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841A -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 Google Patents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841A
KR20120111841A KR1020110030447A KR20110030447A KR20120111841A KR 20120111841 A KR20120111841 A KR 20120111841A KR 1020110030447 A KR1020110030447 A KR 1020110030447A KR 20110030447 A KR20110030447 A KR 20110030447A KR 20120111841 A KR20120111841 A KR 2012011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easy
sole
expand
sh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지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나 filed Critical 김지나
Priority to KR102011003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841A/ko
Publication of KR2012011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8Bathing shoes ; Aquatic sports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사장이 펼쳐진 해수욕장이나 강변 그리고 계곡 등에서 깨진 유리파편이나 날카로운 이물질에 의해 발을 다치거나 또는 뜨거운 태양빛으로 인해 달구어진 모래나 바위 등을 걸어다닐 때, 발생되는 발의 화상 위험으로부터 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고탄력을 가지는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인 스판덱스 재질을 이용한 신발을 제조하여 부피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과 복귀가 용이하고, 소정의 강성과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격자무늬 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발창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다수의 착용자가 각각의 발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최적의 착용감을 얻을 수 있게 하고, 또한 초경량으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의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수영이나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변이나 계곡 등에서 물놀이나 보행 시, 발을 해(害)하는 날카로운 이물질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100)에 있어서, 상기 신발(100)은 고탄력을 가지는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인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져 부피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복귀가 용이한 양말 형상의 갑피(10)가 형성되고, 상기 갑피(10)의 저면 발바닥부위에 논슬립(Non-slip) 기능을 가지는 신발창(20)이 형성되며, 상기 신발창(20)의 바닥지지부(21)는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의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2)가 바닥지지부(21)의 끝단부와 연결 성형되며, 상기 바닥지지부(21)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이완부(23)와 폭 방향으로 세로이완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부(22)에는 다수개의 공간(25)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Shoes easy expansion and contraction}
본 발명은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사장이 펼쳐진 해수욕장이나 강변 그리고 계곡 등에서 깨진 유리파편이나 날카로운 이물질에 의해 발을 다치거나 또는 뜨거운 태양 빛으로 인해 달구어진 모래나 바위 등을 걸어다닐 때 발의 상처 위험으로부터 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고탄력을 가지는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인 스판덱스(Spandex)재질을 이용한 신발을 제조하여 물의 배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신발의 크기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과 복귀가 용이하고, 소정의 강성과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격자무늬 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발창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다수의 착용자가 각각의 발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최적의 착용감을 얻을 수 있게 하고, 또한 초경량으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의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수영이나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에서는 노동시간의 감소와 레저 시간 혹은 여가 시간의 증대가 모든 사회층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추세이며, 새로운 사회문제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산업의 고도성장으로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여가 활용을 생각하게 되었고, 기업 또한 근로자의 정신적이나 육체적으로 자질 향상을 위해 그 필요를 느끼면서 보편화되었다.
여가 또는 레저는 직업상의 일이나 필수적인 가사 활동 외에 소비하는 시간으로서, 생계를 위한 필요성이나 의무가 따르지 않고 스스로 만족을 얻기 위한 자유로운 활동으로서 활동을 행하는 일 자체가 목적이며, 노동과 직무 뿐만 아니라 일체의 용무나 책임으로부터 해방되어 개인이 자기 뜻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생산으로서의 노동행위를 하지 않는 시간을 말하며, 또한 어떤 보람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 또는 자유시간, 좁은 의미에서의 직장에서의 해방된 어떤 기회, 자기 마음대로 지낼 수 있는 개인시간, 또는 자유로우며 매어 있지 않은 시간, 심신의 여유 등을 말한다.
또는 직업생활로부터 벗어난 자유, 한가한 시간, 안일, 한가로움의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보편화된 여가나 레저를 즐기기 위해서 주말이나 휴가철에 가족단위나 아니면 개인적으로 여행을 가기도 하는 데, 일반적으로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야외로 많이 나가게 된다.
