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66Y1 - 분리형 신발 - Google Patents

분리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66Y1
KR200471266Y1 KR2020130008480U KR20130008480U KR200471266Y1 KR 200471266 Y1 KR200471266 Y1 KR 200471266Y1 KR 2020130008480 U KR2020130008480 U KR 2020130008480U KR 20130008480 U KR20130008480 U KR 20130008480U KR 200471266 Y1 KR200471266 Y1 KR 200471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coupling
coupled
coupling hole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해인
Original Assignee
양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해인 filed Critical 양해인
Priority to KR2020130008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갑피와 밑창의 착탈이 용이하며, 갑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분리형 신발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등을 커버하는 갑피(100); 상기 갑피(100)의 하단부를 따라 다수개 이격형성된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 착용자의 발바닥이 지지되는 밑창(300); 및 상기 밑창(300)의 상단부를 따라 다수개 이격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400) 또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갑피(100)와 밑창(300)은 상기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40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리형 신발{Separable shoes}
본 고안은 분리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갑피와 밑창의 착탈이 용이하며, 갑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분리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자의 발등을 커버하는 갑피와, 갑피의 하단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바닥이 놓이는 밑창으로 구성되며, 밑창의 상면에 깔창을 깔고 착용한다.
이러한 신발은 내부로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세균번식의 우려가 높고, 악취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세균이 번식되지 않고,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내부까지 통기시키고, 습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하나, 신발의 발가락이 놓이는 부분은 상당히 깊숙하기 때문에, 신발 내부까지 제대로 통기시키기가 쉽지 않다.
또한, 신발을 세탁하는 경우에도, 신발 내부까지 깨끗하게 세탁하기가 쉽지 않으며, 신발 내부가 신속하게 잘 마르지도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신발의 갑피와 밑창이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 신발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분리형 신발을 보인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와 밑창(2)이 지퍼(3)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퍼에 의해 결합, 분리되는 신발은 신발의 결합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지퍼의 이빨에 의해 신발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나, 신발에 내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지퍼가 터져서 신발이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갑피와 밑창이 지퍼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슬리퍼나 샌들과 같이 갑피가 밴드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한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481호(2006. 06. 14.)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갑피와 밑창의 착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갑피와 밑창이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여 착용 중에 갑피와 밑창이 분리된 우려가 없으며, 갑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분리형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등을 커버하는 갑피(100); 상기 갑피(100)의 하단부를 따라 다수개 이격형성된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 착용자의 발바닥이 지지되는 밑창(300); 및 상기 밑창(300)의 상단부를 따라 다수개 이격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400) 또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갑피(100)와 밑창(300)은 상기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40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발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200)은 대경부(202)와, 상기 대경부(20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경부(20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소경부(204)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돌기(400)는 축부(402)와, 상기 축부(402)의 상단에서 직경이 확장된 걸림확장부(404)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확장부(404)의 직경은 상기 대경부(202)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소경부(20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축부(402)의 직경은 상기 소경부(204)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00)가 상기 소경부(204)에 위치되면, 상기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밑창(300)의 전단부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가락부분을 커버하는 전방지지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300)의 후단부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뒷꿈치부분을 커버하는 후방지지부(320)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200)은 상기 갑피(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밴드(210)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00)는 상기 밑창(3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밴드(410)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밴드(210)의 저면 상단부와 제2연결밴드(410)의 상면 상단부에는 상호 결합되는 암, 수벨크로테이프(420,220)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갑피(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밴드(2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먼지보호대(230)가 구비되어, 상기 갑피(100)와 밑창(300)을 결합시키면, 상기 먼지보호대(230)의 하단부가 상기 밑창(300)의 상면에 놓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갑피(100)와 밑창(300)이 분리되기 때문에 신발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밑창(300)에서 갑피(100)를 분리하여 신발 내부를 통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세탁시에도 갑피(100)와 밑창(300)을 분리하여 세탁하면 신발 구석구석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탁 후에 갑피(100)와 밑창(300)을 분리한 상태로 건조시키면, 건조도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갑피(100)와 밑창(300) 중 어느 한쪽이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부분만 새로 구입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갑피(100)만 여러 개 구비하면, 하나의 밑창(300)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갑피(100)와 밑창(300)이 결합공(200)과 결합돌기(400)에 의해 결합되는데, 결합돌기(400)에는 걸림확장부(404)가 형성되고, 결합공(200)에는 상기 걸림확장부(404)가 걸려지는 소경부(204)가 형성됨으로써, 갑피(100)와 밑창(30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더욱이 갑피(100)와 밑창(3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암, 수벨크로테이프(420,220)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갑피(100)와 밑창(300)이 분리될 우려가 더욱 저하된다.
