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696A - 센서 시트 - Google Patents

센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696A
KR20180039696A KR1020187006942A KR20187006942A KR20180039696A KR 20180039696 A KR20180039696 A KR 20180039696A KR 1020187006942 A KR1020187006942 A KR 1020187006942A KR 20187006942 A KR20187006942 A KR 20187006942A KR 20180039696 A KR20180039696 A KR 20180039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nsor
terminal
sensor shee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714B1 (ko
Inventor
나오키 니시무라
유키 미야우치
Original Assignee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0702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8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259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using conductive adhesive means, e.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79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8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61B2560/0412Low-profile patch shaped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4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in or on a conformable substrate or c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1Arrangements of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e.g. cable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1Arrangements of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e.g. cable harnesses
    • A61B2562/222Electrical cables or leads therefor, e.g. coaxial cables or ribbon cables

Abstract

센서 시트(100)는,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貼着)되는 하(下) 시트(110)와, 하 시트(110)의 표면 측에 첩착되는 상(上) 시트(120)와, 상 시트(120)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전기 회로부(130)를 가진다. 주연부(周緣部)(110a)는 하 시트(110)만의 단층 구조이고, 중앙 영역은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다층 구조이다. 이것에 의해, 가려움이 발생하기 쉬운 시트 주연부(110a)에 있어서의 피부로의 추종성을 높이면서, 중앙 영역에 있어서는 전기 회로부(130)를 단단히 보지할 수 있으므로,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붙였을 때의 피검자의 가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센서 시트(100)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시트
본 발명은, 생체 정보 측정용의 센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검자(被檢者)의 체표(體表)에, 센서가 들어있는 센서 시트를 첩착(貼着)함으로써, 피검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가 있다. 예를 들면 심전도 측정 장치에서는, 센서 시트에 들어있는 전극을 경유하여 피검자의 심전도를 취득하게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센서 시트(생체 전기 신호 기록 도구)는, 생체의 움직임에 추종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기재에 전극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시트 형상의 기재에 의해서 전극을 수밀적(水密的)으로 포위함으로써, 보행중, 식사중 및 수면중에 더해, 입욕중에도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개평 6-245915호 공보 특개 2001-269322호 공보
그런데, 홀터 심전계로 대표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는, 전극 등의 센서에 의해서 장시간에 걸쳐 연속해서 생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체표에 장시간에 걸쳐서 연속하여 센서 시트를 첩착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어브레이션 치료 후의 경과 관찰에서는, 2주간 이상에 걸친 연속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일이 상정되고, 이 경우, 센서 시트를 2주간 이상에 걸쳐서 피검자의 체표에 계속 부착하는 일이 소망된다.
그렇지만, 긴 일수에 걸쳐서 센서 시트를 계속 부착하면, 시트가 벗겨지거나, 시트에 주름이 생기거나, 체표가 가려워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매일 마다 또는 몇일마다 센서 시트를 교환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시트 교환에 의해, 일시적으로 데이터가 중단되게 된다. 또, 시트 교환에 시간이 걸리거나, 교환할 때마다 전극이 설치된 시트를 버리는 등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 시트교환 전과, 시트 교환 후에는, 첨착하는 위치가 달라지므로, 취득되는 데이터가 시트 교환으로 인하여 변동하는 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도 있다. 따라서, 시트교환은, 가능한 한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종래, 긴 일수(日數)에 걸쳐서 벗겨지기 어려운 시트는, 시트의 점착력(粘着力)을 강하게 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센서 시트에 있어서는, 긴 일수에 걸쳐서 연속하여 부착한 상태로 하는 것에 기인하는 피검자의 가려움에 대해서는, 충분히 배려되어 있지 않았다. 여기서, 정밀도 좋은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센서 시트에 있어서의 주목적이며, 그 때문에는 센서 시트를 체표에 단단히 밀착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그것으로 인해 가려움이 일어난다고 하는 딜레마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부착했을 때의 피검자의 가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센서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센서 시트의 하나의 양상은,
생체 정보 측정용의 센서 시트이며,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되는 제1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의 표면 측에 첩착되는 제2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영역에 설치되는 측정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보다 두껍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부착했을 때의 피검자의 가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센서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실시형태 1의 센서 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실시형태 1의 센서 시트에 단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3A는 사시도, 도3B는 측면도, 도3C는 하면도
도 4 센서 시트로의 단말의 설치 구조의 설명에 제공하는 단면도이며, 도4A는 설치 전의 단면도, 도4B는 설치 후의 단면도
도 5 센서 시트에 설치하기 위한 단말의 설치 구조의 설명에 제공하는 사시도이며, 도5A는 설치전의 사시도, 도5B는 설치 후의 사시도
도 6 실시형태 2의 센서 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 실시형태 2의 센서 시트에 단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앞서, 본 발명에 달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피부에 센서 시트를 부착했을 때에 가려움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자세히 검토했다. 더하여, 발명자들은, 측정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가려움을 억제할 수 있는, 센서 시트의 재료, 두께 및 배치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열심히 검토했다.
