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62Y1 -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 - Google Patents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62Y1
KR200465662Y1 KR2020100010547U KR20100010547U KR200465662Y1 KR 200465662 Y1 KR200465662 Y1 KR 200465662Y1 KR 2020100010547 U KR2020100010547 U KR 2020100010547U KR 20100010547 U KR20100010547 U KR 20100010547U KR 200465662 Y1 KR200465662 Y1 KR 200465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over
waterproof
velcro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779U (ko
Inventor
김정세
Original Assignee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광역시 달서구 filed Critical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to KR2020100010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6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6Rear lacing, i.e. with a lace placed on the back of the foot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ront l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야외 활동의 등산객이나 골퍼,군인이나 경찰, 일반인의 외출 활동 중에 내리는 비 때문에 또 이미 내려 젖어 있는 잔디의 물기 때문에 양말과 신발 내부가 젖는 현상으로 상쾌한 레크레이션 활동에 곤란이 상당하였으며, 야외의 업무활동에 있어서도 신발에 스며드는 물기 때문에 상당한 불괘감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는 발이 물에 젖게 되어 감기와 같은 질병의 위험이 있거나, 오수의 침전으로 인해 신발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색이 바래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신발 내로 비가 스며들거나 침투하지 않도록 신발 또는 양말을 보호하는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3중의 신발 앞면 덮개부(10a)(10b)(10c)와 3중의 신발 뒷면 덮개부(10d)(10e)(10f)와 밸크로(velcro)(21)(22)를 가지는 발목 고정부(20)로 이루어진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로서 방수기능을 가진 재질의 3중으로 된 덮개부(10)가 신발을 덮어 신발의 앞, 뒤를 완벽한 방수기능으로 커버하고, 신발에 착용시에 상기 덮개부(10)와 연결된 밸크로(21)(22)를 가지는 고정부(20)가 2이상의 계단식층을 이루면서 발목를 감싸도록 하여 간편하게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waterproofing protection equipment to shoes}
야외 활동의 등산객이나 골퍼,군인이나 경찰, 일반인의 외출 활동 중에 내리는 비 때문에 또 이미 내려 젖어 있는 잔디의 물기 때문에 양말과 신발 내부가 젖는 현상으로 상쾌한 레크레이션 활동에 곤란이 상당하였으며, 야외의 업무활동에 있어서도 신발에 스며드는 물기 때문에 상당한 불괘감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는 발이 물에 젖게 되어 감기와 같은 질병의 위험이 있거나, 오수의 침전으로 인해 신발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색이 바래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신발 내로 비가 스며들거나 침투하지 않도록 신발 또는 양말을 보호하는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3중의 신발 앞면 덮개부(10a)(10b)(10c)와 3중의 신발 뒷면 덮개부(10d)(10e)(10f)와 밸크로(velcro)(21)(22)를 가지는 발목 고정부(20)로 이루어진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로서 방수기능을 가진 재질의 3중으로 된 덮개부(10)가 신발을 덮어 신발의 앞, 뒤를 완벽한 방수기능으로 커버하고, 신발에 착용시에 상기 덮개부(10)와 연결된 밸크로(21)(22)를 가지는 고정부(20)가 2이상의 역층의 계단식층 형태을 이루면서 발목을 감싸도록하여 간편하게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내의 소득수준 향상과 주 5일 근무제도의 정착에 따라 다양한 레크레이션 문화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야외 레크레이션의 대표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는 등산, 골프인구가 각각 300만명, 260만명에 이르는 등 이미 상당한 수의 인구가 야외활동을 즐기고 있으며, 또한, 60만명에 이르는 군인과 경찰 상당수의 인구가 기타 야외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야외에서 비가 오면 신발과 양말이 젖어 활동에 불편함을 가져옴은 물론, 젖은 양말과 신발에서 나오는 심한 악취가 생기며, 이는 발의 위생에 나쁘고 젖은 운동화를 세탁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불편 및 수고로움이 많이 있어 왔다.
