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869A - 트렁크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869A
KR20180039869A KR1020160131149A KR20160131149A KR20180039869A KR 20180039869 A KR20180039869 A KR 20180039869A KR 1020160131149 A KR1020160131149 A KR 1020160131149A KR 20160131149 A KR20160131149 A KR 20160131149A KR 20180039869 A KR20180039869 A KR 20180039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ink
trunk
arm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780B1 (ko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은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트렁크 리드(trunk lid)에 결합되는 힌지암, 상기 힌지암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통전 가능한 링크 돌기가 형성된 힌지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힌지링크를 회동시키면, 상기 링크 돌기가 상기 힌지암과 접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힌지장치로서, 본 발명의 트렁크 힌지장치의 힌지링크에는 비통전 부시의 적용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트렁크 힌지장치{HINGE APPARATUS OF TRUNK}
본 발명은 트렁크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링크의 전착도장을 고려한 트렁크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착도장(electrodeposition coating)이란 피도물과 탱크를 양 전극으로 하고 탱크 내의 수용성 도료 중에 전류를 통해서 피도물에 도막을 만드는 도장방법이다.
프로세스는 금속도금과 유사하고, 두터운 도막은 할 수 없지만 침지도장이나 분무식 도장에 비해서 도장에 낭비가 없다.
또 공정의 자동화, 도료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고 자동차 메이커의 차체의 초벌칠(방청제)용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차량 방청용 도막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착 도장은 양극으로 대전된 대형 욕조에 음극으로 대전된 차체를 침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착도장은 대전되는 표면 전류량에 비례하여 도막두께가 상승되고 또한 점진적으로 저항이 낮은 차체 내부로 침투되어 도장되는 형식이다.
이런 방식으로 내부도장이 가능하기에 전세계 자동차 하도 도장라인의 98%를 전착도장이 점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무빙차체(Door/Hood/Trunk Lid) 중 트렁크 리드의 전착도장과 관련된다.
승용차량의 트렁크 룸은 화물을 넣어두는 차량 후방의 공간으로서, 트렁크 리드가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장착된다.
차량의 트렁크 리드는 차종의 성격과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나, 일반적인 세단형 차량의 트렁크 리드는 트렁크 룸의 상측과 후방 측을 차폐하는 절곡된 모양을 가지며, 힌지장치에 의해 차체에 결합되어 힌지 회동함으로써 개폐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렁크 힌지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A-A 절개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차량의 힌지장치는 힌지브라켓(1), 힌지암(2), 힌지링크(3)를 포함한다.
힌지브라켓(1)은 차체를 구성하는 리어패키지트레이(rear package tray)의 하부면에 고정 장착되며, 힌지암(2)은 일단이 힌지브라켓(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트렁크 리드(trunk lid)와 체결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힌지암(2)은 토션바(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도록 힌지링크(3)가 장착된다.
자동차의 힌지장치는 이 같이 구성됨으로써,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트렁크 리드가 오픈될 때, 토션바의 탄성력에 의해 트렁크 리드가 소정의 높이까지 팝업되게 된다.
즉, 토션바는 양단이 트렁크 리드의 좌우측 각각에 배치된 힌지링크(3)에 각각 체결되며, 트렁크 리드가 닫힐 때는 소정의 각도로 탄성적으로 비틀어지도록 장착되어,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트렁크 리드를 들어올린다.
도시와 같이, 힌지링크(3)는 힌지암(2)과 결합핀(4)에 의해 결합되게 되는데, 힌지암(2), 힌지링크(3), 결합핀(4)이 접촉되어 소음 및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이들 간에 부시(5)가 개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트렁크 힌지장치는 전착 도장시 힌지링크(3)의 통전을 위해 부시(5)가 통전 부시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래서,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힌지암(2)으로부터, 통전 부시(5)를 거쳐 힌지링크(3)가 통전 가능하게 된다.
부시(5)가 비통전 부시로 적용되면, 힌지링크(3)의 전착이 불량해질 수가 있고, 그럴 경우 발청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으므로, 힌지링크(3)의 전착 성능 확보를 위해서는 부시(5)가 통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현재 힌지링크에 적용되는 통전 부시는 개당 168원이고, 4개의 부시가 적용되어 대당 672원의 통전 부시가 적용된다.
이에 반해 비통전 부시를 적용한다면, 개당 11원의 부시의 적용이 가능하여 개당 157원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대량 생산을 감안하면 원가의 차이는 무시할 수 없는 정도가 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752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60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트렁크 힌지장치의 힌지링크에 적용되는 부시를 비통전 부시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렁크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트렁크 힌지장치는, 일측은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트렁크 리드(trunk lid)에 결합되는 힌지암, 상기 힌지암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통전 가능한 링크 돌기가 형성된 힌지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힌지링크를 회동시키면, 상기 링크 돌기가 상기 힌지암과 접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암은 결합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암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핀을 둘러싸는 부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통전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 돌기는 상기 힌지암 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 돌기가 상기 힌지암에 접촉되게 상기 힌지링크를 회동시키는 방향은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릴 때 회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링크는 탄성력을 지닌 토션바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링크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토션바는 상기 결합핀이 결합된 측의 반대 측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돌기는 상기 힌지링크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에서 상기 토션바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렁크 힌지장치는 링크돌기가 형성된 힌지링크 및 그에 적용되는 부시를 비통전 부시로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통전 부시 적용에 비해서 상당한 원가의 절감효과를 발휘한다.