검토에 의하면, 우선, 가려움 발생의 큰 요인이, 센서 시트의 주연부(周緣部/테두리)에 있어서의 센서 시트의 두께와 투습성(透濕性)에 있음을 알았다.
가려움이 피부에 센서 시트를 부착했을 때의 시트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강하게 일어나는 것은, 시트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는 피부가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는데 비해,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곳에서는 피부의 신축이 시트에 의해 규제됨으로 인해, 시트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피부의 신축에 큰 차이가 발생하고, 그것이 원인으로 위화감 등이 생기고, 그것이 가려움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히, 시트의 가장자리의 시트 두께를 얇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트 가장자리의 시트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장시간 첩착하더라도 가려움이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또, 시트 가장자리의 시트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몸의 움직임에 의해 텐션이 걸렸다고 해도, 시트 가장자리에 있어서 시트가 유연하게 그것에 추종 할 수 있으므로, 시트 가장자리에 있어서 시트가 주름이 되기 어렵고, 따라서 시트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시트 벗겨짐이 방지된다. 이 결과, 시트 가장자리의 벗겨짐이 방지됨으로써, 시트 전체의 벗겨짐도 억제된다. 즉, 시트가 벗겨질 때에는, 일반적으로 가장자리로부터 벗겨지는 일이 많지만, 본 발명과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이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 시트의 재질로서 투습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발한(發汗)에 의한 피부짓물림을 억제하여, 가려움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시트의 가장자리 이외의 부분 중, 전극, 배선, 겔이나, 단말을 설치하는 부분의 시트 두께는, 가장자리의 시트 두께보다 두껍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트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부품을 안정적으로 보지(保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시트는, 가려움 방지, 벗겨짐 방지, 탑재 부품의 안정적 보지를 한꺼번에 실현할 수 있는 센서 시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실시형태 1
<1-1> 전체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센서 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센서 시트에 단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센서 시트는, 심전도를 취득하기 위해서, 피검자의 흉부에 첩착되어서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시트에 설치하는 단말은, 케이스 내부에 메모리 및 코인 전지가 수용된 기록 단말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센서 시트에 장착되는 단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 내부에 무선 송신부를 가지고, 센서 시트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단말이어도 좋다. 단말은, 예를 들면 텔레미터이어도 좋다.
도1에 나타내는 것처럼, 센서 시트(100)는, 사용전은 라이너(210) 및 톱 세퍼레이터(220)의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라이너(210) 및 톱 세퍼레이터(220)가 벗겨져서 흉부에 첩착됨과 동시에, 도2에 나타내는 것처럼, 표면 측에 단말(300)이 설치된다.
센서 시트(100)는, 하(下) 시트(제1 시트)(110)와, 상(上) 시트(제2 시트)(120)를 가진다.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사이에는, 측정 요소로서의 전기 회로부(130)가 배치된다.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각각의 피부측의 면에는, 점착층(粘着層)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하 시트(110)는 피검자의 피부에 상 시트(120)는 하 시트(110)의 표면 측에 첩착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회로부(130)는, 하 시트(110)의 표면 측에 상 시트(120)가 첩착됨에 의해,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사이에 보지된다.
상 시트(120)의 면적은 하 시트(110)의 면적보다 작다. 상 시트(120)의 면적은, 전기 회로부(13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 시트(110)에 상 시트(120)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센서 시트(100)에 있어서는, 전기 회로부(130)가 상 시트(120)에 의해서 완전하게 덮이면서, 전체에 걸쳐서 하 시트(110)만으로 되어있는 주연부(110a)가 형성된다.
전기 회로부(130)는, 설편(舌片)(131)과, 설편(131)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배선(132)과, 각 배선(132)의 말단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133)을 가진다.
각 전극(133)에 대응하는 하 시트(110)의 위치에는 구멍(111)이 형성되고 있고, 더욱더 각 구멍(11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겔(134)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전극(133)은 겔(134)을 경유하여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고, 피부와 전극(133) 사이의 도전율이 겔(134)에 의해 높아진다.
설편(131)의 표면 측에는, 단말(300)에 접속되는 커넥터(140)가 설치되어 있다. 설편(131)에 대응하는 상 시트(120)의 위치에는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 시트(110)에 상 시트(120)를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설편(131)은 구멍(121)을 경유하여 상 시트(120)의 표면 측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커넥터(140)에 대응하는 톱 세퍼레이터(220)의 위치에는,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40)는, 구멍(221)을 통해 톱 세퍼레이터(220)의 표면 측에 표출한다.
