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240A - 반려견용 신발 - Google Patents

반려견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240A
KR20240048240A KR1020220127809A KR20220127809A KR20240048240A KR 20240048240 A KR20240048240 A KR 20240048240A KR 1020220127809 A KR1020220127809 A KR 1020220127809A KR 20220127809 A KR20220127809 A KR 20220127809A KR 20240048240 A KR20240048240 A KR 20240048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ring
shoe
shoe body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22012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253A/ko
Priority to KR1020220127809A priority patent/KR20240048240A/ko
Publication of KR2024004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4Dipping a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7Form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weak s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된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보강링(20)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취약부(21)가 오목하게 형성된 반려견용 신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원가가 절감되므로 수요자에게 염가로 공급할 수 있고, 쉽게 착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여 견주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착용 시 반려견에게 주는 압박감과 통증을 방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반려견용 신발{Dog shoes}
본 발명은 반려견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반려견에게 신기거나 벗기기 쉽고,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며, 저렴하여 경제적 부담이 적은 반려견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우리나라의 반려견의 수는 통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600만 마리 안팎에 이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는 활동성이 강해서 많은 운동량을 필요로 하지만 우리나라의 주거형태가 도시에서는 대부분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이 마당이 없는 형태이고, 단독주택이라 하더라도 시골의 전원주택이 아닌 이상 마당이 넓지 않아서 반려견이 충분히 뛰어 놀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주택은 드물어서, 반려견은 주로 실내에서 지내게 되는 형편이다.
따라서 견주는 자주 반려견을 산책 또는 운동시켜야만 반려견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반려견을 운동시키거나 산책시킬 때마다 오염된 발을 씻겨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관리상의 어려움은 연간 10만 마리에 가까운 유기견이 발생하는 원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반려견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반려견을 보호하기 위한 반려견용 신발의 보급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075호(2011. 3. 3. 공개) ‘애완동물 신발’에는 탄성재질의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부착되어 몸체부(10)와 애완견의 발의 마찰을 없애주기 위한 탄성 있는 섬유, 가죽 및 인조가죽 재질의 내피부(30) 및 몸체부(10)의 상단에 마련되는 탄성재질의 손잡이부(20)로 구성되는 애완견용 신발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몸체부(10)와 내피부(30)가 모두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반려견에게 신기거나 벗기기 어렵고, 반려견에게 신긴 상태에서는 반려견의 발을 압박하여 반려견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9437호(2020. 2. 19. 공고)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에는 발 부위가 삽입되는 포켓부(1100), 상기 포켓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발목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몸체부(1200),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발이 인입 인출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는 입구부(1300)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내외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유통홀(1210)을 포함하는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방지 캡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복수의 종형보강부(1010)와 복수의 횡형보강부(1020)를 배치하여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포켓부(1100)가 반려견의 발을 압박하는 문제는 해소되지만, 상기 종형보강부(1010)가 반려견의 발바닥 부위를 압박할 수 있어서 반려견이 걷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반려견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그 구성이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0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94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려견에게 탈착이 용이하고,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며,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반려견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려견용 신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신발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된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보강링(20)을 포함하는 반려견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10)와 보강링(20)은 고무를 소재로 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취약부(21)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취약부(21)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 둘레부에는 절취선(11)이 형성되어, 보강링(20)을 당기면 상기 취약부(21)와 절취선(11)에 의해 보강링(20)이 신발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보강링(20)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신발의 제조방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금형(30)을 고무액(31)에 디핑하여 상기 금형(30)의 둘레부에 고무액(31)이 도포되도록 하고, 도포된 고무액(31)이 반건조되면 반건조된 상기 고무액(31)의 상단을 하측으로 돌돌 말아 상기 보강링(20)을 형성한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며, 상기 취약부(21)는 상기 고무액(31)의 상단을 돌돌 말아 보강링(20)을 형성한 후 성형부재(40)를 이용하여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을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신발의 다른 제조방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금형(30)을 고무액(31)에 디핑하여 상기 금형(30)의 둘레부에 고무액(31)이 도포되도록 하고, 도포된 고무액(31)이 반건조되면 상기 금형(30)에 구비된 탈피부재(50)를 이용하여 보강링(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보강링(20)의 둘레부에 상기 취약부(21)를 형성하며, 상기 탈피부재(50)는 상기 금형(30)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링(51)과, 상기 승강링(5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연장바(52)로 구성되며, 승강구동수단(53)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원가가 절감되므로 경제성이 향상되고, 보강링(20)이 신발본체(10)의 하단부에 인접한 곳까지 돌돌 감겨있어서 상기 보강링(20)을 잡고 좌우로 잡아당겨 늘리고 반려견의 발을 신발본체(10)의 내측 하단부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돌돌 감겨있는 보강링(20)을 반려견의 다리를 따라 올라가면서 펼치면 쉽게 착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로 접혀지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여, 우천 시 뿐만 아니라 반려견의 운동이나 산책 시에 휴대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꺼내어 착용시킬 수도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되며, 신발본체(10)가 신축성이 좋고 얇은 고무로 제조되고, 상기 보강링(20)에 다수개의 취약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신발본체(10)와 보강링(20)이 반려견의 발과 다리를 강하게 가압하여 반려견이 압박감이나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애완동물 신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의 개략적인 상태도로서, (a) 보강링(20)을 돌돌 말아 납작하게 접은 상태, (b) 보강링(20)을 절반쯤 위로 펼친 상태 및 (c) 보강링(20)을 완전히 펼친 상태이고, 점선은 신발본체(10)의 하단부를 반려견의 발모양에 맞춰 확대한 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신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은 재경MTS에서 2021.10.27.