또, 본 고안은 갑피(100)와 밑창(300)이 결합공(200) 및 결합돌기(400)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갑피(10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갑피와 밑창이 지퍼에 의해 결합되는 종래의 분리형 신발은 갑피의 하단부와 밑창의 상단부가 전체적으로 연속되게 결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슬리퍼나 샌들과 같이 갑피가 밴드형상으로 되어 갑피의 하단부가 밑창의 상단부 일부에만 결합되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슬리퍼나 샌들과 같이 갑피(100)가 밴드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갑피(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00)을 밑창(300)에 형성된 결합돌기(400) 중의 일부에만 결합하면 되므로 갑피(100)를 밑창(300)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갑피(100)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분리형 신발에 비해 실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지퍼형 분리신발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고안이 운동화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갑피(100)와, 갑피(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결합공(200)과, 밑창(300)과, 밑창(3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돌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갑피(100)는 착용자의 발등을 덮는 부분으로서, 통상의 운동화 갑피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갑피(100)의 하단부에 상기 결합공(200)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공(2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밑창(300)에 형성된 결합돌기(400)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대경부(202)와, 이 대경부(20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대경부(202)에 비해 내경이 작은 소경부(204)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경부(204)의 둘레부에는 후술하는 결합돌기(400)의 걸림확장부(404)가 안착되는 안착홈(205)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공(200)은 금속편이나 합성수지편에 형성되어, 천이나 피혁으로 된 제1연결밴드(210)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밴드(210)가 갑피(100)의 하단에 박음질된다. 상기 제1연결밴드(210)의 저면에는 결합공(2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수벨크로테이프(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갑피(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밴드(2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먼지보호대(230)가 구비된다. 이 먼지보호대(230)는 천이나 피혁으로 형성되는데, 갑피(100)를 밑창(300)에 결합하였을 때 그 하단부가 밑창(300)의 상면에 놓일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밑창(300)은 통상적인 신발의 밑창과 같이 우레탄고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밑창(300)의 상단부에 결합돌기(400)가 형성된다.
결합돌기(400)는 축부(402)와, 축부(402)의 상단에서 폭이 확장된 걸림확장부(404)로 이루어지는데, 이 걸림확장부(404)의 직경은 상기 결합공(200)의 대경부(202)의 내경과 같거나 작고, 소경부(204)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결합돌기(400)를 결합공(200)에 용이하게 끼우기 위해서는 걸림확장부(404)의 직경이 대경부(202)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부(402)의 직경은 소경부(204)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돌기(400)의 걸림확장부(404)를 결합공(200)의 대경부(202)에 끼운 후, 갑피(100)를 상향으로 당기면 결합공(200)이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결합돌기(400)는 소경부(204)에 위치되는데, 결합돌기(400)의 걸림확장부(404)가 소경부(204)의 상면에 걸려서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에서 빠지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경부(204)에 안착홈(205)이 형성되면, 걸림확장부(404)가 안착홈(205)에 안착되어 결합공(2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걸림확장부(404)가 외측으로 돌출되면 주변 물체에 부딪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소경부(204)에 안착홈(205)이 형성되면 걸림확장부(404)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축부(402)의 직경이 소경부(204)의 내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결합돌기(400)가 소경부(204)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축부(402)의 외주면이 소경부(204)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결합돌기(400)와 결합공(200)의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결합돌기(400)가 대경부(202)로 이동되는 것이 규제되므로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에서 빠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공(200)과 결합돌기(400)를 좀 더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임의의 결합돌기(400)와 이에 정렬되는 결합공(200)에 다른 결합돌기(400) 및 결합공(200)과 구별되는 색상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갑피(100)와 밑창(300)을 결합시킬 때, 사용자가 표시된 결합돌기(400)와 결합공(200)을 기준으로 삼아 이들을 먼저 정렬시키면, 나머지 결합돌기(400)들과 결합공(200)이 정렬되기 때문에, 갑피(100)와 밑창(300)을 결합시키기가 용이하다.
