 2022-10-06 2024-04-15 이상철 반려견용 신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278Y1 (ko) * 2005-02-22 2005-05-03 김화용 애완동물용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002A (ko) * 2005-07-27 2007-01-31 남호선 애완동물용 신발
KR20160098845A (ko) * 2015-02-11 2016-08-19 박소영 애완동물용 라텍스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278Y1 (ko) * 2005-02-22 2005-05-03 김화용 애완동물용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253A (ko) 2022-10-06 2024-04-15 이상철 반려견용 신발
KR20240048257A (ko) 2022-10-06 2024-04-15 이상철 반려견용 신발
KR20240048240A (ko) 2022-10-06 2024-04-15 이상철 반려견용 신발
KR20240048266A (ko) 2022-10-06 2024-04-15 이상철 반려견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34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437B1 (ko)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JP2012500071A (ja) エアー換気されるシューソール
US20080307679A1 (en) Insole with ventilation arrangement
US20130074363A1 (en) Detachable shoe protector
US20080295359A1 (en) Shoe with detachable and flexible heel strap
US20100058615A1 (en) Traction control device
BR212014023455U2 (pt) meia para animais de estimação e seus métodos de fabricação
SE0401488L (sv) Mjölkningsanordningar
JP2018505033A (ja) 滑り防止構造を備えるアクアシューズ
KR101114934B1 (ko) 고무 장갑
US20070089691A1 (en) Foot covering for animals
ITTO20040153U1 (it) Zerbino
KR101607584B1 (ko) 물갈퀴를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신발
KR101303740B1 (ko) 패드 분리형 흡착컵
KR20160098845A (ko) 애완동물용 라텍스 신발
KR102364654B1 (ko) 반려동물 미끄럼 방지용 슈즈
CN208048143U (zh) 一次性防滑鞋套以及病房环境防护用品
KR200471266Y1 (ko) 분리형 신발
KR101144963B1 (ko) 조립식 슬리퍼
ITPN20070036A1 (it) "struttura di suola per una calzatura ventilata"
KR101279093B1 (ko) 애완동물용 신발
CN204618518U (zh) 复健鞋结构
CN211794598U (zh) 一种鞋套
KR101928305B1 (ko) 아웃솔 탈부착형 실내외 겸용 슈즈
KR200335247Y1 (ko) 쿠션 포켓을 갖는 스포츠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