그러한 간단한 구성의 변화에도, 기존의 전착도장 성능에 비해서 동등 이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렁크 힌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A 절개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링크 및 트렁크 힌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B-B 절개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힌지링크에 대한 통전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링크 및 트렁크 힌지장치의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링크의 전착도장 방법을 포함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링크 및 트렁크 힌지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5의 B-B 절개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힌지링크에 대한 통전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 힌지장치 및 힌지링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렁크 힌지장치는 힌지링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힌지링크와 힌지암의 결합을 위한 부시를 비통전 부시로 적용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전착도장을 기존과 다르게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렁크 힌지장치는 힌지브라켓(10), 힌지암(20), 힌지링크(40), 결합핀(40) 및 비통전 부시(50)를 포함한다.
힌지브라켓(10)은 차체를 구성하는 리어패키지트레이(rear package tray)의 하부면에 고정 장착된다.
힌지암(20)은 일단은 힌지브라켓(10)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트렁크 리드(trunk lid)와 결합되고, 후술하는 토션바의 작용으로 트렁크 리드를 들어올려 트렁크 룸이 개방되게 한다.
토션바의 작용이 힌지암(20)에 전달되기 위하여 힌지링크(30)가 힌지브라켓(10)보다 하부에 결합되게 된다.
이를 위해 힌지링크(30)의 일측은 결합핀(40)에 의해 힌지암(20)에 결합되어 결합핀(40)을 축으로 회동되고, 타측은 토션바의 연결을 위해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토션바는 힌지링크(30)와 힌지브라켓(10) 간에 연결되어 트렁크 리드가 닫힐 때는 소정의 각도로 탄성적으로 비틀어지도록 장착되어,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트렁크 리드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결합핀(40)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시(50)가 구비되어 힌지암(20)과 힌지링크(30)가 접촉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트렁크 힌지장치의 전착도장은 음극에 연결되는 힌지암(20)을 통해서 힌지링크(30)로의 통전에 의해 전착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렁크 힌지장치는 부시(50)에 의해서 힌지링크(30)로 통전이 되게 하는 대신, 링크 돌기(31)가 형성된 힌지링크(30)에 의해 통전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종래와 달리 결합핀(40)을 둘러싸 장착되는 부시를 비통전 부시(50)로 구성이 가능해진다.
현재 적용되는 통전 부시를 예로 들면, 부시의 가격은 개당 168원이고, 4개의 부시가 적용되어 대당 672원의 통전 부시가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비통전 부시는 가격은 개당 11원이 가능하여 개당 157원의 차이, 대당 628원의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도시와 같이, 힌지 링크(30)의 링크 돌기(31)는 힌지암(20)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핀(40)을 기준으로 회동되면, 도 5와 같이 힌지암(20)에 접촉됨으로써 오버랩(overlap)되게 된다.
이러한 링크 돌기(31)는 힌지 링크(3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중앙에서 홈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중앙에서 결합핀(40) 측으로 형성되면 힌지링크(30)의 회동각이 너무 작아 안정적인 전착도장 작업에 저해가 될 수 있고, 홈 측에 형성되는 것이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통전 거리를 짧게 한다.
이 같이 힌지 링크(30)에 형성되는 링크 돌기(31)에 의해서 전착도장을 위한 통전은 힌지암으로부터 링크 돌기(31)를 통해서 힌지링크(30)로 가능하게 되고, 결합핀(40)에 구성되는 부시를 비통전 부시로 적용 가능하게 한다.
이 같은 통전 경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힌지링크(30)를 회동시켜 힌지링크(30)의 링크 돌기(31)를 힌지암(20)에 접촉시키기 위한 방향은 트렁크 리드가 들어 올려지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이 된다.
즉, 도 8과 같이, 트렁크 리드가 닫힌 상태(close)에서 트렁크 리드가 열리게 되면(open), 힌지링크(30)는 도시와 같이 상방향으로 회동이 되는데, 링크돌기(31)를 힌지암(20)에 접촉시키기 위한 회동방향은 이와는 반대방향이 되고,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회동 및 힌지링크(30)의 구성 및 위치는 트렁크의 개폐에 전혀 저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저촉 방지를 위해서도 링크 돌기(31)는 힌지 링크(3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중앙에서 홈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링크의 전착도장 방법을 포함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링크의 전착도장 방법을 설명하되, 앞서 살펴본 트렁크 힌지장치 및 힌지링크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제조공정상 차체를 조립한 후, 전착 및 도장을 실시하고, 이어서 의장공정이 수행된다.
도 9는 차체조립단계로서, 전착도장의 수행을 위해서, 힌지링크(30)를 회동시켜 힌지암(20)에 링크 돌기(31)가 접할 수 있도록 조립을 수행한다.
