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424A - 강연선 인장기 - Google Patents

강연선 인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424A
KR20180038424A KR1020180010762A KR20180010762A KR20180038424A KR 20180038424 A KR20180038424 A KR 20180038424A KR 1020180010762 A KR1020180010762 A KR 1020180010762A KR 20180010762 A KR20180010762 A KR 20180010762A KR 20180038424 A KR20180038424 A KR 20180038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cylinder
wedge
ho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698B1 (ko
Inventor
신현택
Original Assignee
삼진스틸산업(주)
신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진스틸산업(주), 신현택 filed Critical 삼진스틸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1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6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Abstract

본 발명은 강연선 인장기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실린더의 전단에 삽입되어 실린더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로드, 관통공에 삽입되어 강연선을 지지하는 후측웨지, 일부가 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스토퍼, 로드보다 전측에 위치되며 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배열판, 배열판의 전측에 위치되는 헤드, 배열판과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강연선을 지지하는 전측웨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관통공은 로드의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구성을 통해 강연선 인장을 위한 강연선의 사용이 감소되고, 강연선 인장시 강연선이 휘어질 가능성이 적은 강연선 인장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연선 인장기{Strand Tensioner}
본 발명은 강연선 인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면 등에 삽입된 강연선의 노출된 부분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삽입되며, 전측에 로드가 위치되고, 후측에 실린더가 위치되는 강연선 인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는 절개지 등에서의 절개면의 붕괴방지 및 사면안정, 빌딩 또는 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지하수에 의한 부상방지, 대형 건물의 지하층 토목 공사시 굴착벽면의 붕괴방지, 지진 발생지 등의 건축물이나 대형 철탑 시공시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앵커공법은 붕괴염려가 있는 지반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앵커공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그라우트 호스(grouthose)와 복수개의 강연선 인장재 및 내하체를 하나의 유닛으로 삽입한 다음, 그라우트 호스를 통해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며, 주입된 그라우트가 내하체와 함께 양생되면 강연선 인장재의 다른 한쪽 끝단에 고정구를 체결한 후 강연선 인장재를 유압장비 등으로 인장함으로써 그라우팅의 지압력 또는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표면으로부터의 인장력을 지지하여 대상 구조물을 안정시키는 공법이다.
상기한 앵커공법에서, 강연선 인장재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강연선 인장기로는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강연선 인장잭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214527호(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에 게재된 다용도 강연선 인장잭은, 전단에 배열판(111)를 형성하고 배열판(111)의 후면에 실린더(113)를 결합하되, 실린더(113)의 피스톤(114)을 후측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하고 피스톤(114)의 로드를 후방으로 형성하며 피스톤(114)의 로드 단부에 인장배열판(115)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인장부(110)와; 상기 인장부 (110)의 인장배열판(115) 후면에 다수개의 제어실린더(121)를 결합하되, 제어실린더(121)의 내부에 강연선(10)을 지지하는 지지헤드(122)를 구비하고 지지헤드(122)를 조절스프링(123)으로 탄력 설치하여 강연선(10)의 인장으로 지지헤드(122)가 조절스프링(122)을 압축하도록 하는 제어부(120)로 구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연선(10)을 인장하는 데에는 강연선 한 개당 10톤 정도의 하중이 적용되고 있다. 인장된 강연선(10)은 탄성에 의해 그 길이가 줄어드려는 성질에 의해 절개면이나 사면 등에 압축력을 가하여 굴착면 또는 사면의 안정화를 시키게 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인장잭에서 강연선(10)이 지지되는 부분이 실린더(113)나 피스톤(114)의 로드의 후측에 위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인장잭에서 강연선(10)이 지지되는 부분인 피스톤(114)의 로드보다 후측에 위치된 웨지(124)와 강연선(10)이 삽입 고정된 사면간에 거리가 약 피스톤 (114)의 로드 전후길이의 두 배가 될 수 있으므로, 강연선(10)을 인장시키기 위한 여유장의 길이가 길어야 해 재료비가 많이 발생됐고, 피스톤(114)의 로드 후측의 웨지(124)에 지지된 강연선(10)의 중심축이 어긋난 채로 인장되면 강연선(10)이 휘어져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45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연선 인장시 필요한 인장 여유분이 감소되어 강연선의 사용량이 감소되는 강연선 인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강연선의 인장시 강연선이 휘어질 가능성이 적은 강연선 인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하나의 실린더 및 로드로 2개의 강연선을 한 번에 인장시키는 강연선 인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연선 인장기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로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강연선을 지지하는 후측웨지; 일부가 상기 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스토퍼; 상기 로드보다 전측에 위치되며 상기 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배열판; 상기 배열판의 전측에 위치되는 헤드; 상기 배열판과 상기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강연선을 지지하는 전측웨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로드의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와 상기 배열판에 후측과 전측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에는 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돌출부는 일부가 상기 구멍과 상기 캡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캡의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일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후측에 상기 후측웨지가 삽입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탄성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채 일부가 상기 탄성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전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로드; 상기 제1실린더와 일정 간격 이격된 채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의 전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2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로드;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강연선을 감싸는 제1후측웨지;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강연선을 감싸는 제2후측웨지;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보다 전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과 상기 제2강연선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배열판; 일부가 상기 제1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일부가 상기 제2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2스토퍼; 상기 배열판의 전측에 위치되는 헤드; 상기 배열판과 상기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강연선을 감싸는 제1전측웨지; 상기 배열판과 상기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강연선을 감싸는 제2전측웨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로드의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로드의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강연선 인장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강연선 인장기는 종래와 반대로 실린더가 강연선 인장기의 후측에 위치되고 로드 및 피스톤이 실린더보다 전측에 위치되므로, 강연선의 인장 여유분이 줄어들어 강연선의 자재비가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연선이 인장될 때, 전측웨지와 후측웨지 간에 거리가 종래에 비해 짧으므로 각 웨지간에 중심축이 어긋나더라도 어긋난 간격이 작아 강연선이 휘어지면서 인장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강연선 인장기는 강연선을 감싸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양측의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사이에 위치되므로 강연선 인장시 하중이 강연선 인장기의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아 강연선의 인장이 균형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연선 인장기는 하나의 실린더, 피스톤 및 로드의 작동으로 두 개의 강연선 인장이 한 번에 가능하다.