여기서, 하 시트(110)는, 폴리우레탄으로 되어있는 기재(基材)와, 이 기재의 피부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상 시트(120)는, 폴리우레탄으로 되어있는 기재와, 이 기재의 피부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가진다. 이와 같이, 시트(110, 120)를 투습성이 높은 폴리우레탄을 사용해 구성했으므로, 발한에 의한 피부의 짓물림을 억제하고, 짓물림에 기인하는 가려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폴리우레탄은, 증기는 투과하지만, 고인 물은 투과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즉 증기와 같은 작은 입자는 투과하지만, 고인 물이나 물방울과 같은 큰 덩어리는 투과하지 않음), 예를 들면 목욕할 때에, 상 시트(120)의 표면측으로부터 피부측으로의 물의 침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상 시트(120)의 표면측으로부터 배선(132) 및 전극(133)으로의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기때문에, 피검자가 센서 시트(100)를 붙인 채로 목욕 하더라도 전기 회로가 쇼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양쪽을 폴리우레탄을 이용해 구성했지만, 가려움은 특히 시트의 주연부에서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되므로, 주연부(110a)가 되는 하 시트(110)만을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하고, 상 시트(120)는 그 이외의 재료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또,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재료로서는, 발한에 의한 습도를 투과하면서, 배선(132) 및 전극(133)이 쇼트할만한 수분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폴리우레탄 이외의 각종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틸렌이나 부직포의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드시 폴리우레탄만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단, 발명자는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이 가장 우수한 것을 찾아냈다. 여기서,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에 요구되는 것은, 예를 들면 목욕할 때에 상 시트(120)의 표면측으로부터 피부측으로의 물의 침투는 거의 없을 것(즉 방수성)과, 장시간 찢어지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즉 내구성)과, 피부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추종할 것(즉 신축성)과, 얇게 할 수 있을 것, 이다. 폴리우레탄은, 방수성, 내구성, 신축성, 얇게 할 수 있을 것의 전부에 있어서 우수하다. 한편, 발포 폴리에틸렌은 내구성, 얇게 할 수 있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부직포는 방수성에 어려움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 시트(110)의 두께는, 15[μm]이다. 이 두께는, 종래의 이런 종류의 시트의 두께가 50[μm]정도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얇다. 한편, 상 시트(120)의 두께는, 하 시트(110)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 시트(120)의 두께는, 50[μm]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하 시트(110)만으로 되어있는 주연부(110a)의 두께는 15[μm]로 매우 얇게 되어 있는데 비해서, 전기 회로부(130)를 보지하는 중앙 영역은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두께를 합계하면 65[μm]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연부(110a)를 매우 얇게 하더라도, 전기 회로부(130)를 보지하는 중앙 영역은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전기 회로부(130)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측정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 시트(120)를 하 시트(110)보다 두껍게 하면 좋다. 말하자면, 상 시트(120)를, 하 시트(110)보다 강도가 높은 구성으로 하면 좋다. 예를 들면 상 시트(120)를 하 시트(110)보다 강도 높은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그런데, 종래의 시트 두께가 주연부까지 포함하여 두꺼웠던 것은, 시트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나, 측정 요소로서의 전기 회로부(130)를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보지하는 것이 우선되어, 장시간 연속하여 첩착했을 때의 가려움 발생에는 충분한 배려가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주연부(110a)가 피부에 추종하면 큰폭으로 가려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착안점 하에서, 하 시트(110)의 재료 및 두께에 대해 검토했다. 그 결과, 하 시트(110)를 투습성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했을 경우에, 하 시트(110)의 두께가 20[μm]이하이면, 2주간 정도 연속하여 계속 붙여도 가려움이 생기기 어려운 것을 알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 시트(110)를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하고, 그 두께를 20[μm]이하로 할 것을 제안한다.
