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275A -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275A
KR20180038275A KR1020160129181A KR20160129181A KR20180038275A KR 20180038275 A KR20180038275 A KR 20180038275A KR 1020160129181 A KR1020160129181 A KR 1020160129181A KR 20160129181 A KR20160129181 A KR 20160129181A KR 20180038275 A KR20180038275 A KR 2018003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pine
display
suppor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837B1 (ko
Inventor
한혜림
고상현
박승준
이승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6012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8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1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는 소나무류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조기에 판별하는 진단 키트로서, 노출부가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노출부를 통하여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수목에서 배출되는 송진이 스며드는 정도에 따라 소나무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는 표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표시부를 상기 수목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Diagnostic kits for asymptomatic tree infected by pine wood nematode and diagnostic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류(소나무, 해송, 잣나무)는 우리나라의 거의 전 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조림되는 중요한 수목의 하나로서 산림 내 생육 영역이 넓고 비율이 높은 만큼 솔잎혹파리, 솔껍질 깍지벌레, 재선충병 등 각종 병해충에 의해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특히 1988년 유입된 소나무재선충은 외래 침입종으로서 대부분의 국내 소나무류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어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소나무재선충은 하늘소류의 매개충을 이용하여 건강한 나무로 빠른 확산을 할 수 있어서 근본적인 방제 대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소나무재선충에 감염이 된 소나무류(소나무, 해송, 잣나무)는 잎의 변색 등 외부증상 변화가 나타나지만, 외부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내부적으로 송진의 분비가 먼저 멈추게 된다. 그리고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내에서 이러한 소나무류를 잠재감염목 (asymptomatic tree)이라고 부른다.
대부분 감염목은 송진분비가 멈춘 후 잎의 변색, 잎 쳐짐 등 외부 증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잠재감염목은 가을, 겨울의 방제 시기 때에 제거하지 못하면 이듬해 봄 매개충의 산란처가 되어 소나무재선충병 재 확산의 단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내에서 방제 대상목 선별 또는 구별이 필요할 때 외관상 구분이 되지 않더라도 조기에 잠재감염목을 색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내에서 외관상 건강한 소나무류 중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잠재감염목(asymptomatic tree)을 구별할 수 있는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별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로서, 노출부가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노출부를 통하여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수목에서 배출되는 송진이 스며드는 정도에 따라 소나무재선충의 감염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는 표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표시부를 상기 수목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수목에서 배출되는 송진의 양을 판단하는 측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눈금이며, 상기 눈금은 상기 표시부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표시영역은 동일 평면 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목에서 나오는 송진과 반응하여 색상이 변하는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일측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수목의 표면에 가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시켜 외측으로 펼친 후 상기 수목에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표시부를 상기 수목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는 상기 연장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전술한 특징을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가 부착될 상기 수목의 표면을 편평하게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목의 편평한 부분에서 송진이 배출되도록 상기 수목에 상처를 내는 단계; (c) 상기 수목의 편평한 부분에 상기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가 부착되는 단계; 및 (d) 상기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의 표시부에 스며드는 상기 진액으로 상기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여부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의 송진이 스며드는 표시부를 수목에 형성된 흠집에 붙이고, 흠집으로부터 배출되는 송진이 표시부에 스며드는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조기 감염을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외관으로는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수목인지 판단이 되지 않을 경우, 표시부에 수목의 송진이 스며드는지 여부에 따라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표면에 송진이 스며들지 않으면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간주하고 고사목 제거 시 소나무재선충 감염으로 판단되는 소나무도 함께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반복된 방제를 할 필요가 없으며, 주변에 건강한 소나무로 소나무재선충병이 재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목에 약재를 투입하기 위하여 천공홀을 뚫기 전에 수목에 형성된 상처에서 배출되는 송진을 통하여 수목의 상태를 파악하여 약제 방제 가능성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의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의 표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A-A'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에 연장부를 포함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를 이용한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100)는 지지부(110), 표시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수목의 표면에 표시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0)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20)를 