도 1은 '특허문헌1'의 다용도 강연선 인장잭의 인장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강연선 인장기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강연선 인장기의 작동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 중 캡의 단면도 및 단면확대도.
도 6은 도 4 중 홀더의 사시도.
도 7은 도 4 중 지지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4 중 로드의 사시도.
도 9는 도 4 중 웨지밀대의 사시도.
도 10은 도 4 중 배열판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강연선 인장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 중 홀더의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강연선 인장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는 강연선 인장기의 각 부품들의 중앙부를 일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단면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강연선 인장기는 실린더(110)와, 실린더(110)의 전단에 삽입되어 실린더(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강연선(20)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공(346)이 형성되는 로드(300)와, 관통공(346)에 삽입되어 강연선(20)을 지지하는 후측웨지(910)와, 일부가 후측웨지(910)의 후측에 위치되는 스토퍼(500)와, 로드(300)보다 전측에 위치되며 강연선(20)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배열판(700)과, 배열판(700)의 전측에 위치되는 헤드(800)와, 배열판(700)과 헤드(800) 사이에 위치되어 강연선(20)을 지지하는 전측웨지(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관통공(346)은 로드(300)의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20)에 형성된다.
관통공(346)이 형성되는 돌출부(320)는 로드(300)의 위치에 관계 없이 실린더(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는 로드(300)의 전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강연선(20)은 단선 7줄을 꼬은 것으로, 한 줄의 소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위치되는 6개의 소선이 강연선의 길이방향으로 꼬인 연선이다.
후측웨지(910)와 전측웨지(930) 각각은 복수개의 웨지절편으로 이루어지되, 본 실시 예에서는 세 개의 웨지절편으로 이루어진다.
후측웨지(910)의 웨지절편은 내면 중 전단과 연결된 전측의 일부가 후술할 웨지밀대(60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실린더(110)는 측방의 전측과 후측에 유압 인입출구(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10)의 전측 내주면 중 전단과 연결된 전측 부분은 후측의 내주면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실린더(110)의 전측 내주면 중 서로 내경이 차이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연결된다. 이때 실린더(110)의 경사면과 전단에 후술할 캡(200)이 걸린 채로 삽입된다.
한편, 강연선 인장기는 실린더(110)와 배열판(700)에 후측과 전측이 각각 연결되며, 로드(3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캡(2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200)은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중심에 관통공(202)이 형성된 원통이다. 또한 캡(200)에는 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구멍(204)이 형성된다. 구멍(204)은 관통공(202)과 연통된다.
캡(200)은 배열판(700)과 연결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후측에 연결되어 실린더(110)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10)는 후측 단부가 실린더(110)의 전측 단부와 맞닿는다.
구멍(204)은 본체(210)에 형성된다. 구멍(204)은 캡(200)의 외측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구멍(204)은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캡(200)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똑바로 볼 때, 본체(210)가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 구멍(204)은 본체(210)의 전단부터 후측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절개되고, 후측 모서리는 곡선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이다. 즉 구멍(204)을 정면으로 볼 때 구멍(204)은 캡(200)이 사각형으로 파져 있고, 후측 모서리는 곡선으로 파져 형성된 것이다.
한편, 로드(300)의 후측 단부에는 피스톤(302)이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302)은 실린더(110) 내측에 위치된 채 실린더(110)의 전후측으로 이동하는 왕복직선운동을 한다. 피스톤(302)의 외주면에는 씰이 삽입되는 씰홈(232,242)이 두 개 형성된다.
한편, 캡(200)의 삽입부(220)의 직경은 본체(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삽입부(220)는 실린더(110) 중 내경이 큰 부분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230)와, 제1삽입부(230)의 후측에 연결되어 실린더(110) 중 내경이 작은 부분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1삽입부(230)의 직경이 제2삽입부(240)는 직경보다 크다.