통상적으로 보면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근래에 들어서는 계절 및 용도에 따라 각기 특성에 맞는 신발을 착용함으로서 편리성을 추구함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과 색감에 의해 개성을 고려한 선택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신발은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사용목적에 따라서 구분하면, 운동 및 보행을 위한 평상화, 배수 및 통기성이 뛰어난 슬리퍼 및 샌들, 방수 및 방한 기능을 가지는 특수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수화를 제외한 일반적인 신발은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방수기능이 있다고 하더라고 낮은 정도의 생활방수에 그치는 것이어서, 우천시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신발이 젖는 것에 따른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종래에 신발의 방수를 위한 보호구는 도 1과 같이 신발 전체에 덧씌우는 덧신의 형태로서 첫째로 신고 벗는데 불편함이 따랐으며, 둘째로 이를 신발에 덧씌워 신는 경우 보행시 불편함과 신발바닥과 지면의 마찰감소로 미끄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종래기술을 보면,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덧신(출원번호: KR 10-2003-0081233), 신발용 방수용 착용구(출원번호 KR 10-2004-0054350), 간편한 운동화 방수비닐 부착방법(출원번호: KR 10-2007-0040924), 방수커버가 구비된 신발(출원번호: KR 10-2008-0069600), 착용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방수용 덧신(출원번호: KR 10-2009-0016549), 바지 및 신발의 방수 보호대(출원번호: KR 실1993-0022283), 신발 방수커버(출원번호: KR 실1996-068761), 덧버선이 달린 신발(출원번호: KR 실1998-019346), 신발용 덧신(출원번호: KR 20-2000-0013151), 신발용 방수 덮개(출원번호: KR 20-2002-0019650), 탈부착식 방수용 덧버선(출원번호: KR 20-2002-0033605), 신발 보호 커버(출원번호: KR 20-2002-0034338), 방수용 토시(출원번호: KR 20-2003-0018782), 신발보호용 덧신(출원번호: KR 20-2004-0006119), 방수 덧신(출원번호: KR 20-2004-0023210), 신발방수장화(출원번호: KR 20-2005-0000450), 다용도 휴대용 신발커버(출원번호: KR 20-2006-0015550) 등이 있다.
또한 신발의 밑창과 신발의 갑피 상이에 물이 새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구로서 선행기술이 있었지만 우천시 야외활동 중 신발이 젖는 것을 방지하는데 부족함이 있었으며, 선행기술 중 신발의 앞면부에 씌워 체결구로 체결하는 형태의 선행기술로 방수덧신구조(출원번호: 20-2008-0006508)가 있었으나, 이는 신발전체를 씌우는 덧신구조에 비하여 신고 벗는데 편리한 점은 있었지만, 이를 고정밴드에 의해 넓은 면을 둘러 체결구로 고정하기 때문에 이를 착용하고 걷는데 보조구가 빠질 위험이 있고, 특히, 신발의 뒷면를 통해 들어오는 비줄기와 발목을 타고 흐르는 빗줄기를 막는데 한계가 있어, 방수목적을 이루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신발전체를 덧씌우는 형태가 아니라, 방수성 재질의 덮개부를 이용하는 것으로, 완벽한 방수기능을 유지하여 신발 또는 젖지 않게 하고, 발위생 및 청결을 유지케 하며 신발 자체가 비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또한, 고정부를 발목을 감싸는 형태로 하여 착용시 걷거나 뛰는 중에 보조대가 안정적으로 결착이 유지되게 하고, 밸크로(21)(22)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신발 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신발전체를 씌우는 것이 아니고, 본래의 신발 밑창이 지면과 닿도록 유지함으로서 신발 밑창부분의 마찰감소에 의해 신발이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막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호대는 