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773A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773A
KR20180038773A KR1020160129823A KR20160129823A KR20180038773A KR 20180038773 A KR20180038773 A KR 20180038773A KR 1020160129823 A KR1020160129823 A KR 1020160129823A KR 20160129823 A KR20160129823 A KR 20160129823A KR 20180038773 A KR20180038773 A KR 2018003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8773A/ko
Publication of KR2018003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77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 및 외장재에 무도장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10~20 중량부; 산변성 고무 탄성체 2~10 중량부; 및 이형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대점도 2.3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의 혼합 중량비율이 8:2~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치수안정성, 강도 등을 만족하면서 높은 유동성을 부여, 우수한 표면 및 외관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어프레임 인너커버에 적합한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E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 및 외장재에 무도장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은 부품의 높은 성능, 고급스러운 외관 디자인 뿐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 원가절감, 공정의 단순화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환경적인 측면에서 페인트, 코팅제 등의 화학약품 처리의 최소화도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공정 단순화 부분에서 도장제품을 무도장화 진행함으로써 발생되는 공정상의 시간적, 비용적 이익으로 인해 많은 부품에서 무도장 형태로의 전환이 시도되고 있다.
각 자동차 업계에서는 플라스틱 내외장 부품의 무도장 적용을 장려하고 있으나 플라스틱 수지가 지니는 표면특성, 강도를 비롯한 기계적 물성의 한계로 인해 무도장 수지의 적용이 제한적이며 특히 우수한 표면, 높은 치수안정성, 열적특성, 내후특성 등 다양한 요구 특성을 만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지속적인 소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도어프레임 인너커버를 들 수 있다.
도어프레임 인너커버는 높은 강도, 성형수축률 및 외관품질이 중요한 부품으로 일반적으로 나일론6, 또는 폴리프로필렌로 제조되어왔다.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올레핀계 수지와 같은 범용수지에 비해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화학적 성질 중 내오일성, 내약품성 등의 특성과 더불어 전기특성, 마찰, 마모특성이 우수하고 각종 첨가제를 보강하여 여러 가지 특성 부여를 통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조성물을 얻을 수 있어 자동차 산업 및 전기, 전자, 일반산업 등의 부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아미드 수지가 도어프레임 소재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알맞은 치수안정성과 함께 강도 및 우수한 외관의 확보가 필요하다. 종래 국내에서 생산되는 폴리아미드 수지(PA) 기반 얼로이 및 유리섬유 강화 소재로 제조 되는 도어프레임 제품은 무도장 공정을 적용하지 못하고 도장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한 데에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이 있겠지만 그중 하나로 유동성 문제를 들 수 있다. 도어프레임 인너커버는 사출성형 시 좁고 긴 제품 형태 특성상 금형내에서 빠르게 충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치수안정성과 강성의 보강을 이유로 첨가된 각종 첨가제에 의해 소재의 용융유동성의 저해를 야기, 표면 및 외관 불량으로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99068호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유리섬유 및 산변성 고무 탄성체로 구성되며, 충격강도 개선, 유동성 저하로 인한 표면 불량 현상 개선, 치수안정성 확보 및 내후성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여 도어프레임 인너커버로 사용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도장공정 없이 무도장 적용하기에는 치수안정성, 강도, 유동성, 표면특성 및 외관특성 등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치수안정성, 강도 등을 만족하면서 높은 유동성을 부여, 우수한 표면 및 외관특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치수안정성, 강도를 만족하면서 높은 유동성을 부여, 우수한 표면 및 외관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 1 구현예로서,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10~20 중량부; 및 산변성 고무 탄성체 2~10 중량부; 및 이형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대점도 2.3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의 혼합 중량비율이 8:2~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유리섬유는 평균지름이 10 내지 13㎛이고, 평균길이가 3 내지 5mm인 촙(chop)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α,β-불포화카르본산, α,β-불포화무수물 및 이들의 유도체 중 1종 이상으로 0.5 내지 5중량부 그라프팅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이형제는 에틸렌비스스테아라마이드, 올레아마이드, 에루카미드 및 스테아라미드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 2 구현예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성형품을 제공할수 있다.