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21-0144297호 ‘고무골무 및 그 제조방법’의 발명자가 당해 출원 발명에 기초하여 그 용도를 확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신발을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된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보강링(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금형(30)을 고무액(31)에 디핑(dipping)하여 금형(30)의 둘레부에 고무액(31)이 신발본체(10)의 길이보다 조금 더 길게 도포되도록 하고, 고무액(31)이 적절히 반건조되면 도포된 고무액(31)의 상단을 하측으로 말아 상기 보강링(20)을 형성한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반려견용 신발을 완성하고, 완성된 반려견용 신발을 금형(30)에서 박리함으로써, 반려견용 신발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취약부(21)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취약부(21)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취약부(21)가 형성된 부위에는 보강링(20)의 두께가 얇아져 보강링(20)의 탄성과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취약부(21)는 반려견용 신발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 상기 고무액(31)의 상단을 말아 보강링(20)을 형성한 후, 고무액(31)을 건조기로 가열하기 전에,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부재(40)를 이용하여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을 가압하여 형성된다.
이를 위해, 원통형의 상기 금형(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성형부재(40)는 상기 취약부(21)의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돌부(41)가 둘레 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짧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금형(3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돌부(41)가 상기 보강링(20)의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성형부재(40)를 배치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30)과 성형부재(4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강링(20)의 둘레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취약부(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려견용 신발은 신발본체(10)의 상측에 보강링(20)이 구비되어, 반려견용 신발을 제조할 때 반려견용 신발을 금형(30)으로부터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매우 얇게 제조되는 신발본체(10)의 상단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반려견용 신발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원가가 절감되어 경제성이 향상되고, 도 14의 (a)와 같이 보강링(20)이 신발본체(10)의 하단부 근처까지 돌돌 감겨있는 상태에서 보강링(20)을 잡고 좌우로 잡아당겨 늘리고 반려견의 발을 신발본체(10)의 내측 하단부에 안착시킨 후에, 도 14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돌 감겨있는 보강링(20)을 반려견의 다리를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펼치면 쉽게 착용시킬 수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신발본체(10)가 신축성이 좋은 얇은 고무로 제조되고, 상기 보강링(20)에 다수개의 취약부(21)가 형성되어 보강링(20)이 탄성과 강도가 낮아지게 됨으로, 신발본체(10)와 보강링(20)이 반려견의 발과 다리를 강하게 가압하여 반려견이 압박감이나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견용 신발은 보강링(20)이 신발본체(10)의 하단부 근처까지 돌돌 감겨있어서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로 접혀지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여, 우천 시 뿐만 아니라 반려견의 운동이나 산책 시에 휴대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꺼내어 착용시킬 수도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반려견용 신발은 원통형 금형(30)에 의해 제조되므로 신발본체(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반려견의 발모양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신발본체(10)는 신축성이 좋은 얇은 고무로 제조되는 것이어서 발의 모양에 맞춰 축소되기 때문에 그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며, 반려견이 받는 압박감도 극히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려견이 받는 압박감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금형(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반구형부의 반경을 상기 금형(30)의 원통형 관체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도록 확대하여 신발본체(10)의 하단부가 둥글게 확대된 형상의 신발본체(1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확대되는 부분의 크기는 반려견의 발과 다리의 크기 비율을 고려하여 적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취약부(21)는 반려견용 신발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 상기 고무액(31)의 상단을 돌돌 말아 보강링(20)을 형성한 후, 성형부재(40)를 이용하여 보강링(20)의 외측 둘레 면을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링(20)을 형성하는 탈피부재(50)를 이용하여 보강링(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보강링(20)의 둘레부에 상기 취약부(2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탈피부재(50)는 상기 금형(30)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링(51)과, 상기 승강링(5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연장바(52)로 구성되는 것으로, 승강구동수단(53)에 의해 승강된다.
이때, 상기 연장바(52)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링(51)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의 연장바(52)의 내측면, 즉, 상기 금형(30)을 향하는 쪽 면은 상기 취약부(3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53)은 상기 금형(30)에 구비되며 상기 탈피부재(50)의 승강링(51)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탈피부재(5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피부재(50)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금형(30)을 고무액(31)에 디핑하여 금형(30)의 둘레부에 고무액(31)이 도포되도록 하고, 고무액(31)이 적절히 반건조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53)을 제어하여 상기 탈피부재(50)를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연장바(52)가 반건조된 고무액(31)의 상단을 하측으로 밀어 고무액(31)의 상단이 링형으로 말리면서 보강링(2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바(52)의 내측면이 상기 보강링(20)의 외측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취약부(31)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링(30)에 취약부(31)를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취약부(21)는 상기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의 1개소에만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 둘레부에는 절취선(11)이 형성된다.
상기 절취선(11)은 상기 보강링(20)의 하측에 근접되도록 신발본체(10)의 상단 둘레부에 신발본체(10)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슬릿을 일렬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려견용 신발은 반려견에게 착용시킨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링(20)의 일 측을 손으로 잡고 외측으로 강하게 당기면, 상기 취약부(21)에 의해 보강링(20)의 일 측이 절단됨과 동시에, 절취선(11)이 절취되어 보강링(20)이 신발본체(1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반려견용 신발을 착용시킨 후, 보강링(20)을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하게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음으로, 보강링(20)에 의해 반려견이 다리에 압박감이 발생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취약부(21)는 1개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취약부(21)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보강링(20)의 일부만 선택적으로 때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신발본체, 11: 절취선, 20: 보강링, 21: 취약부, 30: 금형, 31: 고무액, 40: 성형부재, 41: 성형돌부, 50: 탈피부재, 51: 승강링, 52: 연장바, 53: 승강구동수단,