캡(200)은 후측 단부인 제1수평부(281), 제1수평부(281)의 내외측에 각각 연결된 내측의 제1경사부(251) 및 외측의 제2경사부(252), 제2경사부(252)의 전측과 연결되는 제1수직부(261), 제1수직부(261)의 전측과 연결되어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제3경사부(253), 제3경사부(253)의 전측과 연결되어 실린더(110)의 내주면과 나란하게 인접한 제2수직부(262), 제2수직부(262)와 연결되는 제2수평부(282), 제2수평부(282)와 연결되는 제3수직부(263), 제3수직부(263)와 연결되는 제3수평부(283), 제3수평부(283)의 외측과 연결되어 실린더(110)의 내주면과 나란하고 인접한 제4수직부(264), 제4수직부(264)의 전측과 연결되어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져 실린더(110)의 경사면과 마주보는 제4경사부(254), 제4경사부(254)의 전측에 연결된 제5수직부(265), 제5수직부(265)이 전측과 연결되어 실린더(110)의 전단과 닿는 제4수평부(284), 제4수평부(284)의 외측과 연결되며 본체(210) 외면에 해당되는 제6수직부(266), 제6수직부(266)의 전측에 연결되어 배열판(700)에 닿는 제5수평부(285), 제5수평부(285)의 내측에 연결된 제7수직부(267), 제7수직부(267)의 후측에 연결된 제6수평부(286), 제6수평부(286)의 외측에 연결된 제8수직부(268), 제8수직부(268)의 후측에 연결된 제7수평부(287), 제7수평부(287)의 내측에 연결되어 캡(200) 중 가장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인 제9수직부(269), 제9수직부(269)의 후측과 연결된 제8수평부(288), 제8수평부(288)의 외측과 연결된 제10수직부(270), 제10수직부(270)의 후측과 연결된 제9수평부(289), 제9수평부(289)의 내측과 제1경사면의 전측에 연결되는 제11수직부(2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200)에는 씰이 삽입되는 씰홈(212,242,232)이 총 세 개 형성되는데, 이중 두 개(232,242)는 제2삽입부(240)의 외면과 제1삽입부(230)의 내면에는 형성되고, 나머지 한 개(212)는 캡(200)의 본체(210) 내면에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삽입부(220)에 형성되는 두 개의 씰홈은 각각 제2수평부(282), 제3수직부(263), 제2수평부(282)로 이루어진 제1씰홈(232)과, 제8수평부(288), 제10수직부(270), 제9수평부(289)로 이루어진 제2씰홈(242)이고, 본체(210)에 형성되는 씰홈은 제6수평부(286)와 제8수직부(268)와 제7수평부(287)으로 이루어진 제3씰홈(212)이다.
제3씰홈(212)의 면적은 제2씰홈(242)의 면적보다는 작고 제1씰홈(232)의 면적보다는 크다.
한편, 제2씰홈(242)과 제3씰홈(212) 사이에 위치되는 제9수직부(269)는 캡(200) 중에서 로드(300)와 가장 인접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실린더(110)와 피스톤(302)과 제2삽입부(240) 사이에는 유압 인입출구(120)와 연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3(a)와 같이 피스톤(302)이 실린더(110)의 최전방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 공간은 실린더(110)의 내주면, 제2경사부(252), 제1수직부(261), 제3경사부(253) 및 피스톤(302)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302) 및 로드(300)는 유압 인입출구(120)를 통해 공간으로 인입되는 유압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로드(300)가 왕복직선운동을 할 때, 캡(200)과 로드(300)는 서로 닿지 않아 직접적인 마찰은 일어나지 않고, 캡(200)에 삽입된 씰과 로드(300)간에 마찰이 일어난다.
한편, 로드(300)는 피스톤(302)과 연결된 봉 형상의 본체(310)와, 본체(310)의 전측에 연결된 돌출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자세하게 돌출부(320)는 본체(310)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하측 두께가 본체(310)의 직경과 동일한 연결부(330)와, 연결부(330)의 측단부에 연결되는 확장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부(330)와 확장부(340)는 곡면으로 연결된다.
확장부(340)는 전면 또는 후면을 똑바로 볼 때, 상하측 길이가 일타측 길이보다 더 길다. 보다 자세하게 확장부(340)는 연결부(330)의 양측과 각각 연결되어 외측으로 볼록한 두 개의 곡면부(342)와, 양측이 두 개의 곡면부(342) 각각에 연결되는 한 개의 수평부(3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확장부(340)는 일정한 단면을 갖는다.
돌출부(320)의 전면과 본체(310)의 전면은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다. 또한 돌출부(320)의 전면과 본체(310)의 전면은 배열판(700)의 후면과 나란하다. 또한 돌출부(320)는 전면과 후면이 나란하다.
로드(300)의 돌출부(320)는 일부가 구멍(204)과 캡(200)의 외측에 위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연결부(330)와 돌출부(320)가 연결되는 부분인 곡면부(342)의 일부 지점이 구멍(204)에 위치되며, 연결부(330)는 캡(200)의 관통공(202) 내측에 위치되고, 확장부(340)는 캡(200) 외측에 위치된다.
한편, 돌출부(320)에 형성되는 관통공(346)은 확장부(340)에 형성된다. 즉 관통공(346)은 캡(200)의 외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관통공(346)은 확장부(34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한 개씩 총 두 개가 형성된다. 관통공(346)은 곡면부(342)에 약 절반이 못 미치게 둘러싸인다. 따라서 강연선 인장기는 하나의 실린더(110), 피스톤(302) 및 로드(300)의 작동 한 번으로 두 개의 강연선(20) 인장이 가능하다.