또, 이와 같이 하 시트(110)를 20[μm]이하로 매우 얇게 함으로써, 가려움을 억제할 수 있는 것에 더해, 피부로의 추종성이 좋기 때문에 벗겨지기 어려운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도 있다. 즉, 시트의 벗겨짐은 대부분의 경우 주연부로부터 일어나므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서 이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배선(132) 및 전극(133)은, 각각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으로 되어있는 기재상에 금속층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100[μm]정도이다. 또한, 배선(132) 및 전극(133)은, 상 시트(120) 또는 하 시트(110)에 직접 형성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으로 되어있는 기재상에 형성함으로써 단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으로 되어있는 기재는,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재료인 폴리우레탄과 비교하면 가효성이 작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배선(132)이 구불구불한(蛇行) 패턴을 포함한 패턴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체표(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배선(132)의 추종성이 좋아진다. 이 결과, 주연부(110a)에 더해, 전기 회로부(130)의 영역에 있어서도 피부로의 추종성을 좋게 할 수 있으므로, 가려움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단, 배선(132)을 반드시 구불구불하게 할 필요는 없고, 배선(132)을 완만한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설편(131)은, 배선(132) 및 전극(133)의 기재보다 두껍다. 설편(131) 위에 설치된 커넥터(140)에는, 단말(300)이 탈착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커넥터(140)로의 단말(300)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피검자의 흉부로의 센서 시트(100)의 첩착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센서 시트(100)를 흉부의 소정 위치에 첩착할 때에는, 우선, 라이너(210)를 벗기고, 센서 시트(100)를 톱 세퍼레이터(220)와 함께 흉부의 소정 위치에 눌러줌으로써, 하 시트(110)를 흉부의 소정 위치에 첩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톱 세퍼레이터(220)를 위에서 문질러줌으로써, 하 시트(110)를 피검자의 피부에 단단히 첩착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톱 세퍼레이터(220)의 하면에는, 센서 시트(100)를 보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점착력의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톱 세퍼레이터(220)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얇은 하 시트(110)의 주연부(110a)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톱 세퍼레이터(220)의 중앙에는, 커넥터(140)를 피하기 위한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구멍(221)의 근방을 손가락으로 집고, 톱 세퍼레이터(220)를 좌우 양쪽으로 펼쳐서, 톱 세퍼레이터(220)를 센서 시트(100)로부터 벗긴다. 이와 같이 톱 세퍼레이터(220)를 센서 시트(100)의 엣지 측으로 부터가 아니라, 중앙 측으로부터 엣지 측으로 벗기도록 함으로써, 하 시트(110)가 톱 세퍼레이터(220)에 당겨져 엣지가 벗겨져 주름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검자의 흉부에 센서 시트(100)를 첩착한 후에, 사용자는 센서 시트(100)의 커넥터(140)에 단말(300)을 장착한다.
<1-2> 센서 시트(100)로의 단말(300)의 설치 구조
도3은 단말(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A는 사시도, 도3B는 측면도, 도3C는 하면도이다.
단말(300)은, 코인 전지 및 메모리 등이 내장되어 있다. 단말(300)은, 전원 버튼(301)이 압압(押壓) 조작되면, 심전도의 측정·기록 동작을 개시하고, 센서 시트로부터의 심전 신호에 기초하는 심전도를 기록한다. 이 측정·기록 동작에 대해서는 기존의 기술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3C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300)의 이면에는, 센서 시트(100)에 설치된 커넥터(1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부(310)가 준비되어 있다.
도4는 센서 시트(100)로의 단말(300)의 설치 구조의 설명에 제공하는 단면도이다. 도4A는 설치전의 단면도이고, 도4B는 설치 후의 단면도이다.
도5는 센서 시트(100)로의 단말(300)의 설치 구조의 설명에 제공하는 사시도이며, 도5A는 설치전의 사시도이고, 도5B는 설치 후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센서 시트(100) 측에 설치된 커넥터(140)는, 평면에서 봤을 때 타원 형상의 패킹(141)을 가진다. 패킹(141)에 둘러싸인 설편(131) 위에는, 타단(他端)이 전극(133)으로 이어지는 배선(132)의 종단(終端)이 배치되어 있다.
또, 단말(300)의 이면에는, 패킹(141)이 꼭 들어가는 크기의 삽입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11)내에는, 스프링 프로브(312) 및 USB 단자(313)가 배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4B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300)의 이면의 삽입구(311)에 패킹(141)을 삽입하면, 스프링 프로브(312)가 설편(131) 위에 표출해 있는 배선(132)의 종단에 소정의 압력으로 당접함으로써, 각 스프링 프로브(312)와 각 배선(1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패킹(141)에 둘러싸인 안쪽은 바깥쪽으로 부터의 물의 침수가 방지된다. 즉, 복수의 스프링 프로브(312)와 복수의 배선(132)은 물에 의해서 쇼트하는 일 없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삽입구(311)내에는, 스프링 프로브(312)에 더해, USB 단자(313)도 배설(配設)되어 있으므로, 단말(300)이 센서 시트(100)에 장착되어 심전도의 계측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USB 단자(313)가 이용 불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심전도의 계측 중에 USB 단자(313)에 외부의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것에 기인하는 감전 가능성을 확실하게 없앨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전도 계측용의 단자(스프링 프로브(312))와 USB 단자(313)가 물리적으로 동시에 접속되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패킹(141)내에 심전도 계측용의 단자(스프링 프로브(312))와 USB 단자(313)가 수용되므로, 이들 단자의 방수도 동시에 실현된다. 즉, 간이(簡易)한 구성에 의해, 방수와 안전성의 양쪽 모두가 확보된다.