상기 결합돌기(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천이나 피혁으로 된 제2연결밴드(410)의 상면에 상기 결합공(200)에 정렬되는 간격으로 다수개 이격형성되고, 제2연결밴드(410)의 하단이 밑창(300)에 박음질된다. 그리고 제2연결밴드(410)의 상단부 상면에는 상기 수벨크로테이프(220)에 부착되는 암벨크로테이프(420)가 구비된다.
상기 갑피(100)에 결합되는 제1연결밴드(210)에 암벨크로테이크가 구비되고, 밑창(300)에 결합되는 제2연결밴드(410)에 수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수벨크테이프는 표면이 까끌까끌하고, 암벨크로테이프는 부드러운데, 후술하는 제2실시예와 같이 갑피(100)가 밴드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제2연결밴드(410)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제2연결밴드(410)에 수벨크로테이프보다 부드러운 암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300)의 전단부에는 상향으로 절곡연장된 전방지지부(310)가 형성된다. 이 전방지지부(310)는 착용자의 발가락을 다소 덮을 정도로 상향으로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밑창(300)의 후단부에는 착용자의 뒤꿈치부분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된 후방지지부(320)가 형성된다.
이들 전방지지부(310)와 후방지지부(320)는 밑창(3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밑창(300)과 별체로 형성되어 밑창(300)에 박음질된다. 전방지지부(310)와 후방지지부(320)가 밑창(300)과 별체로 형성되어 밑창(30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전, 후방지지부(310,320)는 밑창(300)과 동일한 우레탄고무로 형성되거나 또는 피혁이나 천 등으로 형성된다.
보행시에 신발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갑피와 밑창의 결합부위가 신발의 측면에 형성되면 보행시에 갑피(100)와 밑창(300)의 결합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의 대경부(202)로 이동되어 결합공(200)에서 빠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밑창(300)에 전방지지부(310)와 후방지지부(320)가 형성되면, 갑피(100)와 밑창(300)의 결합부위가 발가락 상부와 뒷꿈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보행시에 적어도 갑피(100)와 밑창(300)의 전단부와 후단부 결합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지 않기 때문에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에서 빠질 우려가 적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갑피(100)와 밑창(300)을 결합시킬 때에는 결합공(200)들을 결합돌기(400)들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결합돌기(400)가 형성된 제2연결밴드(410)가 결합공(200)이 형성된 제1연결밴드(210)의 하측으로 위치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결합돌기(400)나 결합공(200)과 다른 색상이 부여되어 기준이 되는 결합돌기(400)와 결합공(200)을 정렬시키면, 나머지 결합돌기(400)와 결합공(200)들이 정렬된다. 이때 먼지보호대(230)는 제2연결밴드(410) 내측에 위치되어 밑창(300) 내부로 유입된다.