구멍(204)을 이루는 캡(200)의 절개된 부분의 전후거리는 적어도 피스톤(302) 및 로드(300)가 이동가능한 전후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연선 인장기는 종래와 반대로 실린더(110)가 강연선 인장기의 후측에 위치되고, 로드(300) 및 피스톤(302)이 실린더(110)보다 전측에 위치되므로, 강연선(20)의 인장 여유분이 줄어들어 강연선(20)의 자재비가 절감된다. 즉 종래에는 강연선(20)이 사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로드(300)의 왕복직선운동거리에 약 두 배만큼이 필요했다면, 본 발명은 로드(300)가 사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로드(300)의 왕복직선운동거리만큼만 필요하기 때문에 강연선(20)의 길이가 종래보다 약 절반으로 줄어들어도 되므로 강연선(20)의 사용량이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연선(20)이 인장될 때, 전측웨지(930)와 후측웨지(910) 간에 거리가 종래에 비해 짧으므로 웨지(910,930)간에 중심축이 어긋나더라도 어긋난 간격이 작아 강연선(20)이 휘어지면서 인장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한편, 강연선 인장기는 일부가 관통공(346)에 삽입되고, 후측에 후측웨지(910)가 삽입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지지부(400)는 두 개의 강연선(20)이 동시에 삽입되는 멀티타입이다.
지지부(400)는 관통공(346)에 삽입되는 삽입부(410)와, 삽입부(410)의 후측에 연결되어 삽입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헤드(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삽입부(410)는 두 개의 원통이 서로 이격된 채 지지헤드(420)에 각각 연결된다.
삽입부(410)와 지지헤드(420)에는 연통된 관통공(402)이 각각 형성되며, 지지헤드(420)에 형성된 관통공(402)을 이루는 지지헤드(420)의 내면은 후측이 후측웨지(910)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삽입부(220)의 전후길이와 로드(300)의 돌출부(320)의 전후길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강연선(20)이 전측에서 삽입되다가 삽입부(220)의 전면에서 걸리면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는 위치인 삽입부(220)의 내측에서는 걸릴 부분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지지헤드(420)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상측 또는 하측에서 똑바로 볼 때 사각형상이고, 측면에서 똑바로 볼 때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지지헤드는 삽입부(410)가 연결된 전면과 관통공이 형성된 후면 및 상하 양측의 2개의 곡면과, 곡면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평면은 2개로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지지헤드(420)는 전면이 확장부(340)와 유사한 형상을 가져 확장부(340)와의 접촉면적이 넓으므로 지지헤드(420)와 확장부(340)간에 가해지는 하중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지지헤드(420)는 전면에서 후측으로 연장되어 전측 일부가 일정한 단면을 갖는 제1단(421)과, 제1단(421)부터 중앙부까지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하단의 거리가 증가되고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 제2단(422)과, 제2단(422)부터 지지헤드(420)의 후면까지 단면적이 일정한 제3단(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지헤드(420)는 전면의 곡면부가 거의 관통공(402)의 절반을 감싼 형상을 갖지만, 후면의 곡면부는 관통공(402)의 약 1/3을 감싼 형상을 갖게 되고, 수평부의 길이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한편, 지지헤드(420)의 제3단(423)의 곡면부에는 후술할 스토퍼(500)가 걸리는 홈(430)이 형성된다. 홈(430)은 지지부(400)를 측면에서 똑바로 볼 때 후측에 가까운 제10수평부와, 제10수평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전측으로 연장된 제12수직부와, 제12수직부와 곡면부에 연결되는 제5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5경사부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홈(430)은 지지헤드(420)의 상하 양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홈(430)은 곡면부에 형성되며, 곡면부 중 지지헤드(420)의 후면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스토퍼(500)는, 후측웨지(910)의 후측에 위치되는 탄성부(510)와, 지지부(400)와 연결된 채 일부가 탄성부(510)의 후측에 위치되는 홀더(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탄성부(510)는 코일스프링이다. 탄성부(510)는 후측웨지(910)에 전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면서 후측웨지(910)가 지지부(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홀더(520)는 스프링이 삽입되는 본체(530)와, 본체(530)의 상하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지지부(400)와 연결되는 연장부(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홀더(520)의 본체(530)는 전면 또는 후면을 똑바로 볼 때, 지지부(400)의 후면보다 크기가 약간 크되,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본체(530)에는 강연선(20)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공(53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32)은 본체(530)의 전측에 형성되어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관통공(534)과, 제1관통공(534)과 연통되어 본체(530)의 후측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5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관통공(534)은 제1내주면과 원형 띠 형상의 후면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제2관통공(536)은 제1관통공(534)을 이루는 원형 띠의 후면과 연결된 경사진 제2내주면과, 제2내주면에 연결된 원형 띠의 제3내주면과, 제3내주면과 본체(530)의 후면에 연결된 경사진 제4내주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제2내주면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 강연선(20)이 삽입될 때 걸리지 않아 편리하다.
제1관통공(534)을 이루는 제1내주면의 내경은 제2관통공(536)을 이루는 제3내주면의 내경보다 크다.
탄성부(510)는 제1관통공(534)을 이루는 원형 띠의 후면과 후측웨지(910)에 닿으며, 외측은 제1관통공(534)을 이루는 제1내주면에 인접하거나 닿는다.