상기 제 2구현예에 의한 성형품의 성형수축율은 0.5 미만이고, 충격강도 4 kgf/cm2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치수안정성, 강도 등을 만족하면서 높은 유동성을 부여, 우수한 표면 및 외관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어프레임 인너커버에 적합한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10~20 중량부; 산 변성고무탄성체 2~10 중량부; 및 이형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대점도 2.3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의 혼합 중량비율이 8:2~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아미드 6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1]
-[NH-(CH2)5-CO]n-
상기 화학식1에서 n은 200 ~ 15,000 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대점도 2.3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가 혼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대점도가 상이한 상기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상대점도 2.3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를 혼합시킴으로써, 폴리아미드를 단독으로 사용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단점인 물성 및 성형성을 적합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서, 상기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상대점도 2.0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상대점도 2.3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상대점도 2.4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대점도는 ubbelohde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되며 그 조건은 20℃, 96% 황산 100㎖ 에 대하여, 20℃, 96% 황산 100㎖ 중에 폴리아미드 수지 1g을 첨가한 용액의 상대점도를 측정한 값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상대점도 2.3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의 혼합 중량비율이 8:2~5:5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가 5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성형기 내에서 스크류와 폴리아미드 수지 간의 과다한 마찰열이 발생하여 폴리아미드 수지가 분해되거나, 성형될 때 고압의 압력이 필요하게 되어 성형기와 금형에 무리를 발생시켜 가스발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가 80중량% 초과하여 사용되면 폴리아미드 수지의 강성, 충격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2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HPLC 분석기기를 통해 측정된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가 약할 수 있고, 20,000 을 초과하면 용융 가공성이 떨어 질 수도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된 것이다:
1. 분석기기: Agilent Technologies 1200Series
2. 고정상: u Stragel 103 104 105 (컬럼 3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분석)
3. 이동상: Chlorofrom/OCP표준용매=4/1, 1.0㎖/min
4. 온도: 40℃ (고정상 컬럼 및 RI 검출기)
5. 기준물질: Polystyrene
6. 주입량: 20㎕
7. 검출기: Agilent G1316A RI, 40℃
8. 분석 시간: 30분
한편,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칩(chip) 형태로 만들어 제습형 건조기에서 건조 후 사용할 수 있다.
[유리 섬유]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섬유는 촙(chop) 형태인 것으로 지름이 10~13㎛이고 길이는 3~5㎜이며, 표면은 커플링 처리제로 처리되어 있는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링 처리제는 비닐기, 에폭시기, 머캅탄기, 아민기 등의 유기 관능기를 갖는 실란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섬유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플라스틱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특히 기계적 강도인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의 함량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유리섬유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의 목표치에 도달할 수 없으며, 20 중량부 초과이면 기계적 물성은 높으나 표면 특성 저하 및 흐름성 하락에 의한 성형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 산변성 고무 탄성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통상의 폴리아미드 수지의 내충격성 혹은 내수성 개질제로 많이 알려진 것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본 발명의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α,β-불포화카르본산, α,β-불포화무수물 및 이들의 유도체 중 1종 이상으로 0.5 내지 5 중량부 그라프팅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높은 점도 상승을 수반하여 혼련이 어렵게 되고 성형품의 외관 표면 품질이 불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라프팅 방법은 통상 용매상 또는 과산화물의 존재 하에 용융된 올레핀류 상에서 수행된다.
상기 산변성 고무 탄성체의 함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변성 고무 탄성체의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미비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동성 및 강성이 저하되면서, 성형수축율이 커져 제품 성형 시 표면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 이형제 ]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이형제의 함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이형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이형제의 효과가 부족하여 표면불량을 초래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더 이상 이형성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다.
상기 이형제는 에틸렌비스스테아라마이드, 올레아마이드, 에루카미드 및 스테아라미드 화학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유리섬유, 산변성 고무 탄성체 및 이형제외에도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슬립제, 안료(구체적인 예로 카본블랙 등), 대전방지제, 커플링제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의 일 예로서,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폴리아미드6 (㈜코오롱플라스틱, 상품명 KOPA KN111, 상대점도 2.4), 폴리아미드6 (MEIDA 社, M2000, 상대점도 2.0), 유리섬유(제조사, 제품명, 평균지름 12㎛, 평균길이 4 mm), 산변성 고무탄성제 (DUPONT, 상품명 493D,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α,β-불포화무수물로 0.5중량부 그라프팅한 화합물), 이형제 (Akzo Chemicals, 상품명 Interstabg-8257, 에틸렌비스스테아라마이드) 을 압출기내에서 용융 혼련한 후, 혼련된 용융물은 수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절단되어 펠렛 형태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
폴리아미드 6의 함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및 실시예 5
유리섬유의 함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및 실시예 7
산변성 고무탄성제의 함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및 실시예 9
이형제의 함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
폴리아미드 6의 함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
유리섬유의 함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및 비교예 6
산변성 고무탄성제의 함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이형제의 함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별 함량(중량부)
폴리아미드 6
(상대점도 2.0 : 2.4))
유리섬유 산변성 고무탄성체 이형제
실시예 1 100 (70:30) 15 5 0.2
실시예 2 100 (80:20) 15 5 0.2
실시예 3 100 (50:50) 15 5 0.2
실시예 4 100 (70:30) 10 5 0.2
실시예 5 100 (70:30) 20 5 0.2
실시예 6 100 (70:30) 15 2 0.2
실시예 7 100 (70:30) 15 10 0.2
실시예 8 100 (70:30) 15 5 0.1
실시예 9 100 (70:30) 15 5 1.0
비교예 1 100 (81:19) 15 5 0.2
비교예 2 100 (49:51) 15 5 0.2
비교예 3 100 (70:30) 9 5 0.2
비교예 4 100 (70:30) 21 5 0.2
비교예 5 100 (70:30) 15 1 0.2
비교예 6 100 (70:30) 15 11 0.2
비교예 7 100 (70:30) 15 5 0.09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펠렛을 85℃의 온도하에서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6시간 동안 건조한 후,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시험시편을 제조하였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 및 외관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ASTM D638에 의거하여 1/8인치 덤벨형 시편을 제작하고, 인장 강도 측정 속도를 5mm/분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2) 굴곡탄성율
ASTM D790에 의거하여 1/8인치 시편을 제작하고, 굴곡 탄성율 측정 속도를 3mm/분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3) 충격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1/4인치 시편을 제작하여 아이조드 노치(Izod Notched) 충격강도를 측정 하였다.