또, 도5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편(131)의 선단(先端)에는 광폭(廣幅)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단말(300)의 이면에는, 계지용 절결(係止用切欠/걸기 위해 잘라낸 부분)(31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11)에 커넥터(140)의 패킹(141)이 삽입되면, 계지용 절결(314)에 설편(131)의 광폭부(150)가 계합(係合/서로 끼워짐)함으로써, 단말(300)의 화살표 z방향(단말300을 부착했을 때의 지면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설편(131)에 의해서 계지(係止/걸림)된다.
또, 상 시트(120)의 표면 측에는, 매직테이프(160)가 고착되어 있다. 이 매직테이프(160)는, 단말(300)의 이면 측에 설치된 매칙테이프(320)와 접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300)은, 삽입구(311)에 패킹(141)이 삽입되면, 설편(131)과 계지용 절결(314)과의 계합, 및, 매직테이프(160, 320)끼리의 접합에 의해서 센서 시트(100) 위에 보지(保持)된다. 여기서 매직테이프(160, 320)는, 면의 수직 방향의 보지력은 약하지만, 면(面)방향의 보지력은 강하다. 따라서, 설편(131) 및 매직테이프(160, 320)에 의해 단말(300)의 면방향으로의 낙하를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300)은, 상부에서 설편(131)에 계합함으로써, 설편(131)을 축으로 하여 매달리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단말(300)을 가볍게 센서 시트(100)쪽(즉 피검자측)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매직테이프(160, 320) 끼리가 접합하여 흔들리던 것이 억제된다. 실제상, 단말(300)은, 설편(131)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센서 시트(100) 로부터 떠있는 상태로 보지된다.
피검자가 단말(300)을 피부로 느끼는 것은, 설편(131)과 패킹(141)과의 접합 부분과, 매직테이프(160, 320)끼리의 접합 부분이고, 이 결과, 예를 들면 단말(300)의 이면 전체를 센서 시트(100)에 고착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말(300)의 존재에 의한 피검자의 위화감을 작게 할 수 있다. 매직테이프(160, 320)의 면적을 작게 하면, 피검자의 위화감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매직테이프(160)는, 겔(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겔이 완충재가 되므로, 피검자가 보다 단말(300)의 존재를 느끼기 어렵게 된다.
또한, 매직테이프(160, 320)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스냅버튼이나 자석 등을 이용해도 좋다. 말하자면, 재접합 가능한 각종의 접합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1-3> 실시형태 1의 효과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되는 하 시트(제1 시트)(110)와, 하 시트(110)의 표면 측에 첩착되는 상 시트(제2 시트)(120)와, 상 시트(120)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전기 회로부(측정 요소)(130)를 설치하고, 주연부(110a)는 하 시트(110)만의 단층 구조로 하고, 중앙 영역은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다층 구조로 함으로써, 가려움이 발생하기 쉬운 시트 주연부(110a)에 있어서의 피부로의 추종성을 높이면서, 중앙 영역에 있어서는 전기 회로부(측정 요소)(130)를 단단히 보지할 수 있으므로, 측정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부착했을 때의 피검자의 가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센서 시트(100)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2주간 이상에 걸쳐서 계속 부착했을 때의 피검자의 가려움을 종래의 센서 시트에 비교하여 현격히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 상 시트(제2 시트)(120)를 하 시트(제1 시트)(110)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시트 주연부(110a)에 있어서의 피부로의 추종성을 보다 높이면서, 전기 회로부(측정 요소)(130)를 보다 단단히 보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하 시트(110)를,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한 재료로 되어있고 그리고 또 두께가 20[μm]이하인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가려움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본 발명의 센서 시트를, 전부의 전극(133)이 1개의 시트(110, 120)내에 수용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각 전극(133)이 독립된 시트에 배치되고, 피검자에게 첩착되지 않는 리드선에 의해서 각 전극(133)이 접속되는 형태의 시트에 적용해도 좋다. 단,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전극(133), 배선(132) 및 설편(131)이 일체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것들을 따로 구성하여, 케이블이나 커넥트부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구성과 비교해, 노이즈가 적은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센서 시트(100)에 배선(132) 및 전극(133) 등으로 되어있는 전기 회로부(130)를 탑재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센서 시트에 탑재하는 측정 요소는 전기 회로부(13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SpO2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 부품을 탑재해도 좋다. 