한편, 연장부(540)는 본체(530)의 전면에서 상하 양측을 이루는 곡면부의 중앙부가 전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즉 연장부(540)는 본체(530)의 곡면부와 나란하다. 따라서 본체(530)는 양측의 곡면과, 곡면이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평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평면은 2개로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연장부(540)의 내면에는 지지부(400)의 홈(430)에 걸리는 돌기(550)가 형성된다. 돌기(550)는 홈(43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 돌기(550)는 측면에서 똑바로 볼 때, 홈(430)의 제10수평부와 마주보는 제11수평부, 제11수평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전측으로 연장된 제13수직부, 제13수직부와 연장부(540)의 내면에 연결되는 제6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6경사부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홈(430)과 마찬가지로 돌기(550)는 양측의 연장부(540)에 각각 형성된다.
연장부(540)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는 양측의 수직부와, 양측의 수직부와 연결되어 연장부(540)의 하면에 해당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연장부(540)는 상측 또는 하측에서 똑바로 볼 때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홀더(520)는 측면에서 똑바로 볼 때 'ㄷ'자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형상을 가지고, 상측 또는 하측에서 똑바로 볼 때 'T'자 형상을 갖는다.
한편, 강연선 인장기는 배열판(700)에 형성된 홈(710)에 위치되도록 전측에 형성되는 돌출부(610), 돌출부(610)에서 후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측 단부가 인장웨지와 마주보거나 닿도록 위치되는 연장부(620)를 포함하는 웨지밀대(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웨지밀대(600)는 전후방향으로 강연선(20)이 삽입되는 관통공(602)이 형성되어 있다.
웨지밀대(600)는 후측의 외면이 후측웨지(910)의 웨지절편 중 경사진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622)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실시 예의 강연선 인장기는 동일한 구성이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대칭을 이룬다.
보다 자세하게 강연선 인장기는 제1실린더(110a)와, 제1실린더(110a)의 전단에 삽입되어 제1실린더(110a)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강연선(20)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관통공(346)이 형성되는 제1로드(300a)와, 제1실린더(110a)와 일정 간격 이격된 채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2실린더(110b)와, 제2실린더(110b)의 전단에 삽입되어 제2실린더(110b)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2강연선(20)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관통공(346)이 형성되는 제2로드(300b)와, 제1관통공(346)에 삽입되어 제1강연선(20)을 감싸는 제1후측웨지(910)와, 제2관통공(346)에 삽입되어 제2강연선(20)을 감싸는 후측웨지(910)와, 제1로드(300a)와 제2로드(300b)보다 전측에 위치되며 제1강연선(20)과 제2강연선(20)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배열판(700)과, 일부가 제1후측웨지(910)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500a)와, 일부가 제2후측웨지(910)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2스토퍼(500b)와, 배열판(700)의 전측에 위치되는 헤드(800)와, 배열판(700)과 헤드(800) 사이에 위치되어 제1강연선(20)을 감싸는 제1전측웨지(930)와, 배열판(700)과 헤드(800) 사이에 위치되어 제2강연선(20)을 감싸는 제2전측웨지(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관통공(346)은 제1로드(300a)의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320a)에 형성되고, 제2관통공(346)은 제2로드(300b)의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320b)에 형성되며, 제1돌출부(320a)와 제2돌출부(320b)가 제1실린더(110a)와 제2실린더(110b) 사이에 위치되며, 제1돌출부(320a)의 타측과 제2돌출부(320b)의 일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강연선 인장기는 강연선(20)을 감싸는 제1돌출부(320a) 및 제2돌출부(320b)가 양측의 제1실린더(110a)와 제2실린더(110b) 사이에 위치되므로 강연선(20) 인장시 하중이 강연선 인장기의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아 강연선(20)의 인장이 균형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후면에 캡(200)의 전면이 닿는 배열판(700)은, 제1실린더(110a)와 제2실린더(110b)가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양측 사이에 로드(300)의 돌출부(320), 웨지밀대(600), 지지부(400), 후측웨지(910), 스토퍼(500)가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또한 배열판(700)은 양측의 길이가 상하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측면이 볼록한 곡면을 갖고, 상하면과 전후면은 평면을 갖는다.
배열판(700)은 후면에 웨지밀대(600)의 돌출부(610)가 삽입되는 홈(710)과, 전측에는 헤드(800)가 일부 삽입되는 헤드삽입홈(720)과, 헤드삽입홈(720)과 연통되며 전측 웨지가 위치되는 웨지배치홈(730)과, 웨지밀대(600)가 삽입되는 홈(710) 및 웨지배치홈(730)에 연통되며 강연선(20)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7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삽입홈(720)과 웨지배치홈(730) 각각은 원형 띠의 후면, 후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원형 띠의 내주면으로 이루어진다.
헤드삽입홈(720)을 이루는 내주면의 직경은 웨지배치홈(730)을 이루는 내주면의 직경보다 크다.
헤드삽입홈(720)의 깊이는 웨지배치홈(730)의 깊이보다 얕다.
한편, 배열판(700)의 헤드삽입홈(720)에 후측 일부가 삽입되는 헤드(800)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헤드(800)는 원판이라 할 수 있다.
헤드(800)에는 강연선(20)과 전측웨지(930)가 삽입되는 관통공(80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802)을 이루는 헤드(800)의 내면은 전측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전측웨지(930)의 외면과 대응되게 경사진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헤드(800)에는 관통공(802)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채 4개 형성된다.