상기의 야외를 일반적으로 눈부신 백사장이 펼쳐지진 해수욕장이나 강가 또는 수려한 거목이 자라고 얼음처럼 차가고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등을 한정하기로 할 경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간편한 복장과 그 간편한 복장에 어울리는 신발을 구비하여 떠나는 데, 보통 멋을 부리기 위해 고가의 복장에 어울리는 고가의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가의 신발분실이나 고가의 신발이 물에 젖는 것을 우려하여 다수가 맨발이고 그 중 일부분은 슬리퍼나 샌들 혹은 양말을 착용한 상태로 백사장이나 자갈밭 또는 계곡의 울퉁불퉁한 바위 등을 거닐거나 물놀이를 즐길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이 맨발 상태로 물놀이를 즐기거나 보행을 할 경우에는 깨진 유리파편이나 날카로운 이물질에 의해 발을 다치거나 또는 뜨거운 태양빛으로 인해 달구어진 모래나 바위에 의해 화상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슬리퍼나 샌들을 착용한 상태는 발의 발바닥은 보호할 수 있으나 슬리퍼나 샌들의 전, 후방이 개방되어 있어 모래나 작은 돌맹이 또는 기타 이물질 등이 내부로 침투되어 발바닥을 자극하여 침투된 모래나 작은 돌맹이 또는 기타 이물질 등을 일일이 털어 내어야 하는 불편함과 슬리퍼나 샌들이 발에서 이탈될 염려 때문에 자유로이 물놀이를 행 할 수 없는 불편함 또한 발생되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30755호(등록일자:2003년10월10일)에서는 발에 밀착상태로 착용되도록 신축성 내지 탄력성을 가진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덧신형태의 신발부를 형성하되 바닥부분은 울(갑피)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하면서 내피와 밀착링을 구비하고 전면에 물갈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게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그 구조가 덧신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착용자가 뛰어 다닐 경우에 발에서 이탈되는 문제점과 또한 발목부위를 날카로운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없게 되며, 그리고 신발의 앞부분에 물갈퀴부가 형성되어 있어 착용자가 보행 시 물갈퀴부에 의해 불완전한 보행을 할 수 밖에 없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은 양말 형상으로 이루어진 갑피는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고탄력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인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져 부피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복귀가 용이하고, 격자무늬 모양으로 형성되는 신발창은 강성과 논슬립 기능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상기 갑피와 신발창은 격자무늬 모양에 따라 신발이 전, 후, 좌, 우 사방으로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여 일반적인 신발을 신을 때처럼 신발 끈을 풀거나 조이지 않고 양말을 신듯이 편안하고 간편하게 신을 수 있고, 또한 착용자의 발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발에 알맞게 신을 수 있으며, 또한 물이 쉽게 배수되고 고탄력 탄성사로 형성된 갑피 등으로 인해 초경량의 무게를 유지하게 되어 백사장이나 계곡 그리고 수영장 같은 곳에서 착용이 용이하며, 최적의 착용감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변이나 계곡 등에서 물놀이나 보행 시, 발에 상처를 입히는 날카로운 이물질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고탄력을 가지는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인 스판덱스재질로 이루어져 부피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복귀가 용이한 갑피와 상기 갑피의 저면 발바닥부위에 접착, 형성되는 논슬립(Non-slip) 기능을 가지는 신발창으로 형성되며, 상기 신발창은 격자무늬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이완부와 폭 방향으로 세로이완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신발창은 발의 측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측면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측면지지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갑피는 양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등부위에 고주파용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의 배수가 용이하며 고탄력 탄성사로 이루어진 갑피로 인해 부피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복귀가 용이하고, 또한 격자무늬 모양으로 형성된 밑창은 전, 후, 좌, 우 사방으로 이완 및 수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어 각자의 신체 체형에 알맞게 성장한 발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발에 알맞게 착용할 수 있어서, 보행 시 최적의 착용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 시 통증이나 압박감 없이 향상된 우수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초경량으로 제조되어 백사장이나 수영장 같은 곳에서 착용이 용이하고 그리고 맨발로 잔디밭이나 양탄자 등과 같은 곳을 걷는 느낌을 얻을 수 있어 최적의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제조자는 다양한 형태의 폭을 가지는 신발을 제조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 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 실시예의 측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 실시예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 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2 실시예의 측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2 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작용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나)는 작용 후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 일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3 실시예의 측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4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5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6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7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8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9 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0 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1 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부피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복귀가 용이하고 전후좌우 사방으로 수축과 팽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되어 착용자의 발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최적의 착용감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감싸주는 갑피와 발바닥 부위와 발의 측면을 보호하는 신발창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은, 상기 신발(100)은 고탄력을 가지는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인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져 부피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복귀가 용이한 양말 형상의 갑피(10)가 구비되고, 상기 갑피(10)의 저면 발바닥부위에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신발창(20)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발창(2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PU), 썸머 플라스틱 라바(PPR), 나이론, 썸머 플라스틱 우레탄(PPU), 이브이씨(PVC), 고무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신발창(20)의 바닥지지부(21)는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의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2)가 바닥지지부(21)의 끝단부와 연결 성형되게 구성된다.