Claims (1)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된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보강링(20)을 포함하는 반려견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 둘레부에는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취약부(21)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신발.

KR1020220127809A 2022-10-06 2022-10-06 반려견용 신발 KR20240048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827A KR20240048253A (ko) 2022-10-06 2022-10-06 반려견용 신발
KR1020220127809A KR20240048240A (ko) 2022-10-06 2022-10-06 반려견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809A KR20240048240A (ko) 2022-10-06 2022-10-06 반려견용 신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827A Division KR20240048253A (ko) 2022-10-06 2022-10-06 반려견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240A true KR20240048240A (ko) 2024-04-15

Family

ID=907157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827A KR20240048253A (ko) 2022-10-06 2022-10-06 반려견용 신발
KR1020220127809A KR20240048240A (ko) 2022-10-06 2022-10-06 반려견용 신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827A KR20240048253A (ko) 2022-10-06 2022-10-06 반려견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4004825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075U (ko) 2009-08-24 2011-03-03 이범모 애완동물 신발
KR102079437B1 (ko) 2018-02-08 2020-02-19 문병휘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075U (ko) 2009-08-24 2011-03-03 이범모 애완동물 신발
KR102079437B1 (ko) 2018-02-08 2020-02-19 문병휘 애견 산책용 기능성 오염 방지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253A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832B1 (en) Animal boots
US20030154625A1 (en) Foot cover
DE60008796D1 (de) Melkbecher
KR20240048240A (ko) 반려견용 신발
CN110235719A (zh) 一种稻鸭共作的养鸭育稻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20111841A (ko)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WO2007051121A2 (en) Foot covering for animals
CN2208818Y (zh) 轻便防雨鞋套
ITMI991454A1 (it)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gambale per calzatura sportiva
US20060003140A1 (en) Intertoe towel
JPH1132615A (ja) ペット用靴
CN205305787U (zh) 用于蔬菜地的除虫新型装置
KR100370799B1 (ko) 카우 매트
KR102248440B1 (ko) 발건조증 방지용 양말
CN219373948U (zh) 一种防变形乳胶鞋垫
CN220631216U (zh) 一种新型便于拆卸的鞋子
CN201774883U (zh) 一种牛鞋
CN203646592U (zh) 男士通风皮鞋
CN106723398A (zh) 保护脚趾的跑步袜
CN102641000A (zh) 塑胶保健护理袜子
DE4434599A1 (de) Tragefreundlicher Gummistiefel
CN202774465U (zh) 一种除臭鞋垫
CN209643973U (zh) 连接牢固的懒人鞋
RU17753U1 (ru) Доильный стакан
CN106723394A (zh) 柔软轻量运动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