수목의 표면에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는 일정 크기를 갖는 노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111)는 표시부(12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노출부(111)는 지지부(110)의 중심에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표시부(120)는 작업자가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목의 진액이 스며드는 것으로, 수목의 표면과 접촉하는 표시부(12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20)에 스며드는 송진을 통하여 작업자가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해야하므로,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표시부(120)가 지지부(110)의 일면에 배치될 때,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이 지지부(110)의 노출부(1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부(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수목의 외부로 배출되는 송진이 스며들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120)는 건조한 상태에서 송진에 의해 젖어짐으로써,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 표시부(120)에 진액이 스며들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20)는 표시부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에 따라서, 표시부(120)의 시약은 수목에서 배출되는 송진과 반응하여 표시부(120)의 색을 변화시키며, 작업자는 표시부(120)의 색이 변화됨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20)는 스며드는 송진의 양으로 방제 가능시기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20)의 일정 영역에는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120)의 측정부에 의해 스며드는 진액의 양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1)는 도 4a에서와 같이 눈금(122)일 수 있다. 상기 눈금(122)은 노출부(11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금(122)은 복수 개로 노출부(111)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정부(121)는 도 4b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 개의 표시영역(123)은 동일 평면 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표시 영역(123)은 서로 등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임의의 제1표시 영역(123a)은 임의의 제2표시 영역(123b)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표시영역(123b)의 내부에 제1표시영역(123a)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표시영역(123a, 123b) 사이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렇게 눈금 또는 복수 개의 표시영역으로 형성되는 측정부(121)에 의해 작업는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에 스며드는 송진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진액의 양에 따라 소나무재선충의 감염 여부뿐만 아니라 수목의 방제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표시부(120)는 송진이 스며들 수 있도록 수목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부(110)의 일면 가장자리에 고정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130)는 표시부(120)가 배치되는 지지부(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의 중심에 표시부(120)가 배치되므로, 상기 고정부(130)는 지지부(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30)는 도 5에서와 같이 표시부(120)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즉, 상기 고정부(130)의 일부와 상기 표시부(120)의 가장자리는 서로 중첩되게 상기 지지부(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는 지지부(110) 및 표시부(120)를 수목의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부재, 벨크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부로 접착부재가 사용된다.
상기 고정부(130)가 접착부재인 경우, 지지부(110) 및 표지부(120)를 수목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접착제(131)와 접착제를 보호하는 보호막(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보호막(132)을 제거한 후 접착제(131)를 수목의 표면에 접착시킴으로써 지지부(110) 및 표지부(120)가 수목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100)는 지지부(110)의 일면에 표시부(120)가 배치되고, 이후 고정부(130)가 차례로 배치되어 적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110a', 110b') 사이에 표시부(120)가 배치되고, 한 쌍의 지지부(110a', 110b') 중 하나의 지지부(110b') 일면에 고정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지지부(110a', 110b')의 중심에는 노출부(111a', 111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부(110a', 110b')의 둘레면 중 일부는 표시부(1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둘레면은 봉쇄할 수 있다.
이후, 한 쌍의 지지부(110a', 110b')의 개구부로 표시부(120)가 삽입된 후 개구부도 봉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10)는 도 7에서와 같이 연장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40)는 지지부(110)의 일측에서 접혀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지지부(1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140)는 지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일측이 상기 지지부(1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지지부(110)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140)는 고정부(130)가 형성되지 않는 지지부(110)의 타면 상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이후, 연장부(140)는 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연장부(140)가 지지부(110)의 타면 상에 가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부(140)의 일면은 고정부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연장부(140)가 지지부(110)에서 분리되어 외측으로 펼쳐지는 경우, 연장부(140)의 고정부재(150)가 수목에 고정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140)의 타단에는 연장부(140)를 지지부(110)로부터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분리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분리부(141)를 이용하여 연장부(140)를 지지부(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40)의 사용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110) 및 상기 표시부(120)가 지지부(110)의 고정부(130)를 통하여 상기 수목의 표면에 가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40)를 상기 지지부(110)로부터 분리시켜 외측으로 펼친다.