(4) 표면 특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크류식 사출기에 의해 제조한 시편에 대해 육안으로 표면 색상 및 흑도, Gas 및 GF 표출 여부를 관찰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표면특성을 평가하였다.
양호: 표면의 색상이 흑도가 높고 Gas 및 유리섬유 표출 자국이 보이지 않음.
불량: 표면 색상이 흑도가 낮거나 Gas 및 유리섬유 표출자국이 보임.
(5) 성형수축률
ASTM D955에 의거하여 두께 3mm의 평판 원형 시험편을 제작하여 상온(23℃)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지의 투입구 게이트를 기준으로 수지가 들어가는 방향의 직각인 방향을 측정하여 본 사출물의 금형 크기 대비 수축한 비율을 계산하여 %로 나타내었다.
(6) 용융흐름지수
ASTM D1238에 의거하여 가공한 폴리아미드 수지를 280℃로 가열된 멜트 인덱스(Melt Index) 장치를 이용하여 하중 2.16kg을 가하여 10min동안 흘러내리는 양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kgf/㎠)
굴곡탄성율
(kgf/㎠)
충격강도
(kgf/㎠)
용융흐름지수
(g/10min)
표면특성 성형수축율
(%)
실시예1 945 55269 5.6 34 양호 0.34
실시예2 859 53576 4.8 51 양호 0.34
실시예3 993 56292 5.9 19 미흡 0.33
실시예4 837 54478 4.5 41 양호 0.49
실시예5 1004 59154 5.8 23 미흡 0.28
실시예6 951 56118 4.0 38 양호 0.32
실시예7 821 52626 7.7 18 미흡 0.48
실시예8 941 55617 5.5 32 양호 0.33
실시예9 908 54093 4.9 37 양호 0.32
비교예1 832 52131 3.9 53 양호 0.34
비교예2 999 57129 6.0 17 불량 0.33
비교예3 850 53994 3.4 43 양호 0.51
비교예4 1004 59154 6.0 21 불량 0.28
비교예5 957 55123 2.9 40 양호 0.31
비교예6 813 51702 8.2 16 불량 0.53
비교예7 931 54891 4.9 30 불량 0.33
물성측정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9를 통해 폴리아미드 수지를 기본으로 하여, 유리섬유, 산변성 고무 탄성체, 이형제를 각각 최적의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치수안정성, 강도, 표면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2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폴리아미드 6의 비율이 편중되면 강성의 저하 혹은 용융흐름성의 하락으로 인한 표면 불량을 야기함을 확인할수 잇다.
비교예 3~4 에서는 유리섬유의 함량이 적으면 강도가 낮고 성형수축율이 증가된다. 반대로 유리섬유 함량이 높으면 강도는 좋으나 표면 불량을 야기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6에서는 산변성 고무 탄성체의 함량이 적으면 충격강도가 떨어지며, 과량 첨가시 용융흐름성의 하락 및 성형수축율의 상승을 불러온다.
비교예 7에서는 이형제 함량이 적으면 이형불량으로 인한 표면 불량을 초래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7)

  1.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10~20 중량부; 산변성 고무 탄성체 2~10 중량부; 및 이형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대점도 2.0 이상 2.2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대점도 2.3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인 폴리아미드 수지의 혼합 중량비율이 8:2~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평균지름이 10 내지 13㎛이고, 평균길이가 3 내지 5mm인 촙(chop)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α,β-불포화카르본산, α,β-불포화무수물 및 이들의 유도체 중 1종 이상으로 0.5 내지 5중량부 그라프팅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에틸렌비스스테아라마이드, 올레아마이드, 에루카미드 및 스테아라미드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성형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의 성형수축율은 0.5 미만이고, 충격강도 4 kgf/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성형품.
KR1020160129823A 2016-10-07 2016-10-0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80038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823A KR20180038773A (ko) 2016-10-07 2016-10-0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823A KR20180038773A (ko) 2016-10-07 2016-10-0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773A true KR20180038773A (ko) 2018-04-17

Family

ID=6208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823A KR20180038773A (ko) 2016-10-07 2016-10-0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87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73210B (zh) 一种永久抗静电降噪abs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44400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成形品
KR101836622B1 (ko)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772259B1 (ko)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얼로이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475012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N114891301A (zh)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7243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5255093B (zh) 仿大理石效果的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EP3658619B1 (en) Scratch-resistant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mide wax
KR100387648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80038773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1734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1362080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KR20160141432A (ko)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재 성형품
KR20170049648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27512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50067471A (ko) 유리섬유 보강된 경량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성형품
CN110951220B (zh) 一种可注塑黏合聚甲醛的高性能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KR101476502B1 (ko) 도장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75119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156185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20150076619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987575B1 (ko) 내백화 특성을 갖는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3003037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