도 9의 BIW상태(Body In White)에서 전착도장을 실시하고, 전착도장을 마치면, 도 10과 같이 도 9와는 반대 방향으로 힌지링크(30)를 회동시킨 다음, 도장작업을 실시한다.
도장작업이 완료되면 의장단계에서 도 11과 같이, 힌지브라켓(10)과 힌지링크(30)를 토션바(60)로 연결을 한다.
토션바(60)가 연결되어 도 12와 같이 트렁크 리드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도, 힌지링크(30)의 링크돌기(31)는 전혀 저촉이 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힌지브라켓
20 : 힌지암
30 : 힌지링크
31 : 링크 돌기
40 : 결합핀
50 : 비통전 부시
60 : 토션바

Claims (7)

  1. 일측은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트렁크 리드(trunk lid)에 결합되는 힌지암;
    상기 힌지암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통전 가능한 링크 돌기가 형성된 힌지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힌지링크를 회동시키면, 상기 링크 돌기가 상기 힌지암과 접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힌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암은 결합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암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핀을 둘러싸는 부시를 더 포함하는,
    트렁크 힌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통전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힌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크 돌기는 상기 힌지암 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힌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 돌기가 상기 힌지암에 접촉되게 상기 힌지링크를 회동시키는 방향은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릴 때 회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힌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링크는 탄성력을 지닌 토션바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힌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링크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토션바는 상기 결합핀이 결합된 측의 반대 측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돌기는 상기 힌지링크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에서 상기 토션바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힌지장치.
KR1020160131149A 2016-10-11 2016-10-11 트렁크 힌지장치 KR10189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149A KR101896780B1 (ko) 2016-10-11 2016-10-11 트렁크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149A KR101896780B1 (ko) 2016-10-11 2016-10-11 트렁크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69A true KR20180039869A (ko) 2018-04-19
KR101896780B1 KR101896780B1 (ko) 2018-09-07

Family

ID=6208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149A KR101896780B1 (ko) 2016-10-11 2016-10-11 트렁크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8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77U (ja) * 1991-07-30 1993-02-19 千代田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ヒンジ構造
JPH0960397A (ja) * 1995-08-17 1997-03-04 Norton Kk ヒンジ用軸受
KR19980015597U (ko) * 1996-09-10 1998-06-25 김영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조립체
KR0124044Y1 (ko) * 1993-11-25 1998-10-15 전성원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의 링크 구조
KR100832180B1 (ko) * 2007-07-19 2008-05-23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암 힌지 조립체
KR20110097521A (ko) 2010-02-25 2011-08-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차량 전착 도장용 오프닝 지그
KR101526740B1 (ko) * 2013-12-17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 힌지 장치
KR20150116054A (ko) 2014-04-04 2015-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용 힌지링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77U (ja) * 1991-07-30 1993-02-19 千代田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ヒンジ構造
KR0124044Y1 (ko) * 1993-11-25 1998-10-15 전성원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의 링크 구조
JPH0960397A (ja) * 1995-08-17 1997-03-04 Norton Kk ヒンジ用軸受
KR19980015597U (ko) * 1996-09-10 1998-06-25 김영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조립체
KR100832180B1 (ko) * 2007-07-19 2008-05-23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암 힌지 조립체
KR20110097521A (ko) 2010-02-25 2011-08-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차량 전착 도장용 오프닝 지그
KR101526740B1 (ko) * 2013-12-17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 힌지 장치
KR20150116054A (ko) 2014-04-04 2015-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용 힌지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780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4952B2 (ja) 車両ドア用ヒンジ
KR890001798A (ko) 트렁크 덮개힌지 및 스프링 어셈블리
KR101896780B1 (ko) 트렁크 힌지장치
GB2039323A (en) Motor vehicle door hinge
US20160145922A1 (en) Check link structure
US8424955B2 (en) Sliding door for a vehicle
CN107867175B (zh) 车身结构以及车身的涂装方法
US5428880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vehicle body for automobiles
EP3563020A1 (en) A stopper for an engine hood hinge
JP3145440B2 (ja) 塗装用仮付け冶具
CN210127753U (zh) 滑移门的铰链模拟装置
DE102018130922B4 (de) Lagerstelle für einen Heckklappen- oder Frontklappenbügel
JPH0692276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作業用ヒンジ装置
KR0135130Y1 (ko) 전착도장시 도어고정지그의 구조
JPH09206644A (ja) 塗装用ドア治具
CN106458016A (zh) 用于关闭通向机动车辆供能接口的入口的舱盖
KR100412901B1 (ko) 트렁크 처짐 방지장치
CN116220494A (zh) 铰链结构、箱盖组件及车辆
JP6115354B2 (ja) 自動車ボディの電着塗装用治具
CN216631284U (zh) 一种mpv滑移门喷涂工装
KR20050106144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힌지의 부식 방지 구조
CN102698937B (zh) 汽车涂装用车门工装及具有该车门工装的连接结构
CN207436759U (zh) 后背门铰链以及具有它的车辆
JPH01299677A (ja) 樹脂製部品の静電塗装方法
CN110145196A (zh) 滑移门的铰链模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