한편, 전측웨지(930)는 배열판(700)의 웨지배치홈(730)을 이루는 후면과 웨지배치홈(730)의 깊이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전측웨지(930)는 일부가 헤드(800)에 삽입되고, 후측은 웨지배치홈(730)에 위치된다.
======================= 제2실시 예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강연선 인장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a',400b')당 한 개의 강연선(20)만 삽입되는 모노타입이다. 따라서 지지부(400')에는 관통공(402)이 하나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제2실시 예의 지지부(400a',400b')는 제1실시 예처럼 지지헤드(420)와 삽입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헤드(420)는 원통으로 형성되되, 후측 일부의 직경이 이외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지지헤드(420)의 전후길이는 제1실시 예의 지지헤드(420)의 전후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410)의 전후길이 또한 제1실시 예의 삽입부(410)의 전후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 예의 지지부(400a',400b')는 제1실시 예의 지지부(400)보다 크기가 절반가량 작아 파손이나 고장으로 인해 교체시 비용이 절약된다.
한편, 제2실시 예에서 스토퍼(500')의 형상은 제1실시 예의 스토퍼(500)의 형상과 상이하다.
보다 자세하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00') 중 홀더(520')는 원통형상의 뚜껑이되, 홀더(520')는 제1실시 예의 홀더(520)와 달리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홀더(520')는 후측 일부 외면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경사져있다.
또한, 홀더(520')에는 전후방향으로 강연선(20)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홀더(520')의 관통공은 직경이 작은 지지헤드(420)가 삽입되며 외부공간과 연통되고 내경이 가장 큰 제1관통공(522')과, 제1관통공(522')의 연통되어 중간에 위치되어 후측웨지(910)의 일부가 위치되고, 내경이 제1관통공(522')의 내경보다 작은 제2관통공(524')과, 제2관통공(524')과 연통되어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제3관통공(526'), 제3관통공(526')과 연통되고 홀더(520')의 후측에 위치되어 외부공간과 연통되고 내측에 강연선(20)이 위치되는 제4관통공(5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관통공(528')은 제3관통공(526')과 연통되며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제4-1관통공(528a')과, 홀더(520')의 후측에 위치되어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4-2관통공(528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관통공(526'), 제4-1관통공(528a'), 제4-2관통공(528b')을 이루는 홀더(520')의 내주면은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져 강연선(20)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삽입될 때 걸리지 않게 되므로 강연선(20)의 삽입이 쉽다.
제1관통공(522')은 원형 내주면과, 원형 내주면에 연결된 원형 띠 형상의 후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2관통공(524')은 원형 내주면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3관통공(526')은 경사진 원형 내주면과, 원형 내주면에 연결된 원형 띠 형상의 후면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4-1관통공(528a')과 제4-2관통공(528b')은 경사진 원형 내주면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4관통공(528')은 원형 내주면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탄성부는 제3관통공(526')을 이루는 내면에 닿을 수 있다.
이외의 제2실시 예의 강연선 인장기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강연선 인장기와 동일하다.
======================= 강연선 인장기의 작동 및 작용 =======================
도 3(a)는 강연선 인장기에 삽입된 강연선(20)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느슨한 상태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전측 유압 인입출구(120)에 유압이 인입되어 실린더(110)가 작동됨에 따라 강연선(20)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이고, 도 3(c)는 도 3(a)의 상태에서 전측 유압 인입출구(120)에 유압이 인입되어 실린더(110)가 작동된 후 도 3(b)의 상태를 지나 강연선(20)이 인장되고 있는 상태이다.
본 실시 예에서 실린더(110)의 전측 유압 인입출구(120)로 유압이 인입되어 실린더(110)가 작동되면 로드(300)가 실린더(110)를 기준으로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실린더(110)의 후측 유압 인입출구(120)로 유압이 인입되면 로드(300)가 실린더(110)를 기준으로 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110)가 작동되면 로드(300)에 삽입된 지지부(400), 지지부(400)에 삽입된 후측웨지(910), 지지부(400)에 걸린 스토퍼(500), 배열판(700)과 헤드(800) 사이에 위치된 전측웨지(930)는 피스톤(302) 및 로드(300)와 함께 실린더(110)를 기준으로 전측방향 또는 후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이들 중 지지부(400)와 홀더(520)는 피스톤(302) 및 로드(300)가 이동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반면, 실린더(110) 작동시 실린더(110)와 결합된 캡(200), 캡(200)과 결합된 배열판(700), 배열판(700)에 결합된 헤드(800)는 실린더(110)를 기준으로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우선, 도 3(a)와 같이 실린더(11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강연선(20)이 헤드(800), 전측웨지(930), 배열판(700), 웨지밀대(600), 로드(300)의 돌출부(320), 지지부(400)를 통과해 후측웨지(910)까지 통과되도록 삽입되면 강연선(20)이 전측웨지(930)와 후측웨지(910)에 지지된다. 이때 강연선(20)은 강연선 인장기에 삽입되어 있지만 강연선 인장기에 의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느슨한 상태이므로 일직선이 아니라 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전측의 유압 인입출구(120)를 통해 실린더(110)에 유압이 인입되면 도 3(b)나 도 3(c)와 같이 피스톤(302) 및 로드(300)가 지지부(400), 스토퍼(500), 후측웨지(910), 전측웨지(930)와 함께 실린더(110)를 기준으로 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3(a)의 상태에서 실린더(110)가 작동하여 로드(300)가 후측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슨했던 강연선(20)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한 일직선 상태가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도 3(b)는 강연선(20)에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고 있는 상태, 즉 강연선(20)이 인장되기 직전의 상태로 본다.