이어서, 결합돌기(400)를 정렬되는 결합공(200)의 대경부(202)에 끼운다. 그리고 갑피(100)를 상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결합공(200)이 상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결합돌기(400)는 결합공(200)의 소경부(204)에 위치되고, 걸림확장부(404)가 소경부(204)의 안착홈(205)에 삽입되어,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에 결합된다.
더욱이 결합돌기(400)의 축부(402) 직경이 소경부(204)의 내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결합돌기(40)가 소경부(204)에 위치되면 결합돌기(400) 및 결합공(200)의 상하이동도 제한되어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결합돌기(400)들을 결합공(200)에 끼움 다음, 제1, 2연결밴드(210,410)에 구비된 암, 수벨크로테이프(420, 220)를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암, 수벨크로테이프(420,220)가 부착되면, 밑창(300)에 대해 갑피(100)의 상하유동이 완전히 규제되기 때문에,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에서 빠질 우려가 전혀 없어진다.
이어서, 먼지보호대(230)를 평평하게 잘 펴서 정리하고, 밑창(300) 위에 깔창(500)을 깐다. 이와 같이 하면 먼지보호대(230)의 하단부가 밑창(300)과 깔창(500) 사이에 위치되므로 신발 내부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운동화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갑피(100)와 밑창(300)을 분리하는데, 이때에는 먼저, 깔창(500)을 빼내고, 먼지보호대(230)를 들어 올린 다음, 제1연결밴드(210)를 갑피(100) 안쪽에서 들어 올려서 암, 수벨크로테이프(420,22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갑피(100)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결합돌기(400)를 결합공(200)의 대경부(202)로 이동시킨 다음, 결합돌기(400)를 아래로 밀거나 결합공(200)을 위로 당겨서 결합돌기(400)를 결합공(200)에서 이탈시켜서 갑피(100)를 밑창(300)에서 분리시킨다.
이상에서는 상기 결합공(200)이 제1연결밴드(210)에 의해 갑피(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결합공(200)이 형성된 금속편이나 합성수지편이 갑피(100)의 하단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수벨크로테이프(220)는 갑피(100)의 하단부 내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400) 역시 밑창(30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암벨크로테이프(420)는 밑창(300)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다. 결합돌기(400)가 밑창(300)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에는 밑창(300)의 상단부에는 상향으로 다소 얇게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에 결합돌기(400)와 암벨크로테이프(4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슬리퍼에 적용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00)가 착용자의 발등을 가로지르는 밴드형상으로 되어, 갑피(100)의 양단부에 결합공(200)이 형성된다.
본 고안은 갑피(100)와 밑창(300)이 결합공(200)과 결합돌기(400)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갑피(100)가 밴드형상으로 된 슬리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종래와 같이 갑피와 밑창이 지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갑피의 하단부와 밑창의 상단부가 연속되게 전체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나, 본 고안은 갑피(100)에 형성된 결합공(200)을 밑창(300)에 형성된 결합돌기(400) 중의 일부에만 끼워서 결합시키는 가능하기 때문에 갑피(100)가 밴드형상으로 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100. 갑피 200. 결합공
202. 대경부 204. 소경부
205. 안착홈 210. 제1연결밴드
220. 수벨크로테이프 230. 먼지보호대
300. 밑창 310. 전방지지부
320. 후방지지부 400. 결합돌기
402. 축부 404. 걸림확장부
410. 제2연결밴드 420. 암벨크로테이프
500. 깔창

Claims (5)

  1. 착용자의 발등을 커버하는 갑피(100);
    상기 갑피(100)의 하단부를 따라 다수개 이격형성된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
    착용자의 발바닥이 지지되는 밑창(300); 및
    상기 밑창(300)의 상단부를 따라 다수개 이격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400) 또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갑피(100)와 밑창(300)은 상기 결합공(200) 또는 결합돌기(40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200)은 대경부(202)와, 상기 대경부(20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경부(20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소경부(204)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돌기(400)는 축부(402)와, 상기 축부(402)의 상단에서 직경이 확장된 걸림확장부(404)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확장부(404)의 직경은 상기 대경부(202)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소경부(20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축부(402)의 직경은 상기 소경부(204)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00)가 상기 소경부(204)에 위치되면, 상기 결합돌기(400)가 결합공(2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결합공(200)은 상기 갑피(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밴드(210)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00)는 상기 밑창(3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밴드(410)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밴드(210)의 저면 상단부와 제2연결밴드(410)의 상면 상단부에는 상호 결합되는 암, 수벨크로테이프(420,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300)의 전단부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가락부분을 커버하는 전방지지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300)의 후단부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뒷꿈치부분을 커버하는 후방지지부(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밴드(2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먼지보호대(230)가 구비되어,
    상기 갑피(100)와 밑창(300)을 결합시키면, 상기 먼지보호대(230)의 하단부가 상기 밑창(300)의 상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신발.