이후, 연장부(140)에 형성된 고정부재(150)를 상기 수목에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부(110) 및 표시부(120)를 수목의 표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40)의 고정부재(150)는 지지부(110)에 형성된 고정부(130)와 동일하게 접착제 또는 벨크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100)는 소나무재선충 감염지역 내에서 소나무재선충에 잠재적으로 감염된 잠재감염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자세한 사용 방법에 대해서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작업자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100)를 고정시킬 수목의 표면을 도구를 사용하여 편평하게 만들어준다. 이때, 도구(200)의 일측에는 수목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기 위한 납작한 끌(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편평하게 된 수목의 표면에 송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도구(200)의 끌(210)을 이용하여 흠집(11)을 낸다(도 8a 참조).
그리고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100)의 고정부(130)를 수목의 표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100)의 노출부(111)가 수목의 흠집(11)에 접촉하도록 배치시켜야 한다. 이는 수목의 흠집(11)에서 배출되는 송진이 노출부(111)로 노출되는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으로 스며들도록 하기 위함이다.
추후, 작업자는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에 스며든 송진을 보고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도 8b 참조).
즉, 소나무재선충에 잠재적으로 감염되지 않은 수목은 송진이 배출되어 표시부(120)에 스며든다. 그러나, 외관상으로는 변화가 없더라도 소나무재선충에 잠재적으로 감염된 수목은 송진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표시부(120)에 송진이 스며들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부(120)에 송진이 스며들지 않는 수목은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수목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목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고 흠집을 내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수목에 형성된 흠집에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100)가 소나무에 사용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소나무에는 수피를 제거한 후 내피에 상처를 주었을때 표시부(120)에 묻어나는 송진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소나무재선충 감염을 판단할 수 있다.
즉, 표시부(120)의 표면에 소나무의 표면에 형성한 흠집으로부터 누출되는 송진이 스며들면 건강한 소나무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표시부(120)의 표면에 소나무의 송진이 스며들지 않으면, 소나무의 외관상으로는 변색된 잎이 없어 건강하다고 알 수 있으나, 표시부(10)의 표면에 송진이 스며들지 않으므로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고사목 제거 시 소나무재선충 감염으로 판단되는 소나무도 함께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반복된 방제를 할 필요가 없으며, 주변에 건강한 소나무로 확산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100)는 수목의 방제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소나무를 일례로, 표시부(120)에 묻어나는 송진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방제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소나무와 같은 수목에 대한 약액 주입은 송진이 분비되는 시기에는 약액의 흡수 및 이동을 저해하므로 효과가 없다.
이에, 소나무의 표면에 형성한 흠집으로부터 누출되는 송진이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을 넘어서 흘러내리게 되면 이는 송진 과다발생시기로 판단하여 약액 주입을 중단할 수 있다. 반면, 송진이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 내에 잔류하면 방제 적정 대상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는 방제가 필요한 수목에 약재를 투입하기 전에 수목의 방제를 하기 위한 시기인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110 : 지지부
111 : 노출부 120 : 표시부
121 : 측정부 122 : 눈금
123 : 표시영역 130 : 고정부
140 : 연장부 150 : 고정부재

Claims (8)

  1.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별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로서,
    노출부가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노출부를 통하여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수목에서 배출되는 진액이 스며드는 정도에 따라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는 표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표시부를 상기 수목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수목에서 배출되는 송진의 양을 판단하는 측정부가 형성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눈금이며,
    상기 눈금은 상기 표시부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표시영역은 동일 평면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목에서 나오는 진액과 반응하여 색상이 변하는 시약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일측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수목의 표면에 가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시켜 외측으로 펼친 후 상기 수목에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표시부를 상기 수목의 표면에 결합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는 상기 연장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부가 형성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8.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가 부착될 상기 수목의 표면을 편평하게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목의 편평한 부분에서 송진이 배출되도록 상기 수목에 상처를 내는 단계;
    (c) 상기 수목의 편평한 부분에 상기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가 부착되는 단계; 및
    (d) 상기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의 표시부에 스며드는 상기 송진으로 상기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의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여부 진단 방법.