본 발명의 센서 시트는, 측정하는 대상에 따라 센서 시트에 탑재하는 측정 요소를 선택하면, 각종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시트로서 적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측정 요소로서의 전기 회로부(130)를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사이에 배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측정 요소는 상 시트(120) 위에 배치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센서 시트(100)의 중앙 영역은,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다층 구조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중앙 영역에 하 시트(110)를 존재시키지 않고 상 시트(120)만의 단층 구조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에도, 상 시트(120)의 강도를 하 시트(110)보다 높게 하면, 중앙 영역에서의 측정 요소의 보지력과 주연부(110a)의 피부로의 추종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설편(131)을 상 시트(120)와 별도로 형성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설편(131)을 상 시트(120)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즉, 설편(131)은 상 시트(120)로부터 연장하듯이 늘어나 있으면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본 발명의 센서 시트를 피검자의 흉부에 첩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센서 시트는 피검자의 흉부에 한하지 않고, 복부나 등 등의 흉부 이외의 자리에 첩착하여 이용해도 좋다. 말하자면, 생체 정보의 취득에 적합한 자리에 적절하게 첩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실시형태 2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2> 실시형태 2
<2-1>전체 구성
도1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는 도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센서 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실시형태 2의 센서 시트에 단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센서 시트(400)는, 하 시트(410)는, 상 시트(420)보다 신축성이 높게 되어있고, 이것에 의해 시트에 몸의 움직임에 의해 텐션이 걸렸다 하더라도, 신축성이 높은 주연부(410a)가 유연하게 그것에 추종 하므로, 가려움의 발생, 주름의 발생, 시트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시트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 추가하여, 상 시트(42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슬릿(slit)(422)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22)은,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슬릿(422)은, 가장자리의 접선 방향과 수직적인, 상 시트(420)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슬릿(422)의 간격 및 길이는, 하 시트(410)와 상 시트(420)의 신축성의 차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신축성의 차이가 클수록, 슬릿(422)을 길게 하거나 슬릿(422)의 간격을 짧게 하면 좋다. 또, 슬릿(422)의 길이 및 간격은, 전(全) 가장자리에 걸쳐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슬릿(422)은, 5 mm간격이며, 길이가 2 mm이다.
이와 같이, 상 시트(420)에 슬릿(422)을 형성함으로써, 하 시트(410)로부터의 상 시트(420)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 시트(410)0의 신축성이 상 시트(420)의 신축성보다 높게 되어 있으므로, 하 시트(410)와 상 시트(420)의 사이에서 신축의 차이가 발행하고, 이 결과, 체표에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붙였을 때에, 하 시트(410)로부터 상 시트(420)가 벗겨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벗겨짐의 계기가 되는 것은, 신축성이 갑자기 변화하는 상 시트(420)의 가장자리일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 시트(420)의 가장자리에 슬릿(422)을 형성하여, 신축성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하여 하 시트(410)로부터의 상 시트(420)의 벗겨짐을 억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 시트(420)의 주록(周綠/가장자리 둘레) 영역은, 슬릿(422)에 의해서, 하 시트(410)의 신축성보다 신축성이 낮으면서도 상 시트(420)의 중앙 영역보다 신축성이 높은 완충 영역으로 되어 있다.
슬릿(422)이 있음으로써, 신축성이 다름에 기인하는 2종의 시트가 벗겨지려고 하는 전단응력은, 슬릿(422)에 의해서 저감 된다. 덧붙여서, 슬릿부에는 부분적인 벗겨짐이 발생하지만, 심전도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완수할 수 있는 정도의 벗겨짐으로 끝난다. 슬릿(422)이 없었을 경우에는, 크게 벗겨져서, 하 시트(410)와 상 시트(420)가 분리하는 등, 심전도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완수할 수 없을 정도의 벗겨짐으로 발전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 시트(420)의 가장자리에 슬릿(422)을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말하자면, 상 시트(420)의 주록 영역의 신축성을 상 시트(420)의 중앙 영역의 신축성보다 높게 하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 시트(420)의 주록 영역을 상 시트(420)의 중앙 영역보다 신축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하거나, 상 시트(420)의 주록 영역의 두께를 상 시트(420)의 중앙 영역보다 얇게 해도 좋다.
<2-2> 실시형태 2의 효과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시형태 1의 구성에 더해, 하 시트(제1 시트)(410)는, 상 시트(제2 시트)(420)의 영역보다 신축성이 높을 것을 고려하여, 상 시트(제2 시트)(420)의 주록 영역의 신축성을 상 시트(제2 시트)(420)의 중앙 영역의 신축성보다 높게 함으로써, 하 시트(제1 시트)(410)로부터의 상 시트(제2 시트)(420)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보다 신뢰성이 높은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센서 시트(400)는, 생체 정보 측정용의 센서 시트이며,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되는 제1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의 주록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시트의 표면측 중앙 영역에 첩착되는 제2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영역에 설치되는 측정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시트는, 상기 제2 시트보다 신축성이 높고,
상기 제2 시트는, 주록 영역의 신축성이 중앙 영역의 신축성보다 높다.