상기 바닥지지부(21)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이완부(23)와 폭 방향으로 세로이완부(24)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22)에는 다수개의 공간부(25)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신발의 주목적은 그 기능성에 있는 데, 최종 목표는 인체의 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이 그 목적에 알맞게 제조되어 판매 및 전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신발(100)의 갑피(10)는 물의 배수가 용이하며 신발의 크기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복귀가 용이한 고탄력을 가지는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인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져 양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간편하게 착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갑피(10)의 저면 발바닥부위와 발의 측면부위에 구비되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 기능을 가지는 신발창(20)이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은 물론, 날카로운 이물질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발창(20)의 저면 전체에 구비되는 바닥지지부(21)는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신발창의 하부 외주연에 구비되어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2)는 상기 바닥지지부(21)의 끝단부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신발의 형태를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더욱 더 편안한 착용감을 선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지지부(21)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이완부(23)와 폭 방향으로 세로이완부(24)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22)에는 다수개의 공간(25)부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신발의 주목적은 그 기능성에 있는 데, 최종 목표는 인체의 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이 그 목적에 알맞게 제조되어 판매 및 전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신발은 의복과 함께 일상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으로 오랜 역사와 함께 변천, 발전해왔다.
따라서, 신발의 종류도 의복만큼이나 다양하다고 할 수 있는 데, 현재 제조되고 있는 신발을 대별하여 보면 피혁을 주소재로 한 정장화와 발의 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다양한 신소재의 개발을 중심으로 제조되는 스포츠화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중 스포츠화는 일상생활에 이용되어지는 일상화로서 종류가 다양하며 형태 및 재료 그리고 용도나 제조방법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신발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일반혁화(LEATHER SHOES), 포화(CANVAS SHOES), 케미화(CHEMI SHOES), 합성혁화(SYNTHETIC LEATHER SHOES), 고무화(RUBBER SHOES), 운동화(SPORTS SHOES), 런닝화(RUNNING SHOES), 보행화(WALKING SHOES), 실내화(HOUSE SHOECASUAL SHOESS), 학생화(STUDENT SHOES) 아동화(CHILD SHOES), 신사화(DRESS SHOES), 캐주얼화(CASUAL SHOES ) 등 아주 다양한 신발이 보편화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의 형태나 기능에 알맞은 신발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은 특히 휴가철이나 야외 활동을 할 경우에 아주 적합한 것으로 착용자의 발에 구애됨이 없이 갑피가 탄력이 뛰어나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신축과 팽창이 자유로운 고탄력 탄성사로 형성된 합성섬유인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져, 각각의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알맞게 성장한 발의 형태에 따라 아무런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발창은 신발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도록 가로이완부와 세로이완부가 격자무늬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신발창이 수축과 팽창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신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신축과 팽창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착용자의 발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착용이 가능하게 착용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신발은 각각의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알맞게 성장한 발의 형태에 따라 아무런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신을 수 있으며, 또한 고탄력 탄성사로 형성된 합성섬유인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진 갑피로 인해 초경량의 무게를 유지하게 되어 착용자는 맨발로 걷는 느낌을 얻을 수 있어 최적의 착용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여름철 백사장이나 수영장 또는 계곡과 같은 곳에서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날카로운 이물질들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고 동시에 착용자가 상기의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수영을 자유로이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2 실시예로써 도 6은 본 발명의 측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작용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나)는 작용 후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의 신발창(20)은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로 이루어져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의 인솔(20a)이 형성되고 상기 인솔(20a)의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에 각각 끼워지는 삽입돌기부(26)가 형성된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아웃솔(20b)이 접착, 형성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신발창(20)은 길이 방향으로는 가로이완부(23)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량만큼 팽창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으로는 세로이완부(24)가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소정의 량만큼 팽창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발창(20)의 형태는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솔(20a)과 상기 인솔(20a)의 저면에 접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아웃솔(20b)이 구비된다.