신발의 앞면과 뒷면을 방수재질의 신발의 굴곡면을 따라 덮개부(10)로 커버하여 신발에 비가 스며들지 않게 하고, 이러한 앞면과 뒷면의 덮개부(10)는 고정부(20)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10)와 연결된 밸크로(21)(22)를 가지는 고정부(20)가 발목를 감싸면서 간편하게 착용되게 하는 것으로 신고 벗는데 간편한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밸크로(Velcro)란, 벨크로(천 같은 것을 한쪽은 꺼끌꺼끌하게 만들고 다른 한쪽은 부드럽게 만들어 이 두 부분을 딱 붙여 떨어지지 않게 하는 옷 등의 여밈 장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본 고안은 빗물이나 물기 등 신발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발 위를 덮어 착용하는 방수보호대에 있어서, 끈의 형태로서, 상기 끈은 밸크로를 포함하는 것인 고정부(20)에; 방수성 재질로서, 착용시 뒷면 덮개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벨크로(velcro)로 된 덮개연결부(15), 발등부분의 굴곡을 따라 신발의 앞면부를 덮어 물이 신발 앞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커버부로 구성된 앞면덮개부(10a)와; 방수성 재질로서, 착용시 앞면덮개부의 밸크로로 된 덮개연결부(15)와 맞닿는 덮개연결부(16), 뒷발꿈치 부분의 굴곡을 따라 신발의 뒷면부를 덮어 물이 신발 뒷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커버부로 구성된 뒷면덮개부(10f)가; 상기 고정부(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20)는 밸크로를 포함하여 발목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고정부는 긴 끈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발목을 감싸서 밸크로로 여미는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밸크로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밸크로를 이용하여 발목에 감싼 고정부(20)가 2층 이상의 역층으로 된 계단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빗물이 상기 체결된 역층의 계단형으로 체결된 고정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여 빗물이 발목을 타고 신발 안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밸크로는 고정부의 어느 한 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결착시킬 수 있는 것이며, 보다 강한 결착을 위해서는 하기의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의 어느 한쪽면의 상단 및 다른 한쪽면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앞면덮개부(10a)는 신발의 앞면과 옆면의 일부를 방수재질의 커버로 덮는 것이고, 상기 앞면덮개부(10a)는 착용시에 밸크로의 연결덮개부(15)를 통하여 뒷면덮개부(10a)와 연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비가 덮개부를 통해 신발 밖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방수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크기가 작은 방수덮개(10c)를 신발의 안쪽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이보다 큰 방수덮개를 더하고(10b), 또 그 위에 중간의 방수덮개 보다 크기가 큰 방수덮개(10a)를 덮는 방식으로 3중의 덮개를 만들 수 있는데, 신발에 비가 가장 잘 스미는 부분은 구성쇠, 끈구멍 부분인데 이를 3중으로 방수커버가 막아 방수기능을 높일 수 있다. 즉, 3중 커버로서 확실한 방수효율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뒷면 덮개부(10f)의 경우에도 신발의 뒷면과 옆면의 일부를 방수재질의 커버로 덮는 것이고, 착용시에 앞면덮개부와 밸크로와 결합되는 덮개연결부(16)로 연결된다. 