KR1020160129181A 2016-10-06 2016-10-06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193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181A KR101938837B1 (ko) 2016-10-06 2016-10-06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181A KR101938837B1 (ko) 2016-10-06 2016-10-06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275A true KR20180038275A (ko) 2018-04-16
KR101938837B1 KR101938837B1 (ko) 2019-01-18

Family

ID=6208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181A KR101938837B1 (ko) 2016-10-06 2016-10-06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268A (ko) * 2020-07-21 2022-01-28 박성준 소나무 재선충dna 기반 진단검사장치
CN117686269A (zh) * 2024-02-02 2024-03-12 烟台富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松材线虫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188A (ja) * 2003-01-30 2004-08-19 Agriculture Forestry & Fisheries Technical Information Society 植物中の成分を抽出・測定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部材
JP2008092851A (ja) * 2006-10-11 2008-04-24 Jumoku New Theory Co Ltd 樹木の衰退判定試薬とそれを用いた樹木衰退判定方法
KR20150049031A (ko) * 2013-10-29 2015-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목의 둘레를 측정하는 둘레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태그 장치 및 방법
KR20170094616A (ko) * 2016-02-11 2017-08-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188A (ja) * 2003-01-30 2004-08-19 Agriculture Forestry & Fisheries Technical Information Society 植物中の成分を抽出・測定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部材
JP2008092851A (ja) * 2006-10-11 2008-04-24 Jumoku New Theory Co Ltd 樹木の衰退判定試薬とそれを用いた樹木衰退判定方法
KR20150049031A (ko) * 2013-10-29 2015-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목의 둘레를 측정하는 둘레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태그 장치 및 방법
KR20170094616A (ko) * 2016-02-11 2017-08-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udy on Early Diagnosis for Pine Wilt Disease Caused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 (Liu Wei Yang, Forest Research, 199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268A (ko) * 2020-07-21 2022-01-28 박성준 소나무 재선충dna 기반 진단검사장치
CN117686269A (zh) * 2024-02-02 2024-03-12 烟台富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松材线虫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7686269B (zh) * 2024-02-02 2024-05-10 烟台富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松材线虫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837B1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344B2 (en) Dressing with moisture indicator
KR101938837B1 (ko) 소나무재선충 잠재감염목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346425B1 (ko) 조직 생존률의 측정
US20150308994A1 (en) Ph indicator device and formulation
AR034330A1 (es) Metodos para monitorear automaticamente la concentracion de analitas utilizando dispositivos minimamente invasivos
KR101190526B1 (ko) 살균 처리 효과를 신속하게 측정하기 위한 통합기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21496A1 (en) Method to assist gel analysis and process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Azparren et al. Study of the diagnostic value of strontium, chloride, haemoglobin and diatoms in immersion cases
‘t Mannetje et al. Occupation and risk of non-Hodgkin lymphoma and its subtypes: a pooled analysis from the InterLymph Consortium
JP2015519572A (ja) 着圧衣類のための2層式張力測定システム
ATE447355T1 (de) Kombiniertes gerät zum messen von blutzucker aus augenflüssigkeit
WO2004060446A3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optical techniques to measure analyte levels
ATE367764T1 (de) Vorrichtung zur messung der konzentration eines analyts in einer augenflüssigkeit
Forte et al. Competitive ability of transgenic soybean cultivars coexisting with weeds.
ATA446574A (de) Vorrichtung zum vergleich der spektralen remission oder transmission eines pruflings und eines standards - insbesondere zur echtheits-prufung von banknoten und anderen wertzeichen
US4938224A (en) Process for detecting accidental contact with body fluids
Watson et al. Semiquantitative estimation of bilirubin in the urine, by means of the barium-strip modification of harrison's test
JP2015075458A (ja) 口臭検査具
KR101828776B1 (ko)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ooper Mobile image ratiometry for the detection of Botrytis cinerea (Gray Mold)
JP2019078585A (ja) 疲労度の評価方法とその装置
Crippa et al. Dyshidrotic eczema and sensitization to dithiocarbamates in a florist.
MY137266A (en) Acetylcholinesterase assay
JP5709049B2 (ja) 水分蒸散量測定パッチ
PT1274994E (pt) Método para a preparação de um adesivo para determinar uma secura anormal da pe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