상기 인솔(20a)의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에는 아웃솔(20b)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돌기부(26)가 각각 끼워져 일체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도 7의 (가) 및 (나)에서처럼 본 발명은 팽창 가능한 범위까지 자유로이 이완이 이루어져 착용자의 발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발 폭이 넓거나 발의 길이가 길어도 편안하고 착용감이 뛰어나게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신발창(20)으로 이루어진 신발(100)보다는 이중이나 다중의 신발창(20)으로 형성되게 되면, 신발(100)의 수명이 길어지고 또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보다 더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3 실시예의 측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의 신발창(20)은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로 구성되어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의 인솔(20a)이 형성되고, 상기 인솔(20a)의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의 저면에 아웃솔(20b)이 접착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신발창(20)의 길이 방향으로는 가로이완부(23)가 구비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만큼 수축과 팽창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폭 방향으로는 세로이완부(24)가 구비되어 폭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만큼 수축과 팽창 또한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4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의 신발창(20)은 다수개의 막대(bar)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게 구성되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는 폭 방향의 세로이완부(24)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신발창(20)은 신발창의 형상에 알맞게 다수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을 두고 등간격 배열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만큼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세로이완부(24)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신발창은 사용자의 발폭은 알맞은 데, 발의 길이가 길어도 신발창이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팽창이 이루어져 편안하면서 착용감이 뛰어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5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의 신발창(20)은 다수개의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S"자(W)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S"자(W) 형태로 구비된 신발창(20)은 폭 방향으로 파형의 세로이완부(24)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신발창(20)은 크기가 각각 다른 다수개의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발창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S"자(W)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S"자(W) 형태로 구비된 신발창(20)의 공간은 폭 방향의 세로이완부(24)가 형성된다.