이는 신발의 유형에 따라 발 뒷축부분이 편안한 착용감 등을 위해 비가 잘 스미는 재질 등으로 구성되는 등의 경우를 고려하여 신발 후면부가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도 앞면 덮개부(10a)와 마찬가지로 3중의 덮개(10d)(10e)(10f)를 이용하면 뛰어난 방수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앞면 덮개부(10a)와 뒷면 덮개부(10f)에 각각 신발의 앞꿈치의 밑면 커버와 뒷꿈치의 밑면커버를 구성으로 더 포함하는 경우 오목한 홈이 생기도록 함으로서 신발의 앞꿈치와 뒷꿈치에 이 오목한 홈을 끼워 활동시에 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10)는 방수재질로서 특히, 고어텍스를 이용한 경우 부드럽고 가벼우며 통풍기능이 우수한 고어텍스의 성질 때문에 보다 부드러운 방수보호대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부(10)에 주름관(18)을 더하여 빗물이 고이지 않고 효과적으로 흘러 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면과 뒷면이 연결덮개부에서(15)(16)에서 맞닿는 부분을 넓게 하고 앞면덮개부 좌우 끝단의 곡선 끝이 더 앞쪽으로 휘도록 하여 방수효과를 더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는 우천시 야외활동의 경우에도 간편한 탈부착으로 그 활용이 편리하고, 신발에 직접적으로 빗물이 스미거나 발목을 타고 흐르는 빗물에 의하여 신발 또는 양말이 젖어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신발의 밑창의 대부분이 신발 본래의 재질로 유지되므로 신발전체를 씌워 감싸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착용시 미끄러움이 적고, 그에 따른 사고위험 방지에도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도 간편하게 탈착하여 간단히 세척하는 방법으로 유지관리가 가능하므로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덮개부에 주름관(18)을 활용한 경우 강한 우천시에도 보호구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바로 주름관(18)을 타고 흘러내리므로 방수효과 유지에 효과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앞면 덮개부의 곡선을 크게 하여 뒷면 덮개부와 맞닿는 부분을 크게 하는 경우 더 뛰어난 방수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덮개의 외각 곡선을 따라 빗물이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신발 전체를 덧씌우는 덧신형태의 종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에 대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품의 착용시 그 외관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3중 덮개(10a)(10b)(10c)(10d)(10e)(10f)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덮개부(10)구성에 주름관(18)을 더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신발의 앞발꿈치의 밑바닥 면을 덮는 커버부(11a)와 신발의 뒷발꿈치의 밑바닥 면을 덮는 커버부(11b)를 더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덮개부.
10a: 앞면덮개부.
10b: 3중 덮개부에 속하는 제2 앞면덮개부.
10c: 3중 덮개부에 속하는 제3 앞면덮개부.
10d: 3중 덮개부에 속하는 제2 뒷면덮개부.
10e: 3중 덮개부에 속하는 제3 뒷면덮개부.
10f: 뒷면덮개부.
11a: 신발의 앞발꿈치의 밑바닥 면을 덮는 커버부.
11b: 신발의 뒷발꿈치의 밑바닥 면을 덮는 커버부.
15: 앞면덮개부 좌우 가장자리에 위치한 벨크로의 덮개연결부.
16: 뒷면덮개부 좌우 가장자리에 위치한 벨크로(velcro)와 결합되는 덮개연결부.
18: 주름관
20: 고정부
21, 22: 고정부가 가지는 벨크로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앞면 덮개(10a)는 신발 앞면부를 전부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서 고정부(20)에 연결되는 외에 덮개 좌우에 뒷면 덮개부와 맞닿는 부분에 벨크로(velcro)의 덮개연결부(15)를 가지고 있어서 착용시 뒷면 덮개부(10f)와 연결된다.