이후, 도 3(b)와 같이 강연선(20)이 팽팽해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실린더(110)의 전측 유압 인입출구(120)에 유압이 인입되면 강연선(20)의 인장이 시작된다.
이때 전측웨지(930)는 강연선(20)과 함께 후측으로 이동하다가 헤드(800)의 경사진 내면과 분리되며, 분리된 후에 계속해서 후측으로 이동하다가 배열판(700)에 닿는다. 이때 전측웨지(930)에서는 강연선(20)의 물림작용이 일어나지 않고 강연선(20)의 물림작용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느슨하게 지지되는 정도가 된다. 따라서 강연선(20)은 전측웨지(930)에 접촉된 부분에서 큰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인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후측웨지(910)의 경사진 외면은 지지부(400)의 경사진 내면과 맞닿아 있고, 강연선(20)의 인장이 진행될수록 강연선(20)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후측웨지(910)는 지지부(400)의 경사진 내면을 타고 지지부(400)에 이전보다 더 깊이 삽입된다. 따라서 인장된 강연선(20)은 후측웨지(910)에 강하게 물리게 된다. 즉 강연선(20)은 후측웨지(910)에 인장되기 전보다 견고하게 지지된 채 후측으로 당겨지면서 인장된다.
강연선(20) 인장이 이루어진 후, 실린더(110)의 후측 유압 인입출구(120)로 유압이 인입되어 피스톤(302) 및 로드(300)가 실린더(110)가 작동되기 전의 원위치로 돌아오면, 전측웨지(930)가 배열판(700)과 분리되어 전측으로 이동하다가 헤드(800)의 관통공(802)을 이루는 경사진 내면과 접촉되면서 인장된 강연선(20)이 전측웨지(930)에 강하게 물려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강연선(20)이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던 후측웨지(910)는 지지부(400)에 강하게 박힌 채로 피스톤(302) 및 로드(300)와 함께 전측으로 이동되다가 웨지밀대(600)의 경사면(622)과 부딪히게 되며, 이때 후측웨지(910)는 지지부(400)의 경사진 내면과 순간적으로 분리되면서 후측으로 후퇴해 이전보다 강연선(20)이 느슨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강연선 인장기는 실린더(110)가 작동되기 전의 원위치로 돌아올 때 후측웨지(910)가 웨지밀대(600)와 부딪혀 자동으로 지지부(400)로부터 분리되므로 작업자가 해머로 타격하는 등의 인위적인 분리 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웨지밀대(600)의 경사면(622)이 후측웨지(910)의 경사진 외면과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후측웨지(910)나 웨지밀대(600)가 서로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후측웨지(910)나 웨지밀대(600)가 파손될 가능성이 적다.
위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강연선 인장기는 전측 유압 인입출구(120)로 유압이 인입됨에 따라 실린더(110)가 작동되어 강연선(20)에 인장력이 발생될 때 후측웨지(910)에 인장력이 걸리고, 후측 유압 인입출구(120)로 유압이 인입됨에 따라 실린더(110)가 작동되기 전의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인장력이 해제되면 전측웨지(930)에 강연선(20)의 인장력이 걸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20 : 강연선 110 : 실린더
120 : 캡 204 : 구멍
210 : 본체 220 : 삽입부
300 : 로드 302 : 피스톤
310 : 본체 320 : 돌출부
330 : 연결부 340 : 확장부
346 : 관통공 400 : 지지부
402 : 관통공 410 : 삽입부
420 : 지지헤드 430 : 홈
500 : 스토퍼 510 : 탄성부
520 : 홀더(1실시예) 520' : 홀더(2실시예)
530 : 본체(1실시예) 540 : 연장부
550 : 돌기 600 : 웨지밀대
602 : 관통공 610 : 돌출부
620 : 연장부 622 : 경사면
700 : 배열판 730 : 웨지배치홈
800 : 헤드 802 : 관통공
910 : 후측웨지 930 : 전측웨지

Claims (4)

  1.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공(346)이 형성되는 로드;
    상기 관통공(346)에 삽입되어 상기 강연선을 지지하는 후측웨지;
    일부가 상기 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스토퍼;
    상기 로드보다 전측에 위치되며 상기 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배열판;
    상기 배열판의 전측에 위치되는 헤드;
    상기 배열판과 상기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강연선을 지지하는 전측웨지;
    일부가 상기 관통공(346)에 삽입되고, 후측에 상기 후측웨지가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탄성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채 일부가 상기 탄성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로드는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공(346)이 두 개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곡면부, 양측이 상기 곡면부에 연결된 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나의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로드의 작동으로 두 개의 강연선 인장이 한 번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인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배열판에 후측과 전측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에는 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돌출부는 일부가 상기 구멍과 상기 캡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관통공(346)은 상기 캡의 외측에 위치되는 강연선 인장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탄성부가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가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인장기
  4.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전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로드;
    상기 제1실린더와 일정 간격 이격된 채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의 전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2강연선이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로드;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강연선을 감싸는 제1후측웨지;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강연선을 감싸는 제2후측웨지;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보다 전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과 상기 제2강연선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배열판;
    일부가 상기 제1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일부가 상기 제2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2스토퍼;
    상기 배열판의 전측에 위치되는 헤드;
    상기 배열판과 상기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강연선을 감싸는 제1전측웨지;
    상기 배열판과 상기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강연선을 감싸는 제2전측웨지;
    일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고, 후측에 상기 제1후측웨지가 삽입되는 제1지지부;