일반적인 보행자가 보행을 행할 시, 먼저 발뒤꿈치 부분의 외측부가 지면에 닿고 연동되어 발의 앞 볼 쪽(내측)으로 향하는 회내운동(廻內運動)식 보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회내운동식 보행은 불완전한 보행으로서 발목이나 무릎의 관절이 심하게 비틀리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신발창(20)의 전체적인 형상을 "S"자(W) 형태로 구성하여 보행 시, 보행 경로에 따라 보행을 안정적으로 보완할 수 있게 하여 보행자는 정상적이며 안정적인 범위에서 회내운동식 보행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에 이르기까지의 보행경로에 맞추어 보다 자연적이고 안정적인 보행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축 피로를 경감시키는 한편 발목과 무릎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6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의 신발창(20)은 다수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게 구성되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는 길이 방향의 가로이완부(23)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게 신발창(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만큼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의 가로이완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이완부(23)의 작용 때문에, 신발창(20)은 폭 방향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어 착용자의 발 폭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착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7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의 신발창(20)은 다수개의 파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폭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파형의 가로이완부(23)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신발창(20)은 다수개의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파형의 가로이완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발창(20)은 도 11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8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의 신발창(20)은 바닥지지부(21)가 벽돌을 쌓아 올린 무늬 모양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지지부(21)의 폭 방향으로는 일직선의 세로이완부(24)와 길이 방향으로는 계단식의 가로이완부(23)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신발창(20)의 바닥지지부(21)는 벽돌을 지그재그 식으로 쌓아 올린 무늬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지지부(21)의 폭 방향으로 일직선의 세로이완부(24)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21)의 길이 방향으로는 계단처럼 가로이완부(23)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신발창(20)은 보다 더 견고하게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거친 지면을 걸을 때 신발창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보다 안정적인 보행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8 실시예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100)은 갑피(10)의 발등 부위에 고주파를 이용한 고주파 용접부(30)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이 상기 신발(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갑피(10)의 발등 부위에 고주파을 이용한 고주파 용접부(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주파 용접부(30)는 착용자의 발이 신발(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고주파용접부(30)로 인하여 착용자가 신발(100)을 착용할 경우에 착용자의 발등 부분을 견고하게 감싸 주어 착용자의 발이 신발(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0 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은 신발(100)은 하부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부위에 신발끈(40b)을 끼울 수 있는 다수개의 고리(40a)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고리(40a)에 착용자의 발이 신발(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발끈(40b)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신발(100)의 하부 좌, 우측에 서로 대응되게 고리(40a)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40a)에 끼워지는 신발끈(4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고리(40a)는 두, 세 개 또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어서,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하게 자기의 발에 알맞게 신발끈(40b)을 체결하여 사용함으로 보다 더 안락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의 제 11 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은 신발(100)의 발등 부위나 발목 부위에 착용자의 발이 신발(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매직테이프(5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신발(100)을 착용한 사용자가 행동이 와일드하여 행동반경이 넓어 뛰거나 할 때 발등 부위나 발목 부위에 형성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매직테이프(50)를 착용자의 발이 알맞게 조여 보다 더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갑피 20 : 신발창
20a : 인솔 20b : 아웃솔
21 : 바닥지지부 22 : 측면지지부
23 : 가로이완부 24 : 세로이완부
25 : 공간부 26 : 삽입돌기부
30 : 고주파용접부 40a : 고리
40b : 신발끈 50 : 매직테이프
W : 보행경로 100 : 신발

Claims (12)

  1. 해변이나 계곡 등에서 물놀이나 보행 시, 발을 상처를 발생시키는 날카로운 이물질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100)에 있어서,
    상기 신발(100)은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고탄력을 가지는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인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져 부피가 신축 가능한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복귀가 용이한 양말 형상의 갑피(10)가 형성되고,
    상기 갑피(10)의 저면 발바닥부위에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신발창(20)이 형성되며,
    상기 신발창(20)의 바닥지지부(21)는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의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2)가 바닥지지부(21)의 끝단부와 연결 성형되며,