KR2020130008480U 2013-10-16 2013-10-16 분리형 신발 KR200471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80U KR200471266Y1 (ko) 2013-10-16 2013-10-16 분리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80U KR200471266Y1 (ko) 2013-10-16 2013-10-16 분리형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66Y1 true KR200471266Y1 (ko) 2014-02-13

Family

ID=5141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480U KR200471266Y1 (ko) 2013-10-16 2013-10-16 분리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3840A1 (de) * 2021-11-12 2023-05-19 JMC Footwear GmbH Schuhsohle zum vielfachen an- und abkoppeln von einem schuhteilkör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68Y1 (ko) 1999-05-14 2001-09-25 황일주 분리식 휴대용 신발
KR200422440Y1 (ko) 2006-05-03 2006-07-26 추영국 갑피 분리형 신발
KR20110129328A (ko) * 2010-11-18 2011-12-01 조성극 조립 슬리퍼
JP2012200464A (ja) * 2011-03-28 2012-10-22 Jd Japan Kk サンダ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68Y1 (ko) 1999-05-14 2001-09-25 황일주 분리식 휴대용 신발
KR200422440Y1 (ko) 2006-05-03 2006-07-26 추영국 갑피 분리형 신발
KR20110129328A (ko) * 2010-11-18 2011-12-01 조성극 조립 슬리퍼
JP2012200464A (ja) * 2011-03-28 2012-10-22 Jd Japan Kk サンダ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3840A1 (de) * 2021-11-12 2023-05-19 JMC Footwear GmbH Schuhsohle zum vielfachen an- und abkoppeln von einem schuhteilkör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6811B2 (ja) 靴、靴の踵部材、及び、脱靴補助部材
US1973292A (en) Footwear
KR101642339B1 (ko) 장화
CA2969779A1 (en) Sandal with self-anchoring sole structure
LT5994B (lt) Batas su įtaisu, apsaugančiu nuo slydimo
EP2870892B1 (en) Open shoe comprising a textile layer and means of fixation
KR200471266Y1 (ko) 분리형 신발
KR20110002134U (ko) 일체형 아웃솔이 구비되는 발가락 신발
US20180055138A1 (en)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KR101092246B1 (ko)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US20130014408A1 (en) Decorative cover for a shoe
US20190223554A1 (en)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JP5079923B1 (ja) 靴及び中敷き体
KR200422440Y1 (ko) 갑피 분리형 신발
KR20130067351A (ko) 분리형 신발
US11229258B1 (en) Convertible shoe
JP3153220U (ja)
KR101928305B1 (ko) 아웃솔 탈부착형 실내외 겸용 슈즈
JP3005464U (ja)
JP5795169B2 (ja) 装着部材
CN201213486Y (zh) 可拆式运动鞋
KR200364422Y1 (ko) 발 걸레
KR200294199Y1 (ko) 청결신발
KR101755155B1 (ko) 바닥이 없는 비닐장화
KR200242134Y1 (ko) 슬리퍼 겸용 샌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