뒷면 덮개부 역시 신발의 뒷면 전부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서 고정부에 연결되는 외에 덮개 좌우에 앞면 덮개부와 맞닿는 부분에 앞면 덮개의 벨크로와 결합될 수 있는 덮개 연결부(16)을 가지고 있어서 착용시 앞면덮개부(10a)와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신발의 앞꿈치 및 뒷꿈치의 밑면에 커버를 더하여 홈을 만든 경우에는 이 끝단의 홈에 신발의 앞꿈치 및 뒷꿈치를 끼워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덮개의 재질은 폴리사풀루오르 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사용하여 방수기능을 가지면서 가볍고 효과적인 통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3중의 앞면 덮개(10a)(10b)(10c)와 3중의 뒷면덮개(10d)(10e)(10f)를 사용하는 경우 앞면과 뒷면의 맨 바깥쪽 덮개 보다 그 크기를 작게 하면서 신발의 신발끈 부분이나 신발의 발목 뒷부분에 빗물이 스미는 것을 3중으로 방지하여 방수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고정부(20)는 펼친 경우 긴 끈 형태를 가지는데, 고정부(20)의 외주면에는 암, 수 벨크로 중 어느 하나(22)가 구비되고, 고정부(20)의 내주면에는 암, 수 벨크로 중 다른 하나(21)가 구비된다. 이때, 고정부(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벨크로(22)는 고정부(20)의 위아래의 폭을 기준으로 상단에서 하측으로 3분의 2가 되는 지점까지 구비되고, 고정부(2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벨크로(21)는 고정부(20)의 위아래의 폭을 기준으로 하단에서 상측으로 3분의 2가 되는 지점까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정부(20)를 발목에 감되 외측에 감기는 고정부(20)가 내측에 감기는 고정부(20)의 상하 방향의 상부 일부에 중첩되도록 감으면,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의 외주면에 구비된 벨크로(22)와 내주면에 구비된 벨크로(21)가 서로 맞닿아 접착됨으로써 고정부(20)는 발목에 감긴 상태가 유지되며, 발목에 감긴 고정부(20)는 역층으로 이루어진 계단형태가 된다. 이는 빗물이 발목을 타고 신발 안으로 흘러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인데, 역층의 계단을 따라 빗물이 맨 윗층의 바깥쪽으로 흘러 방수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종래 방수기능을 가지는 특수화의 경우에도 발목을 타고 흐르는 빗물 때문에 신발이 젖어버리는 경우가 상당하였지만, 본 고안의 경우 상기 구성에 따라 이를 방지하고 있다.
착용시에는 앞면의 안쪽덮개(10b)(10c)를 잘 펴서 신발의 발등부분에 댄 후에 앞면 덮개(10a)를 신발의 앞꿈치에 맞추고, 마찬가지로 뒷면의 뒷면덮개(10d)(10e)를 잘펴서 신발의 뒷꿈치 부분에 댄 후에 뒷면덮개(10f)를 신발의 뒷꿈치에 맞춘다. 그 다음 앞면 덮개(10a)와 뒷면 덮개(10f)를 밸크로로 된 덮개연결부(15)(16)로서 각각 좌우면을 연결한 다음 고정부(20)의 끈을 발목에 한층 한층 감싸면서 밸크로(21)(22)로 고정시킨다. 이 때, 각 층은 밸크로를 따라서 바깥 층이 윗층이 되는 역층의 계단 형태가 되도록 감는다.
이를 벗는 경우에는 상기의 방법을 역순으로 하는 방법으로 하면 간단하게 벗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경우 우천시 그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뛰어난 방수기능은 물론, 야외 활용에 있어 그 고정이 효과적이어서 착용 후 빠지는 등의 위험이 없어 우천시 활동이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Claims (5)

  1. 빗물이나 물기 등으로 신발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발 위에 덮어 착용하는 방수보호대에 있어서,
    끈의 형태로서, 외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폭으로 암수 벨크로 중 어느 하나(22)가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폭으로 상기 암수 벨크로 중 다른 하나(21)가 구비되는 고정부(20)에;
    방수성 재질로서, 착용시 뒷면 덮개부(10f)와 연결되도록 하는 벨크로(velcro)로 된 덮개연결부(15), 발등부분의 굴곡을 따라 신발의 앞면부를 덮어 물이 신발 앞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커버부로 구성된 앞면덮개부(10a)와;
    방수성 재질로서, 착용시 앞면덮개부(10a)의 밸크로로 된 덮개연결부(15)와 맞닿는 덮개연결부(16), 뒷발꿈치 부분의 굴곡을 따라 신발의 뒷면부를 덮어 물이 신발 뒷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커버부로 구성된 뒷면덮개부(10f)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20)가 발목에 감기되 외측에 감기는 상기 고정부(20)가 내측에 감기는 상기 고정부(20)의 상하 방향의 상부 일부에 중첩되도록 감겨 상기 고정부(20)의 상기 외주면에 구비된 벨크로(22)와 상기 내주면에 구비된 벨크로(21)가 서로 맞닿아 접착됨으로써, 상기 고정부(20)가 발목에 감긴 상태가 계단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덮개부(10a)에 커버부가 신발의 앞발꿈치의 밑바닥 면까지 덮는 커버부(11a)를 더 포함하여 신발의 앞꿈치에 끼우는 오목한 홈이 생기게 