본 실시형태의 센서 시트(400)는, 상기 제2 시트의 상기 주록 영역은, 상기 제1 시트의 신축성보다 신축성이 낮으면서도 상기 제2 시트의 상기 중앙 영역보다 신축성이 높은, 완충 영역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센서 시트(400)는, 상기 제2 시트의 상기 주록 영역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센서 시트(400)는, 상기 제2 시트의 상기 주록 영역은, 상기 제2 시트의 상기 중앙 영역보다 신축성이 높은 재질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 2에서는, 상 시트(제2 시트)의 면적이 하 시트(제1 시트)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시트를 접듯이 하여 제1 시트에 첩착하는 등 했을 경우에는, 제2 시트의 면적이 제1 시트보다 커지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유효하다. 본 발명은, 말하자면, 제1 시트의 주록 영역을 제외한 제1 시트의 표면측 중앙 영역에 제2 시트가 첩착되는 경우에 넓리 유효하다.
상술한 실시형태 1, 2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의 구체화된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것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요지,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5년 9월 11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5-179591, 및, 2016년 1월 29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6-015909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러한 출원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모두 본원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장시간에 걸친 측정이 필요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시트로서 매우 적합하다.
100, 400 센서 시트
110, 410 하 시트
110a, 410a 주연부
120, 420 상 시트
130 전기 회로부
131 설편
132 배선
133 전극
134 겔
140 커넥터
141 패킹
150 광폭부
160, 320 매직테이프
210 라이너
220 톱 세퍼레이터
300 단말
310 부착부
311 삽입구
312 스프링 프로브
313 USB 단자
314 계지용 절결

Claims (7)

  1. 생체 정보 측정용의 센서 시트이며,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되는 제1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의 표면 측에 첩착되는 제2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영역에 설치되는 측정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보다 두꺼운,
    센서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보다 면적이 작고 그리고 또, 상기 제1 시트의 주록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시트의 중앙 영역에 첩착되어 있는,
    센서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고, 그리고 또 두께가 20[μm]이하인,
    센서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시트보다 강도가 높은,
    센서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소는, 복수의 전극과 해당 복수의 전극에 연결되는 배선을 가지고,
    상기 배선은, 시트의 면내에서 구불구불한 형상을 가지는,
    센서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소는, 복수의 전극과 해당 복수의 전극에 연결되는 배선을 가지고,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및 제2 시트보다 가효성이 작은 필름 기재(基材)상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주간 이상 연속해서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시트로서 이용되는,
    센서 시트.
KR1020187006942A 2015-09-11 2016-09-08 센서 시트 KR102366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29625A KR102369837B1 (ko) 2015-09-11 2016-09-08 센서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9591 2015-09-11
JPJP-P-2015-179591 2015-09-11
JP2016015909 2016-01-29
JPJP-P-2016-015909 2016-01-29
PCT/JP2016/076503 WO2017043595A1 (ja) 2015-09-11 2016-09-08 センサーシー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625A Division KR102369837B1 (ko) 2015-09-11 2016-09-08 센서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696A true KR20180039696A (ko) 2018-04-18
KR102366714B1 KR102366714B1 (ko) 2022-02-23

Family

ID=582398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625A KR102369837B1 (ko) 2015-09-11 2016-09-08 센서 시트
KR1020187006942A KR102366714B1 (ko) 2015-09-11 2016-09-08 센서 시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625A KR102369837B1 (ko) 2015-09-11 2016-09-08 센서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35502A1 (ko)
EP (1) EP3348188A4 (ko)
JP (1) JP6537618B2 (ko)
KR (2) KR102369837B1 (ko)
CN (1) CN107949324B (ko)
WO (1) WO2017043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9046B2 (ja) * 2015-02-23 2019-01-09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脳波電極
WO2019188311A1 (ja) * 2018-03-28 2019-10-03 ニプロ株式会社 生体用電極パッド、生体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組合せ
WO2019235277A1 (ja) * 2018-06-06 2019-12-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貼付型生体用デバイス
JP2020110417A (ja) * 2019-01-15 2020-07-27 ミツフジ株式会社 生体データ取得シート、及び、生体データ取得装置
US20220265192A1 (en) * 2019-06-27 2022-08-25 Nipro Corporation Storage case with biomedical electrode pad, and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torage case with biomedical electrode pad
WO2023054279A1 (ja) 2021-09-28 2023-04-06 日東電工株式会社 生体センサ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915A (ja) 1993-02-23 1994-09-06 Tsutomu Otake 生体電気信号記録具