    일부가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고, 후측에 상기 제2후측웨지가 삽입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1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연결된 채 일부가 상기 제1탄성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1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2후측웨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2탄성부와, 상기 제2지지부와 연결된 채 일부가 상기 제2탄성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2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로드는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로드는 전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관통공이 두 개 형성되는 제1확장부, 상기 제1확장부에 연결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관통공이 두 개 형성되는 제2확장부, 상기 제2확장부에 연결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확장부는 상기 제1연결부에 연결된 제1곡면부, 양측이 상기 제1곡면부에 연결된 제1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확장부는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된 제2곡면부, 양측이 상기 제2곡면부에 연결된 제2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실린더, 상기 제2로드 중 하나의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로드의 작동으로 두 개의 강연선 인장이 한 번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인장기
KR1020180010762A 2018-01-29 2018-01-29 강연선 인장기 KR101945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62A KR101945698B1 (ko) 2018-01-29 2018-01-29 강연선 인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62A KR101945698B1 (ko) 2018-01-29 2018-01-29 강연선 인장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971A Division KR101825505B1 (ko) 2016-10-06 2016-10-06 강연선 인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424A true KR20180038424A (ko) 2018-04-16
KR101945698B1 KR101945698B1 (ko) 2019-02-11

Family

ID=6208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762A KR101945698B1 (ko) 2018-01-29 2018-01-29 강연선 인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638B1 (ko) * 2019-11-13 2020-09-18 곽주민 저속과 고속 모드 겸용 파일 인발용 유압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일 인발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50A (ko) * 1997-11-20 1999-06-15 신종기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KR100847080B1 (ko) * 2006-07-20 2008-07-17 서병운 재 인장이 가능한 인장선 제거식 앵커 헤드
KR100897535B1 (ko) * 2007-06-26 2009-05-14 (주)한국피씨 동시 다중 인장기
US7823344B2 (en) * 2002-07-04 2010-11-02 Daeyoung PC.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 members for use in anchor method
KR101036013B1 (ko) * 2009-02-19 2011-05-23 김용만 강연선 재인장 장치
KR20110133092A (ko) * 2010-06-04 2011-12-12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정착앵커의 재인장장치
KR101283582B1 (ko) * 2010-10-12 2013-07-05 김용만 강연선 인장장치
KR101675369B1 (ko) * 2015-10-05 2016-1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수 긴장재의 동시 균등 긴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수 긴장재의 동시 균등 긴장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50A (ko) * 1997-11-20 1999-06-15 신종기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US7823344B2 (en) * 2002-07-04 2010-11-02 Daeyoung PC.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 members for use in anchor method
KR100847080B1 (ko) * 2006-07-20 2008-07-17 서병운 재 인장이 가능한 인장선 제거식 앵커 헤드
KR100897535B1 (ko) * 2007-06-26 2009-05-14 (주)한국피씨 동시 다중 인장기
KR101036013B1 (ko) * 2009-02-19 2011-05-23 김용만 강연선 재인장 장치
KR20110133092A (ko) * 2010-06-04 2011-12-12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정착앵커의 재인장장치
KR101283582B1 (ko) * 2010-10-12 2013-07-05 김용만 강연선 인장장치
KR101675369B1 (ko) * 2015-10-05 2016-1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수 긴장재의 동시 균등 긴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수 긴장재의 동시 균등 긴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638B1 (ko) * 2019-11-13 2020-09-18 곽주민 저속과 고속 모드 겸용 파일 인발용 유압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일 인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698B1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196B1 (ko) 강연선 재인장 장치
KR101945698B1 (ko) 강연선 인장기
CN213805979U (zh) 一种框架建筑快速拼装墙体连接结构
KR101471486B1 (ko) 회전을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20120105093A (ko)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101825505B1 (ko) 강연선 인장기
KR102019442B1 (ko) 철근용 커플러
KR102028602B1 (ko) 옹벽패널 측면 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패널 시공방법
KR100893827B1 (ko) 치즐 고정장치
KR101247262B1 (ko) 철근 커넥터
CN215483546U (zh) 一种钢筋混凝土框架梁柱节点
KR101480416B1 (ko)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KR101167839B1 (ko) 다용도 강연선 인장잭
KR100931812B1 (ko) 유압브레이커
JP3172859U (ja) プラスチック型枠構造
JP2010189925A (ja) 耐震補強構造
KR102293260B1 (ko) 자립식 흙막이 시공을 위한 파일 연결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자립식 흙막이 시공을 위한 파일 조립체, 자립식 흙막이 시공방법
KR20110026906A (ko) 치즐 고정장치
KR100440066B1 (ko)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100943524B1 (ko) 앵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벽식 옹벽 시공방법
KR200354021Y1 (ko) 구조물 보강용 와이어 인장기
KR100721605B1 (ko) 쏘일네일의 전면 지압판의 구조
KR100717417B1 (ko) 강연선 인장기
KR101335356B1 (ko) 무한반복 설치 및 인장시스템을 갖는 제거식 앵커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00676Y1 (ko)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