    상기 바닥지지부(21)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이완부(23)와 폭 방향으로 세로이완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부(22)에는 다수개의 공간(25)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20)은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로 이루어져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의 인솔(20a)이 형성되고 상기 인솔(20a)의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에 각각 끼워지는 삽입돌기부(26)가 형성된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아웃솔(20b)이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20)은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로 이루어져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의 인솔(20a)이 형성되고 상기 인솔(20a)의 가로이완부(23)와 세로이완부(24)의 저면에 아웃솔(20b)이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20)은 다수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는 폭 방향의 세로이완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20)은 다수개의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S"자(W)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S"자(W) 형태로 형성된 신발창(20)은 폭 방향으로 파형의 세로이완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20)은 다수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는 길이 방향의 가로이완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20)은 다수개의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고, 상기 등간격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파형의 가로이완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20)의 바닥지지부(21)는 벽돌을 쌓아 올린 무늬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지지부(21)의 폭 방향으로 일직선의 세로이완부(24)가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계단식의 가로이완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10)의 발등 부위에 고주파용접부(30)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이 상기 신발(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00)은 하부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부위에 신발끈(40b)을 끼울 수 있는 다수개의 고리(40a)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고리(40a)에 착용자의 발이 신발(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발끈(40b)을 끼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00)은 발등 부위나 발목 부위에 착용자의 발이 신발(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매직테이프(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0)은 격자무늬 모양의 바둑판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다각형 또는 다양한 형태의 무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KR1020110030447A 2011-04-03 2011-04-03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KR20120111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447A KR20120111841A (ko) 2011-04-03 2011-04-03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447A KR20120111841A (ko) 2011-04-03 2011-04-03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41A true KR20120111841A (ko) 2012-10-11

Family

ID=4728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447A KR20120111841A (ko) 2011-04-03 2011-04-03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84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6147B (zh) * 2015-03-10 2018-03-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設置成拉脹構形之孔之鞋底結構
TWI619441B (zh) * 2015-03-10 2018-04-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相應的內部或外部襯層之拉脹鞋底
US9949530B2 (en) 2015-01-29 2018-04-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xetic structure
TWI629944B (zh) * 2015-08-14 2018-07-2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區域性應用之拉脹開口及槽之鞋底結構
TWI639396B (zh) * 2015-01-29 2018-11-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整體形成拉脹結構之鞋件
US10271615B2 (en) 2013-09-18 2019-04-30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holes arranged in auxetic configuration
WO2021049788A1 (ko) * 2019-09-09 2021-03-18 서영민 치수변경형 신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1615B2 (en) 2013-09-18 2019-04-30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holes arranged in auxetic configuration
US9949530B2 (en) 2015-01-29 2018-04-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xetic structure
TWI635817B (zh) * 2015-01-29 2018-09-2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拉脹結構之鞋件
TWI639396B (zh) * 2015-01-29 2018-11-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整體形成拉脹結構之鞋件
TWI616147B (zh) * 2015-03-10 2018-03-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設置成拉脹構形之孔之鞋底結構
TWI619441B (zh) * 2015-03-10 2018-04-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相應的內部或外部襯層之拉脹鞋底
TWI629944B (zh) * 2015-08-14 2018-07-2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區域性應用之拉脹開口及槽之鞋底結構
US10070688B2 (en) 2015-08-14 2018-09-11 Nike, Inc. Sole structures with regionally applied auxetic openings and siping
WO2021049788A1 (ko) * 2019-09-09 2021-03-18 서영민 치수변경형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1841A (ko)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DK2753205T3 (en) BARFODSSKO
EP2974615B1 (en) Shoe with a heel cap as well as shoe with an ankle collar
US20120204448A1 (en) Minimal Footwear
US20150000165A1 (en) Versatile footwear covers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20020166257A1 (en) Slip-on shoe
US20150320141A1 (en) Footwear customization device
JP5361341B2 (ja) 裸足歩行用靴下とその製造方法
JP2012153992A (ja) 水中運動用滑り止めサポーター
CN201798096U (zh) 高足部灵活性的鞋
KR101747161B1 (ko) 스트레칭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신발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KR102603725B1 (ko) 맨발 걷기용 신발형 양말
KR200440891Y1 (ko) 덧버선
JP6120487B2 (ja) 着脱が簡単な超軽量のルームシューズ
CN218245890U (zh) 一种高弹力运动鞋
CN213074683U (zh) 一种可调节式鞋子
CN220192306U (zh) 一种透气拖鞋
KR200487297Y1 (ko) 발바닥 부착 슈즈
CN109330086B (zh) 一种可收缩鞋面的休闲鞋及其穿戴方法
KR200410272Y1 (ko) 발 보호용 양말 또는 덧신
KR100975667B1 (ko) 피로 회복이 용이한 지압수단을 구비한 신발
CN209950482U (zh) 一种新型护脚登山鞋
JP3096856U (ja) プール内で着用する滑り止めつきソックス
CZ32537U1 (cs) Ponožka se zesílenou nášlapnou vrstvo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