JP2001269322A (ja) 2000-03-24 2001-10-02 Hiroshi Matsumoto 心電図信号誘導用電極装置及び心電図信号測定装置
KR20030092120A (ko) * 2001-05-03 2003-12-03 텔쥬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무선 의료용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JP2004033468A (ja) * 2002-07-03 2004-02-05 Fukuda Denshi Co Ltd 生体電極
JP2007125104A (ja) * 2005-11-01 2007-05-24 Kyokko Denki Kk センサ信号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とそれを用いたロボット用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JP2009523525A (ja) * 2006-01-23 2009-06-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保持封止部から隔離されたタップ又はスナップを特徴とする長時間患者装用の改良型バイオメディカル電極
US20100056881A1 (en) * 2008-08-29 2010-03-04 Corvent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ute Cardiac Monitoring
US20110077497A1 (en) * 2008-05-01 2011-03-31 Oster Craig D Biomedical sensor system
KR20140010430A (ko) * 2011-03-03 2014-01-24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50374A (ko) * 2012-10-19 2014-04-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패치형 심전도 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4116816A1 (en) * 2013-01-23 2014-07-31 Avery Dennison Corporation Wireless sensor patch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KR20150042108A (ko) * 2013-10-10 2015-04-20 최충식 미용 마스크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6007U (ja) * 1983-01-26 1984-08-06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生体用電極
CN202191501U (zh) * 2011-07-27 2012-04-18 陈胜群 面膜结构
CN203169425U (zh) * 2013-04-08 2013-09-04 安徽安科余良卿药业有限公司 膝贴
CN203736742U (zh) * 2014-03-11 2014-07-30 朱伟章 鼻贴
CN204133871U (zh) * 2014-09-19 2015-02-04 陈盈嘉 一种面膜结构
CN204485130U (zh) * 2015-02-10 2015-07-22 章迅 即贴型鼻罩
CN104606803A (zh) * 2015-02-10 2015-05-13 章迅 即贴型鼻罩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915A (ja) 1993-02-23 1994-09-06 Tsutomu Otake 生体電気信号記録具
JP2001269322A (ja) 2000-03-24 2001-10-02 Hiroshi Matsumoto 心電図信号誘導用電極装置及び心電図信号測定装置
KR20030092120A (ko) * 2001-05-03 2003-12-03 텔쥬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무선 의료용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JP2004033468A (ja) * 2002-07-03 2004-02-05 Fukuda Denshi Co Ltd 生体電極
JP2007125104A (ja) * 2005-11-01 2007-05-24 Kyokko Denki Kk センサ信号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とそれを用いたロボット用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JP2009523525A (ja) * 2006-01-23 2009-06-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保持封止部から隔離されたタップ又はスナップを特徴とする長時間患者装用の改良型バイオメディカル電極
US20110077497A1 (en) * 2008-05-01 2011-03-31 Oster Craig D Biomedical sensor system
US20100056881A1 (en) * 2008-08-29 2010-03-04 Corvent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ute Cardiac Monitoring
KR20140010430A (ko) * 2011-03-03 2014-01-24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50374A (ko) * 2012-10-19 2014-04-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패치형 심전도 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4116816A1 (en) * 2013-01-23 2014-07-31 Avery Dennison Corporation Wireless sensor patch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KR20150128673A (ko) * 2013-01-23 2015-11-18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무선 센서 패치 및 제작 방법
KR20150042108A (ko) * 2013-10-10 2015-04-20 최충식 미용 마스크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837B1 (ko) 2022-03-03
JPWO2017043595A1 (ja) 2018-04-26
EP3348188A1 (en) 2018-07-18
KR102366714B1 (ko) 2022-02-23
JP6537618B2 (ja) 2019-07-03
US20180235502A1 (en) 2018-08-23
CN107949324A (zh) 2018-04-20
EP3348188A4 (en) 2019-03-20
CN107949324B (zh) 2021-06-11
WO2017043595A1 (ja) 2017-03-16
KR20200121913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9696A (ko) 센서 시트
KR20180039697A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0854791B1 (ko) 방수성 생체 전극
JP6181356B2 (ja) 生体電極用パッド
JP2004033468A (ja) 生体電極
KR102287701B1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JPH0215443Y2 (ko)
JP2015128562A (ja) 生体情報収集装置と生体情報収集装置用粘着部材
US11278243B2 (en) Repositionable surface electrodes
CN112055559A (zh) 电极片
CN210673309U (zh) 一次性电极片
JP3488976B2 (ja) 生体用電極
EP3342338A1 (en) Electrode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11647933B2 (en)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JP5952170B2 (ja) 防水性生体電極
JP6158263B2 (ja) 防水性生体電極
KR20210118431A (ko) 탄성 웨어러블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5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015

Effective date: 2021070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