하고, 뒷면덮개부(10f)에 커버부가 신발의 뒷발꿈치의 밑바닥 면까지 덮는 커버부(11b)를 더 포함하여 신발의 뒷꿈치에 끼우는 오목한 홈이 생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보호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 덮개부(10a)에 상기 앞면덮개부(10a)와 크기를 달리하는 앞면덮개부(10b)(10c)를 더하여 3중의 방수층의 덮개부로 하고, 상기 뒷면 덮개부(10f)에 상기 뒷면 덮개부(10f)와 크기를 달리하는 뒷면덮개부(10d)(10e)를 더하여 3중의 방수층을 덮개부로 하여 방수기능을 더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보호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덮개부(10a)(10b)(10c)와 상기 뒷면덮개부(10d)(10e)(10f)의 방수성 재질은 폴리사풀루오르 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보호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덮개부(10a)(10b)(10c)와 상기 뒷면덮개부(10d)(10e)(10f)는 주름관(18)을 가지고 있어서 빗물이 주름관(18)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보호대.
KR2020100010547U 2010-10-14 2010-10-14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 KR200465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47U KR200465662Y1 (ko) 2010-10-14 2010-10-14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47U KR200465662Y1 (ko) 2010-10-14 2010-10-14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79U KR20120002779U (ko) 2012-04-24
KR200465662Y1 true KR200465662Y1 (ko) 2013-03-05

Family

ID=4660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547U KR200465662Y1 (ko) 2010-10-14 2010-10-14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6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536U (ko) * 1996-12-30 1998-10-07 이승형 신발 방수커버
KR200337752Y1 (ko) 2003-10-08 2004-01-07 황우필 신발 커버
KR20060082152A (ko) * 2005-01-11 2006-07-18 김두원 빗물방지 일회용 신발커버
KR20090002727U (ko) * 2007-09-14 2009-03-18 양대생 신발 보호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536U (ko) * 1996-12-30 1998-10-07 이승형 신발 방수커버
KR200337752Y1 (ko) 2003-10-08 2004-01-07 황우필 신발 커버
KR20060082152A (ko) * 2005-01-11 2006-07-18 김두원 빗물방지 일회용 신발커버
KR20090002727U (ko) * 2007-09-14 2009-03-18 양대생 신발 보호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79U (ko)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440B2 (en)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AU2008243701B2 (en) Footwear
US20130133228A1 (en) Universal, readily interchangeable, and non-gaiter cover for wraping around and decorating only the shaft of an any sized and mundane boot and not the foot of the any sized and mundane boot
KR20120111841A (ko)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신발
US20180303193A1 (en) Shoe Cover
KR100989358B1 (ko) 샌들 겸용 운동화
KR200465662Y1 (ko)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보호대
KR200426067Y1 (ko) 다용도 휴대용 신발커버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KR100533544B1 (ko)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덧신
US20050183285A1 (en) Protective shoe cover
KR200440891Y1 (ko) 덧버선
KR100584012B1 (ko) 신발 방수용 착용구
KR101285939B1 (ko) 방수용 신발 스패츠
KR200426066Y1 (ko) 다용도 휴대용 보호 신발커버
CN219020347U (zh) 一种防水雪地靴
JP3027760U (ja) 多目的シューズ
JP3220701U (ja) オーバーシューズ
KR102382571B1 (ko) 신발용 방수 커버
CN220384376U (zh) 一种eva防滑拖鞋
CN210783105U (zh) 一种防水鞋套结构
CN217364817U (zh) 鞋套
KR20210063932A (ko) 신발 방수 커버
KR20110011031A (ko) 우비용 장화
JP3122379U (ja) フットカバー付き足首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